KR100712313B1 -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 Google Patents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313B1
KR100712313B1 KR1020070020671A KR20070020671A KR100712313B1 KR 100712313 B1 KR100712313 B1 KR 100712313B1 KR 1020070020671 A KR1020070020671 A KR 1020070020671A KR 20070020671 A KR20070020671 A KR 20070020671A KR 100712313 B1 KR100712313 B1 KR 10071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boundary
opening
lid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조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진 filed Critical 조현진
Priority to KR102007002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313B1/en
Priority to PCT/KR2007/001073 priority patent/WO20081055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313B1/en
Priority to JP2007200970A priority patent/JP2008213934A/en
Priority to US11/832,885 priority patent/US2008020309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의 소정 영역이 스코아에 의해 개봉예정부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리벳에 의해 결합되어 이 리벳을 중심으로 그 일단은 파지부로 작용하고 반대쪽 타단은 상기 개봉예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가압부로 작용하는 탭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개봉예정부의 중심에는 그 중심이 상기 탭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앙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측 일단에서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 반대쪽 타단에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는 음용연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그 양단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의 각각의 단부 부근까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함께 상기 개봉예정부를 본체의 상면과 분할하여 구획하는 제2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며, 적어도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제2 경계 스코아 사이의 영역이 스테이부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성및 음용성이 크게 향상된 캔 뚜껑에 대해 개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divided into a preliminary preliminary opening by the score, and the main body and the rivet are joined by the main body, and one end acts as a holding part around the rivet and the other end presses the preliminary preliminary opening. A can lid comprising a tab that acts as a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entral score having a center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ab, and at one end of the rivet side of the central score. A first boundary score is formed that extends laterally symmetrically from the score,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rivet of the central score forms a drinking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symmetrically from the central score and at both ends of the first boundary score. Forming an extension that extends downward to near each end of the Thereby, a second boundary score for dividing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boundary score is provided, wherein at least an area between the first boundary score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serves as a stay portion. It discloses a can lid which greatly improves the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캔 뚜껑, 스코아, 탭, 용이 개봉성 Can lid, score, tab, easy opening

Description

개봉성 및 음용성이 향상된 캔 뚜껑{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Can li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 캔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ca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캔 뚜껑의 평면도.1B is a plan view of the can lid shown in FIG. 1.

도 1c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개봉된 상태의 캔 뚜껑의 단면도.1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lid in the opened state,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can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캔 뚜껑을 개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the can lid shown in FIG.

도 3b는 상기 도 3a(c)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개봉된 상태의 캔 뚜껑의 단면도.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lid in the opened state,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c).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캔 뚜껑에 대한 평면도.4-8 are top views of each can lid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 캔 뚜껑 10: 본체1: can lid 10: body

20: 오목바닥부 21: 간격돌기20: concave bottom portion 21: gap projection

30: 개봉예정부 30a, 30b: 개봉예정부의 단편30: Preliminary Government 30a, 30b: Fragment of Preliminary Government

31: 중앙 스코아 31a, 31b: 중앙 스코아 단부(연결 노드)31: central score 31a, 31b: central score end (connection node)

32: 제1 경계 스코아 32a: 제1 경계 스코아의 단부32: first boundary score 32a: end of first boundary score

32d: 확장연장부 33: 제2 경계 스코아 32d: Extension Extension 33: Second Boundary Score

33a: 제2 경계 스코아의 단부33a: end of second boundary score

33c: 음용연장부 33d, 33d´: 확장연장부33c: drinking extension 33d, 33d´: extension

34: 가공 완충 스코아 35: 스테이부34: machining buffer score 35: Stay part

37: 엠보싱 요철부 50: 탭37: embossed irregularities 50: tap

51: 파지부 52: 가압부51: grip portion 52: pressurizing portion

70: 리벳70: rivet

본 발명은 스코아 파단용 탭이 구비된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봉예정부에서의 스코아에 대한 설계 변경에 의해 개봉성 및 음용성이 개선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lid provided with a tab for score brea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 lid having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due to a design change to the score in a preliminary opening.

도 1a는 종래 금속 캔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의 스코아 파단용 탭이 구비된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종래 용이 개봉성을 목적으로 개발된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의캔 뚜껑(100)로서, 캔 뚜껑의 상면 중 소정 부위를 대체로 원형의 연속된 스코아(score: 뚜껑에 미리 새긴 금)(310)에 의해 개봉예정부(300)로 구획 하고, 이 개봉예정부(300)를 상방향으로부터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위 스테이온 탭(Stay-on-tab)(500)과 같은 개봉수단이 뚜껑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기 개봉예정부(300)에 인접하여 리벳(700) 체결된 형태의 소위 푸시 오픈 타입(push open type)의 캔 뚜껑(100)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캔 뚜껑(100) 주연부가 캔 바디(200)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etal can, and FIG. 1B is a plan view of a can lid having a score break tab of FIG. 1. As a can lid 100 made of aluminum or steel,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asy open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is opened by a generally continuous continuous score (gold). Opening means such as a so-called stay-on-tab 500 is a means for pressing the opening preliminary opening portion 300 from the upward direction by dividing the predetermined portion 300 into the lid body 100. The so-called push-open type can lid 100 of the form in which the rivet 700 is fastened adjacent to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0 on the upper surface is known. The periphery of the can lid 100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an body 200 is coupled.

한편, 종래의 캔은 내압캔 및 감압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캔에 사용되는 푸시 오픈 타입의 캔 뚜껑에 있어서는 내용물이 캔 내부로부터 솟아 올라 캔 뚜껑를 미는 워터 해머 현상으로 인해 캔 뚜껑의 연약부를 구성하는 스코아가 의도하지 않게 파단되어 갑자기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캔 안팎의 압력 변화에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일정 두께 이상의 스코아 가공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캔 개봉을목적으로 스코아를 물리적으로 파단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외력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외력은 상기 탭의 가압부에 의해 전달되는 힘에 의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ntional can is composed of a pressure-resistant can and a pressure-reduced can, in the can-open type can lid used for such a can, the contents of the can lid are increased due to the water hammer phenomenon that the contents rise from the inside of the can and push the can lid. In order to prevent the constituent scores from being accidentally broken and suddenly opened, it is common to require a score of more than a certain thickness to stably withstand pressure changes in and out of the can. Therefore,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required to physically break the score for the purpose of opening the can, and this external force depends on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ab.

상기 종래의 캔 뚜껑(100)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지부(510)로 기능하는 상기 탭(500)의 일단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지렛대원리에 의해 상기 탭(500)의 타단, 즉 가압부(520)가 상기 개봉예정부(300)의 중앙을 가압하는 동시에 리벳(700)이 체결된 본체 부분이 상대적으로 들어 올려지게 됨으로써 리벳(700) 부근의 스코아(310)에서 파단이 개시되어 나머지 스코아(31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전파하게 된다. 상기 탭(500)의 파지부(510)가 충분히 들어 올려지면 상기 개봉예정부(300)는 캔 내부로 더욱 하강하게 되고 환형의 스코아(310)를 따라 시계방향으 로 전파되는 파단은 스코아(300) 종단에 도달한 후 스코아 미가공영역인 스테이부(350)에 의해 멈추게 되어 개봉이 완료된다. 하강된 개봉예정부(300)는 상기 스테이부(350) 측으로 치우쳐 비스듬하게 하향 경사져 캔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In order to open the conventional can lid 100, the other end of the tab 500 by the lever principle as the one end of the tab 500 which functions as the holding part 510 is lifted upward. The pressing unit 520 pressurizes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rivet 700 is fastened is lifted relatively, so that breakage is initiated in the score 310 near the rivet 700. Propagates along the remaining score 3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grip portion 510 of the tab 500 is sufficiently lifted,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0 is further lowered into the can, and the fracture propagated clockwise along the annular score 310 is scored 300. After reaching the end), it is stopped by the stay unit 350, which is a score unprocessed area, and the opening is completed. The lowered opening preliminary part 300 is inclined obliquely downward to the stay part 350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can.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캔 뚜껑(100)에 있어서는, 스코아(310)가 개봉예정부(300) 주위로 대체로 환형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탭(500)의 가압부(520)로부터개봉예정부의 중앙에 전달된 외력의 일부가 분산됨으로써 스코아(300) 개시부의 파단을 유발하거나 파단의 전달을 위해서는 더 많은 외력을 필요하게 되어 힘이 없는 노약자, 어린이 또는 환자가 개봉하기 곤란하고, 또한 필요 이상의 과도한 힘을 인가할 경우 탭(500) 부재 또는 연결 리벳(700)이 손상되어 커터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으면개봉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n lid 100 of the related art, since the score 310 has a generally annular shape around the opening preliminary stage 300, the press portion 520 of the tab 5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stage. Part of the transmitted external force is dispersed to cause breakage at the beginning of the SCOA 300 or more external force is required for the delivery of the break,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elderly, child or patient who has no strength to open, and also excessive force is required. When applied, the tab 500 member or the connection rivet 700 is damag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opening itself is impossible at all unless a separate tool such as a cutter is used.

나아가, 개봉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봉예정부(300)는 개구부의 일측에 치우쳐 캔 내부로 하향 경사져 유지되기 때문에 캔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내용물이 뜻하지 않게 쏟아지는 문제도 있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C, after opening, the opening preliminary unit 300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opening and is kept inclined downward into the can,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contents in the process of drinking or withdrawing the contents of the can. There was also this accidental pouring problem.

상기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고 개봉 후 캔 내부의 내용물이 그 흐름을방해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인출될수 있는 캔 뚜껑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can lid that can be easily opened with a small force and can be stably drawn out without opening the contents of the can after opening.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은, 상면의 소정 영역이스코아에 의해 개봉예정부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리벳에 의해 결합되어 이 리벳을 중심으로 그 일단은 파지부로 작용하고 반대쪽 타단은 상기 개봉예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가압부로 작용하는 탭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개봉예정부의 중심에는 그 중심이 상기 탭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앙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측 일단에서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 반대쪽 타단에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는 음용연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그 양단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의 각각의 단부 부근까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함께 상기 개봉예정부를 본체의 상면과 분할하여 구획하는 제2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며, 적어도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제2 경계 스코아 사이의 영역이 스테이부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divided into preliminary opening by the core, combined by the main body and the rivets, one end of the rivets and acts as a gripp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pposite The can lid including a tab that acts as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opening preliminary, wherein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preg is provided with a central scor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ab, At one end of the rivet side, there is provided a first boundary score extending continuously laterally from the central score, an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rivet of the central score, a drinking extension part continuously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central score is formed and both ends thereof. Downward to near each end of the first boundary score. By forming an extended extension portion, a second boundary score for dividing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boundary score is provided, and at least an area between the first boundary score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stays. Provided is a can lid, which functions as a negative.

상기 중앙 스코아는 파단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score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that the fracture can easily proceed.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확장연장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봉작업이 완료된 후 개봉예정부가 확장연장부에서 캔 뚜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캔 내부로 굽혀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캔 밖으로 추출되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which case, after the ope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is kept in a state of being bent into the can without sepa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ody in the expansion extension part. Therefore, it can serve to guide the contents extracted out of the can.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확장연장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개봉작업이 완료된 후 개봉예정부는 확장연장부에서 캔 뚜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개봉구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Optionally, the extension part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is case, after the ope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ody in the expansion extension part to expand the size of the opening. Can be.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음용연장부의 길이가 제1 경계스코아의 가로방향 연장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봉작업이 완료된 후 내용물이 인출량이 증가된다.The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can be longer than the horizontal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undary score, in which case the amount of the contents is withdrawn after opening is completed.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음용연장부의 길이가 제1 경계스코아의 가로방향 연장 길이보다 짧게 할 경우 내용물의 인출량이 감소된다.Optionally,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contents is reduced when the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is shorter than the transvers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undary score.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제2 경계 스코아 사이의 스테이부가 개봉예정부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봉작업에 필요한 힘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신속하게 개봉되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stay portion between the first boundary score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in the middle region of the opening preliminary open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for the opening operation and to open the package quickly.

상기 개봉예정부에는 상기 탭의 가압부가 접촉되는 지점에 인접하여 상기 중앙 스코아의 파단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엠보싱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봉과정에서 개봉예정부의 강성이 보강되어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탭의 가압부로부터 전달되는 개봉 압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it is preferable to form an embossed concave-convex part adjacent to the point where the pressing part of the tab is in contact without interrupting the breaking path of the central score. The opening pressure delivered from the press section of the tab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1)의 평면도이다. 캔 뚜껑(1)는 대체로 판형상의 본체(10)와, 본체(10) 중앙부에 고정되는 탭(5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탭(5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탭(50)의 연장방향을 종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하고, 이에 수직한 방향을 횡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2 is a plan view of a can lid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n lid 1 generally consists of a plate-shaped body 10 and a tab 50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10. Tab 50 is shown in dashed lines in the figure. Hereinafter,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ab 50 will be describ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will be described as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본체(10)의 소정 영역은 스코아(31, 32, 33)에 의해 캔 뚜껑 상면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개봉예정부(30)로서 분할 구획된다. 개봉예정부(30)와 탭(50)이 설치되는 영역 주위에서 장타원 형상으로 음각 가공된 오목바닥부(20)는 탭(50)을 수용하는 동시에 개봉과정에서 본체(10)에 강성을 부여하게 된다.The predetermined area | region of the main body 10 is divided and divided as the opening preliminary | preparation part 30 from the other area |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a can lid by the score 31,32,33. The concave bottom portion 20 which is engraved in a long oval shape around the area where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and the tab 50 are installed accommodates the tab 50 and at the same time gives rigidity to the main body 10 in the opening process. Done.

탭(50)은 리벳(70)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며, 개봉과정에서 상기 리벳(70)을 기준으로 탭(50)의 일단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부(51)로서, 타단은 상기 개봉예정부(30)의 중앙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52)로서 각각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2)의 끝단은 리벳(70)으로부터 상기 개봉예정부(30)의 종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대략 2/5~3/5의 지점을 가압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개봉에 소요되는 외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탭(50)의 파지부(51)가 위치하는 오목바닥부(20)의 상면에는 파지부(51)를 지지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간격돌기(21)이 형성된다.The tab 5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rivet 70, one end of the tab 50 on the basis of the rivet 70 in the opening process as the grip portion 51 to be held by the user finger, the other end Are each functioning as a pressing unit 52 for pres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2 extends to press a point of approximately 2/5 to 3/5 based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opening preliminary opening portion 30 from the rivet 70, which is required for opening. It is advantageous because the external force can be made sm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bottom portion 20 in which the grip portion 51 of the tab 50 is located, a plurality of gap protrusions 21 are formed to support the grip portion 51 to form a space.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하나는, 개봉에 필요한 외력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개봉예정부(30)에 제공되는 스코아(31, 32, 33)의 가공를 최적화한 것이다. 이러한 스코아(31,32,33)들은 개봉예정부(30)를 본체(10)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구획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봉과정에서는 파단되거나 절곡되는 것으로 예정되어야 하므로 금형 등을 이용하여 가압 성형되는 압흔의 일종이다.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processing of the scores 31, 32, 33 provided in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so that the loss of external force required for opening can be minimized. These scores 31, 32, and 33 divide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from other areas of the main body 10, and a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scheduled to be broken or bent in the opening process, so that it is press-molded using a mold or the like. Being a kind of indentation.

먼저, 상기 개봉예정부(30)의 중심에는 종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중앙 스 코아(31)가 제공된다. 중앙 스코아(31)는 그 일단(31a)이 리벳(70) 부근에서 시작되어 타단(31b)이 상기 오목바닥부(20)에 인접하여 종결된다. 중앙 스코아(31)의 형상은 개봉과정에서 파단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a central score 3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The central score 31 has one end 31a starting near the rivet 70 and the other end 31b adjacent to the concave bottom 20. The shape of the central score 31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so that the fracture can be easily developed during the opening process.

상기 중앙 스코아(31)의 리벳(70)측 일단(31a)에서는 상기 중앙 스코아(31)로부터 연속하여 횡방향 좌우 대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경계 스코아(32)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1 경계 스코아(32)는 개봉예정부(30)의 주변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개봉과정에서는 리벳(70) 주위의 본체(10) 상면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개봉이 개시되는 부위로 작용하게 된다. At one end 31a of the rivet 70 side of the central score 31, a first boundary score 32 is formed which extends laterally laterally and symmetrically from the central score 31. The first boundary score 32 constitutes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preliminary opening 30, and in the process of opening,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ound the rivet 70 is lifted,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cts as a site where the opening is started.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는 상기 중앙 스코아(31)와 교차하는 노드(31a) 부근에서 리벳(70) 주위를 따라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개봉과정에서 리벳(70) 주변부의 본체 상면이 들려지는 경우 제1 경계 스코아(32)에 대하여 파단에 필요한 인장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개시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boundary score 32 is formed in a gentle curved shape around the rivet 70 near the node 31a that intersects with the central score 31. Accordingl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eriphery of the rivet 70 is lifted during the opening process, the tensile force necessary for breaking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first boundary score 32 so that the breaking can be easily started.

본 실시예에서 제1 경계 스코아(32)의 단부(32a)는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종결되며, 각각의 단부(32a)에서는 후술하는 가공 완충 스코아(34)가 제1 경계 스코아(32)의 내측을 따라 나란히 연장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nd 32a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terminates, and at each end 32a, the processing buffer score 3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ide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long the side is formed extending.

한편, 상기 중앙 스코아(31)의 리벳(70) 반대쪽 타단(31b)에는 중앙 스코아(31)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음용연장부(33c)와, 그 양단(33a)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의 각각의 단부(32a) 부근까지 하방향으로 연 장되어 형성된 확장연장부(33d)로 이루어진 제2 경계 스코아(33)가 제공되고, 이러한 제2 경계 스코아(33)는 상기한 제1 경계 스코아(32)와 함께 개봉예정부(30)를 본체(10) 상면의 다른 영역과 분할하여 구획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31b of the central score 31 opposite to the rivet 70 extends symmetrically in succession from the center score 31 and both ends 33a of the drinking extension 33a are formed in the first end 31b. A second boundary score 33 is formed, which is formed of an extension portion 33d extending downwardly to the vicinity of each end 32a of the boundary score 32,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is described above. Together with the first boundary score 32,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is divided into other reg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be partitioned.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의 단부(32a)와 제2 경계스코아(33)의 단부(33a, 33a) 사이에는 스코아 미가공 영역인 스테이부(35)가 제공된다. 이러한 스테이부(35)는 캔 뚜껑(1)에 대한 개봉이 완료된 후, 캔 뚜껑(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된 개봉예정부(30)가 캔 내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Between the end 32a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nd the end 33a, 33a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a stay 35 is provided as a score unprocessed area. The stay part 35 prevents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30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1 from being dropped into the can after the opening to the can lid 1 is completed.

상기 음용연장부(33c)는 상기한 오목바닥부(20)와 마찬가지로 환형의 캔 뚜껑 본체(10)의 주연부 형상에 대체로 일치하여 부드러운 유선형 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심이 상기 중앙 스코아(31)의 노드(31b)와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33)의 음용연장부(33c)와 제1 경계 스코아(32)의 횡방향 연장길이는 대체로 동일하게 구성된다.Like the concave bottom portion 20, the drinking extension portion 33c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smooth streamline shape, substantially coinciding with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annular can lid body 10, the center of which is the center score ( And intersect with node 31b of 31.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lateral extension lengths of the drinking extension portion 33c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and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re substantially the sam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연장부(33d)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음용연장부(33c)로부터 급하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직선형 확장연장부(33d)의 경우, 파단과정에서 상기 음용연장부(33c)의 연장방향(D33c)과 확장연장부의 연장방향(D33d)이 이루는 각(θ)이 커지게 되어 상기 음용연장부(33c)의 연장방향(D33c)을 따라 진행하는 파단의 진행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직선형 확장연장부(33d)에서는, 개봉과정에서 탭(50)의 파지부(51)가 충분히 들어 올려져 가압부(52)가 최대한 캔 안쪽으로 하강된다 하더라도 확장연장부(33d)는 파단되지 않고 굽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33)의 음용연장부(33c)와 제1 경계 스코아(32)의 횡방향 연장길이는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따라서 직선 형상의 중앙 스코아(31)와 제2 경계 스코아(33)의 확장연장부(33d)도 대체로 평행을 이룬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portion 33d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has a shape rapid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rinking extension portion 33c. In the case of the linear extension part 33d, an angle θ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direction D 33c of the drinking extension part 33c and the extension direction D 33d of the extension extension part becomes large during the breaking process. The progression of the fracture travel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D 33c of the extension part 33c is limited. Therefore, in the straight extension part 33d, the extension part 33d is extended even if the holding part 51 of the tab 50 is sufficiently lifted in the opening process so that the pressing part 52 is lowered to the inside of the can as much as possible. It remains bent without breaking.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ateral extension lengths of the drinking extension portion 33c and the first boundary score 32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linear central score 31 and the first extension score are therefore the same. The extension part 33d of the two boundary scores 33 is also substantially parallel.

한편,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의 내측, 중앙 스코아(31)의 좌우 양측 및 제2 경계 스코아(33)의 내측에는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공 완충 스코아(34)가 제공된다. 상기 가공 완충 스코아(34)는 제1 경계 스코아(32)의 단부(32a)로부터 시작되어 제1 경계 스코아(32), 중앙 스코아(31) 및 제2 경계 스코아(33)를 따라 나란히 연장되어 제2 경계 스코아(32)의 단부(33a)에서 종결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가공 완충 스코아(34)는 제1 경계스코아(32), 중앙 스코아(31) 및 제2 경계 스코아(33)에에 대한 홈 가공시 캔 뚜껑(1) 본체(10)에서 재질의 이동량을 흡수 또는 최소화하여 급격한 조질변화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공 완충 완충 스코아(34)는 개봉과정에서 파단 또는 굽혀지는 것을 예정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 중앙 스코아(31) 및 제2 경계 스코아(33) 보다는 가공 깊이가 얕은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score 31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is provided with a machining buffer score 34 formed in parallel with them. The machining buffer score 34 extends along the first boundary score 32, the central score 31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starting from the end 32 a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terminating at the end 33a of the two boundary score 32. This machining buffered score 34 absorbs the amount of movement of material in the can lid 1 main body 10 during the grooving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the central score 31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This is to minimize the sudden temper change.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ing buffer buffer score 34 does not plan to break or bend during opening, the processing depth is shal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the central score 31,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It is preferable.

다음으로, 도 3a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캔 뚜껑(1)의 개봉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캔의 개봉을 위해, 탭(50)의 파지부(51)가 들어 올려져 가압부(52)가 하강하도록 하면, 상기 가압부(52)는 개봉예정부(30)의 중앙을 가압함과 동시에 리벳(70)에 인접해 있는 캔 뚜껑 본체(10)의 상면 일부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에 대체로 수직한 인장력이 인가된다. 인장력이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와 중앙 스코아(31)의 연결 노드(31a) 부근에서 파단이 개시된다(도 3(a) 참조). 계속하여 파지부(51)의 상승에 따라 가압부(52)가 더욱 하강되면, 파단은 중앙 스코아(31)를 따라 전개된 후, 중앙 스코아(31)의 리벳(70) 반대쪽 노드(31b)를 거쳐 음용연장부(33c)를 따라 횡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도 3(b) 참조). 이에 따라 개봉예정부(30)는 상기 중앙 스코아(31)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단편(33a, 33b)으로 분리된다. 개봉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탭(50)은 캔 뚜껑(1)의 상면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정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직선형 확장연장부(33d)가 굽혀지게 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31)를 기준으로 분리된 개봉예정부(30)의 두 개의 단편(33a, 33b)은 탭(50)의 가압부(52)의 측단에 의해 캔 안쪽으로 밀려지게 된다(도 3a(c) 참조). 이렇게 굽혀진 개봉예정부(30)의 두 개의 단편(33a, 33b)은 내용물의 음용 또는 인출과정에서 측벽의 역할을 담당하여 내용물이 개봉구의 중앙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안내하게 된다(도 3b 참조).Next, the opening process of the can lid 1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A is demonstrated. In order to open the can, when the holding part 51 of the tab 50 is lifted so that the pressing part 52 descends, the pressing part 52 presses 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30 and simultaneously.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ody 10 adjacent to the rivet 70 is raised to apply a tensile force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undary score 32. When the tensile force exceeds a predetermined limit, breakage is initi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ng node 31a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nd the central score 31 (see Fig. 3 (a)). If the pressing portion 52 is further lowered as the holding portion 51 is raised, the breaking is developed along the central score 31, and then the node 31b opposite the rivet 70 of the central score 31 is opened. After that, it progresses laterally along the drinking extension 33c (see FIG. 3 (b)). Accordingly,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is separated into two fragments 33a and 33b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core 31. In the last step of the opening process, the tab 50 is aligned almost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can lid 1, whereby the straight extension 33d is bent and referred to the central score 31. The two fragments 33a and 33b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separated by FIG. 3 are pushed into the can by the sid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52 of the tab 50 (see FIG. 3A (c)). The two fragments 33a and 33b of the opening preliminary opening 30 are thus acted as sidewalls in the process of drinking or withdrawing the contents to guide the contents to flow smoothly to the center of the opening (see FIG. 3B). .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 및 특징적 구성을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상기 중앙 스코아(31)의 형상은 직선형으로 구성하는 것 외에, 개봉예정부(30)의 파단 전후에서의 미적 외관을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 선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곡선의 곡률 반경은 파단의 전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entral score 31 may be configured in a straight line shape, or may be configured in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4 in consideration of an aesthetic appearance before and after breaking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 In this cas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 is appropriately adjusted in a range that does not prevent the development of fracture.

또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33)의 확장연장부(33d)의 형상은 도 2의 직선 형상 대신에 곡선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연장부(33d´)를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음용연장부(33c)의 연장방향(D33c)과 확장연장부(33d´) 의 연장방향(D33d ´)이 이루는 각(θ´)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음용연장부(33c)의 연장방향(D33c)을 따라 진행해온 파단은 확장연장부(33d´)까지 완전히 이루어진 후,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와 제2 경계 스코아(33) 사이에 제공되는 스테이부(35)에서 멈추게 된다. 개봉이 완료되면 상기 스테이부(35) 부근을 제외하고 제1 경계 스코아(32)가 제2 경계 스코아(33)가 완전히 파단되고, 분리된 개봉예정부(30)의 두 개의 단편(33a, 33b)은 상기 리벳(70) 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상기 스테이부(35)에 의해 지지되어 캔 안쪽으로 굽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개봉구를 통해 인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게 되어 내용물의 인출 속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xtension part 33d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can be configured in a curved shape instead of the linear shape in FIG. 2. In the case of forming the extension part 33d 'in a curved shap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extension direction D 33c of the drinking extension part 33c and the extension direction D of the extension extension part 33d' are shown. As the angle θ formed by 33d decreases, the fracture that has progres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D 33c of the drinking extension 33c is completely made up to the extended extension 33d ′, and then the first boundary. It stops at the stay portion 35 provided between the score 32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When the opening is completed, the first boundary score 32 except for the vicinity of the stay 35 is completely broken in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and the two fragments 33a and 33b of the separated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are separated. ) Is supported by the stay unit 35 while being biased toward the rivet 70 side and is bent into the can.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the fluid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is not restricted, and thus the extraction speed of the contents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 및/또는 제2 경계 스코아(33)의 음용연장부(33c)의 가로방향 연장길이는 소망하는 내용물의 인출속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6a와 같이 음용연장부(33c)의 연장길이를 제1 경계 스코아(32)의 가로방향 연장길이보다 크게 할 경우 개봉 후 내용물의 인출량 및 인출속도를 크게 할 수 있는 반면에, 도 6b와 같이 그 반대로 할 경우 개봉 후 내용 물의 인출량을 적게 하여 노인, 어린이, 환자 등이 음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extension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portion 33c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nd / or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speed of the desired contents. That is, whe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33c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as shown in FIG. 6A, the withdrawal amount and withdrawal speed of the contents after opening may be increased. If it is reversed as shown in 6b, the amount of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may be reduced after opening so that the elderly, children, patients, etc. may be suitable for drinking.

또한, 상기 스테이부(35)는 개봉예정부(30)의 중간영역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계 스코아(32)는 가로방향 연장부(32c) 외에 상기 제2 경계 스코아(33)의 단부(33a, 33a)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 스코아(32)의 확장연장부(32d)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 개봉에 소요되는 시간은 제2 경계 스코아(33)에서 파단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상대적으로 긴 반면에,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경계 스코아(33)의 확장연장부(33d)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함으로써 파단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경계 스코아(32)의 확장연장부(32d)의 형상은 형상 및 파단의 유무는 상기 도 2에서 제2 경계 스코아(33)의 확장연장부(33d)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y part 35 may be form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boundary score 32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32c. An extension part 32d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extending upwardly toward the ends 33a and 33a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time taken for opening is relatively long depending entirely on the time taken for the progress of the break in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while the second boundary score is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7. By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33d of (33),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gress of the breakage is also shortened.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extended extension portion 32d of the first boundary score 32 is the same as the shape and the presence or failure of the extended extension portion 33d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33 in FIG. 2. Can be controlled.

한편, 개봉과정에서 스코아(31, 32, 33)에서 파단 또는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탭(50)의 가압부(52)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손실되지 않고 상기 스코아(31, 32, 33)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개봉예정부(30)는 가압부(52)로부터의 수직항력에 저항하여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개봉예정부(30)의 두 개의 단편(33a, 33b)에는 가압 지점 주위로 강성보강용 엠보싱 요철부(3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 경우 상기 엠보싱 요철부(37)는 상기 중앙 스코아(31)의 파단 경로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asily break or deformation in the score (31, 32, 33) in the opening proces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52 of the tab 50 is not lost, the score (31, 32, 33) Must be effectively communicated with). In this regard,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includes two pieces 33a, 33b of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30 around the pressing point so that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by resisting the vertical force from the pressing section 5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urnace rigid reinforcement embossing uneven part 37 (refer FIG. 8). In this case, the embossed convex portion 37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reak path of the central score 31.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상기한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사항 및 이 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ary and not intended to have a limiting mean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that may be understood therefrom. It must be understood.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는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봉될수 있고 개봉 후 캔 내부의 내용물이 그 흐름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인출될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수 있다.Can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pened with a small force and after opening the contents inside the can can be stably drawn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Claims (8)

상면의 소정 영역이 스코아에 의해 개봉예정부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리벳에 의해 결합되어 이 리벳을 중심으로 그 일단은 파지부로 작용하고 반대쪽 타단은 상기 개봉예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가압부로 작용하는 탭을 포함하는 캔 뚜껑에 있어서,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divided into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by the score, and the main body and the rivet are joined by the main body and the rivet, and one end acts as a gripp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a pressing section for pressing the opening preliminary section. A can lid comprising a operative tab, 상기 개봉예정부의 중심에는 그 중심이 상기 탭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앙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측 일단에서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스코아의 리벳 반대쪽 타단에는 상기 중앙 스코아로부터 연속하여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는 음용연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의 각각의단부 부근까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함께 상기 개봉예정부를 본체의 상면과 분할하여 구획하는 제2 경계 스코아가 제공되며,The center of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is provided with a central score whose center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ab, and at one end of the rivet side of the central score, a first boundary score is formed which extends laterally symmetrically from the central score. An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rivet of the central score, a drinking extension part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central scor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both ends thereof extend downwardly to the vicinity of each end of the first boundary score. Thereby, a second boundary score for dividing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boundary score is provided. 적어도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제2 경계 스코아 사이의 영역이 스테이부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At least a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scores acts as a stay.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코아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central scor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확장연장부가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of said second boundary score is straight.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확장연장부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of said second boundary score is curved.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음용연장부의 길이가 제1 경계스코아의 가로방향 연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is greater than the transvers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undary scor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 스코아의 음용연장부의 길이가 제1 경계스코아의 가로방향 연장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drinking extension of the second boundary score is shorter than the transvers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undary scor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 스코아와 제2 경계 스코아 사이의 스테이부가 개봉예정부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ay portion between the first boundary score and the second boundary score is formed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opening preliminary stag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개봉예정부에는 상기 탭의 가압부가 접촉되는 지점에 인접하여 상기 중앙 스코아의 파단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엠보싱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The can li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preliminary part is formed with an embossed concave-convex portion adjacent to a point where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ab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disturbing the breaking path of the central score.
KR1020070020671A 2007-02-28 2007-02-28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KR100712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671A KR100712313B1 (en) 2007-02-28 2007-02-28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PCT/KR2007/001073 WO2008105570A1 (en) 2007-02-28 2007-03-05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JP2007200970A JP2008213934A (en) 2007-02-28 2007-08-01 Can lid having improved unsealability and drinking property
US11/832,885 US20080203094A1 (en) 2007-02-28 2007-08-02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671A KR100712313B1 (en) 2007-02-28 2007-02-28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313B1 true KR100712313B1 (en) 2007-05-02

Family

ID=3826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671A KR100712313B1 (en) 2007-02-28 2007-02-28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03094A1 (en)
JP (1) JP2008213934A (en)
KR (1) KR100712313B1 (en)
WO (1) WO20081055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3119B2 (en) * 2011-01-14 2014-12-17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JP5554256B2 (en) * 2011-01-28 2014-07-23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JP5698046B2 (en) * 2011-03-24 2015-04-08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US9650172B2 (en) 2012-04-25 2017-05-16 Showa Aluminum Can Corporation Can lid and drink can
JP5913437B2 (en) * 2014-05-28 2016-04-27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JP5902260B2 (en) * 2014-08-19 2016-04-13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JP5902261B2 (en) * 2014-08-19 2016-04-13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Can lid and beverage ca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379A (en) 1971-05-10 1973-05-01 Fraze Ermal C Easy opening can end with nonremovable tab
US3779417A (en) 1972-02-14 1973-12-18 G Klein Flex tab for a gated can lid
US3874555A (en) 1974-03-28 1975-04-01 Nat Can Corp End panel for containers
KR950024947A (en) * 1994-02-08 1995-09-15 미키 히로후미 Easy to open can lid
JP2000043865A (en) * 1998-07-27 2000-02-15 Nihon Tetra Pak Kk Lid
US6370885B1 (en) 1998-12-28 2002-04-16 Decision Point Marketing, Inc. Point-of-sale chilled product housing
KR200273955Y1 (en) 2002-02-14 2002-04-27 최성길 Two drink possible ca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028U (en) * 1978-11-06 1980-05-13
JPH0344661Y2 (en) * 1986-08-08 1991-09-19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379A (en) 1971-05-10 1973-05-01 Fraze Ermal C Easy opening can end with nonremovable tab
US3779417A (en) 1972-02-14 1973-12-18 G Klein Flex tab for a gated can lid
US3874555A (en) 1974-03-28 1975-04-01 Nat Can Corp End panel for containers
KR950024947A (en) * 1994-02-08 1995-09-15 미키 히로후미 Easy to open can lid
JP2000043865A (en) * 1998-07-27 2000-02-15 Nihon Tetra Pak Kk Lid
US6370885B1 (en) 1998-12-28 2002-04-16 Decision Point Marketing, Inc. Point-of-sale chilled product housing
KR200273955Y1 (en) 2002-02-14 2002-04-27 최성길 Two drink possible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5570A1 (en) 2008-09-04
JP2008213934A (en) 2008-09-18
US20080203094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313B1 (en)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and drinkability
US6761281B2 (en) Modified score for smooth openability
US8783495B2 (en) Can end
KR100942867B1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JP2006502924A (en) Can opening device
KR20110023382A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JPS6341326Y2 (en)
JP4776430B2 (en) Can lid
JP4879802B2 (en) Can lid and can lid manufacturing method
JP5588259B2 (en) Can lid
JP2000128167A (en) Structure for easily opening lid with stay-on tab
US20100089923A1 (en) Non-detachable fulcrum type liet tab for beverage container
JP6009910B2 (en) Can lid and beverage can
KR100839634B1 (en) Can end with improved openability
JP4895573B2 (en) Easy-to-open can lid tab and method for forming tab
JP6772038B2 (en) Can lid
CN108473230B (en) Lid for beverage can
JP6836895B2 (en) Can lid
JPH0234186Y2 (en)
KR101059533B1 (en) Can lids and can containers with them
JP3218885U (en) Beverage can
JP5864982B2 (en) Can lid
WO2024071063A1 (en) Can lid
KR200352952Y1 (en) an easy open can
KR200348612Y1 (en) Cans for drinks with open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