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166B1 -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166B1
KR100712166B1 KR1020007001608A KR20007001608A KR100712166B1 KR 100712166 B1 KR100712166 B1 KR 100712166B1 KR 1020007001608 A KR1020007001608 A KR 1020007001608A KR 20007001608 A KR20007001608 A KR 20007001608A KR 100712166 B1 KR100712166 B1 KR 10071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trap
contact assembly
web
exten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000A (ko
Inventor
라이힐레한스
Original Assignee
라이힐레 운트 데-마싸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힐레 운트 데-마싸리 아게 filed Critical 라이힐레 운트 데-마싸리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2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2Telephone switchboard pro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접촉 조립체(3)는 특히 통신 및 데이타 라인들의 분배기와 같은 케이블 단자용 다중 연결 스트랩에 사용되는 것으로, 여기에서 연결 스트랩의 하우징은 하나의 접촉 조립체가 각각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모듈형 개방 챔버들을 가진다. 접촉 조립체(3)는 접촉 위치(8)들을 가진 접촉 스프링(7)들이 구비된 2개의 이격된 연장부(4)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연장부들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은 다중 연결 스트랩의 챔버들 중 한 챔버의 안내 홈들에 삽입되어 확실하게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4)들은 그 자유단에서 와이어 연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절연-관통 연결 장치(5)를 가지고, 좁은 폭을 가진 웨브(6)에 의하여 그 내측단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접촉 조립체는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접촉부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접촉부로 변환될 수 있는 직통 접촉부이다.
이에 의하여 연결 스트랩의 하우징을 단일편 플라스틱체로부터 만들어내는 것 및 그 전방측상에서 균일한 접촉 조립체들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스트랩은 그 용도에 따라 연결 스트랩으로 남거나, 또는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스트랩으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스트랩으로 변환된다.
다중 연결 스트랩, 접촉 조립체, 케이블 단자, 와이어 연결 수단, 개방 챔버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A Modular Multiple Connection Strap for Cable Connections}
본 발명은, 특히 통신 및 데이타 라인들의 분배기와 같은 케이블 단자용 다중 연결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개방 챔버로 삽입되는 접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촉 조립체들은 완성된 연결 스트랩을 제조하는 동안에 스트랩의 개방된 케이스 부품들 안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었고, 접촉 조립체들이 배치된 이후에 추가의 다른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우징이 완성되었다.
공지의 접촉 조립체들은 그 형상이 부적합하여 다중 연결 스트랩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개방 챔버로 삽입하는데 사용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일측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조립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조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접촉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먼저 다음과 같은 사실, 즉 접촉 조립체가 접 촉 스프링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연장부(tongue)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연장부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은 다중 연결 스트랩의 챔버들 중 한 챔버의 안내 홈에 삽입되어 확실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는 점, 연장부들이 그 자유단에서 와이어 연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절연-관통 연결 장치를 가지고, 웨브에 의하여 그 내측단에서 연결된다는 점, 및 적어도 와이어 연결 수단, 접촉 스프링 및 웨브가 연장부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 사이에서 적어도 대략 동일한 높이로 연속 배열된다는 점에 의하여 달성된다. .
여기에서 웨브는 한정된 폭을 가지고,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접촉 조립체는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접촉부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접촉부로 변환될 수 있는 직통(through) 접촉부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촉 조립체의 극히 민감한 접촉 위치들이 시험, 선별 등과 같은 조작 중에 오염 및/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촉 위치들을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삽입시에 접촉 위치들의 모서리들만이 닿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조립체는 연결 스트랩을 일측면상에 외측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결과, 이번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조립체의 단일 실시예로서만 조립될 수 있으나, 여전히 직통 스트랩이나 분리 스트랩 또는 절환 스트랩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대응되는 연결 스트랩을 개발해야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통신 및 데이터 라인들의 분배기와 같은 케이블 단자용의, 하나의 접촉 조립체가 각각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개방 챔버를 가진 이러한 다중 연결 스트랩은 그 하우징이 단일편 플라스틱체로 구성된다는 사실에 특징이 있다.
챔버들은 접촉 조립체상의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연장부의 길이 방향 모서리를 꼭 맞게 끼워 수용하는 측방향 안내 홈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에서 연장부들은 접촉 스프링을 휴대하고, 그 자유단에 와이어 연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절연-관통 연결 장치를 가지며, 웨브에 의하여 내측단에서 연결된다. 그리고, 적어도 와이어 연결 수단, 접촉 스프링 및 웨브는 연장부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 사이에서 적어도 대략 동일한 높이로 그 조립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것의 뒤쪽에 위치한다.
챔버들이 접촉 조립체의 연장부들을 그 내측단에서 연결하는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한 웨브의 영역에서 분리 기구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구멍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스트랩의 다양성이 증가된다.
또한, 챔버들이 접촉 조립체의 접촉 영역에서 절연 및 분리편을 통합하는 안내 수단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접촉 조립체들이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접촉부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 및 분리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접촉부로 변환될 수 있는 직통 접촉부라는 사실에 의하여, 연결 스트랩은 직통 스트랩, 분리 스트랩 또는 절환 스트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들에 의하여 단일편 분배기 스트랩들을 그 전방측상에서 균일한 접촉 조립체들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러면 이 분배기 스트랩들은 용도에 따라 연결 스트랩으로 남거나, 또는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스트랩으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스트랩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결과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생산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기초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1은 조립 방향의 상류측에 접촉 조립체가 있는 단일편 다중 연결 스트랩의 사시도이다.
도2는 접촉 조립체가 삽입된 상태의 도1에 따른 다중 연결 스트랩의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직통 접촉부, 분리 접촉부 또는 절환 접촉부로서의 도3에 따른 접촉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여러 가지 기능의 도3에 따른 접촉 조립체의 접촉 위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1 및 도2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연결 스트랩은 케이블 단자, 특히 통신 및 데이타 라인들의 분배기용으로 의도된 것으로서, 하우징(1)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수많은 접촉 조립체(3)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하우징(1)은 단일편으로 설계되고, 각각 하나의 접촉 조립체(3)가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수많은 개방 챔버(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챔버(2)들은 접촉 조립체(3)상의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여기서는 평행한) 연장부(4)가 삽입되어 꼭 맞게 끼워져 수용될 수 있는 측방향의 평행한 안내 홈(9)(도2)들을 가진다.
또한, 챔버(2)들은 접촉 조립체(3)의 연장부(4)들을 그 내측단에서 연결하는 분리 가능한 웨브(6)의 영역에 분리 기구(도시 생략)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구멍을 가진다.
또한, 챔버(2)들은 접촉 조립체(3)의 접촉 위치(8)들의 영역에서 절연 및 분리편(도6)을 수용하는 안내 수단(도시 생략)을 가진다.
접촉 조립체를 이러한 챔버(2)에서 정열 및 내비틀림(torsion-resistant)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3의 각 접촉 조립체(3)는 접촉 위치(8)들을 가진 접촉 스프링(7)들이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여기서는 평행한) 연장부(4)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연장부들의 길이 방향의 모서리는 다중 연결 스트랩(1)의 챔버(2)들 중 한 챔버의 안내 홈(9)에 삽입되어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2)
접촉 조립체(3)의 연장부(4)들은 또한 그 자유단에 와이어 연결 수단, 특히 절연-관통 연결 장치(5)를 가지며, 그 내측단에서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웨브(6)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적어도 와이어 연결 수단(5), 접촉 스프링(7) 및 웨브(6)는 확실히 맞물리도록 설계된 연장부(4)들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 사이에서 대략 동일한 높이로 연속 배열된다.
도4, 도5 및 도6에 따르면, 접촉 조립체는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접촉부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편을 삽입하거나 접촉 몰딩을 통하여 절환 접촉부로 변환될 수 있는 직통 접촉부이다.
이러한 수단들에 의하여 단품 또는 단일편 분배 스트랩들을 그 전방측에서 균일한 접촉 조립체들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여기에서 접촉 조립체들이 웨브를 분리함으로써 분리 접촉부로 변환되거나 또는 절연 및 분리편을 삽입하거나 몰딩을 통하여 절환 접촉부로 변환될 수 있는 직통 접촉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배 스트립은 그 용도에 따라 연결 또는 직통 스트랩, 분리 스트랩 또는 절환 스트랩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 선별 등과 같은 조작 중에 이러한 접촉 조립체들의 극히 민감한 접촉 위치(8)들이 오염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7 및 도8은 또한 접촉 위치(8)들이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도8) 삽입시에 상기 접촉 위치들의 모서리만이 닿게 되지만, 실제 접촉면은 방해받지 않는 채로 있다. 각 접촉 조립체(3)는 또한 평행한 탭(11)을 가질 수 있다.
절연 변위 슬릿과 이 절연 변위 슬릿의 뒤쪽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절단 모서리를 포함하는 무납땜 절연 변위 배선(solder-free insulation displacement wiring)용 접촉 조립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절단 모서리를 가진 절연 변위 리셉터클 또는 연장부의 길이 방향 모서리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각 챔버에 추가적인 측방향 안내 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Claims (9)

  1.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이며,
    길이 방향 측면을 갖는 단일편 플라스틱 하우징(1)과,
    상기 길이 방향 측면 상에 각각 하나의 접촉 조립체(3)가 삽입되는 복수의 모듈식 이격 개방 챔버(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은 직통 스트랩 또는 분리 스트랩 또는 절환 스트랩이고,
    상기 접촉 조립체(3)는 각각 한 쌍의 연장부(4), 한 쌍의 접촉 스프링(7) 및 분리 웨브(6)를 갖는 직통 접촉부이며, 상기 접촉 조립체(3)의 연장부(4)의 내부 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분리 웨브(6)를 변형함으로써 분리 접촉부 또는 절환 접촉부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단부 상에서 상기 접촉 조립체(3)의 상기 연장부(4)를 연결하는 상기 웨브(6)의 영역에서 상기 챔버(2)는 분리 도구를 임시로 수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는 상기 접촉 조립체(3)의 접촉 위치(8)의 영역에서 절연 분리기 삽입용 안내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삽입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촉 위치(8)의 모서리부만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 위치(8)가 측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07001608A 1998-07-16 1999-07-13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KR100712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12/98 1998-07-16
CH151198 1998-07-16
CH151298 1998-07-16
CH1511/98 1998-07-16
PCT/CH1999/000318 WO2000004607A1 (de) 1998-07-16 1999-07-13 Kontaktfedersatz für mehrfach-verbindungsleiste für kabelanschlüsse, sowie mehrfach-verbindungslei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000A KR20010023000A (ko) 2001-03-26
KR100712166B1 true KR100712166B1 (ko) 2007-04-27

Family

ID=2568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608A KR100712166B1 (ko) 1998-07-16 1999-07-13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514094B1 (ko)
EP (1) EP1038335B1 (ko)
JP (1) JP4346241B2 (ko)
KR (1) KR100712166B1 (ko)
CN (1) CN1201439C (ko)
AT (1) ATE375609T1 (ko)
AU (1) AU755171B2 (ko)
BR (1) BR9906609A (ko)
CU (1) CU22901A3 (ko)
DE (1) DE59914522D1 (ko)
ES (1) ES2294845T3 (ko)
HU (1) HU227248B1 (ko)
PL (1) PL201053B1 (ko)
PT (1) PT1038335E (ko)
TW (1) TW432747B (ko)
WO (1) WO2000004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9557B2 (en) * 2001-04-23 2005-05-31 Molex Incorporated Detection switch mounted in a card socket
US7207818B1 (en) 2005-10-11 2007-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lecommunications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CN101789552B (zh) * 2009-01-22 2012-02-15 泰硕电子股份有限公司 多合一卡片连接器
KR101029830B1 (ko) * 2010-12-16 2011-04-1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오삽 조정이 가능한 케이블 접속구를 갖는 매립형 스피커 조립체
DE102011101201B4 (de) 2011-05-11 2019-12-05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Verteileranschlussmodul und Verfahren zur Beschaltung eines Verteileranschlussmodu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0380A2 (de) * 1988-11-22 1990-05-30 Reichle + De-Massari AG Elektro-Ingenieure Verbindungsglied aus elektrisch leitendem Material für Anschlussvorricht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 isolierter Leitungsadern
WO1992008255A1 (en) * 1990-10-26 1992-05-14 The Siemon Company Connector block and terminal
EP0643440A2 (en) * 1991-06-12 1995-03-15 Mod-Tap W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DE19629643A1 (de) * 1996-07-23 1998-01-29 Kostal Leopold Gmbh & Co Kg Bauteileträ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75A (en) * 1886-09-07 Meele
US3611264A (en) 1968-12-27 1971-10-05 Bell Telephone Labor Inc Wire connecting blocks
US4789354A (en) * 1987-09-14 1988-1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oice/data communication termination connector
GB9115020D0 (en) * 1991-07-05 1991-08-28 Mod Tap W Corp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R2710809B1 (fr) 1993-09-28 1995-11-10 Alcatel Cable Interface Réglette de connexion à coupure intégrée.
US5624267A (en) 1995-01-31 1997-04-29 The Wiremold Company Cross-connect bus
CH690214A5 (de) 1995-09-19 2000-05-31 Reichle & De Massari F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tverbindern für Anschlussvorricht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er Leiter.
US5722861A (en) 1996-02-28 1998-03-0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of varying length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0380A2 (de) * 1988-11-22 1990-05-30 Reichle + De-Massari AG Elektro-Ingenieure Verbindungsglied aus elektrisch leitendem Material für Anschlussvorricht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 isolierter Leitungsadern
WO1992008255A1 (en) * 1990-10-26 1992-05-14 The Siemon Company Connector block and terminal
EP0643440A2 (en) * 1991-06-12 1995-03-15 Mod-Tap W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DE19629643A1 (de) * 1996-07-23 1998-01-29 Kostal Leopold Gmbh & Co Kg Bauteile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01053B1 (pl) 2009-03-31
AU755171B2 (en) 2002-12-05
JP2002520806A (ja) 2002-07-09
HUP0004575A2 (hu) 2001-04-28
BR9906609A (pt) 2000-09-19
CN1201439C (zh) 2005-05-11
EP1038335A1 (de) 2000-09-27
PL338917A1 (en) 2000-11-20
DE59914522D1 (de) 2007-11-22
KR20010023000A (ko) 2001-03-26
WO2000004607A1 (de) 2000-01-27
EP1038335B1 (de) 2007-10-10
TW432747B (en) 2001-05-01
CN1269061A (zh) 2000-10-04
ATE375609T1 (de) 2007-10-15
JP4346241B2 (ja) 2009-10-21
US6514094B1 (en) 2003-02-04
AU4495799A (en) 2000-02-07
HU227248B1 (en) 2010-12-28
HUP0004575A3 (en) 2003-07-28
PT1038335E (pt) 2008-01-15
CU22901A3 (es) 2004-01-23
ES2294845T3 (es)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6769A (en) Polarization and keying mechanism
EP0049065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6126457A (en) Routed wire electrical center adapter
US4789346A (en) Solder post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US550765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plug
US6241556B1 (en) Retention member for connector
KR0121794Y1 (ko) 분로식 전기 커넥터
US6106335A (en) Crosstalk correction in electrical connectors
US4429943A (en) Insulation box for wire harness connector device
GB2334386A (en) An interface card connector
KR100712166B1 (ko) 케이블 연결용 모듈식 다중 연결 스트랩
US5129840A (en) Electrical connector
US4279457A (en) Cover plate for electrical connector
US4257659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afety cover means
EP001816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flat,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GB2071926A (en) A connector housing with contact retaining means
GB2080032A (en) A plug for masking switching contacts
US4960390A (en) Strain relief
EP0297698A2 (en) Electrical connectors
US5984730A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fuse holder
US6129567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actuating slide
GB2391403A (en) Connector for two different fuses
KR20040059589A (ko)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와 그 제조방법
JP3533887B2 (ja) 配線部材
EP021646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oning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