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719B1 -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719B1
KR100711719B1 KR1020050078259A KR20050078259A KR100711719B1 KR 100711719 B1 KR100711719 B1 KR 100711719B1 KR 1020050078259 A KR1020050078259 A KR 1020050078259A KR 20050078259 A KR20050078259 A KR 20050078259A KR 100711719 B1 KR100711719 B1 KR 10071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coder
unit
memo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921A (ko
Inventor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7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피티티(Push To Talk:이하 "PTT"라 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전송시 음성을 보이스 메모(Voice memo)의 오디오(Audio) 구조로 녹음한 후 재생하여 전송하는 피티티 단말기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티티 단말기, 피티티 서비스, 보이스 버퍼링, 보이스메모

Description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Voic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ush to talk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의 피티티(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에 의한 음성 전송 제어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1, 21: 음성입력부 12,22: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
13, 23: 제어부 14, 25: 보코더
15: 보코더버퍼 16, 26: RF부
17: 재생출력포인터(Play out Pointer)
18: 녹음포인터(Recording Pointer)
24: 저장부
본원발명은 피티티(Push To Talk:이하 "PTT"라 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전송시 음성을 보이스 메모(Voice memo)의 오디오(Audio) 구조로 녹음한 후 재생하여 전송하는 피티티 단말기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PTT 서비스는 무전기와 같이 스위치를 누르고 일대일 또는 그룹통화를 할 수 있어 일반 휴대전화에 비해 통화 대기 시간이 짧고 사용이 간편하다. 또 일반 통화에 비해 요금이 저렴해 통화량이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비치고 있다.
이런 장점 덕분에 미국에서는 공사현장, 대규모 공단, 대학캠퍼스 등에서 넥스텔의 PTT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넥스텔은 모토로라사와 협력해 다른 이동통신사들이 제공하지 않는 PTT서비스를 내세워 나름대로 입지를 확보하고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꾀하고 있다.
버라이즌 등이 준비하고 있는 PTT서비스는 메신저를 이용한 음성채팅을 휴대전화기에 옮겨 놓은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무선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해 음성통화서비스(VoIP)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특히 CDMA원천 기술을 지니고 있는 퀄컴사는 ‘브루채트(Brewchat)’라는 소 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망에 기반을 둔 PTT서비스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PTT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에서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11)와 음성입력부(11)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AD컨버터(ADC)(12)와, PTT버튼의 눌림 및 눌림 해제를 감시하여 음성(보이스, Voice)의 코딩/디코딩 및 보코딩을 수행하여 음성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코덱, 보코더(14) 등을 포함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13)와 보코더(14)의 출력 음성신호를 버퍼링하는 보코더버퍼(15) 및 보코더버퍼(15)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RF신호에서 음성신호를 보코더버퍼(15)로 입력하는 RF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PTT버튼을 누르는 경우(S1), 제어부(13)가 이를 인식하여 음성입력부(11)와 AD컨버터(1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보코더(14)가 적절한 보코딩율을 가지고 보코딩을 수행한 후 재생출력포인터(17) 및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18)를 지정한 후 보코더버퍼(15)에 저장(녹음)을 시작한다(S2). 이 후 호설정(Call setup)(S3)이 수행된 후(S3)에는 보코더버퍼(15)에 저장된 보이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고(S4), PTT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면(S5), 보코더버퍼(15)의 보이스 녹음을 중지(S6)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배경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PTT서비스의 경우 송신 측은 서버의 호설정(call setup) 이후에만 수신측과 대화가 가능했고, 망에 따라 가변적인 호설정시간(call setup time) 때문에 무전기처럼 실시간 대화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측면의 보이스 버퍼링(voice buffering)이 논의되기 시작하였지만, 실제 솔루션(Solution)에서 오디오 패스(Audio Path) 상의 버퍼(Buffer)를 오픈(open)해서 제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구현상에 어려움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보코더(14)에서 음성송수신(RTX)포트 쪽으로 보코더버퍼(Audio buffer or vocoder buffer)가 오픈(open)되어 있으며,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18)와 재생출력포인터(Play-Out Pointer)(17)를 두어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단말기의 경우에는 보코더버퍼(15)를 컨트롤할 수 없는 구조이고, 버퍼링 알고리즘(buffering altorithm) 구현 또한 상당히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TT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에 보이스메모(Voice Memo)의 오디오(Audio)구조를 이용해서 보이스버퍼링(Voice Buffering)을 구현하고, 특히, 단말기에서 오디오버퍼(audio buffer)가 오픈(open)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쉽고, 효율적으로 음성 전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은, PTT 버튼의 눌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작과정과; 상기 음성녹음시작과정에 의해 음성의 녹음 중에 호설정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과; 호 설정 이후 녹음된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과; 상기 PTT 버튼의 눌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성재생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음성재생출력과정은 상기 저장부의 음성데이터의 재생 중에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에 의한 음성 전송 제어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PTT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부(21)와 음성입력부(21)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AD컨버터(ADC)(22)와, 음성을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저장부(24)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보코딩되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26)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25)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26)로 출력하는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어부(23)는 음성 데이터를 RF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코딩/디코딩 및 보코딩을 수행하여 음성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코덱, 보코더(25) 등을 포 함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현된다.
도 5는 상술한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음성 전송 제어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PTT버튼의 누름이 발생하면(S11) 제어부(23)는 이를 인식하여 구동되어 마이크로서의 음성입력부(21)와 AD컨버트(22)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신호를 MP3 등의 데이터 압축 기법을 이용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 등의 저장부(24)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을 시작한다(S11).
이 후, 호 설정(call setup)이 이루어진 후(S13)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S14) 제어부는 저장부(24)로의 보이스(음성) 녹음을 중지하고(S15), 녹음된 보이스(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더(25)를 통해 보코딩을 수행한 후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코더버퍼(15)를 이용하여 RF부(26)로 출력하는 음성재생과정을 수행한다(S16).
이 후 RF부(26)는 보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PTT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T버튼의 누름이 발생하면(S31) 제어부(25)가 이를 인식하여 구동되어 마이크로서의 음성입력부(21)와 AC컨버트(22)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 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 소자 등의 저장부(24)에 저장하는 음성 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 작과정을 수행한다(S32).
이 후 호 설정(호연결)(Call Setup)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을 수행한다(S33).
S33 과정에 의해 호 설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녹음된 보이스 데이터가 외부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SP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에 탑재되는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을 수행한다(S34).
다음으로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될 때까지 저장부(24)에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S35),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음성 재생 중에 음성입력부(21)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수행하고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여 저장부에서 읽혀지는 보이소 메모의 오디오구조를 가지는 음성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보코더부로 출력하는 음성재생과정을 수행한다(S36).
이 후 보코더는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보코딩출력과정을 수행한다(S36).
상술한 본원발명은 음성의 전송시 종래기술과 같이 음성의 입력과 함께 보코더에 의해 보코딩된 보이스 데이터를 녹음포인터(Record Pointer) 및 재생출력포인터(Play out Pointer)를 설정하여 보코더버퍼에 저장하고 이 후 호 설정시 이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PTT버튼의 눌림시에 오디오 구조를 이용한 보이스 메모를 수행하여 이를 외부메모리 또는 내장 메모리 등의 저장부에 저장한 후 PTT버 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를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원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먼저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전송함으로써 피티티(PTT) 단말기에서 보이스 버퍼링의 설계 및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PTT 서비스에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보코딩이 수행되기 이전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보이스 버퍼링이 매우 간소해 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본원 발명의 보이스 버퍼링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PTT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음성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하는 보코더버퍼가 아닌 별도의 저장부와;
    피티티(PTT)버튼의 눌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AD컨버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PTT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음성녹음을 중지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재생하여 보코딩을 수행한 후 RF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진 후 재생되고 보코딩된 후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2. PTT 버튼의 눌림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보이스 메모의 오디오 구조를 이용하여 보코더버퍼가 아닌 별도의 저장부 에 저장(녹음)을 시작하는 음성녹음시작과정과;
    상기 음성녹음시작과정에 의한 음성의 저장(녹음) 중에 호 설정을 수행하는 호설정과정과;
    상기 호설정과정에 의한 호 설정 이후 녹음된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코더를 뮤트시키는 보코더뮤트과정과;
    상기 PTT 버튼의 눌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보코더의 뮤트를 해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재생한 후 상기 보코더로 출력하여 보코딩을 수행하고 RF부에 의해 RF신호로 송출하는 음성재생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재생출력과정은,
    상기 음성데이터의 재생 중에 마이크를 뮤트시키는 마이크뮤트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방법.
KR1020050078259A 2005-08-25 2005-08-25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ko) 2005-08-25 2005-08-25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ko) 2005-08-25 2005-08-25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21A KR20070023921A (ko) 2007-03-02
KR100711719B1 true KR100711719B1 (ko) 2007-04-25

Family

ID=3809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59A KR100711719B1 (ko) 2005-08-25 2005-08-25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2604B2 (en) 2013-10-30 2017-1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of radio
US10261189B2 (en) 2013-10-31 2019-04-16 Invisible Intelligence, Llc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geofencing
US9391807B2 (en) 2013-10-31 2016-07-12 Invisible Intelligence, Llc Audio recording system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264A (ko) * 2002-05-29 2005-01-15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기 장치의 송신을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264A (ko) * 2002-05-29 2005-01-15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기 장치의 송신을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21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2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erging of multiple time-stamped transcriptions
US7574228B2 (en) Multi-spot call system, sound volume adjustment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sound volume adjustment method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US20060059199A1 (en)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 system,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a user interface
KR10072487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KR100711719B1 (ko) 피티티 단말기의 음성 전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1179761A (zh)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US20060040683A1 (en)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 system, a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a user interface
JP4631603B2 (ja) PoCサービスにおける音声データ再生システム、再生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360899B1 (ko) 전화기의 음악재생방법
KR100387962B1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KR101206956B1 (ko)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693589B1 (ko) 음원 데이터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466631B2 (ja) 電話装置、電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8265893A (ja)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JPH09321862A (ja) 電話機における記録再生装置
KR100595246B1 (ko) 배경음향 음성 메세지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배경음향 음성 메세지 제공 방법
JP3811605B2 (ja) 電話装置
JPH098693A (ja) デジタルmca移動無線機
KR20020066701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녹음/재생 장치
KR100675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급 통화 방법
KR100890262B1 (ko) 휴대 단말기의 푸쉬 투 톡 통신 방법.
JP2000224340A (ja) 録音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7324769A (ja) 移動局
KR20000021019U (ko) 전화기의 무음성 통화장치
KR20060117136A (ko) 배경음 전송 방법 및 본 발명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