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593B1 -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593B1
KR100711593B1 KR1020060033451A KR20060033451A KR100711593B1 KR 100711593 B1 KR100711593 B1 KR 100711593B1 KR 1020060033451 A KR1020060033451 A KR 1020060033451A KR 20060033451 A KR20060033451 A KR 20060033451A KR 100711593 B1 KR100711593 B1 KR 10071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vertical
reinforceme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425A (ko
Inventor
정형화
Original Assignee
정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화 filed Critical 정형화
Priority to KR102006003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5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3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의 보강을 후면에 가로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을 구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치에 준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의 설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을 측벽패널의 수직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수직프레임의 측면과 밀착되게 핀공을 형성한 지지편이 돌출형성되고,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게 삽입홈이 형성된 한 개의 수직판과, 폭이 상이한 핀공을 가진 두 개의 수평판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수평판의 핀공에 삽입설치되는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가 제공된다.
거푸집, 보강프레임, 고정구, 고정체, 이탈방지핀

Description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The fixing tool for support frame of mol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핀공 2, 2': 지지편 3: 삽입홈
4: 수직판 5, 5': 핀공 6, 6': 수평판
7: 고정체 8: 이탈방지핀 9: 밀착삽입편
10: 돌기 100: 고정구
200: 거푸집 201: 측벽패널 202: 수직프레임
203: 설치공 204: 핀공 300: 보강프레임
400: 웨지핀 401: 핀공
본 발명은 거푸집의 보강을 후면에 가로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을 구성하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치에 준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의 설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거푸집은 적정넓이를 가진 사각판체형상의 측벽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의 상하와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측벽패널이 마주보도록 이열로 세우고, 동일열의 이웃하는 측벽패널의 수직프레임을 웨지핀으로 연결시킨 후 측벽패널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그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패널의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치에 부합되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벽패널의 후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보강 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가로설치하였는데, 이는 고정구가 보강프레임에 밀착되는 수직판과, 측벽패널의 수직프레임에 밀착되는 수평판이 직각으로 일체형성된 "L"자형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수직판에 형성된 볼트공에 삽입되어 수직프레임의 설치공에 내입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수직판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볼트를 웨지핀으로 수직프레임에 고정시킨 후 고정체의 볼트공으로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고정체를 수직프레임에 설치하고, 고정체의 개구된 측으로 보강프레임을 내입시킨 후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보강프레임의 양측면이 각각 수직판의 내면과 수직프레임의 내면에 압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는 보강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를 체결하게 되면, 고정볼트가 관통된 부분의 수직판은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지만 고정볼트가 관통되지 않은 상부는 오히려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보강프레임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압착하지 못하여 고정체의 상부로 이탈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고압으로 타설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보강프레임으로 전달되면 보강프레임의 설치상태가 더욱 양호하지 못하게 되었다.따라서 보강프레임의 주기능인 거푸집을 보강하는 역활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어 거푸집의 형상대로 양생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치에 부합되게 형성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거푸집의 보강을 위해 측벽패널의 후면에 가로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진동이 충격에 상관없이 보강프레임을 고정된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을 측벽패널의 수직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수직프레임의 측면과 밀착되게 핀공을 형성한 지지편이 돌출형성되고,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밀착되게 삽입홈이 형성된 한 개의 수직판과, 폭이 상이한 핀공을 가진 두 개의 수평판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수평판의 핀공에 삽입설치되는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100)는 거푸집(200)의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300)을 측벽패널(201)의 수직프레임(202)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수직프레임(202)의 측면과 밀착되게 핀공(1)을 형성한 지지편(2)이 돌출형성되고,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밀착되게 삽입홈(3)이 형성된 한 개의 수직판(4)과, 폭이 상이한 핀공(5)(5')을 가진 두 개의 수평판(6)(6')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정체(7)와; 상기 수평판(6)(6')의 핀공(5)(5')에 삽입설치되는 이탈방지핀(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체(7)의 수직판(4)에는 수직프레임(202)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편(2)과 함께 수직프레임(202)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편(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7)의 수직판(4)에는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공(203)에 내입되거나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삽입편(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핀(8)은 일측으로 테이퍼지고 그 양단에 각각 수평판(6)(6')의 핀공(5)(5') 중에서 폭이 작은 핀공(5') 보다 큰 높이를 가진 돌기(10)가 돌출형성되어, 수평판(6)에 걸린 상태로 고정체(7)와 일체로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4는 수직프레임(202)에 형성된 핀공이고, 400은 고정체(7)를 보강프레임(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웨지핀이며, 401은 웨지핀(400)의 핀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100)는 거푸집(200)의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거푸집(200)의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프레임(300)을 고정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고정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100)를 사용하면 거푸집(200) 에 콘크리트를 고압으로 타설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뿐만 아니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상관없이 보강프레임(3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거푸집(200)의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설계치에 부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수직판(4)과 두 개의 수평판(6)(6')이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체(7)와, 상기 고정체(7)의 수평판(6)(6')에 각각 형성된 핀공(5)(5')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핀(8)으로 구성됨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7)를 거푸집(200)의 수직프레임(202)에 취부하여 수직판(4)의 지지편(2)에 형성된 핀공(1)과 수직프레임(202)의 핀공(203)에 하나의 웨지핀(400)을 억지끼움한 후 상기 웨지핀(400)의 핀공(401)에 다른 하나의 웨지핀(400)을 억지끼움함으로써, 지지편(2)이 수직프레임(202)의 측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7)를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체(7)의 수직판(4)에는 거푸집(200)의 수직프레임(202)의 후면부가 소정길이 삽입되게 삽입홈(3)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체(7)의 수직판(4)이 수직프레임(202)의 후면부에 완전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체(7)는 수직판(4)과 지지편(2)에 의해 동시에 수직프레임(202)의 후면과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됨에 따라 전혀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수직프레임(202)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체(4)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직판(4)에 수 직프레임(202)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편(2)과 함께 수직프레임(202)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지지편(2')을 형성하거나,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공(203)에 내입 또는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삽입편(9)을 형성함으로써, 수직프레임(202)에서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체(7)를 수직프레임(202)에 적정수만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한 후에는 각 고정체(7)의 수평판(6)(6') 사이로 보강프레임(300)을 내입시킴으로써 보강프레임(30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300)이 고정체(7)의 수평판(6)(6') 사이에 내입된 상태에서 유동하거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수평판(6)에 형성된 핀공(5)에 걸려 있는 이탈방지핀(8)을 하부 수평판(6')에 형성된 핀공(5')에 삽입하게 되면, 이탈방지핀(8)은 자연스럽게 보강프레임(300)이 수직판(4) 방향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강프레임(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보강프레임(300)의 수평판(6)(6') 사이에서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인하여 보강프레임(300)의 주기능인 거푸집(200)을 지지하는 역활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거푸집(200)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측벽패널(201)의 뒤틀림현상 및 처짐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100)는 한 개의 수직판(4)과 두 개의 수평판(6)(6')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체(7)와, 상기 고정체(7)의 수평판(6)(6')에 각각 형성된 핀공(5)(5')에 삽입설치되어 고정체(7)에 내입된 보강프레임(300)의 유동 및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탈방지핀(8)으로 구성됨에 따라, 거푸집(200)의 측벽패널(201)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푸집(20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을 설계치에 맞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프레임(300)의 설치작업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푸집(200)의 설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한 개의 수직판(4)과 두 개의 수평판(6)(6')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체(7)와, 상기 고정체(7)의 수평판(6)(6')에 각각 형성된 핀공(5)(5')에 삽입설치되어 고정체(7)에 내입된 보강프레임(300)의 유동 및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탈방지핀(8)으로 구성됨에 따라, 거푸집(200)의 측벽패널(201)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푸집(20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을 설계치에 맞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프레임(300)의 설치작업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거푸집(200)의 설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프레임(202)의 측면과 밀착되게 핀공(1)을 형성한 지지편(2)이 돌출형성된 수직판(4)과, 폭이 상이한 핀공(5)(5')이 뚫린 수평판(6)(6')이 상기 수직판(4)의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ㄷ"자형을 가진 고정체(7)와; 상기 수평판(6)(6')의 핀공(5)(5')에 삽입설치되는 이탈방지핀(8);으로 구성된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4)에는 삽입홈(3)이 형성되어, 보강프레임(300)이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체(7)의 수직판(4)에는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공(203)에 내입되거나 수직프레임(202)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삽입편(9)이 형성된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4. 삭제
KR1020060033451A 2006-04-13 2006-04-13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KR10071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51A KR100711593B1 (ko) 2006-04-13 2006-04-13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51A KR100711593B1 (ko) 2006-04-13 2006-04-13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425A KR20060038425A (ko) 2006-05-03
KR100711593B1 true KR100711593B1 (ko) 2007-04-27

Family

ID=371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51A KR100711593B1 (ko) 2006-04-13 2006-04-13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10B1 (ko) * 2006-08-08 2007-05-15 (주)삼아테크 거푸집용 체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604A (ja) * 1995-11-10 1997-05-27 Nsp Corp バタ角受け具
KR200267876Y1 (ko) 2001-12-14 2002-03-12 이팔만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303756Y1 (ko) * 2002-11-08 2003-02-11 이인희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337176Y1 (ko) * 2003-08-27 2004-01-07 주식회사 서진정공 거푸집 정렬구
KR200361278Y1 (ko) * 2004-06-03 2004-09-07 박상목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397598Y1 (ko) 2005-07-22 2005-10-05 윤성규 거푸집고정용 각목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604A (ja) * 1995-11-10 1997-05-27 Nsp Corp バタ角受け具
KR200267876Y1 (ko) 2001-12-14 2002-03-12 이팔만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303756Y1 (ko) * 2002-11-08 2003-02-11 이인희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337176Y1 (ko) * 2003-08-27 2004-01-07 주식회사 서진정공 거푸집 정렬구
KR200361278Y1 (ko) * 2004-06-03 2004-09-07 박상목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397598Y1 (ko) 2005-07-22 2005-10-05 윤성규 거푸집고정용 각목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425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274Y1 (ko) 시공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고정구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20090052125A (ko) 커튼 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
KR200420429Y1 (ko)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KR100711593B1 (ko)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KR100806221B1 (ko) 거푸집용 판넬폼 및 이 거푸집용 판넬폼을 이용한 벽체거푸집 어셈블리
KR10246461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에 pc부재의 보강으로 앵커의 정착길이를 줄이는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27658B1 (ko)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
KR200485218Y1 (ko) 거푸집 체결장치
JP2008223293A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20460Y1 (ko) 거푸집의 보강프레임 고정구
KR100655507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EP1749947B1 (en) Anchoring insert for embedding in concrete
KR100749906B1 (ko) 거푸집 체결용 웨지 핀
KR20110077905A (ko) 강도 보강된 플라스틱 거푸집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160003959U (ko) T형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의 제작방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914232B1 (ko) 건축물의 보강구조 및 설치방법
KR100467098B1 (ko) 건축용 체결식 거푸집 설치구조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100998364B1 (ko) 벽체 시공용 유로폼의 설치구조
KR101046020B1 (ko) 탈형과 재조립이 용이한 거푸집의 쐐기 결합구조
KR200415009Y1 (ko) 거푸집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