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464B1 -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464B1
KR100711464B1 KR1020050123768A KR20050123768A KR100711464B1 KR 100711464 B1 KR100711464 B1 KR 100711464B1 KR 1020050123768 A KR1020050123768 A KR 1020050123768A KR 20050123768 A KR20050123768 A KR 20050123768A KR 100711464 B1 KR100711464 B1 KR 10071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temperature
yield strength
rolled steel
hot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호
양승우
강기봉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2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건축, 해양구조물 및 라인파이프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 열연강판은 중량%로, C: 0.03~0.09%, Si: 0.01~0.5%, Mn: 1.2~2.0%, P: 0.01% 이하, S: 0.001% 이하, Ti: 0.01~0.1%, N: 0.01% 이하, Nb: 0.04~0.07%, Ni: 0.1~0.5%, Mo: 0.1~0.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 강슬라브를 1100~1150℃의 온도에서 150~200분 동안 재가열하고, 720~820℃의 마무리 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다음, 수냉각하여 500~600℃의 온도에서 권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강도 7200MPa 이상,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열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라인파이프, 열연강판, 항복강도 이방성, 저항복비, 페라이트

Description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rolled steel sheet for linepipe having low yield ratio and excellent yield strength anisotropic properties}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1072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14486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0-0039479호
본 발명은 건축, 해양구조물 및 라인파이프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열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72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확보하고,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극해 또는 시베리아 등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원유 및 가스 수송용 강관이나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강 소재는 그 환경의 가혹화로 인해 우수한 특성이 요 구되고 있다.
특히 저온에서의 파괴방지를 위하여 저온인성이 각별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철강소재는 경제적인 사용을 위하여 열연강판을 나선형 강관(spiral pipe)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우수한 저온인성을 갖는 고강도 열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 세계에 걸쳐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낮은 온도에서 열간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저온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우수한 저온인성을 갖는 고강도 열연강판의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107225호, 평5-214486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0-0039479호가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107225호에 제안된 기술요지는 C: 0.03-0.8%, Si: 0.6% 이하, Mn: 0.7-2.0%, P: 0.010% 이하, S: 0.008%, Nb: 0.01-0.10%, V: 0.01-0.15%, Mo: 0.50% 이하, Ni: 1.0% 이하, Cr: 1.0% 이하 및 Cu: 1.0% 이하로 조성된 강의 마무리 열간압연온도를 600~850℃의 저온에서 행함으로써 저온인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열연강판은 인장강도가 60kgf/ mm2에 불과하여 합금원소 첨가의 최대효과와 압연공정의 적절화가 다소 미흡하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14486호에서는 열간압연을 하고 Ar3 온도 이상에서 15℃/sec 이상의 속도로 냉각하여 250℃ 정도에서 권취를 행하는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제조방법은 합금성분계가 비교적 단순하지만, 권취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매우 큰 용량의 수냉각 설비를 보유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저온인성 및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나 재질이방성 특히, 항복강도의 재질이방성의 차이가 크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재질이방성은 압연직각방향의 강도와 압연방향에 30도 방향의 강도와의 차이를 의미한다. 최근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나선형 강관의 소재 재질은 압연방향에 30도인 방향의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나선형 강관의 재질 이방성이 큰 경우, 즉 압연직각방향의 항복강도가 30도 방향보다 크게 되면 강관의 조관시 조관력이 커져 조관불량률이 증가하고 강관의 진원성도 저하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들 중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0-0039479호에서는 C: 0.03-0.10%, Si: 0.01-0.50%, Mn: 1.2-2.0%, P: 0.03%이하, S: 0.010%이하, Ti: 0.01-0.10%, N: 0.01%이하, B: 0.003%이하, Nb: 0.02-0.07%, V: 0.10%이하로 조성된 강슬라브를 1100~1170℃에서 재가열하고 800-900℃의 마무리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다음 수냉각하여 550-680℃의 온도에서 권취하여 재질이방성이 적은 강관용 고장력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명강은 1250℃에서 재가열한 비교재에 비하여 재가열온도를 1150℃로하여 재질이방성이 적은 강재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조성 및 조건에서는 항복강도 490MPa, 인장강도 588MPa으로 본 발명에 비하여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가 작아 동일한 조건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강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Mo, Nb 및 Ti을 복합첨가하고 열연압연공정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인장강도 720MPa 이상의 고강도를 가지면서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03~0.09%, Si: 0.01~0.5%, Mn: 1.2~2.0%, P: 0.01% 이하, S: 0.001% 이하, Ti: 0.01~0.1%, N: 0.01% 이하, Nb: 0.04~0.07%, Ni: 0.1~0.5%, Mo: 0.1~0.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 강슬라브를 1100~1150℃의 온도에서 150~200분 동안 재가열하고, 720~820℃의 마무리 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다음, 수냉각하여 500~60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저항복비 및 항복강도 이방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고강도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에 Mo, Nb 및 Ti을 복합첨가하고 열간압연 공정, 특히 재가열 온도 및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페라이트 및 에시큘라 페라이트 조직이 형성되고 동시에 미세한 석출물이 석출되어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먼저 본 발명의 강성분의 조성범위를 설명한다.
C: 0.03~0.09%가 바람직하다.
상기 C는 강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원소이나 다량 첨가하면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3%미만인 경우 동일한 강도를 발휘시키기 위하여 다른 합금원소를 상대적으로 다량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반면, 0.09%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의 함량은 0.03~0.09%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01~0.5%가 바람직하다.
상기 Si은 고용강화원소로서, 용강을 탈산하기 위해서 첨가한다. 그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 용강의 탈산작용이 불충분하여 청정한 강을 얻기 어려운 반면, 0.5%를 초과하게 되면 열간압연시 Si에 의한 붉은형 스케일이 형성되어 강판표면 형상이 매우 나쁘게 되며 연성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i의 함량은 0.0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1.2~2.0%가 바람직하다.
상기 Mn은 고용강화원소로서, 그 함량이 1.2% 미만인 경우 소입성 증가효과와 강도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2.0%를 초과하는 경우 제강공정에서 슬라브의 주조시 두께 중심부에서 편석부가 크게 발달되고 최종제품의 용접성을 해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Mn의 함량은 1.2~2.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P은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여 이에 따라 강의 인성 및 강도를 크게 손상시키므로, 상기 P의 함량은 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S은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여 이에 따라 강의 인성 및 강도를 크게 손상시키므로, 상기 S의 함량은 0.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0.01~0.1%가 바람직하다.
상기 Ti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서,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아주 유용하다. 상기 Ti은 강 중에 TiN으로 존재하여 열간압연을 위한 가열 과정에서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질소와 반응하고 남은 Ti은 강 중에 고용되어 탄소와 결합하여 TiC의 석출물이 형성되고 이때 형성된 TiC는 매우 미세하여 강의 강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따라서, TiN 석출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억제 효과 및 TiC 형성에 의한 강도 증가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Ti의 함량을 0.01~0.1%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의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반면, 0.1%을 초과하면 강판을 용접하여 강관으로 제조시 용융점까지 급열됨에 의해서 TiN이 재고용되어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되므로 상기 Ti의 함량은 0.01~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0.04~0.07%가 바람직하다.
상기 Nb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서,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아주 유용하며, 강의 강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Nb의 함량이 0.04%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반면, 0.07%를 초과하면 과도한 Nb 탄질화물의 석출에 기인되어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온도를 지나치게 높이기 때문에 재질이방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Nb의 함량은 0.04-0.07%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N는 상기 Ti 첨가에 기인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은 강 중에 고용되었다가 석출되어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능력은 탄소보다도 훨씬 크다. 그러나, 한편으로 강 중에 질소가 존재하면 할 수록 인성은 크게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가능한 한 질소 함유량을 감소시키려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적정량의 질소를 존재케하여 Ti과 반응시켜 TiN를 형성, 재가열 과정에서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0.01%를 초과하는 경우 Ti의 일부는 N와 반응하지 못하여 이후의 공정에서 탄소와 반응하지 못하므로 상기 N의 함량은 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1~0.5%가 바람직하다.
상기 Mo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Mo은 소재의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며, 저온변태 조직인 침상형(acicular) 페라이트 생성을 조장함에 의해 항복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멘타이트와 탄화물이 집적되어 있어 열화한 충격특성을 보이는 펄라이트 조직의 생성을 억제하여 양호한 충격인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반면, 0.5%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원가 비용이 증가하므로, 상기 Mo의 함량은 0.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0.1~0.5%가 바람직하다.
상기 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펄라이트 형성을 억제하며, 저온변 태 조직인 침상형(acicular)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그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반면, 0.5%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원가 비용이 증가하므로, 상기 Ni의 함량은 0.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을 갖는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100~1150℃의 온도에서 150~200분 동안 재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가열 온도 및 시간은 미세조직 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재가열 온도가 1100℃ 미만인 경우, 석출물이 충분히 재고용되지 못하여 열간압연 이후의 공정에서 NbC 등의 석출물들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재가열 온도를 1100℃이상으로 유지하므로써 석출물의 재고용을 제어하고 적당한 크기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를 유지함으로써 소재의 강도도 향상시키면서 코일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재가열대 온도가 115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성장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되므로 상기 재가열 온도는 1100~11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가열 시간이 150분 미만인 경우 슬라브가 고르게 가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석출물들이 충분히 고용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재질이 불균 질 해질 수 있다. 반면, 200분을 초과하면 일정량 이상의 Nb가 고용되어 미재결정 온도가 상승하고 오스테나이트역 압연시 과다한 누적 압연에 의하여 변태 집합조직이 강하게 발달하게 되어 항복강도 이방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가열 시간은 150~200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가열 이후, 720~820℃의 마무리 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다.
본 발명에서는 Mo, Nb, Ti이 복합첨가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석출원소의 석출강화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간압연 마무리온도를 720~82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압연 마무리 온도가 720℃미만인 경우, 열간압연 도중에 오스테나이트에 강한 변형집합조직이 형성되어 상변태에 의해 생성된 페라이트 및 침상형(acicular) 페라이트에도 강한 변태집합조직이 형성되게 된다. 반면, 820℃를 초과하면 마무리 압연개시온도가 높게 되어 변태에 의해 생성되는 페라이트의 결정립이 미세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원하는 강도 수준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어, 상기 열연강판을 수냉각하여 500~600℃의 온도에서 권취한다.
열간압연을 마무리한 후,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 수냉각을 실시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고 동시에 페라이트 조대화를 방지하므로써 인성저하를 억제한다.
또한, 상기 권취온도가 500℃ 미만인 경우 베이나이트 변태가 일어나 강도는 증가하나 소재의 인성이 크게 저하되고 재질이방성도 증가되는 반면, 600℃를 초과하면 미세조직이 조대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형성되고 석출물이 증가하여 인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상기 권취온도는 500~60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압연직각방향에 대한 압연30도 방향의 항복강도 비가 0.9 이상이고, 항복비(YR 항복강도/인장강도)가 0.85 이하로써,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 및 저항복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하기 표2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후, 열간압연하여 판재로 제조하였다. 최종 코일 두께는 15mm이다. 얻어진 시편을 이용하여 인장시험을 행하였다.
강종 C Si Mn P S Nb Ni Mo Ti N
발명강A 0.067 0.24 1.80 0.011 0.001 0.053 0.23 0.30 0.018 0.0069
발명강B 0.068 0.23 1.75 0.010 0.001 0.057 0.31 0.24 0.020 0.0057
발명강C 0.065 0.22 1.81 0.009 0.002 0.053 0.35 0.23 0.022 0.0071
강종 비고 가열온도 (℃) 총가열시간 (분) 마무리 압연온도(℃) 권취온도 (℃) 두께 (mm)
발명강A 비교재1 1160 213 727 569 15
발명강B 비교재2 1169 219 754 559 15
발명강C 비교재3 1220 216 769 540 15
발명강A 발명재1 1120 178 761 542 15
발명강B 발명재2 1140 178 773 545 15
발명강C 발명재3 1130 172 760 563 15
비고 항복강도 (MPa) 항복강도 차이 (MPa) 항복강도 비(30도방향/90도방향) 인장강도(MPa) YR(항복강도/ 인장강도)
30도 방향 90도 방향 30도 방향 90도 향 30도 방향 90도 방향
비교재1 568 687.5 101.5 0.85 709 802 0.83 0.86
비교재2 592 659 77 0.88 706 767 0.84 0.86
비교재3 580.5 652.5 72 0.89 716 747 0.81 0.87
발명재1 601 663.5 62.5 0.91 724 782 0.83 0.85
발명재2 597.5 655.5 58 0.91 720 787 0.83 0.83
발명재3 586.6 654 67.5 0.90 727 780 0.81 0.84
항복강도 차이: 90도 방향 항복강도 - 30도 방향 항복강도
상기 표 1,2 및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만족하는
발명강(A~C)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명재(1~3)의 경우, 인장강도 720MPa 이상의 고강도와 0.85 이하의 저항복비를 확보하였고, 58~68MPa의 90도 방향과 30도 방향의 항복강도 차이 및 압연직각방향에 대한 압연30도 방향의 항복강도 비 0.9 이상을 확보하여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재(1~3)의 경우, 재가열 온도 및 재가열 시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않아 90도 방향에서 0.86 이상의 항복비를 나타내었으며, 항복강도 차이 및 항복강도 비에 있어서 열위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강판은 인장강도 720MPa 이상의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간압연공정을 적절히 제어하여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열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중량%로, C: 0.03~0.09%, Si: 0.01~0.5%, Mn: 1.2~2.0%, P: 0.01% 이하, S: 0.001% 이하, Ti: 0.01~0.1%, N: 0.01% 이하, Nb: 0.04~0.07%, Ni: 0.1~0.5%, Mo: 0.1~0.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 강슬라브를 1100~1150℃의 온도에서 150~200분 동안 재가열하고, 720~820℃의 마무리 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다음, 수냉각하여 500~600℃의 온도에서 권취하며 항복강도 비 0.9 이상 및 항복비 0.85 이하를 만족하는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50123768A 2005-12-15 2005-12-15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71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68A KR100711464B1 (ko) 2005-12-15 2005-12-15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68A KR100711464B1 (ko) 2005-12-15 2005-12-15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464B1 true KR100711464B1 (ko) 2007-04-24

Family

ID=3818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68A KR100711464B1 (ko) 2005-12-15 2005-12-15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4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911A (ja) * 1990-10-12 1992-05-27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ンパイプ用鋼板の製造方法
JPH10235401A (ja) 1997-02-25 1998-09-08 Kawasaki Steel Corp 極低炭素鋼の熱間圧延方法
JPH10298645A (ja) 1997-04-24 1998-11-1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20030054700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이방성이 적은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040019452A (ko) * 2002-08-26 2004-03-06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성이 우수한 고인성-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열연강판제조방법
KR20040059294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길이방향의 항복강도 편차가 적은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911A (ja) * 1990-10-12 1992-05-27 Sumitomo Metal Ind Ltd ラインパイプ用鋼板の製造方法
JPH10235401A (ja) 1997-02-25 1998-09-08 Kawasaki Steel Corp 極低炭素鋼の熱間圧延方法
JPH10298645A (ja) 1997-04-24 1998-11-1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20030054700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이방성이 적은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040019452A (ko) * 2002-08-26 2004-03-06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성이 우수한 고인성-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열연강판제조방법
KR20040059294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길이방향의 항복강도 편차가 적은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423B1 (ko) 조관후 강도변화가 작은 스파이럴 강관용 후물 열연 고강도api-x80 급 강재 및 제조방법
KR10191745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9689B1 (ko) 길이방향 균일 연신율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관
KR100833035B1 (ko) 변형능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797326B1 (ko) Pwht 물성 보증용 심해 라이저 파이프 강재 및 그제조방법
KR101778406B1 (ko)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KR100711371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872B1 (ko) 유정관용 열연강판, 이를 이용한 강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31444B1 (ko) 강도 및 dwtt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4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관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4319A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166883B (zh) 具有优异的低屈服比和低温韧性的结构钢及其制备方法
KR101758528B1 (ko) 재질 편차가 작은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0584762B1 (ko) 재질이방성이 적은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560943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관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882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0946052B1 (ko) 길이방향의 항복강도 편차가 적은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711464B1 (ko) 저항복비 및 우수한 항복강도 이방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851176B1 (ko) 저온인성 및 항복강도 이방성이 적은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1568551B1 (ko) 변형능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991B1 (ko) 항복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368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185359B1 (ko) 저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api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7990B1 (ko) 항복강도와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045B1 (ko) 파이프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가 적은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 이를 이용하여 성형된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