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106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106B1
KR100710106B1 KR1020000044110A KR20000044110A KR100710106B1 KR 100710106 B1 KR100710106 B1 KR 100710106B1 KR 1020000044110 A KR1020000044110 A KR 1020000044110A KR 20000044110 A KR20000044110 A KR 20000044110A KR 100710106 B1 KR100710106 B1 KR 10071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ore network
type
inform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039A (ko
Inventor
박재홍
황운희
구연상
이종원
양신현
예정화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500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01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01003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T-2000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여 하이브리드 타입 이동 단말과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을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무선망의 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ANSI-41 코어망 또는 GSM-MAP 코어망)를 판별하고, 그 판별된 코어망 타입에 따라 대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 메시지에 삽입하여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전송해주며, 이를 수신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은 접속된 코어망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CC, MM 프로토콜을 세팅하고 코어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무선망의 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ANSI-41 코어망 또는 GSM-MAP 코어망)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코어망 타입에 따라 대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삽입하여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송해주며, 이를 수신한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은 접속된 코어망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CC, MM 프로토콜을 세팅하고, 코어망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도1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1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1b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2는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2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2b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3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 연동시 프로토콜 스택 구조도,
도4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4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4b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4c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4d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이고,
도5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부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도5a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고, 도5b는 GSM-MAP 코어망과 연동 하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며, 도5c는 ANSI-41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고, 도5d는 GSM-MAP 코어망과 연동 하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며,
도6은 종래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의 상태 천이도이고,
도7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수신 메시지 포맷도로서, 도7a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이고, 도7b는 종래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포맷도이고,
도8a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을 위한 기지/제어국(BS)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고,
도8b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을 위한 단말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서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로서, 도9a는 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인 경우의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이고, 도9b는 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인 경우에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서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비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시 스템 안내 메시지 내 마스터 안내 블록의 포맷도로서, 도10a 및 10b는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인 경우의 마스터 안내 블록의 포맷도이고, 도10c 및 10d는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인 경우의 마스터 안내 블록의 포맷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무선망과 연결되는 코어망 연동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11a는 동기 무선망에서 코어망 타입 정보 및 코어망 관련 정보를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11b는 코어망 타입 및 코어망 관련 정보를 수신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서 접속된 코어망과 연동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무선망과 연결되는 코어망 연동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12a는 비동기 무선망에서 코어망 타입 정보 및 코어망 관련 정보를 비동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12b는 코어망 타입 정보를 수신한 비동기 단말에서 접속된 코어망과 연동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110 : 동기 무선망
120, 240 : 동기 코어망
130, 230 : 비동기 코어망
210 : 비동기 단말
220 : 비동기 무선망(UTRAN)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컨대,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시스템 등)에서의 코어망(Core-Network)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에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이동 단말 측에 전송하여 이동 단말과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을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기 무선망(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종류 정보(이하, 이를 "코어망 타입(CN Type)"이라 칭함)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임의의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동기 무선망(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을 구분하고, 그 코어망 종류 정보(이를 "코어망 타입(CN Type)"이라 칭함)와 코어망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 Broadcast Control CHannel)을 통해 비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비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임의의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동기 단말과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이를 "CDMA-2000 무선망"이라 칭하기도 함)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ANSI-41망에 접속한다.
또한, 종래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통신 방식의 비동기 무선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CN)로 GSM-MAP(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Mobile Application Part)망에 접속한다.
첨부한 도1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1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11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2는 상기 동기 단말(11)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무선망(CDMA-2000 무선 망)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3은 상기 동기 무선망(12)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으로서, 이는 동기 이동 통신 교환기(MSC)(14)와 ANSI-41망(15)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11)은 주지된 바와 같이 동기 무선망(12)과만 접속가능하고, 그 동기 무선망(12)은 동기 코어망(13)과만 연동될 수 있다.
도1b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21은 비동기 단말을 나타내고, 22는 기지국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을 나타내며, 23은 상기 UTRAN(22)과 연결되는 비동기 이동 통신 교환기(MSC)(24)와 상기 비동기 이동 통신 교환기(24)와 접속되는 GSM-MAP망(25)을 포함하는 비동기 코어망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과만, 그 UTRAN(22)은 비동기 코어망(23)과만 연동될 수 있다.
첨부한 도2는 상기와 같은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도2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30은 동기 단말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동기 무선망을 나타내 고, 참조부호 50은 상기 동기 무선망(40)과 연결되는 동기 코어망을 나타낸다.
상기 동기 단말(30)은 계층3(31), 계층2(35), 계층1(36)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3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CC: Call Control)부(3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MM: Mobility Management)부(33) 및 무선 자원을 제어하기 위한 동기 무선 자원(RR: Radio Resource)부(34)가 구비된다.
계층1(36)은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 트랜스포트(transport) 서비스를 제공하고 트랜스포트 블록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
계층2(35)는 매체 접근 제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서브 계층 및 무선 링크 제어 (RLC: Radio Link Control)서브 계층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MAC 서브 계층은 논리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RLC 서브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트랜스포트 채널을 통해 하위 계층(물리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MAC 서브 계층은 논리 채널을 적합한 트랜스포트 채널에 사상시키는 것을 담당한다.
RLC 서브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논리 채널을 통해 하위 계층(MAC 서브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RLC 서브 계층은 에러 정정, 듀플리케이트(duplicate) 검출, 암호화, 데이터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한다.
계층3(31)은 동기 무선 자원(RR: Radio Resource) 서브 계층(34), 동기 호 제어(CC)부(32) 및 이동성 관리(MM)부(33)를 포함한다. 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동기 무선 자원 서브 계층(34)은 계층3(31)의 별도 서브 계층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RR 서브 계층(34)은 하위 계층(RLC 서브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와 동기 무선망간의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control plane signalling)을 처리한다. RR 서브 계층(34)은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RR 서브 계층은 무선 자원을 사용자 장치/무선망에 할당/재구성/해제한다.
호 제어부(32)는 사용자 장치(UE)와 동기 무선망간의 계층3의 호 제어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이동성 관리부(33)는 사용자 장치(UE)와 동기 무선망간의 계층3의 이동성 관리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계층3 내지 1은(31, 35, 36)은 동기 무선망(40)의 상응 계층, 즉 계층 3 내지 1(41, 45, 46)과 통신한다.
동기 무선망(40)은 계층3(41), 계층2(45) 및 계층(46)을 포함한다. 동기 무선망(40)은 계층3(41), 계층2(45), 계층1(46)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 단말(30)의 각 계층과 동일한 계층에 대응한다.
동기 무선망(40)의 계층3 내지 1(41, 45, 46)은 동기 단말(30) 및 동기 코어망(50)의 상응 계층(31, 35, 36)(51, 55, 56)과 통신한다.
또한, 동기 코어망(50)은 계층3(51), 계층2(55), 계층1(56)로 구분되며 각각 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되고, 특히, 계층3(51)에는 호 관리를 위한 동기 호 제어(CC: Call Control)부(52), 이동성 관리를 위한 동기 이동성 관리(MM: Mobility Management)부(53) 및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동기 무선자원(RR: Radio Resource)부(5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서 동기 단말(30)은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40)으로부터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동기 채널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코어망 관련 정보나 동기 무선망 정보를 비롯한 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
즉, 동기 단말과 동기 통신 방식의 동기 무선망, 그리고 동기식 ANSI-41 망의 연동시 상기 동기 단말은 파워(power) 온(on) 후, 시스템 결정상태(System Determination Sub-state), 파일롯 채널 포착상태(Pilot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동기 채널 포착 상태(Sync Channel Acquisition Sub-state), 동기화 상태(Timing Changing Sub-state)를 통해 시스템(무선망과 코어망) 정보를 얻는다.
첨부한 도면 도6은 상기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단말에서 상기와 같은 4가지의 상태 천이를 통해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인 상태 천이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첫 번째 상태인 시스템 결정 상태(S1)는, 동기 단말이 자신이 통신을 해야 하는 CDMA 시스템을 선택하는 상태이다. 동기 단말은 파워 오프(off)하기 전에 자신의 메모리에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CDMA 채널 번호, CDMA 영역 리스트, SID(System Identification: 지역(Geographic Area such as a city, metropolitan region, country, or group of countries) 식별자임) 리스트, NID(Network Identification: 망(Network) 식별자임) 리스트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참고로, 상기 SID 및 NID는 통상적으로 한 쌍의 형식 예컨대 "{SID, NID}"으로 구성되며 이동 단말은 이 정보를 통해 망 사업자를 구분한다.
그 후 동기 단말은 파워가 온 되면, 자신의 메모리에 있는 정보와 CDMA 시스템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신이 통신할 수 있는 CDMA 시스템을 선택한다. CDMA 시스템 선택 알고리즘은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한다. 동기 단말이 CDMA 시스템을 선택한 후, 동기 단말은 파일롯을 얻기 위해 다음 상태인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S2)로 천이 한다.
상기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S2)는, 동기 단말이 파일롯 채널을 얻어서 기지국을 선택하는 상태이다. 동기 단말이 CDMA 시스템을 선택한 후, 동기 단말은 해당 CDMA 시스템과 같은 CDMA 채널 번호, 즉 CDMA 주파수 번호를 이용하여 같은 CDMA 채널 번호를 가진 파일롯을 획득하게 된다. 동기 단말이 파일롯을 획득한 후에는 다음 상태인 동기 채널 포착 상태(S3)로 천이 한다.
상기 동기 채널 포착 상태(S3)는, 동기 단말이 파일롯 채널 포착을 통하여 선택한 시스템의 정보와 타이밍 정보를 얻는 상태이다. 동기 단말이 파일롯 채널 포착 상태에서 선택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여 선택한 시스템 정보와 시스템의 타이밍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동기 채널 메시지는 시스템에서 만들어서 동기 채널을 통해 동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동기 채널 메시지에는 도7과 같은 정보 요소가 기록된다.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8비트)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8비트)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15비트)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16비트)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9비트)
f) 롱 코드 상태(Long Code State: 42비트)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36비트)
h) The number of Leap second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tart of system time: 8비트)
i) Offset of local time from System Time(6비트)
j) Daylight savings time indicator(1비트)
k)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2비트)
l) 주파수 할당 정보(Frequency assignment: 11비트)
m) 확장 주파수 할당 정보(Extended frequency assignment: 11비트)
n)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2비트)
동기 단말은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 중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a) 프로토콜 개정 레벨(Protocol Revision Level: 8비트)
b) 최소 프로토콜 개정 레벨(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8비트)
c)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cation: 15비트)
d) 망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16비트)
e) 파일롯 PN 시퀀스 오프셋 인덱스(Pilot PN sequence offset index: 9비트)
f) 롱 코드 상태 정보(Long Code State: 42비트)
g) 시스템 시간(System Time: 36비트)
h) 페이징 채널 데이터 레이트(Paging Channel data rate: 2비트)
i) 직교 전송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mode: 2비트)
이러한 과정이 완료된 후 동기 단말은 동기화 상태(S4)로 천이 한다.
상기 동기화 상태(S4)는 상기 동기 단말을 선택한 CDMA 시스템과 동기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이다. 동기 단말이 동기 채널 포착 상태에서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의 정보 요소 중에서 저장하고 있는 정보 요소를 이용하여 동기 단말이 선택한 시스템과의 동기를 일치시킨다. 이 상태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 동기 단말은 대기 모드(S5)로 동작한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동기 단말은 선택한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 한다. 즉, 대기 모드에서 동기 단말은 페이징 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 Access Channel Messag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등)를 수신한다.
도2b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부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60은 비동기 단말, 70은 비동기 무선망(UTRAN), 80은 비동기 코어망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비동기 단말(60)은 계층3(61), 계층2(65), 계층1(66)로 구분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이 구비된다. 특히, 계층3(61)은 호 관리를 위한 비동기 호 제어(CC : Call Control)부(62)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MM : Mobility Management)부(63) 및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부가 구비된다. 비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계층3(61)은 비동기 호 제어부(62) 및 비동기 이동성 관리부(63)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부와 무선 자원 제어부(64)를 포함하는 AS(Access Stratum)부로 분류된다.
또한, UTRAN(7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의 각 계층과 대응되며 비동기 코어망(80)과의 각 계층과도 대응되도록 계층3(71), 계층2(73), 계층1(74)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 비동기 무선망(70)의 계층3(71)에는 비동기 CC부(72)와 비동기 MM부(73)가 없는 것이 비동기 단말(60)의 계층구조와 다를 뿐, 그 외의 계층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비동기 코어망(80)은 상기 비동기 단말(60)과 접속하기 위한 비동기 호 제어(CC)부(82),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MM)부(83) 및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무선 자원 제어부(84)를 포함하는 계층3(81)과, 계층2(85), 계층1(86)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비동기 시스템의 계층 구조 및 기능은 동작 방식이 비동기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a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동기 시스템과 유사하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계층 구조는 3GPP TSG-RAN: 3G TS25.301: Radio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 3GPP TSG-RAN: 3G TS25.302: Services provided by the physical layer, 3GPP TSG-RAN: 3G TS25.321: 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G-RAN: 3G TS25.322: RL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G-RAN: 3G TS25.331: RRC Protocol Specification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60)은 UTRAN(7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System Information Message)를 수신하며, 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통해 코어망 관련 정보나 UTRAN 정보를 비롯한 비동기 단말이 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7b는 종래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UTRAN으로부터 비동기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들이 포함되며, 이 정보는 비동기 통신 방식의 UTRAN과 연동하는 모든 비동기 단말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1) CN 안내 정보
2) UTRAN Mobility 안내 정보
3) 그 밖의 정보들
상기 정보 중에서 비동기 단말은 CN 안내 정보 요소를 해석하며, 이를 통해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CN 도메인(domain) ID(Identity), NAS(Non-Access Stratum) 시스템 정보를 얻는다.
여기서 PLMN Identity 정보는 사업자 구분 정보로서,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로 구성되고, CN domain Identity 정보는 현재 연결된 코어망의 종류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인지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인지를 구분하는 정보이고, NAS 시스템 정보는 호 관리를 위한 비동기 호 제어(CC : Call Control)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비동기 이동성 관리(MM : Mobility Management)부에서 필요한 정보이다.
한편, 차세대 이동 통신의 일례로서, IMT-2000은 기존의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이동 통신 망 및 서비스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이를 통해 가능한 모든 이동 통신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이며, 다양한 형태의 무선 접속 및 대용량의 가입자 수용 능력을 이용하여 멀티 서비스 및 멀티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으로써 가입자에게 종합 이동 통신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아울러, 서비스 측면에서는 음성과 2Mbps까지의 전송속도를 갖는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통신 및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망 측면에서는 ATM망을 기반으로 하는 유무선 통합 시스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IMT-2000은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이나 개인휴대통신 시스템(PCS) 등에 소요된 기본기술들을 대부분 이용할 수 있지만, 새로운 시스템 개념과 각종 적응 기술, 그리고 새로운 망 기술 등이 추가로 요구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MT-2000 시스템 등과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코어망으로 비동기식에서 사용중인 GSM-MAP 망이나, 동기식에서 사용중인 ANSI-41망이 모두 연동될 수 있어야 국제적인 로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및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즉, IMT-2000 시스템은 망 전개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은 네 가지 방식의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 동기 단말 -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 ANSI-41망 연동 구조이며, 두 번째로, 동기 단말 -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 GSM-MAP망 연동 구조이고, 세 번째로, 비동기 단말 -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 ANSI-41망 연동 구조이며, 네 번째로, 비동기 단말 - 비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망 - GSM-MAP망 연동 구조이다.
도4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 연동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4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110은 동기 무선망, 120은 동기 코어망을 각각 나타내며, 상기 동기 코어망(120)은 ANSI-41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4b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이 비동기 코어망일 경우 연동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참조부호 100은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110은 동기 무선망, 130은 비동기 코어망을 각각 나타내며, 상기 비동기 코어망(130)은 GSM-MAP망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4c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식 GSM-MAP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에 접속되는 코어망으로서, 비동기식 GSM-MAP망을 포함한다.
또한, 도4d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ANSI-41 코어망 연동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4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에 접속되는 코어망으로서, 동기식 ANSI-41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네 가지의 구조에 적응적으로 동작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동기 단말 및 비동기 단말은, 종래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기 단말 및 비동기 단말과는 달리,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계층3에 GSM-MAP 코어망 서비스용 CC(Call Control), MM(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 엔티티와 ANSI-41 코어망 서비스용 CC 및 MM 프로토콜 엔티티를 모두 가진다.
도5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이다.
먼저, 도5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SI-41 코어망과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참조부호 100은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이고, 110은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무선망이며, 120은 상기 동기 무선망(110)에 접속되는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 코어망이다.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계층3(101), 계층2(107), 계층1(108)로 구분되고, 계층3(101)은 동기 CC(102), 동기 MM(103), 비동기 CC(104), 비동기 MM(105)을 모두 구비하고, 코어망 타입(코어망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ANSI-41 코어망(120)이므로, 동기 CC(102) 및 동기 MM(103)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ANSI-41 코어망(12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계층3(101)은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동기 RR(106)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동기 무선망(110)은 계층3(111), 계층2(115), 계층1(116)로 이루어져,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의 각 계층 및 ANSI-41 코어망(120)의 각 계층과 대응적으로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상기 ANSI-41 코어망(120)은, 계층3(121), 계층2(125), 계층1(126)로 구분되고, 계층3(121)은 동기 CC(122), 동기 MM(123) 및 동기 RR(124)을 구비한다.
한편,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도4b와 같이 비동기 코어망일 경우, 도5b와 같은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이고, 참조부호 110은 동기 무선망이며, 참조부호 130은 비동기 코어망이다.
이러한 연동 구조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계층3(101), 계층2(107), 계층1(108)로 구분되고, 계층3(101)은 동기 CC(102), 동기 MM(103), 비동기 CC(104), 비동기 MM(105)을 모두 구비하고, 코어망 타입(코어망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GSM-MAP 코어망(130)이므로, 비동기 CC(104) 및 비동기 MM(105)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GSM-MAP 코어망(13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계층3(101)은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동기 RR(106)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동기 무선망(110)은 계층3(111), 계층2(115), 계층1(116)로 이루어져,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의 각 계층 및 GSM-MAP 코어망(130)의 각 계층과 대응적으로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상기 GSM-MAP 코어망(130)은, 계층3(131), 계층2(135), 계층1(136)로 구분되고, 상기 계층3은 NAS(Non-Access Stratum)부와 AS(Access Stratum)부(131)로 구분될 수 있는데, NAS부는 비동기 CC(132), 비동기 MM(133)을 구비하고, AS부는 비동기 RRC(134)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5c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SI-41 코어망과 연동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과 접속되는 ANSI-41 코어망이다.
이러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0)은 계층3(211), 계층2(217), 계층1(218)로 구분되고, 상기 계층1은 동기 CC(211), 동기 MM(212), 비동기 CC(213), 비동기 MM(214)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동기 CC/MM 또는 비동기 CC/MM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ANSI-41 코어망(230)이므로, 동기 CC(211) 및 동기 MM(212)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ANSI-41 코어망(23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계층3(211)은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비동기 RRC(216)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5d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GSM-MAP 코어망과 연동하는 비동기 단말의 프로토콜 계층 구조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210은 비동기 단말이고, 220은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이고, 240은 상기 비동기 무선망인 UTRAN(220)과 접속되는 GSM-MAP 코어망이다.
이러한 프로토콜 구조에서 비동기 단말(210)은 계층3(211), 계층2(217), 계층1(218)로 구분되고, 상기 계층3(21)은 동기 CC(211), 동기 MM(212), 비동기 CC(213), 비동기 MM(214)을 모두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동기 CC/MM 또는 비동기 CC/MM의 프로토콜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망이 GSM-MAP 코어망(240)이므로, 비동기 CC(213) 및 비동기 MM(214)의 프로토콜을 활성화하여 GSM-MAP 코어망(240)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또한, 계층3(211)은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비동기 RRC(216)을 포함한다.
비동기 단말과 비동기 코어망이 통신을 할 때는 무선망의 MM부 및 CC부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MT-2000 시스템 동기/비동기 방식의 경우, 네 가지 연동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동기 단말은 현재 자신과 연결된 코어망의 종 류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동기 통신의 무선망은 동기 단말에 현재 연결된 코어망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정보는 동기 단말이 파워를 온(on)한 후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연동 구조 방식에서 동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비동기 단말은 현재 자신과 연결된 코어망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비동기 무선망은 비동기 단말에 현재 연결된 코어망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정보는 비동기 단말이 파워를 온(on)한 후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연동 구조 방식에서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수신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동기 채널 메시지를 보면(도7 참조), 단말의 동기 채널 포착 상태에서 정의된 정보(동기 코어망에 대한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으며, 코어망 종류에 대한 정보라든지 비동기 코어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코어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동기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 중 계층3에서 어느 방식(ANSI-41 또는 GSM-MAP)의 CC, MM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망과의 연동(비동기 코어망과의 연동을 뜻함)이 불가능하다. 물론,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은 동기 CC, MM으로 세팅되어 있으므로 현재 연결된 코어망이 동기 코어망일 경우에는 코어망과 연동 하는데는 별반 문제가 없다.
또한, 종래의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도 8 참조)를 보면, 단말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포착 상태에서 정의된 정보(비동기 코어망에 대한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으며, 코어망 종류에 대한 정보라든지 동기 코어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코어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비동기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프로토콜 스택 구조 중 계층3에서 어느 방식(ANSI-41 또는 GSM-MAP)의 CC, MM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없어 상기 동기 코어망과의 연동이 불가능하다. 물론,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은 비동기 CC, MM으로 세팅되어 있으므로, 현재 연결된 코어망이 비동기 코어망일 경우에 코어망과 연동 하는데는 별반 문제가 없다.
다시 말해, 현재 구현된 동기 단말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접속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동기식 망 이외의 다른 망과는 연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구현된 비동기 단말도 주지된 바와 같이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비동기식 망 이외의 다른 망과는 연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동기/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 정보 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송하여 코어망과 원활히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방법, 기지/제어국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코어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한 동기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방법, 기지/제어국(BS)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을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 Broadcast Control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한 비동기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방법, 기지/제어국(BS) 제어 방법, 및 이동단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송하여 코어망과 원활히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장치,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 및 이동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코어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한 동기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장치, 기지/제어국(BS) 제어 장치, 및 이동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을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 Broadcast Control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한 비동기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장치, 기지/제어국(BS) 제어 장치, 및 이동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송하여 코어망과 원활히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코어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동기 무선망에서 연결되는 코어망을 판별하고, 그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 Broadcast Control CHannel)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전달해주며,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서는 코어망 타입 정보로 연결된 망을 인식하고 코어망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연결되는 망과 원활히 메시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토록 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무선망과, 그에 접속되는 코어망(CN: 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 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무선망과, 상기 무선망에 접속되는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제어국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전용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과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 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망 유형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전용의 기지/제어국(BS)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을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이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이 코어망(CN)과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 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이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이 코어망(CN)과 연동되게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기능;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여 상기 코어망과 연동시키는 기능;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기지/제어국을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전용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 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및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가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되게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기지/제어국을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하도록 세팅시키는 기능;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 및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를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채널을 통해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 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해진 일정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추출된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이동 단말 장치를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단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 장치에,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기능; 인식된 코어망에 상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여 상기 코어망과 연동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특정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수신 동작 수행 중, 상기 미리 설정한 특정 채널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 중에서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 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기지/제어국을 동기 방식 전용으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과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방식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방식의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고정 설정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 및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여 전반적인 기지/제어국(BS)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를 동기 방식의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채널을 통해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해진 일정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추출된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이동 단말 장치를 동기 방식의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단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가 동기 방식의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 장치에,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기능; 인식된 코어망에 상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여 상기 코어망과 연동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비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그에 접속되는 코어망(CN: 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망과, 상기 무선망에 접속되는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제어국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비동기 방식 전용으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 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과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망 유형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전용의 기지/제어국(BS)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 한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방식의 기지/제어국(BS)을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이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방식의 기지/제어국(BS)이 코어망(CN)과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이 코어망과 연동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방식의 기지/제어국(BS)이 코어망(CN)과 연동되게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기능;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여 상기 코어망과 연동시키는 기능;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비동기 방식 전용으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및 코어망(CN)과 연동시키기 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가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되게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에,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비동기 방식 전용으로만 동작하도록 세팅시키는 기능;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 및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를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채널을 통해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해진 일정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추출된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이동 단말 장치를 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이동단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 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 장치에, 기지국 제어장치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기능; 인식된 코어망에 상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기능;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여 상기 코어망과 연동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 방법과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 방법으로 대별되며, 이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무선망"이라는 용어는 동기 또는 비동기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지국(BTS) 및 그들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국(BSC)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국의 기능들은 그 일부를 다수의 기지국에 각각 분산 배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기지국(BTS)을 통합 제어하도록 제어국(BSC)에 집중화하여 배치할 수 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지국 제어 형태들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실시예1>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인 경우,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에 접속되는 코어망의 연동 구조는 앞에서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고, 그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 구조도 앞에서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8a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을 위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일실시예 기능 블록도로서, 이는 무선망이 동기 방식이건 아니건 간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제어국(BS) 제어장치는,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기능(예컨대, core network discriminator), 및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운용보전부(813)와,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호 처리를 담당하는 호 처리부(815)와, 상기 기지/제어국 에서의 코어망 판별 및 세팅 동작을 포함한 운용보전 기능과, 코어망 정보의 전송 및 호 처리 기능 등, 상기 기지/제어국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81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제어 장치가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단말 장치에,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망(core network)과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운용보전부(813)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을 판별하는 동작은, 시스템 초기화 시, 상기 기지/제어국 제어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제공받아 접속된 망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또는 접속된 코어망과의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코어망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제어국 제어장치에 미리 저장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811) 에 구비되는 롬(ROM)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811)의 중앙처리유니트(CPU)에 연결되는 딥 스위치에 미리 설정 값을 세팅시켜 놓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어망과의 정보 교환에 이용되는 메시지는 운용 보전 관련 메시지이거나 또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호 처리부(815)가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채널은, 동기 방식의 경우 동기 채널을 이용하되, 동기 채널 메시지의 CN type 정보 필드에 삽입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는 비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코어망 타입 정보(GSM-MAP)이거나 또는 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코어망 타입 정보(ANSI-41) 중 어느 하 나이다.
반면에 비동기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CCH)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되, 시스템 안내 메시지 내의 마스터 안내 블록의 CN Type 정보 필드에 삽입하여 전송하고, 이때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도 비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코어망 타입 정보(GSM-MAP)이거나 또는 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코어망 타입 정보(ANSI-41) 중 어느 하나이다.
도8b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을 위한 단말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일실시예 기능 블록도로서, 이 또한 무선망이 동기 방식이건 아니건 간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 제어장치는, 상기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호 처리부(823)와,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운용보전부(825)와, 상기 이동단말에서의 채널 메시지 수신 및 코어망 유형 판별 동작을 포함한 호 처리 기능과, 이동 단말의 동작 방식 세팅을 포함한 운용보전 기능 등, 상기 이동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82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 제어장치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별도로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을 연동시키기 위해,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당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접속된 코어망과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그 지배적인 특징이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를 가능케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기지/제어국 및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이동 단말간의 바람직한 송수신 메시지 형태로서, 도9a 및 도9b가 제시되어 있다.
도9a는 본 발명에서 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인 경우에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이고, 도9b는 본 발명에서 동기 무선망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인 경우에,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동기 채널 메시지의 포맷도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8a에서 기지/제어국(BS) 제어장치로부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가 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정보(ANSI-41)이면, 상기 코어망 관련 정보는 P_REV(현재 시스템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임), M_P_REV(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이동 단말이 지원해야 할 최소한의 프로토콜 버전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임), SID(System IDentification, 지역 식별자임), NID(Network IDentification, 망 식별자임) 정보를 포함하고(도9b 참조),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가 비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정보 (GSM-MAP)이면, 상기 코어망 관련 정보가 PLMN ID(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fication,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되는 정보로서,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로 구성되며,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이 자신이 억세스한 시스템 의 사업자를 식별하는데 이용됨), CN 도메인 ID, NAS(Non-Access Stratum)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도 9a 참조).
첨부한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11a는 기지국(BTS) 및 제어국(BSC)을 포함한 동기 무선망(110)에서의 코어망 타입 판별 및 코어망 정보(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 전송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단계 S11에서 동기 무선망(110)내의 제어국(BSC)은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비동기식 통신 방식 코어망인지 아니면 동기식 통신 방식 코어망인지를 구분함)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시스템 초기화시 딥 스위치(운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 또는 롬(ROM: Read Only Memory)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된 망의 종류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와 운용 보전 관련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상기 거론된 방법들을 간단히 변형하여 다른 방법으로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는 상기 검출한 코어망이 동기 통신 방식인 ANSI-41 코어망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ANSI-41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15에서 검출된 코어망 종류에 대응하는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2에서 확인한 결과 검출한 코어망이 ANSI-41 코어망이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3에서 검출한 코어망이 비동기 통신 방식인 GSM-MAP 코어망인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검출한 코어망이 GSM-MAP 코어망이면 단계 S14에서 DS용 비동기 CC, 비동기 MM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단계 S15에서 검출된 코어망 종류에 대응하는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코어망 타입 정보는 검출된 코어망이 ANSI-41 코어 네트워크일 경우에는 코어망 타입 정보를 "1"로 설정하며,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가 GSM-MAP 코어 네트워크일 경우에는 코어망 타입 정보를 "0"으로 설정한다.
그런 후 단계 S16에서 상기 설정한 코어망 타입 정보 및 그 검출한 코어망 종류에 대응하는 코어망 관련 정보를 동기 채널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다.
여기서, 동기 채널 메시지는 도 9와 같은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도9a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일 경우의 동기 채널 메시지 포맷으로서, 동기 채널 메시지의 첫 번째 필드에 코어망 타입(CN Type : "0" 또는 "1")정보가 기록되고, 다음 필드부터 GSM-MAP망 관련 정보(PLMN Identity, CN Domain Identity, NAS System Information)가 기록되고, 그 다음 필드부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7a에 도시된 종래 동기 채널 메시지의 필드 내용과 동일한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일 경우의 동기 채널 메시지 포맷은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채널 메시지의 첫 번째 필드에 코어망 타입(CN Type : "0" 또는 "1") 정보가 기록되고, 다음 필드부터 ANSI-41망 정보(Protocol Revision Level(8비트), 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8비트), System Identification(15비트), Network Identification(16비트))가 기록되고, 그 다음 필드부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7a에 도시된 종래 동기 채널 메시지의 필드 내용과 동일한 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서, CN Type 정보는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망에 연결된 코어망이 ANSI-41 망인지, GSM-MAP 망인지를 표시해주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망에 연결된 코어망이 ANSI-41 코어망이면 상기 CN Type 정보는 "1",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망에 연결된 코어망이 GSM-MAP 코어망이면 상기 CN Type 정보는 "0"으로 세팅된다.
이 후 동기 무선망(110)내 제어국은 단계 S17에서 상기 CN Type 정보가 삽입된 동기 채널 메시지를 동기 채널을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로 전송해준다.
그런 후 단계 S18에서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 및 코어망과 동기 또는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 연동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도11b와 같은 흐름에 따라 접속된 코어망과의 타이밍을 일치시킨다.
즉,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파워를 온(on)한 후 단계 S21에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CDMA 채널 번호, CDMA 영역 리스트, SID 리스트, NID 리스트 등의 정보와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CDMA 시스템을 선 택한다.
그리고 단계 S22에서 상기 선택한 CDMA 시스템과 동일한 CDMA 채널 번호를 가진 파일롯 채널을 획득한다. 즉,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CDMA 시스템을 선택한 후, 해당 CDMA 시스템과 같은 CDMA 채널 번호, 다시 말해 CDMA 주파수 번호를 이용하여 같은 CDMA 채널 번호를 가진 파일롯을 획득하게 된다.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이 파일롯 채널을 획득한 후에는 단계 S23으로 이동하여 동기 채널을 포착한다. 그리고 단계 S24에서 상기 포착한 동기 채널을 통해 얻어지는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5에서 동기 채널 메시지의 정보 요소 중 코어망 타입(CN Type) 정보를 해석한다. 여기서 CN Type 정보는 접속된 코어망이 동기 통신 방식의 ANSI-41 코어망일 경우 "1"로 세팅되고, 접속된 코어망이 비동기 통신 방식의 GSM-MAP 코어망일 경우 "0"으로 세팅된다.
따라서 단계 S26에서 상기 CN Type 정보값을 검색하여, "1"인지를 확인하고, 이 확인 결과 상기 CN Type 정보값이 "1"일 경우에는 단계 S27에서 망 관련 정보 요소를 ANSI-41용으로 해석한 후 필요한 정보 요소인 SID(System Identification), NID(Network Identification), MIN_P_REV(Minimum Protocol Revision level), P_REV(Protocol Revision level)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런 후 단계 S28에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ANSI-41용 동기 CC 및 동기 MM을 선택하고, 그에 맞게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이 후 단계 S29에서 상기 선택한 시스템의 기지국과 타이밍 동기를 맞추게 된다. 그런 후 단계 S30에서 ANSI-41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아울러, 상기 단계 S26의 확인 결과 CN Type 정보값이 "1"이 아닐 경우에는 단계 S31에서 CN Type 정보값이 "0"으로 세팅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상기 CN Type 정보값이 "0"으로 세팅되어 있으면, 단계 S32에서 망 관련 정보 요소를 GSM-MAP용으로 해석한 후, 필요한 정보 요소인 PLMN ID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후 단계 S33에서 하이브리드 타입 동기 단말(100)은 GSM-MAP용 비동기 CC) 및 비동기 MM을 선택하고, 그에 맞게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그런 후 단계 S34에서 선택한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타이밍 동기를 맞추게 된다. 선택한 시스템의 기지국과 타이밍 동기를 맞춘 후에는 단계 S35에서 GSM-MAP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한다.
<실시예2>
다음으로,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인 경우,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 접속되는 코어망의 연동 구조는 앞에서 도4c 및 도4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그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 구조는 앞에서 도5c 및 도5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을 연동시키기 위해,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당 프로토콜을 세팅하여 접속된 코어망과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그 지 배적인 특징이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를 가능케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기지/제어국 및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이동 단말간의 바람직한 송수신 메시지 형태로서, 도10a 내지 도10d가 제시되어 있다.
도10a 및 10b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GSM-MAP망인 경우에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내 마스터 안내 블록의 포맷도이고, 도10c 및 10d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무선망인 UTRAN에 연결되는 코어망이 ANSI-41망인 경우에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이 수신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 내의 마스터 안내 블록의 포맷도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8b에서 기지/제어국(BS) 제어장치로부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되는 코어망 타입 정보가 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정보(ANSI-41)이면, 상기 코어망 관련 정보에 P_REV, M_P_REV, SID, NID 정보를 포함시키고(도 10c 및 10d 참조),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가 비동기식 코어망을 나타내는 정보 (GSM-MAP)이면, 상기 코어망 관련 정보에 PLMN 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도 10a 및 10b 참조).
도 12a는 상기와 같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TRAN내 제어국에서 접속되는 코어망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에게 전송해주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41에서 UTRAN내의 제어국은 접속된 망의 종류(비동기식 통신 방식 코어망인지 아니면 동기식 통신 방식 코어망인지를 구분함)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주지한 바 와 같이 시스템 초기화시 딥 스위치(운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롬(ROM)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된 코어망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와 운용 보전 관련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지한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거론된 방법들의 간단한 변형을 통해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2에서는 상기 검출한 코어망이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인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검출한 코어망이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45에서 상기 검출한 CN Type에 대응하는 코어망 타입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가 GSM-MAP 코어 네트워크이므로, CN Type 정보를 "GSM-MAP"으로 설정한다.
그런 후 단계 S46에서 상기 설정한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다.
여기서,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마스터 안내 블록(MIB)에 삽입되며, 첨부한 도면 도10a 및 10b는 상기와 같은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본 발명의 마스터 안내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10a 및 10b에서, CN 정보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는 도8에 이미 설명한 종래 시스템 안내 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CN 정보 요소 필드에는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데, 상기 단계 S42에서 판별된 코어망이 비동기식 통신 방식인 GSM-MAP 코어망이므로, 상기 CN Type 정보 필드에는 "GSM-MAP"이 기록되며, 코어망 관련 정보에는 PLMN 식별자가 기록된다.
다음으로, 단계 S47에서는 상기 마스터 안내 블록이 삽입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로 전송해주며, 단계 S48에서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 및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한다.
한편, 상기 단계 S42에서 확인한 결과 코어망 종류가 비동기식 코어망인 GSM-MAP 코어망이 아닐 경우에는, 단계 S43에서 접속된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 코어망인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접속된 코어망이 동기식 코어망인 ANSI-41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44에서 동기 방식인 동기 CC 및 동기 MM을 활성화하고, 단계 S45에서 상기 검출한 CN Type에 대응하는 코어망 타입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가 ANSI-41 코어망이므로, CN Type 정보를 "ANSI-41"로 설정한다.
그런 후 단계 S46에서 상기 설정한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다.
여기서,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마스터 안내 블록(MIB)에 삽입되며, 첨부한 도면 도10c 및 10d는 상기와 같은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본 발명의 마스터 안내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10c 및 10d에서, CN information elements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는 도8에 이미 설명한 종래 시스템 안내 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CN information elements 필드에는 CN Type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데, 상기 단계 S43에서 판별된 코어망이 동기식 통신 방식인 ANSI-41 코어망이므로, 상기 CN Type 정보 필드에는 "ANSI-41"이 기록되며, 코어망 관련 정보에는 ANSI-41 information elements가 기록된다. 여기서 ANSI-41 Information elements에는 P_REV, MIN_P_REV, SID, NID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단계 S47에서는 상기 마스터 안내 블록이 삽입된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을 통해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로 전송해주며, 단계 S48에서는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 및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BCCH를 통해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은 도12b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신의 프로토콜을 세팅하고, 코어망과 연동을 한다.
즉, 하이브리드 타입 비동기 단말은 단계 S51에서 파워를 온(on) 한 후 자신이 가지고 있는 PLMN 리스트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한 곳의 PLMN을 선택한다. 그런 후 단계 S52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PLMN에서 자신과 효율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셀(Cell)을 선택하고, 단계 S53에서는 상기 선택한 셀에서 BCCH를 통해 전송하는 도10과 같은 구조의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54에서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안내 메시지내의 마스터 안내 블 록을 추출하고, 그 마스터 안내 블록내의 CN Type 정보를 해석한다.
이후 단계 S55에서 상기 해석한 CN Type 정보가 비동기식 통신 방식인 GSM-MAP 코어망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GSM-MAP 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56에서 코어망 관련 정보 요소를 GSM용으로 해석한 후 필요한 정보 요소인 PLMN Identity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S57에서 GSM-MAP용 CC 및 MM을 선택 및 설정하고, 단계 S58에서 코어망 관련 정보 요소의 내용에 대응하게 초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59에서는 GSM-MAP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한다.
한편, 상기 단계 S55에서 확인한 결과 CN Type 정보가 "GSM-MAP" 코어망이 아닐 경우에는, 단계 S50에서 CN Type 정보가 "ANSI-41"코어망인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상기 CN Type 정보가 "ANSI-41"코어망일 경우에는, 단계 S61에서 코어망 관련 정보 요소를 ANSI-41 용으로 해석한 후, 필요한 정보 요소인 SID, NID, MIN_P_REV, P_REV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S62에서 ANSI-41용 CC, MM을 선택하고, 단계 S63에서 코어망 관련 정보 요소의 내용에 대응하게 초기화를 수행한다. 아울러 단계 S64에서는 ANSI-41 코어망과 메시지를 인터페이스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망 연동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실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의 구성 및 작용 설명에 따르면, 코어망이 GSM-MAP 망이나 ANSI-41 망 중 어느 망에 접속되더라도 동기 또는 비동기 단말이 접속된 CN Type 및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된 코어망과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국제적인 로밍이 가능해 지도록 한다.
한편, 기존 동기 무선망을 사용하는 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의 정보 요소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정보 요소(CN Type 및 코어망 관련 정보)만을 간단히 추가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시스템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 비동기 무선망을 사용하는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안내 메시지의 정보 요소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정보 요소(CN Type 및 코어망 관련 정보)만을 추가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기존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9)

  1.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무선망과, 그에 접속되는 코어망(CN: 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무선망과, 상기 무선망에 접속되는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제어국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 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전용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과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한 특정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판별된 코어망 유형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전용의 기지/제어국(BS)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장치.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하는 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특정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수신 동작 수행 중, 상기 미리 설정한 특정 채널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 중에서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방법.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 하는 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장치.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147. 삭제
  148. 삭제
  149. 삭제
  150. 삭제
  151. 삭제
  152. 삭제
  153. 삭제
  154. 삭제
  155.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비동기 방식의 무선망과, 그에 접속되는 코어망(CN: 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접속된 코어망의 유형을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방법.
  156. 삭제
  157. 삭제
  158. 삭제
  159. 삭제
  160. 삭제
  161. 삭제
  162. 삭제
  163. 삭제
  164. 삭제
  165. 삭제
  166. 삭제
  167. 삭제
  168.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기지/제어국을 포함 하는 비동기 무선망과, 상기 무선망에 접속되는 코어망(core network)을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된 코어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코어망 판별 수단(core network discriminator);
    상기 기지/제어국을, 판별된 코어망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세팅하는 수단; 및
    판별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제어국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기지/제어국 및 이동 단말 장치가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장치.
  169. 삭제
  170. 삭제
  171. 삭제
  172. 삭제
  173. 삭제
  174. 삭제
  175. 삭제
  176. 삭제
  177. 삭제
  178. 삭제
  179. 삭제
  180.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는 상기 기지/제어국을 비동기 방식 전용으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지/제어국에서, 판독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중의 미리 정한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제 4 단계;
    추출된 상기 코어망 타입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으로 상기 단말 장치를 세팅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과 코어망에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방법.
  181. 삭제
  182. 삭제
  183. 삭제
  184. 삭제
  185. 삭제
  186. 삭제
  187. 삭제
  188. 삭제
  189. 동기 및 비동기 방식으로 세팅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단말 장치를, 비동기 방식으로만 동작할 수 있는 기지/제어국(BS: Base Station) 및 코어망(CN: core network)과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고정 설정된 코어망의 타입 정보와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 단;
    초기화 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코어망 타입 정보와 코어망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판독하는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미리 설정한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코어망 유형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전용의 기지/제어국(BS)과,
    상기 기지/제어국으로부터 연동될 코어망 정보가 포함된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된 코어망 타입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추출된 상기 코어망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될 코어망의 유형을 인식하는 수단; 및
    인식된 코어망의 유형에 상응하는 동작 방식을 세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기지/제어국 및 코어망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망 연동 장치.
  190. 삭제
  191. 삭제
  192. 삭제
  193. 삭제
  194. 삭제
  195. 삭제
  196. 삭제
  197. 삭제
  198. 삭제
  199. 삭제
  200. 삭제
  201. 삭제
  202. 삭제
  203. 삭제
  204. 삭제
  205. 삭제
  206. 삭제
  207. 삭제
  208. 삭제
  209. 삭제
  210. 삭제
  211. 삭제
  212. 삭제
  213. 삭제
  214. 삭제
  215. 삭제
  216. 삭제
  217. 삭제
  218. 삭제
  219. 삭제
  220. 삭제
  221. 삭제
  222. 삭제
  223. 삭제
  224. 삭제
  225. 삭제
  226. 삭제
  227. 삭제
  228. 삭제
  229. 삭제
  230. 삭제
  231. 삭제
  232. 삭제
  233. 삭제
  234. 삭제
  235. 삭제
  236. 삭제
  237. 삭제
  238. 삭제
  239. 삭제
  240. 삭제
  241. 삭제
  242. 삭제
  243. 삭제
  244. 삭제
  245. 삭제
  246. 삭제
  247. 삭제
  248. 삭제
  249. 삭제
KR1020000044110A 1999-07-30 2000-07-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10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48 1999-07-30
KR19990031448 1999-07-30
KR19990031591 1999-07-31
KR1019990031591 1999-07-31
KR1019990034344 1999-08-19
KR19990034344 1999-08-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518A Division KR100608956B1 (ko) 1999-07-30 2005-07-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39A KR20010030039A (ko) 2001-04-16
KR100710106B1 true KR100710106B1 (ko) 2007-04-23

Family

ID=273500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10A KR100710106B1 (ko) 1999-07-30 2000-07-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50069518A KR100608956B1 (ko) 1999-07-30 2005-07-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518A KR100608956B1 (ko) 1999-07-30 2005-07-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 코어망과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8) US6741868B1 (ko)
EP (1) EP1073296A3 (ko)
JP (1) JP2001095034A (ko)
KR (2) KR100710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92B1 (ko) * 1998-10-01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분기방법
US6741868B1 (en) * 1999-07-30 2004-05-25 Curitel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695828B1 (ko) * 1999-11-26 2007-03-16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단말의 셀 선택방법
US20060068841A1 (en) * 2000-05-04 2006-03-30 Curit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KR100385136B1 (ko) * 2001-05-07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 망 연동을 위한 맵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4631226B2 (ja) * 2001-07-12 2011-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カスタマイズ方法
US7031706B2 (en) * 2001-08-21 2006-04-18 Nokia Corporation 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vailability detection
FI114276B (fi) * 2002-01-11 2004-09-15 Nokia Corp Verkkovierailun järjestäminen
EP1315389A1 (en) * 2001-11-16 2003-05-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receiver for location information
US7230936B2 (en) * 2001-12-14 2007-06-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packet transport in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66928B1 (ko) * 2001-12-29 2005-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 스텍 이동 통신 시스템
US7408917B1 (en) * 2002-02-13 2008-08-05 Lg Infocomm Usa, Inc. Enabling mobile stations of multiple configurations to sync to a CDMA system based on multiple protocol identifiers on multiple channels
US7505437B2 (en) * 2002-02-26 2009-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subscriber stations to process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JP4559213B2 (ja) * 2002-04-22 2010-10-0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155526B2 (en) * 2002-06-19 2006-12-26 Azair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parently and securely interconnecting a WLAN radio access network into a GPRS/GSM core network
US20040203753A1 (en) * 2003-01-03 2004-10-14 Rollender Douglas Harold Packet data services using a protocol that is different than a subscriber's home network GSM Protocol
SE0301027D0 (sv) 2003-04-03 2003-04-03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DE10334872A1 (de) * 2003-07-29 2005-03-10 T 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gemeinsamen Nutzung eines Funkzugangsnetzwerkes durch mehrere Mobilfunkanbieter
EP1667476A4 (en) * 2003-09-19 2011-09-07 Vodafone Plc SYSTEM FOR THE USE OF AN INTERNATIONAL ROAMING-CAPABL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305251B2 (en) * 2003-10-07 2007-12-04 Motorola Inc. Method for selecting a core network
US20050090251A1 (en) * 2003-10-07 2005-04-28 Ravi Kuchibhotla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ed network
US7561879B2 (en) * 2003-10-07 2009-07-14 Motorola, Inc. Wireless access network sharing among core networks and methods
JP4426587B2 (ja) 2003-11-19 2010-03-03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同報通信情報をwlan使用可能な無線通信機器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5086014A1 (en) * 2004-02-20 2005-09-15 Azair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parently and securely interconnecting a wlan radio access network into a gprs/gsm core network
GB0422192D0 (en) * 2004-10-06 2004-11-03 Nokia Corp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820301A4 (en) * 2004-12-09 2012-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the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in a network distribution system
US7796505B2 (en) * 2005-01-26 2010-09-14 M-Stack Limited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DE102005005254B4 (de) 2005-02-04 2007-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s,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ernnetz-Vermittlungsschicht-Einheit
US7496754B2 (en) * 2005-04-01 2009-02-24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security using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filtering with user interface
DE102005041273B4 (de) * 2005-08-31 2014-05-0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m rechnergestützten Bilden von Systeminformations-Medium-Zugriffs-Steuerungs-Protokollnachrichten, Medium-Zugriffs-Steuerungs-Einheit und Computerprogrammelement
KR101213285B1 (ko) * 2006-01-04 2012-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모드 단말기의 세션 설정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7564853B1 (en) * 2006-02-09 2009-07-21 Stoke Inter-working between UMA and SIP signaling
TWI425801B (zh) * 2006-06-19 2014-02-01 Interdigital Tech Corp 初始傳信訊息中原始用戶識別碼安全保護的方法及裝置
EP1887822B1 (en) * 2006-08-09 2013-07-24 Alcatel Lucent A method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by a mobile station
US7849041B2 (en) * 2006-09-18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Intent prediction and response employing sensing, networking, and communication among distributed devices
US8149748B2 (en) 2006-11-14 2012-04-03 Raytheon Company Wireless data networking
US7899108B2 (en) * 2006-12-28 2011-03-01 Seiko Epson Corporation Receiving apparatus, electromagnetic wave timepiece, receiving module and receiving method
KR100996085B1 (ko) * 2007-02-26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8154236A1 (en) * 2007-06-08 2008-12-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pability and core network information to support interworking between 3gpp and non-3gpp networks
WO2009002252A1 (en) * 2007-06-26 2008-12-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ell offset in telecommunication system
TWI455534B (zh) * 2007-08-06 2014-10-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Egprs-2脈衝整形方法及基地台
CN101370283B (zh) * 2007-08-13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演进网络中切换过程中非接入层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8472374B2 (en) * 2007-11-07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stinguishing between synchronized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CN101897218B (zh) * 2007-12-14 2013-12-2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网络中输送系统信息
CN102869120B (zh) 2008-06-13 2016-01-2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讯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装置
KR20100013270A (ko) * 2008-07-30 2010-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어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855636B2 (en) * 2008-10-22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selection i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8630667B2 (en) * 2009-10-23 2014-01-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ging reception in multimode wireless networks
US20160192365A1 (en) * 2014-12-29 2016-06-30 Mediatek Inc. Network control devices and methods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two communications apparatuses via multi-level signaling entities
CN107634924B (zh) * 2016-07-18 2020-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传输系统
BR112020016407A2 (pt) 2018-02-14 2020-12-15 Google Llc Comportamento de equipamento de usuário usando informações relacionadas ao acesso à célula
CN116959694B (zh) * 2023-05-30 2024-04-30 厦门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便携式移动护理记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462A (ko) * 1995-12-29 1997-07-31 정장호 Atm 교환기의 동기식 공중망 접속장치
WO1998009455A1 (en) * 1996-08-30 1998-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non-cellular private radio systems to be compatible with cellular mobile phones
KR19990043774A (ko) * 1997-11-29 1999-06-15 정선종 공중통신망 정합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이동 통신망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8809A (en) * 1990-06-14 1993-05-04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network node
FR2711468B1 (fr) * 1993-10-19 1996-01-05 Ouest Standard Telematique Sa Dispositif d'interconnexion entre deux réseaux locaux distants, et procédé d'interconnexion correspondant.
JPH07264229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仮想リング構成システム
US5729544A (en) * 1994-05-09 1998-03-17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based on message type
KR970707658A (ko) * 1995-09-12 1997-12-01 요트. 게. 아. 롤페즈 동기성 및 비동기성 데이터부 전송 시스템(Transmission system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data portions)
US5862481A (en) * 1996-04-08 1999-01-19 Northern Telecom Limited Inter-technology roaming proxy
ATE220281T1 (de) 1996-09-04 2002-07-15 Swisscom Mobile Ag Roaming-verfahren und zugehörige vorrichtungen
CA2217838C (en) * 1996-11-07 2003-07-29 At&T Corp. Wan-based voice gateway
US5896376A (en) * 1996-12-13 1999-04-20 Ericsson Inc. Optimal use of logical channe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GB2320653A (en) 1996-12-23 1998-06-24 Northern Telecom Ltd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lternative Protocols
EP0852448A1 (en) * 1997-01-02 1998-07-08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s
FI980351A (fi) * 1997-02-19 1998-08-2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lukkoradioaccessverkko sekä sijainninpäivitys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219539B1 (en) 1997-04-08 2001-04-1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rivate wireless communications
US6128490A (en) * 1997-05-08 2000-10-03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selection of operation from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multiple protocol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6295457B1 (en) * 1997-06-27 2001-09-25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 basestation with Internet gateway
EP1003699B9 (en) 1997-08-12 2004-01-0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urification of difluoromethane by extractive distillation
US6876634B1 (en) * 1997-11-26 2005-04-05 Lg Information & Communications, Ltd.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FI105763B (fi) * 1997-12-12 2000-09-29 Nokia Networks Oy Sijainninhallinta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6137806A (en) * 1997-12-22 2000-10-24 Northern Telecom Limited Intelligent network with alternate routing of signalling messages,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network
EP1066729B1 (en) * 1998-04-03 2005-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FI108103B (fi) * 1998-04-15 2001-11-15 Nokia Mobile Phones Ltd Välittäjätaso protokollasovitusten toteuttamiseksi digitaalisessa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US6389008B1 (en) * 1998-12-21 2002-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grated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interworking an ANSI-41 network and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FI106830B (fi) 1998-06-16 2001-04-12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viestinnän ohjaukseen ja viestintäjärjestelmä
US6594238B1 (en) * 1998-06-19 2003-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a connection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505044B1 (en) * 1998-09-24 2003-01-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Indicator in the mobility management (MM) procedures to specify the procedure type executed in the core network (CN) entities
CN1210944C (zh) * 1998-10-02 2005-07-13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防止梯形失真的方法和装置
US6594242B1 (en) * 1999-01-14 2003-07-15 Ericsson, Inc. Broadcasting of two generation cellular system control channel information over a three generation control channel to support roaming and handover to two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CN1208987C (zh) * 1999-02-26 2005-06-2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异步码分多址基站和同步码分多址基站之间越区切换的方法
US7778641B1 (en) 1999-04-06 2010-08-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system handover—generic handover mechanism
AU4024900A (en) 1999-04-06 2000-10-23 Spike Broadband Systems, Inc. Point-to-multipoint two-w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41868B1 (en) * 1999-07-30 2004-05-25 Curitel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A2383366C (en) * 1999-08-23 2006-12-19 Motorola, Inc. Domain selecting system and method
JP4291946B2 (ja) * 1999-10-21 2009-07-08 ユーティースターコム コリア リミテッド 非同期移動通信システム
JP3630629B2 (ja) * 1999-10-28 2005-03-16 ユーティースターコム コリア リミテッド 非同期移動通信システム
US6347901B1 (en) * 1999-11-01 2002-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der interconnect techniques
US6490451B1 (en) * 1999-12-17 2002-12-03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switched telephony
US6753907B1 (en) * 1999-12-23 2004-06-22 Justsyste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US6700669B1 (en) * 2000-01-28 2004-03-02 Zheng J. Geng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imaging using light pattern having multiple sub-patterns
JP4666808B2 (ja) * 2000-07-27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6520647B2 (en) * 2000-08-17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for projectors with arbitrary orientation
US6704000B2 (en) * 2000-11-15 2004-03-09 Blue Iris Technologies Method for remote computer operation via a wireless optical device
US6431711B1 (en) * 2000-12-06 2002-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surface display projector with interactive input capability
US7142860B2 (en) * 2001-03-30 2006-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cell/interface selection in mixed networks
US7352913B2 (en) * 2001-06-12 2008-04-01 Silicon Optix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multiple axis displacement distortion
US6974217B2 (en) * 2002-03-20 2005-12-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executing keystone correction
EP1385335B1 (en) * 2002-07-23 2009-04-22 NEC Display Solutions, Ltd. Image projector with image-feedback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462A (ko) * 1995-12-29 1997-07-31 정장호 Atm 교환기의 동기식 공중망 접속장치
WO1998009455A1 (en) * 1996-08-30 1998-03-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non-cellular private radio systems to be compatible with cellular mobile phones
KR19990043774A (ko) * 1997-11-29 1999-06-15 정선종 공중통신망 정합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이동 통신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4645A1 (en) 2018-05-03
KR100608956B1 (ko) 2006-08-08
US7505783B2 (en) 2009-03-17
KR20050090957A (ko) 2005-09-14
US6741868B1 (en) 2004-05-25
US20130225187A1 (en) 2013-08-29
US20040190501A1 (en) 2004-09-30
US7203514B2 (en) 2007-04-10
US20140313977A1 (en) 2014-10-23
US20040198424A1 (en) 2004-10-07
US20050009559A1 (en) 2005-01-13
US7110788B2 (en) 2006-09-19
US20080318570A1 (en) 2008-12-25
US20070104178A1 (en) 2007-05-10
US8285325B2 (en) 2012-10-09
US20040192377A1 (en) 2004-09-30
US20060245396A1 (en) 2006-11-02
US20160242075A1 (en) 2016-08-18
US20170156082A1 (en) 2017-06-01
US20040198423A1 (en) 2004-10-07
US20120329453A1 (en) 2012-12-27
US20040213163A1 (en) 2004-10-28
EP1073296A2 (en) 2001-01-31
JP2001095034A (ja) 2001-04-06
US20040213164A1 (en) 2004-10-28
KR20010030039A (ko) 2001-04-16
EP1073296A3 (en) 2001-05-09
US20040196851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10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950419B1 (en) Method for interfacing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t least one core network
US678227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26421C (zh) 在第三代控制信道上广播第二代蜂窝系统控制信道信息以支持到第二代蜂窝网络的漫游和切换
US65744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on a network
US91488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handoff with target traffic channel setup conveyed via source channel
JP2009112018A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上位層におけるシステム情報交換方法及びwlanの自動システム選択方法
JP4603049B2 (ja) モバイルノードによって、選択された通信サービスを実施するために通信するネットワーク部分の選択を容易にする装置および関連方法
US20080064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lecting cell in portable terminal
US6952583B1 (en) Method for processing synchronous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42581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전환 방법
CN100407855C (zh) 一种cdma系统中终端选择网络的方法
US6904281B2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network domain and interworking with the same in IMT-2000 system
US20060068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10017931A (ko) 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무선망과 연결되는 망 인터페이스 방법
KR100680073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어망 연동방법
KR1005529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