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902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902B1
KR100552902B1 KR1020020069912A KR20020069912A KR100552902B1 KR 100552902 B1 KR100552902 B1 KR 100552902B1 KR 1020020069912 A KR1020020069912 A KR 1020020069912A KR 20020069912 A KR20020069912 A KR 20020069912A KR 100552902 B1 KR100552902 B1 KR 10055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ision number
protocol revision
access channel
wireless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839A (ko
Inventor
옥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6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9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낮은 버전의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억세스 채널의 캡슐 크기에 적합하게 억세스 채널의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호 접속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는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에 있어서, 무선망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그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입력 송신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무선망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고주파 처리부와; 고주파 처리부로부터의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비교하여 작은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프로토콜 개정번호에 따라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하여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구성하며 고주파 처리부로 송신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보다 작은 경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특정치를 뺀 값과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 중 작은 값을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ATTING ACCESS CHANNEL OF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형성되는 순방향 채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형성되는 역방향 채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 억세스 채널 슬롯의 구성을, 도 6b는 억세스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BTS) 20 : 기지국 제어기(BSC)
30 : 교환기(MSC) 40 : 이동 통신 단말기
50 : 셀 영역 60 :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61 : 고주파(RF) 처리부 62 : 제어부
64 : 전원부 65 : 메모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메시지를 무선망에서 지원하는 최대 캡슐 크기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영상 등의 서비스가 가능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및 화상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CDMA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무선 통신을 하는 기지국(BTS; 10)과, 기지국(10)과 유/무선 통신을 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20)와, 기지국 제어기(20)와 유선 통신을 하는 교환기(MSC; 30)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기지국(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가입자에게 통화 서비스를 포함하여 데이터, 영상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10)은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셀(Cell) 영역(50)을 지정하고, 자신의 셀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무선 프로토콜, 예를 들면 IS-95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10)은 자신의 셀 영역(50)에 위치하고 있던 이동 통신 단말기(40)가 이동하여 수신 전력이 약해지는 경우 기지국 제어기(20)로 핸드 오버(Hand Over)를 요청한다.
기지국 제어기(20)는 기지국(10)을 제어하고, 기지국(10)과 교환기(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20)는 기지국(10)의 요청에 의한 핸드 오버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30)는 기지국 제어기들(20)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공중전화망과 접속하여 유선 단말기와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러한 CDMA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기지국(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접속하게 된다. 기지국(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40)로 순방향 링크를 통해 파일롯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통화 채널, 전력제어 채널을 전송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으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억세스 채널 및 통화 채널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기지국(10)으로부터의 파일롯 채널에 동기를 맞추고, 동기 채널을 통해 시스템을 포착하여 시스템 시간을 맞춘 후 페이징 채널을 탐색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동기 채널은 프로토콜 개정번호(이하, P_REV라 함),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식별자, 현재의 시스템 시간, 호출 채널의 데이터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페이징 채널을 탐색하여 최종 통화가 확정되면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하게 된다. 여기서, 페이징 채널은 호출 메시지, 핸드 오버 메시지, 특정 단말기 제어 메시지, 통화 채널 할당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억세스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10)과 통화를 시도한다. 다시 말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억세스 채널을 통해 통화 시도를 위한 발신, 응답, 명령 및 등록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기지국(10)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프로토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IS-95A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 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S-95B, IS-95C 규격 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IS-95 규격에서 망의 발전정도를 나타내는 P_REV를 살펴보면, P_REV 1~3은 IS-95A 규격에, P_REV 4~5는 IS-95B 규격에, 그리고 P_REV 6이상은 IS-95C 규격에 해당한다. 이러한 IS-95망의 P_REV는 메세지 채널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IS-95A는 억세스 채널의 최대 캡슐 크기(이하, MAX_CAP_SZ라 함)를 '1'로 정의하여 해당 무선망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억세스 채널의 메시지들을 무리없이 전송한다. 이와 달리, 무선망이 IS-95B 규격으로 발전한 경우 억세스 채널에 추가되는 필드들에 의해 억세스 채널의 MAX_CAP_SZ가 '2'로 증가되어야 효과적으로 억세스 채널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여, IS-95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억세스 채널 캡슐 크기는 P_REV에 따라 결정된 억세스 채널 메세지의 크기에 따라 변하게 된다.
한편, 현재 개설된 IS-95B 망은 IS-95A에서 IS-95C로 발전해 가는 짧은 과도기를 갖음에 따라 IS-95B 규격의 기능을 완전하게 지원하지 못하고 일부 기능, 예를 들면 IS-95A 규격에 MDR 기능만을 지원하는 불완전한 망으로 개설되게 되었다. 이렇게 IS-95B 망은 불완전하게 개설되었으나 MDR 서비스를 위하여 P_REV로는 완전한 IS-95B에 해당하는 '4~5'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IS-95B 단말기는 그 IS-95B 망의 P_REV만을 체크하여 MDR를 추가로 서비스하고 있으나, 개설된 IS-95B망은 불완전함에 따라 기타 다른 기능들을 IS-95A 규격의 형태로 진행하기 위하여 액세스 채널의 MAX_CAP_SZ로는 '2'가 아닌 '1'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IS-95C 규격으로 발전된 단말기는 이전 규격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망의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채널을 통해 수신된 P_REV를 확인하여 억세스 채널의 MAX_CAP_SZ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IS-95C 단말기가 IS-95B망에 들어가면 그 망의 P_REV '5'로 인하여 IS-95B 망이 불완전한 망임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IS-95B망으로 인식함으로써 억세스 메시지를 완전한 IS-95B망에 해당되는 MAX_CAP_SZ '2'에 합당하도록 구성하여 호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불완전한 IS-95B 망은 억세스 채널의 MAX_CAP_SZ로 '1'을 지원하게 되므로 IS-95C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채널을 통해 송신된 억세스 메시지가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IS-95C 단말기가 IS-95B망에서는 호 접속율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억세스 채널의 메시지는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 착 신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 등록 메시지(Registration Message) 등 많은 메시지들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발신 메시지와 착신응답 메시지가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짐에 따라 상기와 같이 IS-95B망에서 IS-95A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메시지가 손실되는 경우 등록 메시지부터 손실되기 쉬우며, 이 경우 등록을 위한 억세스가 실패하게 되므로 등록 억세스 실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낮은 버전의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억세스 채널의 캡슐 크기에 적합하게 억세스 채널의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호 접속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된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고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를 통해 수신되어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로토콜 개정번호에 따라 상기 억세스 채널의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최대 캡슐 크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주파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소정의 특정치를 뺀 차이값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포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소정의 특정치를 뺀 차이값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 중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나 제 4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토콜 개정번호에 따라 상기 억세스 채널의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최대 캡슐 크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변환 장치(60)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62)가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변환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변환 장치(60)는 무선신호 송수신을 위한 고주파(이하, RF라 함) 처리부(61)와, RF 처리부(61)와 접속된 제어부(62)와, 제어부(62)와 접속된 전원부(64) 및 메모리(65)를 구비한다.
RF 처리부(61)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망 및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2) 및 음성처리부(도시하지 않음)로 공급하고, 제어부(62) 및 음성처리부로부터의 공급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 및 무선망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RF 처리부(61)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링 크인 파일롯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통화 채널, 전력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2) 및 음성처리부로 공급한다. 또한, RF 처리부(61)는 제어부(62) 및 음성처리부로부터의 공급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역방향 링크인 억세스 채널, 통화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특히, RF 처리부(61)는 동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망 P_REV를 복조하여 제어부(62)로 공급하고, 제어부(62)로부터 공급된 억세스 메시지를 변조하여 무선 신호로 송신하게 된다.
메모리(6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P_REV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65)는 전원부(64)가 오프되더라도 그 저장 내용이 소거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소거가가능한 PROM(EEPROM)으로 구성된다.
제어부(62)는 RF 처리부(61)에서 공급되는 시스템 정보에 응답하여 동기를 맞추고 시스템을 포착한 후 페이징 채널을 통해 통화가 확정되면 통화가 수행되게 한다. 이 경우, 제어부(62)는 전력제어 채널 및 RF 처리부(6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제어 정보에 응답하여 전원부(64)의 제어함으로써 단말기의 송수신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2)는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채널을 경유하여 RF 처리부(61)를 통해 공급된 무선망 P_REV를 메모리(65)에 저장된 단말기 P_REV(Mob_P_REV)와 비교하고 작은 값을 선택하여 억세스 채널 메시지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불완전하게 개설된 IS-95B망을 감안하여 무선망 P_REV가 "6" 보다 작은 경우는 그 무선망 P_REV에서 "2"를 뺀 값과 단말기 P_REV(Mob_P_REV)를 비교하고 작은 값을 선택하여 억세스 채널 메시지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62)는 수신된 무선망 P_REV가 "6" 보다 작고 단말기 P_REV(Mob_P_REV) 보다 작은 경우 억세스 채널을 IS-95A의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62)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을 상세히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제어부(62)는 단계 12(S12)에서 RF 처리부(61)를 통해 무선망 P_REV를 수신한 다음, 단계 14(S14)에서 수신된 무선망 P_REV가 "6" 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별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61)는 상기 단계 14(S14)에서 수신된 무선망 P_REV를 이용하여 무선망 프로토콜이 1S-95C 이상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이 14단계(S14)에서 무선망 P_REV가 "6"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61)는 무선망 프로토콜이 IS-95C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된 P_REV와 메모리(65)에 저장된 단말기 P_REV(Mob_P_REV) 중 작은 P_REV를 억세스 채널의 크기를 결정하는 P_REV로 선택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61)는 수신된 무선망 P_REV가 "6"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단계 16(S16)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망에서 지원하는 무선 프로토콜 중 낮은 버전에 해당하는 P_REV를 억세스 채널의 크기를 결정하는 P_REV로 선택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14단계(S14)에서 수신된 무선망 P_REV가 "6"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61)는 단계 18(S18)에서 수신된 무선망 P_REV에서 "2"를 뺀 값(P_REV- 2)과 메모리(65)에 저장된 단말기의 P_REV(Mob_P_REV) 중 작은 값을 억세스 채널의 크기를 결정하는 P_REV로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망 P_REV에서 "2"를 빼는 이유는 현재 개설되어 있는 IS-95B망이 모두 불완전한 망임을 감안한 것으로, 해당 무선망이 불완전한 IS-95B망인 경우, 즉 수신된 무선망의 P_REV가 "4~5"인 경우 제어부(62)는 억세스 채널을 IS-95B 형태가 아닌 IS-95A 형태로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현재 개설된 IS-95B망이 IS-95A망에 MDR만을 지원하는 불완전한 망으로 그 MDR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기타 기능들을 IS-95A 규격의 형태로 진행하기 위하여 억세스 채널의 MAX_CAP_SZ로는 "2"가 아닌 "1"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 제어부(62)는 단계 20(S20)으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16(S16) 또는 단계 18에서 선택된 최소 P_REV(IN_USE P_REV)에 따라 MAX_CAP_SZ를 결정한 다음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2)는 단계 22(S22)에서 상기 단계 20(S20)에서 구성된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포함하는 억세스 프로브, 즉 억세스 슬롯을 RF 처리부(61) 및 억세스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어부(62)에서 구성하는 억세스 채널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억세스 슬롯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MAX_CAP_SZ)+(1+PAM_SZ)개의 억세스 채널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PAM_SZ는 억세스 채널의 프리애블 사이즈(Preamble size)를 의미한다. 따라서, 억세스 채널의 1 슬롯은 프레임으로 표시된 시스템 시간을 modulo(4+MAX_CAP_SZ+PAM_SZ)한 값이 된다. 도 6a는 MAX_CAP_SZ=0, PAM_SZ=1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라 억세스 채널의 1 슬롯은 5개의 억세스 채널 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억세스 슬롯의 이전 슬롯은 20ms기간을 갖는 2개의 억세스 채널 프레임이 할당된 프리앰블(Preamble)과 3개의 억세스 채널 프레임이 할당된 MAX_CAP_SZ에 대한 정보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억세스 채널 슬롯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PAM_SZ개의 프레임이 할당된 억세스 채널 프리앰블(Access Channel Preamble)과 3+MAX_CAP_SZ개의 프레임이 할당된 억세스 채널 메시지 캡슐(Access Channel Message Capsule)로 구성된다.
여기서, 억세스 채널 메시지 캡슐(Access Channel Message Capsule)은 억세스 채널 메시지(Access Channel Message)와 패딩(Padding)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억세스 채널 메시지 캡슐은 억세스 채널 프레임의 정수배로 나타나며, 그의 크기(CAP_SZ)는 {(8+메시지 몸체(Message Body) 길이 + 30)/88} 보다 큰 정수로서 3+MAX_CAP_SZ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패딩은 메시지의 몸체 길이에 따라서 변하며 그의 길이는 88CAP_SZ-(8+메시지 몸체 길이+30)로 정의된다. 그리고, 억세스 채널 메시지는 다시 옥텟(즉, Byte) 단위로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MSG_LENGTH 필드, 메지시 몸체 필드, 그리고 에러 정정 코드(CRC) 필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은 단말기가 무선망 프로토콜의 규격과 단말기 프로토콜의 규격 중 낮은 버전의 프로토콜에 알맞는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구성하여 호를 시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은 단말기의 프로토콜 규격이 IS-95C이고 무선망의 프로토콜 규격이 IS-95B인 경우 단말기가 억세 스 채널 메시지를 IS-95A의 형태로 구성하게 한다. 이에 따라, IS-95C 단말기가 불완전한 IS-95B망에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구성한 억세스 채널 메시지가 MAX_CAP_SZ로 "1"을 지원하는 IS-95B망에 적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은 메시지 손실없이 호 접속 성공율을 높임과 아울러 등록을 위한 억세스 실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낮은 버전의 무선망에서 호를 시도하는 경우 그 무선망에서 지원하는 MAX_CAP_SZ에 적합한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구성하여 종래와 같은 억세스 채널 메시지의 손실없이 호 접속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등록 억세스 실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은 IS-95C 단말기가 IS-95B망에서 억세스 채널의 메시지를 IS-95A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억세스 채널 메시지의 손실없이 호 접속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등록 억세스 실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된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고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를 통해 수신되어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로토콜 개정번호에 따라 상기 억세스 채널의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최대 캡슐 크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주파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소정의 특정치를 뺀 차이값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 및 상기 억세스 채널의 포맷에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일부기능만을 지원하는 IS-95B 규격에 해당되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IS-95C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IS-95B망에서 지원하는 IS-95A 형태의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작은 경우, 그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적어도 상기 소정의 특정치 "2"를 뺀 차이값을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비교하여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작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치 "2"를 뺀 차이값에 따라 상기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6. 무선망의 억세스 채널을 통해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포콜 개정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작은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소정의 특정치를 뺀 차이값과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 중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나 제 4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토콜 개정번호에 따라 상기 억세스 채널의 최대 캡슐 크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최대 캡슐 크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억세스 채널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단계에서,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일부기능만을 지원하는 IS-95B 규격에 해당되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IS-95C 규격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IS-95B 무선망에서 지원하는 IS-95A 프로토콜 개정번호를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작은 경우 그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적어도 상기 소정의 특정치 "2"를 뺀 값을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와 비교하여 작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작고, 상기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개정번호가 상기 소정의 특정 프로토콜 개정번호 "6" 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망 프로토콜 개정번호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치 "2"를 뺀 값을 상기 최대 캡슐 크기의 결정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개정번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방법.
KR1020020069912A 2002-11-12 2002-11-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KR10055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12A KR100552902B1 (ko) 2002-11-12 2002-11-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12A KR100552902B1 (ko) 2002-11-12 2002-11-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39A KR20040041839A (ko) 2004-05-20
KR100552902B1 true KR100552902B1 (ko) 2006-02-22

Family

ID=3733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12A KR100552902B1 (ko) 2002-11-12 2002-11-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9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6980A (ja) * 2000-04-28 2002-01-18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交換機とiwf部との間のe1チャネル割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26451A (ko) * 2000-04-07 2002-04-10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다수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소프트 핸드 오프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34533A (ko) * 2000-11-02 2002-05-09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is-95b 관련 메시지 디버깅 방법
KR20020089553A (ko) * 2001-05-23 2002-11-2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채널 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451A (ko) * 2000-04-07 2002-04-10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다수의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소프트 핸드 오프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016980A (ja) * 2000-04-28 2002-01-18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交換機とiwf部との間のe1チャネル割当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34533A (ko) * 2000-11-02 2002-05-09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is-95b 관련 메시지 디버깅 방법
KR20020089553A (ko) * 2001-05-23 2002-11-2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채널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39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552B1 (en) Group transmission in a packet radio network
KR100437866B1 (ko) 단문서비스메시지처리방법및셀룰러전화시스템
KR10071010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기지/제어국을코어망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54373B1 (ko) 이동통신방법, 이동교환국, 무선기지국 및 이동국
US20030016648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fast control traffic
CN107306386B (zh) 接入点触发终端漫游的方法及接入点
JP2002521912A5 (ko)
JP5397114B2 (ja)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WO1995021492A2 (en) Packet data in an analog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JP2006514519A (ja) 隣接セルサーチウィンドウの拡張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12017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保存されたサービスパラメータの同期化
JP200123108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暗号化番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WO2005094114A1 (en) Alternative network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36474A (ko) 개선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732561B1 (ko) 이동국이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정 레벨에 기반하여이동국의 개정 레벨을 적응시킬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
US6697637B1 (en) Method for ESN rebinding when a TMSI is assigned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US69042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42581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전환 방법
KR20010019462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코어망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60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통한 이동국 등록시스템 및 방법
KR1005529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억세스 채널 포맷 장치 및 방법
EP2348759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CN101873653A (zh) 一种小区重定向的方法和系统
JP2000209644A (ja) 無線通信用複合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