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476B1 -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 Google Patents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476B1
KR100709476B1 KR1020050108322A KR20050108322A KR100709476B1 KR 100709476 B1 KR100709476 B1 KR 100709476B1 KR 1020050108322 A KR1020050108322 A KR 1020050108322A KR 20050108322 A KR20050108322 A KR 20050108322A KR 100709476 B1 KR100709476 B1 KR 10070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nglish
assigned
letters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용
Original Assignee
문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용 filed Critical 문성용
Priority to KR102005010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영문자판을 모바일기기에 적합하도록 재배열한 것
(2) 발명의 목적
휴대폰 문자서비스에서, 한글에 비해 영문이 매우 불편하다는 것과 실재 영어권에서도 문자 사용도가 낮다. 이를 위해 기존 영문알파벳에 한글의 원리를 적용하여 실용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한다.
(3) 발명의 구성
다음의 원칙을 기준으로 새롭게 배열했다.
첫째, 한글처럼 영문을 자음 모음으로 나누어 언어의 체계를 갖춘다.
둘째, 기존의 순서보단 사용성이 많고 적음에 근거하여 각 알파벳의 우선순위를 둔다.
셋째, 각 알파벳 사이에서 서로 자주 겹치는 것을 조사한다. 그래서 같은 버튼을 두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한다.
넷째, 가운데 있는 5번 키의 사용 빈도수를 늘이고 자음을 좌측, 모음을 우측에 위치하여 효율적인 동선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다섯째, 한글의 쌍 자음 개념인 "DOUBLE"키를 추가한다.
여섯째, 모바일 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와 약어 기호 등을 고려한다.
(4) 발명의 효과
타자수가 평균 3-40%, 최대 60% 이상 줄었다.
양손으로 타자가 가능하며 손의 움직임이 간결해졌다.
한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 한글을 홍보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을 설명하면 좌측은 기존 알파벳 순서의 배열이고, 우측은 본 발명인 자음 모음 기준의 새로운 배열이다.
Figure 112005065152716-pat00001
자음, 모음, 알파벳, 모바일, 문자판, 동선, 타자수, 약어, DOUBLE키

Description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English Keypad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상에서 사용되는 기존 영문의 알파벳 순서를 모바일기기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배열한 것으로, 우리 한글이 갖고 있는 장점을 영문에 적용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파벳순서는 오랫동안 써왔을 뿐이지 모바일이라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없다. 타자기의 자판이 알파벳순서가 아닌 사용성을 기준으로 재배열되었든 기존의 알파벳의 순서를 사용하기보다 그것에 적합한 새로운 배열이 필요하다. 실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되는 나라에서도 문자서비스의 사용성이 우리나라에 비해 떨어진다. 반면 같은 표음문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글의 사용성은 대단하다. 특히 10대 청소년들은 직접 통화하기 보다 문자를 더 이용할 정도이고 타자 속도도 빠르다. 각종 매체에서도 다양한 문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한글은 한국을 넘어서면 쓸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전 세계인의 언어인 영문 알파벳에 한글의 원리를 적용시고 그 사용성을 늘리고자 한다.
우선 기존 알파벳순서의 문제점을 조사했다.
첫째, 알파벳은 자음과 모음에 대한 구분 없이 섞여 있다. A B C 모음-자음-자음, D E F 자음-모음-자음 등 이런 식으로 섞여 있어 사용에 불편을 준다. 그 예로 MOON 이란 4개로 된 단어를 쓰기 위해 6번 키를 무려 9회, 별도의 NAVIGATION키를 3회, 총 12회 눌러야 한다. 그 외에도 RIGHT 라는 단어를 쓰려면 키패드를 총 12회 눌러야 한다. 음절의 단위를 모음을 기준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자음과 모음의 분류가 없어서 이런 불편함을 가져온다.
둘째, 한 키에 있는 알파벳 간에 연관성이 없다. 한글은 모양과 음이 잘 연결되어 있어 인지하기가 쉽지만 영문은 각각의 모양과 성격이 다르다. 또 기존의 알파벳순서로 할 경우 오히려 사용성이 많은 단어인 S 나 O 가 마지막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사용성이 적은 M 이나 J 가 앞에 위치하여 효율적이지 못하다.
셋째. 한글은 쌍자음이라는 기능이 있지만 영문에는 이것이 없다. 오히려 영문에선 쌍자음뿐 아니라 쌍모음도 많이 쓰이지만 이에 대한 배려가 없다. CC FF II LL OO PP RR SS TT UU 등 그 종류도 많고 사용성도 많다. 예를 들어 OFF 라는 3개의 단어를 쓰기 위해선 무려 10회 눌러야 한다. 특히 이 경우 F 를 3번 키만 무려 6회 눌러야 하는데 같은 키를 여러 번 누를 경우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주고 실질적으로 잦은 실수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넷째, "5번" 키의 사용성이 떨어진다. 5번 키는 키패드에서 가장 가운데 있어서 동선에 있어 가장 유용한 키임에도 J K 등 상대적으로 많이 안 쓰이는 알파벳이 자리잡아 손이 움직이는 동선을 방해하고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글 문자판이 활발히 사용됨을 주목하고 영문의 한글화라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 기존 알파벳순서의 배열(좌측)과 자음 모음기준의 배열인 본 발명(우측) -
Figure 112005065152716-pat00002
위 그림의 좌측은 기존의 알파벳 순서로 대부분의 휴대폰 제조사들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림의 우측은 본 발명으로서 영문을 한글의 원리를 이용해 새롭게 배열한 방식이다.
이렇게 배열하게 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법으로 영문을 한글처럼 자음 모음의 시스템으로 나눈다.
영어의 모음은 A E I O U 다섯 개다. 또 W Y J는 비록 자음이나 모음의 성격을 지녔고 한글을 기준으로 할 때 이중모음의 역할이 되기에 모음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좌측은 자음 우측은 모음으로 한다.
둘째 방법으로 빈도수 많은 단어를 조사한다. 모바일의 문자는 특수하게도 문어체이면서 구어체의 성격을 지녔다. 그래서 자주 쓰이는 문어체와 구어체를 조사해서 우선순위를 정한다. 우선순위에 따라서 키에 가장 처음 들어갈 문자를 정한다. 그 결과 자음 - T H L N G S 모음 - O U E A 으로 정해졌다.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자 - B X V J Q Z 는 마지막 3번째에 위치시킨다. 나머지 단어는 2번째에 위치시킨다.
셋째 방법은 나누어진 알파벳끼리 서로 자주 겹쳐 쓰이는 것을 찾고 분류한다. 예를 들어 통계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되며 겹치는 것이 T 와 H 이다. 그래서 T 와 H 가 떨어져 있되 바로 옆에 위치시켜 동선을 간소화한다. 모음 또한 마찬가지로 YOU 라는 단어처럼 O 와 U 가 자주 겹쳐 쓰이므로 마찬가지로 바로 이웃해서 위치시킨 다.
넷째 방법은 H의 위치를 가운데 "5번" 키에 위치시킨다. H 가 영어에선 매우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TH- 로 시작되는 단어도 많고, WH- 의문문 SH- 로 시작하는 단어, RIGHT 처럼 -GHT로 끝나는 단어가 조사결과 상당히 많이 쓰여 지고 있다. H를 가운데 위치함으로 해서 효율적인 동선을 기대할 수 있다.
다섯번째 방법은 한글의 쌍자음처럼 DOUBLE 키를 사용한다. 영문에 있어서 한 문자를 두 번 쓰는 경우가 한글보다 더 자주 나타난다. 그것은 영어의 모음을 겨우 5개로 표현해야 하기에 나타난 결과이며 자음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문법적인 이유로 많이 쓰인다. CC FF II LL OO PP RR SS TT UU, 그 중 LL과 TT는 상당히 많이 쓰인다. 이 DOUBLE 키가 적용됨으로서 불필요한 타자수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이란 환경이 속도가 중요하다 보니 영문에서 자주 쓰게 되는 부호나 약어가 중요시 된다. "?" 마크는 어조의 핵심을 두기에 중앙 5번 키에 위치시켰고, ' 마크는 일상영어에서 줄임 표시 혹은 문법에서의 소유격을 위한 기호로 자주 쓰인다. 특히 모음자리를 대신해서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3번키에 위치 시켰다. Z 같은 경우 일상영어에서 사용성이 가장 떨어지나 모바일 상에서 약어로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PLEASE 를 약어로 PLZ 로 줄여 쓰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래서 Z를 1번 기에 위치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문자판의 장점을 영문에 적용시켜 그 결과 타수가 기존에 비해 상당히 줄었다. 물론 특정단어는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쓰여 지는 표현들을 기준으로 할 때 평균 3 - 40 %, 최대 60% 이상까지 타수가 줄어든다. 또 동선에 있어서도 필요 없는 동선을 줄이고, 한 키를 여러 번 눌렀을 때 일어나는 심리적인 불안감과 실질적으로 쉽게 발생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좌측은 자음 우측은 모음이기 때문에 양손으로 사용할 때 더욱 편하다. 한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기에 외국인에게 한글에 대한 우수성을 홍보할 수도 있다.
아래 표는 기존 문자판과 새로운 문자판의 타자수를 토대로 실험해본 결과를 보여준다.
일반 단어 실험 결과
단어 기존 문자판 누른 횟수 새로운 문자판 누른 횟수 감소율
TODAY 9 6 33%
SUCCESS 24 8 67%
EASY 10 5 50%
NEED 9 4 56%
FULL 12 5 58%
MORNING 16 10 38%
MOON 12 5 58%
MONTH 11 6 45%
YOU 8 4 50%
WISH 10 6 40%
JUST 8 5 38%
THERE 10 6 40%
일반 문장 실험 결과
문장 기존 문자판 누른 횟수 새로운 문자판 누른 횟수 감소율
YOU NEVER KNOW 31 20 35%
I'M SO TIRED OF IT 36 23 36%
DON'T EVEN THINK ABOUT IT 47 30 36%
IT'S NOT WORKING WELL 43 27 37%
IT'S GETTING WORSE 36 22 39%
WE CAN MAKE IT ON TIME 38 30 21%
I CAN'T STAND IT ANYMORE 43 29 33%
WHAT A RELIEF! 25 17 32%
YOU MAKE ME HAPPY 29 23 21%
I WAS SO EMBARRASSED 47 25 47%
휴대폰에 자주 쓰는 단어와 약어 실험 결과
단어 기존 문자판 누른 횟수 새로운 문자판 누른 횟수 감소율
EASY 10 5 50%
EZ 6 4 33%
COUSE 14 6 57%
COZ 10 6 40%
LOVE 11 6 45%
LUV 9 5 44%
BUSINESS 24 10 58%
BIZ 9 7 22%
I LOVE YOU 24 14 42%
I LUV U 16 10 38%
I SEE 13 6 54%
I C 6 4 33%
YOUR 11 6 45%
UR 5 3 40%
LIGHT 12 6 50%
LITE 9 5 44%
TOMORROW 21 11 48%
2MORO 12 7 42%
위의 표를 통해 기존 문자판이 얼마나 불편한지 알 수 있다. 글자수가 4-5개인 단어를 쓰기 위해 기존 문자판은 그것의 두배인 10회 이상을 눌러야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1-2회 정도 추가될 뿐이다. 그 예로 SUCCESS라는 7개 글자로 된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기존 문자판은 3배 이상인 24회 눌러야 하나, 본 발명은 1회 추가된 8회만 누르면 된다.

Claims (3)

  1. 제1키 내지 제12키의 12개의 키들이 배열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숫자, 기호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적인 휴대폰의 자판에 있어서,
    제1키에는 영문자 'T','K','J'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2키에는 영문자 'S','R'과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3키에는 영문자 'O','I'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4키에는 영문자 'L','F','X'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5키에는 영문자 'H','M'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6키에는 영문자 'U','Y'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7키에는 영문자 'N','P','V'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8키에는 영문자 'G','C','Q'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9키에는 영문자 'E','W'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10키에는 바로 전에 눌렀던 숫자, 기호 또는 문자를 반복 입력시키는 기능키가 할당되고,
    제11키에는 영문자 'D','B'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고,
    제12키에는 영문자 'A','J'와 기호 '/'가 순서대로 할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자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 내지 제12키의 12개의 키는 4행 3열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제1키는 1행 1열에, 제2키는 1행 2열에, 제3키는 1행 3열에, 제4키는 2행 1열에, 제5키는 2행 2열에, 제6키는 2행 3열에, 제7키는 3행 1열에, 제8키는 3행 2열에, 제9키는 3행 3열에, 제10키는 4행 1열에, 제11키는 4행 2열에, 제12키는 4행 3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자판.
  3. 삭제
KR1020050108322A 2005-11-12 2005-11-12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KR10070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322A KR100709476B1 (ko) 2005-11-12 2005-11-12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322A KR100709476B1 (ko) 2005-11-12 2005-11-12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476B1 true KR100709476B1 (ko) 2007-04-18

Family

ID=3818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322A KR100709476B1 (ko) 2005-11-12 2005-11-12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4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433A (ko) * 1999-01-08 2000-08-05 박성찬 전화기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20030043532A (ko) * 2001-11-28 2003-06-02 박성환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433A (ko) * 1999-01-08 2000-08-05 박성찬 전화기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20030043532A (ko) * 2001-11-28 2003-06-02 박성환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343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キー入力方法
WO1998033110A1 (fr) Clavier
KR20080094360A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5619563A (en) Mnemonic number dialing plan
JP2002222037A (ja) キー入力装置
KR100709476B1 (ko) 휴대폰에 적합한 영문 자판
KR100446553B1 (ko)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3130693B2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JP2002140149A (ja) 携帯電話及び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キー配列及び文字入力方法
KR20010060266A (ko) 문자입력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50459B1 (ko) 키 입력 방법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CN101533307A (zh) 一种汉字输入方法、键盘及应用该键盘的终端
JP3072312U (ja)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KR101402478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0927167B1 (ko)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KR20000036948A (ko) 12키의 한글 문자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