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274B1 -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 Google Patents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274B1
KR100709274B1 KR1020040110499A KR20040110499A KR100709274B1 KR 100709274 B1 KR100709274 B1 KR 100709274B1 KR 1020040110499 A KR1020040110499 A KR 1020040110499A KR 20040110499 A KR20040110499 A KR 20040110499A KR 100709274 B1 KR100709274 B1 KR 10070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index
management area
road network
p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981A (ko
Inventor
배해영
이재동
오영환
김경배
김명근
박순영
김호석
장용일
유병섭
어상훈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11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2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인 망 구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을 공유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색인, 과거 위치에 대한 색인 및 현재 위치의 갱신으로 발생하는 가까운 과거 위치에 대한 생성 및 처리 기능을 통합한 색인으로, 이동체의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과거 위치까지 함께 지원하기 때문에 기존 이동체 색인의 문제점인 이동체의 현재 및 과거 위치 검색시 별도의 계산 과정이 필요했던 점을 해결하며, 또한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을 통합하였으므로 색인을 별도로 유지하는 것 보다 색인의 공간적인 비용 및 갱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체 색인, 도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Description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A UNIFIED INDEX OF MOVING OBJECTS IN ROAD NETWORKS}
도 1은 종래 현재 위치 색인인 IMORS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IMORS의 갱신 과정을 나타낸 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에지 기반 및 라우트 기반 망 구조도.
도 4는 종래 과거 위치 색인인 MON-Tree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망 구조 색인 영역의 단말 노드 엔트리 구조도.
도 7은 도 5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구조도.
도 8은 도 5의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구조도.
도 9는 도 5의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에서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으로의 과거 위치 정보 삽입을 나타낸 도.
도 10은 도 5의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11은 도 5의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의 데이터가 갖는 속성을 나타낸 도 .
도 12는 본 발명에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실제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삽입 질의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검색 질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5는 이동체의 과거 영역의 데이터가 갖는 속성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 120 :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
130 :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
140 :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 150 :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
본 발명은 이동체의 색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인 망 구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을 공유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색인, 과거 위치에 대한 색인 및 현재 위치의 갱신으로 발생하는 가까운 과거 위치에 대한 생성 및 처리 기능을 통합한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과 측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s)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이동체(Moving Objects)의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이동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동체 색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체 색인들은 물류 및 차량 관리, 응급 서비스 등 실세계에 응용이 많이 되는 제한된 망 구조(도로, 철도 선로 등)를 따라 움직이는 이동체에 관한 고려가 없기 때문에 제한된 망 구조 기반 이동체를 위한 색인들이 제안되었다.
제한된 망 구조 즉,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한 이동체는 이동 영역이 망 구조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기존의 색인을 이용하는 것보다 공간 활용도 및 성능을 향상시킨 색인들이 제안되었으며, 크게 현재 위치 색인과 과거 위치 색인으로 분류된다.
현재 위치 색인은 망 구조를 색인으로 미리 구축해 놓고 이 색인의 단말 노드에 대응되는 블록에 이동체를 저장하여 이동체 갱신시 색인에 갱신되는 부분을 줄여 전체 갱신 비용을 줄인 IMORS(Indexing Moving Objects on Road Sectors)가 있으며, 과거 위치 색인은 제한된 망 구조에 기반한 이동체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동체 색인에 비해 공간 활용도 및 검색 성능의 향상을 이룬 MON-Tree(Moving Objects in Networks Tree)가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색인인 IMORS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처리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해 동적인 부분(이동체 갱신 시 바뀌는 부분)을 줄이는 목적으로 제한된 망 구조를 이용하였다.
색인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크게 정적인 부분과 동적인 부분으로 나뉜다. 정적인 부분은 망 구조 데이터(S1 ~ SM)를 라인 세그먼트로 쪼개어 R*-Tree에 저장한 부분이고, 동적인 부분은 R*-Tree의 단말 노드 엔트리에 대응되는 로드 섹터 블록(Road Sector Blocks)으로, 이 블록에 이동체 데이터 블록(Data Blocks for Moving Objects)에 해당하는 이동체를 가리키는 포인터(a ~ d)를 저장한다.
이 색인은 도 2의 번호 순서대로 갱신을 수행한다.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이동체 데이터 블록에 해당하는 이동체를 검색한다. ② 대응되는 이동체의 위치(x, y)를 갱신한다. ③로드 섹터 블록에 대응되는 이동체를 찾아서 갱신되는 이동체가 갱신되기 이전의 라인 세그먼트를 벗어나는지 판별한다. 만약 이동체의 위치가 갱신되기 이전의 라인 세그먼트를 벗어난다면 다음 ④, ⑤, ⑥ 과정을 수행한다. ④망 구조를 저장하고 있는 R*-Tree에서 이동체가 삽입될 로드 섹터 블록의 위치를 검색한다. ⑤갱신되기 이전의 이동체를 로드 섹터 블록에서 삭제하고 새로운 위치의 로드 섹터 블록에 삽입한다. ⑥새로운 로드 섹터 블록의 이동체 위치에 대한 포인터를 이동체 데이터 블록안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에 반영한다.
이러한 이동체 갱신 정책은 망 구조가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점과 이동체가 대응되는 라인 세그먼트를 벗어날 때에만 망 구조 색인의 검색 비용이 든다는 점을 통해 이동체 갱신 시에 발생하는 I/O 부하를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과거 위치 색인인 MON-Tree은 상기 현재 위치 색인인 IMORS와 마찬가지로 제한된 망 구조를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망 구조 데이터를 에지 기반인 도 3a 또는 라우트 기반인 도 3b로 저장한다.
색인의 구조는 도 4와 같이 탑(Top) R-Tree 하나와 다수의 바틈(Bottom) R-Tree로 이루어진다. 탑 R-Tree에 망 구조 데이터를 폴리라인의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로 저장하고, 각각의 단말 노드 엔트리에 대응되는 바틈 R-Tree에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이동체의 위치 정보는 폴리라인의 길이를 기반으로 양자화된 값인 포지션 인터벌 <p1, p2> (p1 0, p2 1) 및, 시간 범위 <t1, t2>가 들어간다. 또한 이 색인은 도 4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polyid, bottreept>로 구성된 해시 구조를 통해 대응되는 바틈 R-Tree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polyid는 폴리라인의 id이며, bottreept는 바틈 R-Tree를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실제 폴리라인 데이터는 별도의 자료로 저장한다.
이동체 삽입 연산은 moid(이동체의 id)와 polyid를 필요로 한다. 먼저 알고리즘은 해시 구조에서 대응되는 폴리라인을 찾는다. 폴리라인은 해당되는 polyid를 갖고 있다. 만약 폴리라인이 대응되는 바틈 R-Tree에 없으면 새로운 색인을 생성하고, 바틈 R-Tree에 MBR이 들어간다. 바틈 R-Tree의 포인터는 해시 구조에 저장된다. 이제 포지션 인터벌 p = <p1, p2>를 대응되는 폴리라인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그런 후에 <p1, p2, t1, t2>를 바틈 R-Tree에 삽입한다.
이러한 이동체의 삽입은 제한된 망 구조를 이용함으로 생길 수 있는 다수의 바틈 R-Tree의 생성을 막고, 양자화된 포지션 인터벌을 통해 기존의 3차원(시작 위치의 x, y 좌표, 끝 위치의 x, y 좌표, 시작 시간, 끝 시간) 이동체를 2차원(시작 위치, 끝 위치, 시작 시간, 끝 시간) 이동체로 바꾸어 저장하므로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이동체를 저장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두 색인은 도로 네트워크를 정적인 부분으로 분류, 별도의 색인으로 구축하여 관리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재 및 과거 위치 색인을 통합한 색인을 구축하여 관리하면 정적인 부분에 대한 공간 절약을 이룰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이동체 색인은 시간 도메인에 따라 구분되어 있고, 실제 응용에서 이는 불필요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체의 과거위치를 표현하는 선분과 현재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시간에 대한 선형함수를 통합하여 하나의 색인에 유지함으로써 색인을 별도로 유지할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드 탐색 및 부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 색인이 제안되었다(전희철, 안성우, 김진덕, 홍봉희,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 현재 및 미래위치 질의를 위한 통합 색인. 정보과학회 2003년 추계학술대회, VOL. 30 NO. 2-2 121-123 2003. 10.).
그러나 이는 기존의 2차원 평면상의 이동체를 대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도로 네트워크에 기반한 이동체 색인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인 도로 네트워크를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을 공유하여 색인 유지 비용을 줄이고 현재 및 과거 위치 질의에 대해 불필요한 노드 탐색 비용도 감소시켜서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는, 도로 네트워크를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저장하는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부터 과거 위치까지의 정보를 폴리라인 단위로 바꾸어 생성 및 임시 저장하는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 상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에서 생성된 과거 위치 정보를 색인화하여 저장하는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 실제 이동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서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은 정적인 부분인 R*-Tree를 공유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따로 관리 하는 것에 비해 불필요한 노드 탐색 비용 및 색인 저장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또한 현재 및 과거 위치 색인을 통합함으로써 과거 위치 정보 생성 또한 이 색인에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현재 위치 정보는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관리하지만, 과거 위치 정보는 폴리라인 단위로 관리한다. 이는 과거 위치 정보를 폴리라인으로 저장함으로써 색인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줄이고, 이동체의 갱신 시 I/O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크게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110 : R*-Tree),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 : Line Sector Blocks),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 : Near Past Blocks),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 : 2D R-Tree),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150 : Data Block for Moving Objects)으로 구성되며, S1-S7은 라인 세그먼트 단위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이며, P1-P3은 폴리라인 단위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이다.
상기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110)은 이동체의 위치 갱신 및 검색에 사용되는 것으로, 망 구조 데이터 즉,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라인 세그먼트로 나누어 R*-Tree에 구축한다. R*-Tree는 공간 객체의 겹침을 최소화하여 공간 검색 성능을 높이는 색인으로, 검색에 주로 사용되고 한 번 구축이 되면 거의 바뀌지 않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적합한 색인이다.
이 색인의 단말 노드에 들어가는 데이터 엔트리의 구조는 도 6과 같다. line_id는 라인 세그먼트의 식별자로, 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을 해시 연산을 통해 찾을 수 있다. MBR은 라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최소 사각형을 이루는 두 점의 좌표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direction은 라인 세그먼트의 방향을 나타낸다. 라인 세그먼트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direction = 0)으로, 또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 방향(direction = 1)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갱신 및 검색을 위한 구성 요소로, 여기에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의 구조는 도 7과 같다.
이는 디스크 페이지 단위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저장되는 포인터는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1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를 가리키는데, 여기서도 서로 양방향으로 참조가 가능하도록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이는 갱신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하나의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은 page_id(페이지 번호), line_id(대응되는 라인 세그먼트의 id), poly_id(대응되는 폴리라인의 id), MBR, direction, mo_count(저장된 이동체의 개수), nextpage_id(다음 페이지 번호)로 구성된 헤더와 다수의 이동체 위치 데이터(mo_id, x, y : mo_id는 이동체의 식별자)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은 이동체의 현재부터 과거 까지의 갱신 및 검색 시에 사용되며, 과거 위치 색인 영역에 저장하기 위한 버퍼영역으로 활용되며, 이의 구조는 도 8과 같다.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은 현재부터 가까운 과거까지의 이동체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으로부터 mo_id, position_interval, time_interval로 구성하여 저장하는데, 여기서 position_interval은 대응되는 폴리라인의 길이를 기반으로 0부터 1까지의 실수형 데이터로 변경한 값이다.
헤더 정보에는 page_id(페이지 번호) 및 poly_id(대응되는 폴리라인의 id), idx_id(대응되는 2D R-Tree의 id)와 mo_count(저장된 이동체의 개수), nextpage_id(다음 페이지를 가리키는 링크), time_interval(이 블록에 저장된 전체 시간 범위)를 가지고 있다.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의 특징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부터 가까운 과거 위치까지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체 갱신이 부하를 줄이는 데 있다. 변환 과정에서 이동체의 위치 정보는 폴리라인 단위의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데, 이는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분리되어 있는 이동체 위치 정보를 더 큰 범위의 데이터인 폴리라인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2D R-Tree를 줄이기 위함이다. 생성 방법은 위상 정보를 이용한 보간법을 이용한다.
이동체의 과거 위치 정보는 계속해서 생성되는 대용량 데이터이며, 삭제가 없이 계속 축적되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과거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은 이동체의 현재부터 가까운 과거 위치까지의 정보를 마치 버퍼 영역처럼 저장하고 있다가 블록의 용량 또는 시간 범위에 따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갱신의 부하를 줄인다.
도 9와 같이, P1, P6 블록의 용량이 설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하거나 P5 블록의 시간 범위가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경우 이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의 과거 위치 데이터들을 대응되는 과거 위치 색인에 삽입하고 블록의 내용은 삭제한다.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의 구조는 이동체의 과거 위치를 위한 색인으로 기존의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색인인 R-Tree구조와 동일하며, 색인 자신과 대응되는 폴리라인의 id를 가지고 있다. 이는 폴리라인의 개수만큼 생성되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의 과거 위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단말 노드 데이터의 엔트리 구조는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의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mo_id, position_interval, time_interval로 구성된다.
이 색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 10과 같은 형태이다. 이는 position interval 값이 0부터 1까지로 제한되어 있고 시간은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150)은 일반적인 데이터 베이스의 테이블과 같으며, 실제 이동체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이동체 데이터들은 이동체에 대한 상세 정보인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부가적인 정보로는 이동체가 버스일 경우 운수회사, 버스번호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이동체 데이터가 갖는 속성은 도 11과 같다. mo_id는 이동체 데이터의 식별자이며 (x, y)는 이동체 데이터의 현재 위치 좌표 값이다. LSB_pointer는 Line Sector Block 내의 이동체 위치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페이지 번호와 페이지 내의 위치 값으로 이루어진다. time은 시간 값이다. 마지막으로, attributes는 기타 속성 필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실제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한다(도 12). 이는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나뉘어져 구축되어 있는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110),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에서 폴리라인 단위로 구축되어 있는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공간 좌표를 갖고 있는 검색 질의를 폴리라인 단위의 검색 질의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용인 질의 처리 부분은 크게 삽입 질의와 검색 질의로 나뉜다.
먼저, 삽입 질의 처리 과정은 도 13과 같이, 새롭게 수신된 이동 객체의 위치정보가 들어오게 되면 이동 객체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갱신하고(S101) 갱신되기 이전의 위치 데이터를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으로부터 과거 위치 정보(140)로 이동 및 저장한다(S102). 새롭게 입력된 이동체의 현재 위치정보는 현재 위치 관리 영역으로 저장되기 전에 대응되는 관리영역의 폴리라인 위에 포함되도록 위치정보를 수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위치정보와 가장 가까운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을 도로 네트워크 색인으로부터 검색한다. 이후 이동체의 현재 위치 정보는 현재 위치 관리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폴리라인들과 대조하여 가장 가까운 폴리라인으로 위치값을 수정한다(S103-S104).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은 이전 위치값과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도 15의 형태를 갖는 과거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전 값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begin_position과 begin_time 값으로 설정되며, 현재 위치 값이 end_position과 end_time이 된다. 이렇게 생성된 과거 위치 정보는 일정량이 되면 디스크 기반의 색인인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할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위치 관리영역에 더 이상의 저장 공간이 없어 오버플로우가 생기게 되면 가까운 과거위치 관리영역의 일부를 과거위치 관리영역에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삭제하여 공간을 확보한 후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102-S108).
라인 세그먼트 단위인 현재 위치 정보를 과거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폴리라인 단위의 값으로 바꾸기 때문에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저장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의 저장 공간을 줄인다.
또한, 메인 메모리 기반인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에 과거 위치 정보를 모았다가 갱신하므로, 디스크 I/O 비용을 감소시킨다.
검색 질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질의는 범위 질의(Range Query)이다. 이는 시간 범위 및 공간 범위를 인자로 받고, 이동체를 결과로 받는 질의로, 예는 다음과 같다. “시간 범위 (t1, t2)사이에 공간 범위 (x1, y1, x2, y2) 사이를 지난 이동체를 구하라”.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은 둘 다 공간 범위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110)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위치 및 과거 위 치 질의 뿐만 아니라 현재부터 과거 시점까지의 질의도 한번의 과정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질의 처리 과정은 도 14와 같다.
먼저,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110)에서 공간 범위 (x1, y1, x2, y2)에 대응되는 라인 세크먼트를 찾은 후, 이에 해당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을 찾는다. 시간 범위에 따라 검색 범위가 제한되는데, 현재 위치 검색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120)에서, 과거 위치 정보는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130),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140), 또는 둘 다 검색을 처리한다. 이러한 처리 방법을 통하여, 불필요한 노드 순회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 및 과거 위치 색인의 공통된 부분인 도로 네트워크를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을 공유하여 색인 유지 비용을 줄이며, 현재 및 과거 위치 질의에 대해 불필요한 노드 탐색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과거 및 현재 위치 색인을 통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과거 위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Claims (8)

  1. 도로 네트워크를 라인 세그먼트 단위로 저장하는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부터 과거 위치까지의 정보를 폴리라인 단위로 바꾸어 생성 및 임시 저장하는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
    상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에서 생성된 과거 위치 정보를 색인화하여 저장하는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 및
    실제 이동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네트워크 색인 영역의 단말 노드에 들어가는 데이터 엔트리의 구조는 라인 세그먼트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을 해시 연산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은
    디스크 페이지 단위의 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 관리 영역은
    과거 위치 정보 생성을 폴리라인 단위로 하기 위한 상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의 포인터를 추가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에서 폴리라인 단위로의 변환은 위상 정보를 이용한 보간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가까운 과거 위치 관리 영역은
    이동체의 현재부터 가까운 과거 위치까지의 정보를 버퍼 영역처럼 저장하고 있다가 블록의 용량 또는 시간 범위에 따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갱신의 부하를 줄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과거 위치 관리 영역은
    색인 자신과 대응되는 폴리라인의 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데이터 저장 영역은
    이동체에 대한 상세 정보인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40110499A 2004-12-22 2004-12-22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KR10070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99A KR100709274B1 (ko) 2004-12-22 2004-12-22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499A KR100709274B1 (ko) 2004-12-22 2004-12-22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81A KR20060071981A (ko) 2006-06-27
KR100709274B1 true KR100709274B1 (ko) 2007-04-19

Family

ID=3716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499A KR100709274B1 (ko) 2004-12-22 2004-12-22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2888B2 (en) 2013-04-29 2017-09-05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uting location of safe exit for moving range query in road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352B1 (ko) * 2008-04-14 2010-06-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궤적 데이터의 인덱싱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02646070B (zh) * 2012-02-29 2014-10-22 武汉大学 一种基于区域的时空轨迹数据存储方法
KR101409672B1 (ko) * 2012-10-11 2014-06-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분할-트리 중첩 루프 조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A (ja) * 1987-12-29 1990-01-05 Canon Inc X線用マスクとそれを用いた露光方法
JPH07218281A (ja) * 1994-02-07 1995-08-18 Japan Radio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40092082A (ko) * 2003-04-24 2004-11-03 홍봉희 무선 인터넷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시공간 색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A (ja) * 1987-12-29 1990-01-05 Canon Inc X線用マスクとそれを用いた露光方法
JPH07218281A (ja) * 1994-02-07 1995-08-18 Japan Radio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40092082A (ko) * 2003-04-24 2004-11-03 홍봉희 무선 인터넷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시공간 색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한국정보과학회2003.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2888B2 (en) 2013-04-29 2017-09-05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uting location of safe exit for moving range query in roa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81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shimura et al. MD-HBase: A scalable multi-dimensional data infrastructure for location aware services
CN100523735C (zh) 一种基于小网格路网组织结构的快速地图匹配方法
Tao et al. The mv3r-tree: A spatio-temporal access method for timestamp and interval queries
Du et al. The optimal-location query
CN102289466B (zh) 一种基于区域覆盖的k近邻查询方法
KR100650389B1 (ko) 2차원 구조의 시분할 이동 객체 인덱싱 시스템 및 방법
CN101324896B (zh) 一种矢量数据的存储方法、查询方法和管理系统
CN102419752B (zh) 一种工业数据库报文存储方法
CN101799783A (zh) 一种数据存储处理方法、查找方法及其装置
CN103678520A (zh) 一种基于云计算的多维区间查询方法及其系统
CN104899297A (zh) 具有存储感知的混合索引结构
CN104111924A (zh) 一种数据库系统
Li et al. Trajmesa: A distributed nosql-based trajectory data management system
CN107741982A (zh) 一种坐标与行政区域匹配系统及方法
CN112395288B (zh) 基于希尔伯特曲线的r树索引合并更新方法、装置及介质
Du et al. Spatio-temporal data index model of moving objects on fixed networks using hbase
CN105095371A (zh) 时序图的图数据管理方法及其装置
KR100709274B1 (ko)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체의 통합 색인 구조
Yin et al. Efficient trajectory compression and range query processing
Sasikala et al. Uncertain data prediction on dynamic road network
CN108628969A (zh) 一种空间关键字索引方法及平台、存储介质
Francis et al. A scalable constraint-based Q-hash indexing for moving objects
CN105354310A (zh) 基于MapReduce的地图瓦片存储布局优化方法
Song et al. Managing frequent updates in R-trees for update-intensive applications
CN116010677B (zh) 空间索引方法、装置及其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