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333B1 -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333B1
KR100708333B1 KR1020060020611A KR20060020611A KR100708333B1 KR 100708333 B1 KR100708333 B1 KR 100708333B1 KR 1020060020611 A KR1020060020611 A KR 1020060020611A KR 20060020611 A KR20060020611 A KR 20060020611A KR 100708333 B1 KR100708333 B1 KR 10070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ntrol
electrical signal
uni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최성철
윤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철, 윤경호 filed Critical 최성철
Priority to KR102006002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333B1/ko
Priority to US11/638,403 priority patent/US200702059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동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에는 리모콘에 구비된 임의의 키가 입력됨으로써 발생되는 임의의 적외선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일 때마다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에 의해서, 모든 적외선 신호의 입력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기존에 구비하고 있던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리모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격 동작 장치

Description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mote oper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회로도.
도 4는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 전송포맷의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가 조명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가 조명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원격 동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정의 리모콘으로 부터 발생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가 조명등일 경우에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조도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전자기기가 선풍기일 경우에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기기 예컨대, 백열등 및 형광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조명등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켜야 한다.
다시 말하면, 전기를 이용하여 실내나 실외의 장소를 조명하는 조명등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고, 전원 스위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이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조명등의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원 스위치는 해당하는 조명등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거나 출입문의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사무실 또는 가정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명등 각각에 해당되는 전원스위치의 조작으로 그들의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RF(Radio Frequency) 무선 제어는 해당 조명등에 대한 고유의 리모콘이 필요하게 되고, 회로 구성상 부품이 많이 소료되어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대와 같이 각각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들이 다수개 필요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해당 리모콘을 찾기 어려워지고, 분실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기기의 무선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제어도 상기 RF 무선제어와 같이 고유의 리모콘이 필요하고, 해당 리모콘을 분실하는 경우에는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삼파장 램프(Compact Fluorscent Light Bulb)등 안정기(ballast)가 있는 조명기구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형광램프에서 나오는 적외선 신호 및 안정기 회로에서 나오는 전자파 및 시동전압의 최고치가 매우 높아서 제품이 오동작되거나 고장이 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리모콘으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소정의 전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신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이미 존재하는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가되는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에는 리모콘에 구비된 임의의 키가 입력됨으로써 발생되는 임의의 적외선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일 때마다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는 다수의 키가 구비된 리모콘이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리모콘의 임의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마다 동일한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동작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구소켓이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 상기 조명등에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 상기 소켓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신감도 조절부; 및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리 설정되는 스위칭부 가 형성된 회로기판;이 포함되고,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을 통해 상기 수신부가 노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임의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에는 임의의 리모콘으로부터 임의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적외선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제어부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전압이 소정의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해서, 모든 적외선 신호의 입력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기존에 구비하고 있던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리모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100)에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전원 공급부(120)와,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30)와,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고, 이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전압이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부(1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수신부(130)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달리 설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30)는 입력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제어포맷으로 구성된 신호를 정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가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경우에, 상기 전기적 신호에는 전자기기의 전원의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변경, 조도변경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값인 제어신호 출력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 출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파형 포맷인 제어신호 전송포맷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30)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전송포맷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노이즈를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전송포맷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소정의 전송포맷으로 이루어진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에 적외선 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하여, 리모콘을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적외선 신호 장치(100)가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리모콘에 의해 발생된 모든 적외선 신호가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전달된 모든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40)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가 어떠한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에 있던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40)와 연결된 소정의 전자기기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보다 상세히, 임의의 리모콘에는 다수의 키가 구비되는데 어떠한 키가 입력되어 임의의 적외선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신부(130)는 이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어부(110)는 임의의 적외선 신호가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정해진 시퀀스(sequence)대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는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조절하 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임의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한다.
즉, 사용자는 집안이나 사무실에 준비된 임의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회로도이고, 도 4는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 전송포맷의 일례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부(130)와,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신호를 스위칭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로 스위칭신호를 출력하여 전자기기(예컨대, 조명등)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140)와,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Vcc)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전원 공급부(120)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소정의 리모콘을 조작하는 경우에 리모콘 내의 구동회로를 통해 소정 주파수의 적외선 신호가 출력되고, 리모콘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는 상기 수신부(130)에서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131)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32)와, 전기적 신호의 양을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AGC,133)와,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POST AMP,133)와, 상기 자동 이득 제어 회로(133)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 회로 컨트롤부(AGC control, 134)와, 소정의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oscillator,135)와, 상기 증폭기(133)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중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로 구성된 필터(137)와,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포맷형태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포맷 디텍터(138)와, 전기적 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포맷 정류기(13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맷 디텍터(138)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가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소정 형태의 포맷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상기 포맷 정류기(139)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정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시된 제어신호 전송포맷의 메인부는 Leader + Custom 16bit + Data 16bit +stop bit의 총 33bit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eader와 Bit 0과 Bit 1의 시간길이 및 Custom과 Data의 구성내역에 따라서 수많은 제어신호 전송포맷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어신호 전송포맷에 따라 제어 대상이 되는 전자기기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맷 정류기(139)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상세히, 상기 수신부(130)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110)의 P0.0으로 신호를 보내고, P0.2에서 트라이악(TRIAC)의 게이트단으로 소정의 트리거(trigger)전류를 인가시키면, 스위칭 소자인 상기 트라이악(TRIAC)이 오프상태에서 도통(turn on)상태로 전환되면서 소정의 전원이 전자기기 예컨대, 조명등으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조명등의 전원이 온(on)된다.
그리고,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리모콘의 소정 키를 입력함에 따라 발생된 적외선 신호는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다시 수신된다.
그리고, 적외선 신호는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110)의 P0.0으로 보내지고, P0.2에서 트라이악(TRIAC)의 게이트단으로 소정의 트리거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트라이악(TRIAC)에 의해 조명등으로 다시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트라이악(TRIAC)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등의 조도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읽어들이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되는 경우에 상기 조명등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전원 공급부(120)는 다수의 저항(R1,R2,R3,R4), 다이오드(D1,D3), 제너 다이오드(D2,D4) 및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것은 일반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가 조명등에 사용되는 경우 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가 조명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100)가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는 전구(300)와 조명등(200)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에는 상기 전구(300)의 전구소켓(310)과 결합되기 위한 소켓 결합부(153)와, 상기 조명등(200)의 커넥터(210)와 결합되기 위한 커넥터 결합부(15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소켓 결합부(153)에는 상기 전구소켓(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결합부(152)에는 상기 커넥터(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에는 리모콘(4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수신감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수신감도 조절부(150)와,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진 수신감도 조절창(151)과,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 내측에 형성되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131)가 포함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는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가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에 의해 노출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는 적외선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는 재료 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를 회전시켜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가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을 통해 노출되는 정도가 매우 작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400)이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으로 정확히 조준된 후에 적외선 신호가 송출되어야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에 의한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가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을 통해 노출되는 정도가 매우 크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400)이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으로 정확히 조준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에 의한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에 의한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의 노출정도는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 및 조명등(200)의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리모콘(400)이 TV 리모콘이고,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가 TV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151)을 통해 포토 다이오드(131)가 노출되는 정도가 매우 작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모콘(400)이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로 정확히 조준되는 경우에만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가 동작되므로, 상기 리모콘(400)의 조작에 의해 TV의 동작이 제어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400)에는 파워버튼(410)과, 채널 업/다운 버튼(430)과, 볼륨 업/다운 버튼(431)과, 확인버튼(420) 및 옵션 설정버튼(440)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TV의 전원이 온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확인버튼(420)이나 옵션 설정버튼(440)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리모콘(400)에 구비된 소정의 메뉴 입력버튼(미도시)이 눌려진 상태 즉, 메뉴 입력 모드인 경우에 상기 확인버튼(420)이나 옵션 설정버튼(440)의 입력이 가능한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150)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110), 구동전원 전압부(120), 수신부(130) 및 스위칭부(140)가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전원 전압부(120)로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커넥터 결합부(152)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210)를 통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소켓 결합부(153) 및 전구소켓(310)을 통해 상기 전구(300)로 인가된다. 특히, 상기 스위칭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구(300)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조도는 달라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131)는 다양한 종류의 리모콘의 임의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출력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 및 상기 원격 동작 장치(100)와 연결된 소정의 전자기기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7은 상기 원격 동작 장치가 조명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리모콘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방출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고(S100), 수신된 적외선 신호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고, 상기 스위칭부(140)에 연결된 조명등의 전원이 온(on)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판단결과, 조명등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조명등의 조도가 현재 최대단계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20).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에는 소정 단계들로 이루어진 조명등의 전압 테이블(또는 조도 테이블)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를 카운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스위칭부(140)에 연결된 조명등의 조도가 이미 최대 단계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0'이 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등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S130).
한편,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되었을 때, 상기 조명등의 조도가 기설정된 최대 단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140)에 통해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더 증가시킨다(S140).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조명등의 조도가 상승하게 된다.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되었을 때, 상기 조명등의 전원이 온(on)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즉,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소정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등의 전원이 온되도록 한다(S150). 이때,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레벨은 기 설정된 조도 테이블중에서 가장 낮은 단계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등이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스위칭부(140)에 소정의 모터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어부(110)(즉,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한 PWM(Pulse Width Modulation)인 것이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해서, 어두운 곳에서 스위치를 찾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실내 조명등이 출입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퇴실시 스위치를 끄고 나와야 하는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정에서 취침 전 TV를 끄고 잘 경우, 조명 스위치를 끄기 위해 일어서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적외선 신호의 입력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기존에 구비하고 있던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리모콘 구입 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리모콘에 구비된 임의의 키가 입력됨으로써 발생되는 임의의 적외선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일 때마다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소정의 전구소켓 및 전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구의 온(on)/오프(off) 여부 및 전구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0'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 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소정 형태의 제어포맷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포맷 디텍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소정 형태의 제어포맷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6. 다수의 키가 구비된 리모콘이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리모콘의 임의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마다 동일한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원격 동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는 출력전압의 크기에 대한 제어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마다 출력전압의 크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8.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동작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구소켓이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
    상기 조명등에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
    상기 소켓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신감도 조절부; 및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리 설정되는 스위칭부가 형성된 회로기판;이 포함되고,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을 통해 상기 수신부가 노출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임의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는 임의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 조절부에는 소정의 크기의 홀로 이루어진 수신감도 조절창이 형성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가 상기 수신감도 조절창을 통해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의 수신감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
  12. 임의의 리모콘으로부터 임의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적외선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상기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제어부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전압이 소정의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리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달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리 설정되는 단계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전송포맷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동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20611A 2006-03-03 2006-03-03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0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11A KR100708333B1 (ko) 2006-03-03 2006-03-03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38,403 US20070205914A1 (en) 2006-03-03 2006-12-14 Remote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11A KR100708333B1 (ko) 2006-03-03 2006-03-03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333B1 true KR100708333B1 (ko) 2007-04-17

Family

ID=3818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611A KR100708333B1 (ko) 2006-03-03 2006-03-03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05914A1 (ko)
KR (1) KR100708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21B1 (ko) 2013-12-26 2015-09-14 (주)케이피 조명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5711B2 (en) * 2008-09-19 2012-10-23 Apple Inc. Frequency-agile infrared receiver
CN102542777A (zh) * 2010-12-28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红外遥控系统及照明系统
KR20140066375A (ko) * 2012-11-23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와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76A (ko) * 1999-07-07 2000-07-05 금병태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160A (ja) * 1997-09-30 1999-06-22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US6504322B2 (en) * 2000-04-18 2003-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harge lamp operating apparatus
US20040156203A1 (en) * 2003-02-08 2004-08-12 Hata Ronald Takashi Illumination device with novel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76A (ko) * 1999-07-07 2000-07-05 금병태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21B1 (ko) 2013-12-26 2015-09-14 (주)케이피 조명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5914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4767A1 (en) Method of programming a load control device
US9202368B1 (en) System for light and appliance remote control
US6771182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lternate current (A.C.) electrical lighting and appliances with learn function
JP3670393B2 (ja) Irリピータ
US9386666B2 (en) Method of optically transmitting digital information from a smart phone to a control device
RU255601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вещения с улучшенным отношением сигнал-шум
US8253272B2 (en) Fan controller with 8-bit signal encoding
EP11950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from one device to another
JP2006100279A (ja) 間隔をあけて設けた照明器具を個別的に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6700334B2 (en) RF wireless remote-control brightness-adjustable energy-saving lamp
KR100708333B1 (ko)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306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US6393608B1 (en) Self-powered modification kit for hid luminaire installations
US20040125234A1 (en) Lighting apparatus of television
US7228074B2 (en) Infrared repeater system, method, and adjustable brightness emitter therefor
US20020130802A1 (en) Combination high frequency circuit/infrared transmission circuit
JP2012506189A (ja) 装置の制御
US20040156203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novel features
KR102572322B1 (ko) 복수 개의 실내등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연동형 실내등 모듈
KR20010016072A (ko) 레이저를 이용한 전자 기기 원격 조정 장치
KR200269528Y1 (ko)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KR200337321Y1 (ko) 시스템 통합형 리모콘
KR200300994Y1 (ko) 바이패스 기능에 따른 수동 및 원격 제어용의 실내 조명무선스위치 장치
KR100326271B1 (ko) 무선제어스위칭장치및그제어방법
JPH11136775A (ja) 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