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121B1 -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 Google Patents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121B1
KR101553121B1 KR1020130163559A KR20130163559A KR101553121B1 KR 101553121 B1 KR101553121 B1 KR 101553121B1 KR 1020130163559 A KR1020130163559 A KR 1020130163559A KR 20130163559 A KR20130163559 A KR 20130163559A KR 101553121 B1 KR101553121 B1 KR 10155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lluminance
lamp
setting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518A (ko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 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 조명 filed Critical (주)케이피 조명
Priority to KR102013016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1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램프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1설정조도로 점등시키고, 제2동작시에는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2설정조도로 제1설정시간동안 점등시킨 후 자동 소등되고, 제2동작시에는 상기 램프가 즉시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벽부형 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제4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조도 및 상기 제2설정조도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시간의 설정을 위한 숫자버튼들을 구비하는 리모콘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침을 위해 램프를 소등하는 경우 및 취침중에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에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도조절 및 점등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Lamp for illumination control}
본 발명은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조도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취침중 잠깐 일어날 때 램프가 갑자기 켜짐에 따라 발생되는 눈의 피로를 방지하고, 최소 램프 밝기에 의해 완전히 잠을 깨는 등의 편리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한 일정시간이 지나면 별도의 동작없이 자동소등되는 구성을 가져, 램프가 갑자기 소등되거나 점등됨에 따라 발생되는 눈의 피로 및 사물을 분간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밝기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형광등, 백열등 및 엘이디등과 같은 실내 조명등과 책상용 조명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조명등은 램프를 점등/소등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조명등은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등/소등 만을 제어하지만 사용자의 임의로 밝기를 조절하지는 못하였다. 즉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램프의 최대조도로 점등되고,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램프가 소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밝기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가정의 경우에 취침을 하기 위해 조명등을 소등하게 되는 경우 갑자기 어두워짐에 따라 눈의 피로가 증가되고, 사물을 분간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등을 점등하게 되는 경우에는 갑자기 주위가 밝게 점등되어 눈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려 사물을 분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눈의 피로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등의 조도 세팅을 통해 눈의 피로 및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램프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1설정조도로 점등시키고, 제2동작시에는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2설정조도로 제1설정시간동안 점등시킨 후 자동 소등되고, 제2동작시에는 상기 램프가 즉시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벽부형 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제4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조도 및 상기 제2설정조도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시간의 설정을 위한 숫자버튼들을 구비하는 리모콘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는, 동작시마다 조도가 상승되는 상승스위치와 동작시마다 조도가 하강되는 하강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조도는, 상기 제3스위치의 제1동작을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제4스위치의 제1동작을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은 상기 숫자버튼들에 인접하여 시간설정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은, 상기 시간설정버튼을 누른 후 상기 숫자버튼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을 분단위로 입력하는 방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침을 위해 램프를 소등하는 경우 및 취침중에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에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도조절 및 점등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조도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취침중 잠깐 일어날 때 램프가 갑자기 켜짐에 따라 발생되는 눈의 피로를 방지하고, 최소 램프 밝기에 의해 완전히 잠을 깨는 등의 편리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별도의 동작없이 자동으로 소등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등을 구성하는 리모콘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등을 구성하는 리모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100)은, 램프(110), 제어부(120), 벽부형 스위칭부(130) 및 리모콘(140)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110)는 형광등, 백열등, LED 램프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부형 스위칭부(130)는 제1스위치(132) 및 제2스위치(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위치(132)는 제1동작(첫번째 누름)시에는 상기 램프(110)를 제1설정조도로 점등시키고, 제2동작(두번째 누름)시에는 상기 램프(110)가 소등되도록 스위칭된다.
상기 제1설정조도는 상기 램프(110)의 최대조도의 80∼100%에 해당되는 조도일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132)는 일반적인 버튼식 누룸 스위치 또는 터치식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134)는 제1동작(첫번째 누름)시에는 상기 램프(110)를 제2설정조도로 제1설정시간동안 점등시킨 후 자동소등되도록 스위칭되고, 제2동작(두번째 누름)시에는 상기 램프(110)가 즉시 소등되도록 스위칭된다.
상기 제2스위치(134)는 일반적인 버튼식 누룸 스위치 또는 터치식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치(132) 일반적으로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 메인스위치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제2스위치(134)는 취침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상기 램프(110)가 제2설정조도(예를 들면, 5∼80%)로 조도가 조절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설정시간 경과 후에 소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취침시 종래의 오프(소등)기능을 대체하여 조도가 감소한 상태에서 서서히 소등되도록 하여,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눈이 적응된 상태에서 소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고, 조도가 감소한 상태에서 잠자리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램프(110)의 최대조도의 5∼30%에 해당되는 조도일 수 있다.
상기 리모콘(140)은 상기 제1스위치(132)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140a), 상기 제2스위치(134) 기능을 수행하는 제4스위치(140b), 상기 제1설정조도 및 상기 제2설정조도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들(142a,142b)과, 상기 제1설정시간의 설정을 위한 숫자버튼들(14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도조절스위치들(142a,142b)은 동작(누름)시마다 조도가 일정비율로 상승되는 상승스위치(142a) 및 동작(누름)시마다 조도가 일정비율로 하강되는 하강스위치(1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스위치(140a)는 상기 제1스위치(13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4스위치(140b)는 상기 제2스위치(13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3스위치(140a) 및 상기 제4스위치(140b)는 터치식 또는 버튼식의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조도 및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리모콘(140)을 통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설정조도는, 상기 제3스위치(140a)의 제1동작(누름)을 통해 상기 램프(110)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142a)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142b)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스위치(140a)를 통한 램프(110) 점등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142a)를 통한 조도조절은 10% 씩 10단계(10%에서 100%까지)로 조절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상승스위치(142a)를 1회 동작시킬 때마다 10%씩 조도가 상승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강스위치(142b)를 1회 동작시킬 때마다 10%씩 조도가 하강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설정조도는 상기 제3스위치(140a)를 통한 램프(110) 점등시에 상기 상승스위치(142a)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142b)의 동작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제4스위치(140b)의 제1동작(누름)을 통해 상기 램프(110)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142a)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142b)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스위치(140a)를 통한 램프(110) 점등시에 조도는 5% 씩 7단계(0%에서 30%까지)로 조절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상승스위치(142a)를 1회 동작시킬 때마다 5%씩 조도가 상승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강스위치(142b)를 1회 동작시킬 때마다 5%씩 조도가 하강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제4스위치(140b)를 통한 램프(110) 점등시에 상기 상승스위치(142a)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142b)의 동작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40)은 상기 숫자버튼들(144)에 인접하여 시간설정버튼(146) 및 입력기능버튼(14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시간은, 상기 시간설정버튼(146)을 누른 후 상기 숫자버튼들(144)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을 분단위(예를 들면, 1 또는 20 등)의 숫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기능버튼(148)을 누르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능버튼(148)은 상기 상승스위치(142a) 및 상기 하강스위치(142b)를 통한 조도설정 후 상기 제어부(120)에의 입력을 위한 버튼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스위치(134) 및 제4스위치(140b)의 동작시에 상기 제2설정조도에서 조도가 점점 낮아지다가(어두워지다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벽부형 스위칭부(130)의 스위칭신호 또는 상기 리모콘(140)의 스위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램프(11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리모콘(140)을 통한 조도설정의 제어 및 설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램프(110)의 조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제1설정시간의 제어 및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램프(110)의 점등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11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램프(110)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취침을 위해 램프를 소등하는 경우 및 취침중에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에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도조절 및 점등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램프 120 : 제어부
130 : 벽부형 스위칭부 132 : 제1스위치
134 : 제2스위치 140 : 리모콘
140a : 제3스위치 140b : 제4스위치

Claims (5)

  1. 조명등에 있어서:
    램프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1설정조도로 점등시키고, 제2동작시에는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치와, 제1동작시에는 상기 램프를 제2설정조도로 제1설정시간동안 점등시킨 후 자동 소등되고, 제2동작시에는 상기 램프가 즉시 소등되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벽부형 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3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제4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조도 및 상기 제2설정조도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제1설정시간의 설정을 위한 숫자버튼들을 구비하는 리모콘을 구비하되,
    상기 제1설정조도는, 상기 제3스위치의 제1동작을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2설정조도는, 상기 제4스위치의 제1동작을 통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승스위치 또는 상기 하강스위치를 원하는 횟수만큼 동작시킴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도조절스위치는, 동작시마다 조도가 상승되는 상승스위치와 동작시마다 조도가 하강되는 하강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숫자버튼들에 인접하여 시간설정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은, 상기 시간설정버튼을 누른 후 상기 숫자버튼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을 분단위로 입력하는 방식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KR1020130163559A 2013-12-26 2013-12-26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KR10155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59A KR101553121B1 (ko) 2013-12-26 2013-12-26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59A KR101553121B1 (ko) 2013-12-26 2013-12-26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18A KR20150075518A (ko) 2015-07-06
KR101553121B1 true KR101553121B1 (ko) 2015-09-14

Family

ID=5378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559A KR101553121B1 (ko) 2013-12-26 2013-12-26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83A (ko) * 2016-02-12 2016-03-25 주식회사 플레넷 전원 스위치 조작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33B1 (ko) 2006-03-03 2007-04-17 최성철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33B1 (ko) 2006-03-03 2007-04-17 최성철 원격 동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83A (ko) * 2016-02-12 2016-03-25 주식회사 플레넷 전원 스위치 조작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KR101714362B1 (ko) 2016-02-12 2017-03-09 주식회사 애니딤 전원 스위치 조작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WO2017138685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플레넷 전원 스위치 조작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518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3917B (zh) 燈具及其開關裝置
JP5851896B2 (ja) 照明システム
CN104869696A (zh) 一种智能节能型家用照明灯
KR100940506B1 (ko) 통합형 조광 스위치
CN204578874U (zh) 一种智能自动调节背光亮度的面板开关
WO2018049981A1 (zh) 具有辅电力单元及无线接收功能的开关装置及其灯具系统
KR100993581B1 (ko) 원터치 방식의 디밍스위치가 구비된 조명장치
JP6173037B2 (ja) 照明制御装置
CN110572895A (zh) 子母照明装置、子母照明装置的控制方法及智能照明系统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101553121B1 (ko) 조도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CN103388774A (zh) 一种具有定时功能的舒适台灯
EP2640164A1 (en) Light source ignition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CN104661412A (zh) 智能调光照明系统及其辅遥控器和灯具的控制方法
JP2014082218A (ja) 照明装置
JP2011070875A (ja) 照明装置
CN202747107U (zh) 一种触摸式可调光led台灯
JP2020513146A (ja) 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コントローラ及び方法
JP5931523B2 (ja) 照明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
CN109068461B (zh) 一种应用于灯具rgb控制的触摸系统
TW201642710A (zh) 可調光之照明裝置及其操作方法
KR20070081901A (ko) 조명용 절전 제어시스템
CN203722860U (zh) 具有夜醒功能的智能照明灯
CN215259525U (zh) 一种情绪灯
JP590831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