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968B1 -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968B1
KR100707968B1 KR1020050019652A KR20050019652A KR100707968B1 KR 100707968 B1 KR100707968 B1 KR 100707968B1 KR 1020050019652 A KR1020050019652 A KR 1020050019652A KR 20050019652 A KR20050019652 A KR 20050019652A KR 100707968 B1 KR100707968 B1 KR 10070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ek
powder
weight
bo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364A (ko
Inventor
임영빈
Original Assignee
임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빈 filed Critical 임영빈
Priority to KR102005001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건조물을 분말화하고 이에 물엿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환으로 성형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가공한 것이 고혈압의 혈압강하에 도움이 됨을 발견하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복용과 휴대가 간편한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로써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써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백봉숭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천연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백봉숭아의 추출액이 아닌 환 형태의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음용에 따른 거북함을 없애고, 더불어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게 된,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으로 이루어진 본원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1회 5~30알씩, 1일 2회 꾸준히 복용함으로써, 다른 부작용 없이 복용자의 혈압을 유의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었다.
백봉숭아, 줄기, 씨앗, 뿌리, 잎, 환, 고혈압, 건강보조식품

Description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The healthy food effective in hypertension using white lipatiens balsmina 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건조물을 분말화하고 이에 물엿과 점착제 를 혼합하여 환으로 성형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봉숭아는 동인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화단이나 장독대 둘레에 관상용으로 주로 심고, 미인초, 봉선화, 금봉화, 지갑화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우리 선조들은 집의 울타리 밑이나 장독대 옆이나 밭 둘레에 백봉숭아를 심으면 질병이나 나쁜일이 생기지 않고 귀신이나 뱀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것으로 믿어 왔다. 실제로 백봉숭아에는 뱀이 싫어하는 냄새가 나므로 뱀이 가까이 오지 않으며, 그런 까닭에 백봉숭아를 금사화(禁蛇花)라고도 부른다.
백봉숭아는 여름과 가을에 흰색 또는 붉은색, 가지색의 꽃을 피운다. 꽃(봉선화)은 2~3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약으로 쓸 때는 반드시 흰꽃이 피는 것을 써야하는데 이는 다른 색의 꽃에는 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백봉숭아의 씨(봉선자)는 길쭉하고 둥근 주머니속에 들어있다가 건드리기만 하면 주머니가 터져 사방으로 흩어진다. 씨에 들어 있는 지방산의 약 50%는 불포화도가 높은 파리나르산이다. 꽃에는 라우손과 그의 메틸에테르, 시아니딘, 델피니디, 펠라르고니딘, 말비딘 등의 안토시안과 캠페롤, 쿠에르세틴이 있다. 씨에 발사미나스테롤, 사포닌, 쿠에르세틴과 켐페롤의 배당체, 싹튼 어린식물에는 인돌-3-아세토니트릴, 줄기에는 케메롤, 쿠에르세틴, 펠라르고니딘과 시아니딘의 3배당체(글루코시디), 잎에는 1,2,4-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4-클루코시드, 캠페롤과 3-아라비노시드, 뿌리에 시아니딘모노글루코시드가 있다.
민간에서는 이러한 성분을 갖는 백봉숭아를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관절염에는 씨 2~3g 또는 4~5g 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복용하곤 했다. 이외에도 간질, 매독, 소화불량 등의 증상에 따라 백봉숭아의 씨, 뿌리 , 꽃 등을 달여 일정량 복용토록 하였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그 효능이 입증된 바 없고, 백봉숭아의 씨, 꽃, 뿌리를 달여서 사용하고 있어, 복용과 휴대가 불편하며 또한 꽃의 향기로 인하여 음용이 거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백봉숭아의 줄기는 식품의 소재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발명은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하고자 한 것으로써,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가공한 것이 고혈압의 혈압강하에 도움이 됨을 발견하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복용과 휴대가 간편한,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즉,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건조하는 원료의 건조과정과; 이를 분말화하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물에 물엿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환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통하여 백봉숭아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하고 이를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건조물을 분말화하고 이에 물엿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환으로 성형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로써 제조된 백봉숭아 건강보조식품은 고혈압의 혈압강하에 도움이 됨이 확인되었다.
이하 본원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원료의 건조과정
백봉숭아를 채취하여, 줄기, 씨앗, 뿌리, 잎을 분리하여 줄기 및 뿌리, 잎은 3~5cm의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은 수분함량이 5~10중량%가 되도록 자연건조한다.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수분함량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는 것은 이들 원료를 분말화하기 쉬운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분말화 과정
상기 건조된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분쇄기로 각각 분쇄하여 밀가루와 같은 입도를 갖도록 분쇄한다.
즉, 잎은 1~2회, 씨앗, 줄기, 뿌리 등은 2~4회 반복 분쇄함으로써 밀가루와 같은 입도를 갖도록 하되, 분쇄의 반복횟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입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밀가루보다 입도가 클 경우는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입도를 그 보다 작게 하는 것은 체내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이 없고, 오히려 작업시간이 길어지므로 불필요한 것이 된다.
3. 혼합과정
상기 분말화된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다. 즉, 줄기 60~70중량%, 씨앗 10~20중량%, 뿌리 5~10중량%, 잎 5~10중량%를 수작업으로 혹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이들의 구성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각각의 실시예를 대상으로 최고혈압의 강하정도를 실험한 결과 상기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한 백봉숭아 환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이다. (이하 실험예 2)
4. 성형과정
상기 과정에서 혼합된 백봉숭아 분말에 물엿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반죽한 뒤, 통상의 환 성형기에 투입하여 녹두알 크기의 환을 성형한다.
이때 점착제라 함은 백봉숭아 분말을 환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써, 찹쌀가루, 콩가루, 밀가루 중 1종을 계란 및 물과 혼합하여 일정한 점도의 풀로 만든 것을 이른다. 점착제는 백봉숭아 분말을 환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찹쌀가루, 콩가루, 밀가루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상관없다.
즉, 본원발명의 점착제는 찹쌀가루, 계란, 물을 중량비 5:1:4로 혼합하거나 혹은 찹쌀가루, 물의 혼합비를 1:1로 혼합하여 점착제로 사용한다. 혹은 찹쌀가루를 대신하여 콩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점착제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반죽은 작은 원통형인 것으로, 이를 다시 별도의 성형기에 넣어 녹두알 크기의 환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사용하는 반죽의 압출성형기와 환성형기는 통상의 것을 이용한다.
즉, 상기 혼합된 분말 10~30중량%, 물엿 30~40중량%, 점착제 30~70중량%를 혼합한다.
점착제는 원료분말의 환 성형을 돕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기준보다 많이 혼입되면 반죽이 질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면 상기 기준보다 적게 혼입되면 반죽의 찰기가 없어 환형성이 어렵다.
5. 환의 건조과정
상기 성형된 환을 직사광선이 없는 건조실에서 3일간 건조한다.
즉, 100℃에서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20~30℃에서 2일간 더 건조하는 것이다. 고온에서 1일간 건조하고 다시 저온에서 2~3일간 더 건조함으로써 환 표면과 내면을 골고루 건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써 환의 성형을 안정화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백봉숭아로 된 환은 성인 1회 5~30알씩, 1일 식후 2회 복용하도록 한다. 복용량은 고혈압의 정도에 따라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혈압이 정상이거나 혹은 고혈압 증상이 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는 1회 5알씩, 혈압이 아주 높은 사람의 경우는 1회 30알씩 복용토록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건강보조식품인 것으로, 식이요법과 병행할 경우 그 효과를 더욱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1. 건조과정
백봉숭아를 채취하여, 줄기, 씨앗, 뿌리, 잎을 분리하고 줄기 및 뿌리, 잎은 3~5c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상기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자연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2. 분말과정
상기 건조된 백붕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분쇄기로 각각 분쇄하되, 밀가루와 같은 입도를 갖도록 반복적으로 분쇄하였다.
즉, 잎은 2회, 뿌리, 씨앗, 줄기 등은 4회 반복하여 분쇄함으로써 밀가루와 같은 입도를 갖도록 하였다.
3. 혼합과정
상기 과정을 거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70중량%, 씨앗분말 20중량%, 뿌리분말 5중량%, 잎분말 5중량%를 혼합하였다.
4. 성형과정
상기 백봉숭아의 혼합 분말 10중량%, 물엿 30중량%, 점착제 60중량%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이를 환 성형기에 투입하여 환의 모양으로 성형하였다. 점착제는 찹쌀가루, 계란, 물을 중량비 5:1:4(찹쌀가루, 계란, 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5. 건조과정
상기 성형된 환을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건조실에서 3일간 건조하였다.
즉, 100℃에서 1일간 건조한 후, 다시 20~30℃에서 2일간 더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를 아래와 같이 달리하여 백봉숭아 환을 하였다.
줄기분말...................60중량%
씨앗분말...................20중량%
뿌리분말...................10중량%
잎분말.....................10중량%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붕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를 아래와 같이 달리하여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다.
줄기분말......................70중량%
씨앗분말......................10중량%
뿌리분말......................10중량%
잎분말........................10중량%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를 아래와 같이 달리하여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다.
줄기분말........................70중량%
씨앗분말........................15중량%
뿌리분말.........................5중량%
잎분말..........................10중량%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백봉숭아 환 제조시 4의 성형과정에서 점착제는 콩가루, 계란, 물을 중량비 5:1:4(콩가루, 계란, 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백봉숭아 환 제조시 4의 성형과정에서 점착제는 밀가루, 계란, 물을 중량비 5:1:4(콩가루, 계란, 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백봉숭아 환 제조시 4의 성형과정에서 점착제는 콩가루와 물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백봉숭아 환 제조시 4의 성형과정에서 점착제는 찹쌀가루와 물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율을 아래와 같이 달리 하여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1은 복숭아 씨앗의 독성으로 인하여 부적합한것으로 판단되었다.
줄기분말....................50중량%
씨앗분말....................30중량%
뿌리분말....................10중량%
잎분말......................10중량%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율을 아래와 같이 달리하여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다.
줄기분말....................85중량%
씨앗분말.....................5중량%
부리분말.....................5중량%
잎분말.......................5중량%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3의 혼합과정에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씨앗분말, 뿌리분말, 잎분말의 혼합비율을 아래와 같이 달리하여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다.
줄기분말.......................50중량%
씨앗분말.......................10중량%
뿌리분말.......................20중량%
잎분말.........................20중량%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4의 환 성형과정에서 백봉숭아의 혼합분말, 물엿, 점착제의 혼합비율을 아래와 같이 하였다.
즉, 혼합분말 50중량%, 물엿 20중량%, 점착제 30중량%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건조 중, 환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환의 광택이 없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봉숭아 환을 제조하였으나, 4의 환 성형과정에서 백봉숭아의 혼합분말, 물엿, 점착제의 혼합비율을 아래와 같이 하였다.
즉, 혼합분말 5중량%, 물 50중량%, 점착제 45중량%로 혼합하였다. 이는 환의 건조시간을 장기화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1)
본 실험예1은 본원발명의 구성으로 제조된 백봉숭아 환이 고혈압에 유효적임을 입증하는 실험이다.
즉, 실험대상자 18명을 9명씩 2그룹(Ⅰ,Ⅱ)으로 나누어, Ⅰ그룹은(A~I) 본원발명의 백봉숭아 환(실험예 1에 의한 백봉숭아 환)을 1회 20알씩, 1일 2회, 식후 30분 6개월간 복용케 하고 Ⅱ그룹은(J~R) 본원발명의 백봉숭아 환을 먹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실험대상자 18명은 최근 2개월간 최고치 혈압의 변화가 ±2내외였던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래 표 1은 Ⅰ그룹의 복용전후 최고치 혈압의 측정결과를, 표 2는 Ⅱ그룹의 복용전후 최고치 혈압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 mmHg)
Figure 112006507649911-pat00001
Figure 112006507649911-pat00002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 개인적 생활습관(음식 및 운동)에 따라 그 감소치가 차이가 있긴 하였으나, 본원발명의 백봉숭아 환이 최고치 혈압을 낮추는데 유의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은 6개월의 복용결과를 나타낸 것이나, 본원발명의 백봉숭아 환을 1년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최고치 혈압을 더욱 낮추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실험예 2)
본 실험은 상기 실시예 1~4, 비교예 2 및 3을 통하여 제조된 백봉숭아 환의 혈압감소 효과에 대한 실험이다.
최고치 혈압이 130 이상인 실험대상자 36명을 6개의 그룹(Ⅰ~Ⅵ)으로 나누어(복용전 최고혈압 평균치가 유사한 그룹으로 나눔), 상기 샘플(실시예1~4, 비교예2,3)를 각 그룹별로 6 개월간 1회 20알씩, 1일 2회, 식후 30분 먹도록 하였다.
(단위:mmHg)
Figure 112006507649911-pat00003
본 실험 예를 통하여 알수 있는 바,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한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혼합비율이 혈압강하에 유의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봉숭아는 백백봉숭아를 채취하여 건조 분말화시켜 실험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건조하고 분말화한 후, 이에 물엿과 점착제 1종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써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백봉숭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천연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백봉숭아의 추출액이 아닌 환 형태의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음용에 따른 거북함을 없애고, 더불어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으로 이루어진 본원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1회 5~30알씩 1일 2회 꾸준히 복용함으로써, 다른 부작용 없이 복용자의 혈압을 유의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분리하여 자연건조하는 원료의 건조과정과;
    건조된 백붕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을 각각 통상의 분쇄기를 통하여 밀가루와 같은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는 분말화 과정과;
    분말화 된 백봉숭아의 줄기분말 60~70중량%, 씨앗분말 10~20중량%, 뿌리분말 5~10중량%, 잎분말 5~1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혼합된 백봉숭아의 분말에 물엿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이를 통상의 환 성형기에서 환으로 성형하는 환 성형과정과;
    성형된 환을 100℃에서 1일간, 20~30℃에서 2일간 건조하는 환의 건조과정으로 이루어진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원료의 건조과정은 백봉숭아의 줄기, 씨앗, 뿌리, 잎의 각각 수분함량이 5~10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환으로 성형하기 위한 점착제는 찹쌀가루, 콩가루, 밀가루 중 1종을 계란, 물과 혼합하여 점도를 갖는 풀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환으로 성형하기 위한 과정의 반죽은 백봉숭아 분말 10~30중량%, 물엿 30~40중량%, 점착제 30~7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의거하여 제조된 백봉숭아 분말을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KR1020050019652A 2005-03-09 2005-03-09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52A KR100707968B1 (ko) 2005-03-09 2005-03-09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52A KR100707968B1 (ko) 2005-03-09 2005-03-09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64A KR20060097364A (ko) 2006-09-14
KR100707968B1 true KR100707968B1 (ko) 2007-04-16

Family

ID=3762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52A KR100707968B1 (ko) 2005-03-09 2005-03-09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57Y1 (ko) 2020-04-13 2020-12-0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Tv 셋탑박스 걸이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060A (ja) 1996-12-24 1998-07-07 Shinichi Konuma 御飯の添加物
JPH10295325A (ja) 1997-04-28 1998-11-10 Katsuji Nagamitsu 健康食品
JP2002101850A (ja) 2000-09-28 2002-04-09 Aavan Gutsudei:Kk 健康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060A (ja) 1996-12-24 1998-07-07 Shinichi Konuma 御飯の添加物
JPH10295325A (ja) 1997-04-28 1998-11-10 Katsuji Nagamitsu 健康食品
JP2002101850A (ja) 2000-09-28 2002-04-09 Aavan Gutsudei:Kk 健康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64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asi et al. A critical review on medicinally important oil yielding plant laxmitaru (Simarouba glauca DC.)
Seshadri et al. Kanjero (Digera arvensis) and drumstick leaves (Moringa oleifera): nutrient profile and potential for human consumption
Sandeep et al. Moringa for nutritional security (Moringa oleifera Lam.)
Sarwar et al. Fenugreek
Kanu et al. Nutritional and health values of African walnut (Tetracarpidium conophorum)
Das et al. Amaranths: the crop of great prospect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597641B2 (ja) 炮製処理されたシャクヤク、玉竹または百合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KR20080019675A (ko)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 방법
Ebel et al. Genetic diversity in nutritious leafy green vegetable—chaya (Cnidoscolus aconitifolius)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Pandey et al. Morphological studies, traditional and industrial uses of Bixa Orellana. A review
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Shubha et al. Medicinal and nutritional importance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A review article
KR100707968B1 (ko) 백봉숭아를 이용한 고혈압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agadala et al. Moringa olifera: constituents and protective effects on organ systems
KR101696232B1 (ko) 모발 개선용 한방식품
KR20160127328A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KR20070105718A (ko) 약용식물로 이루어진 건빵등의 제과류 제조방법
Sahoo et al. Insights into the miracle plant Moringa oleifera
KR102382950B1 (ko) 혼합 벌꿀의 제조방법
Srivastav et al. MEDICINAL FOOD PLANTS OF MAND7UR
Sinha et al. Flacourtia jangomas (Lour.) Raeus.(Paniala): An important nutraceutical tree of the tropics
KR102193317B1 (ko)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