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197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197B1
KR100707197B1 KR1020050052724A KR20050052724A KR100707197B1 KR 100707197 B1 KR100707197 B1 KR 100707197B1 KR 1020050052724 A KR1020050052724 A KR 1020050052724A KR 20050052724 A KR20050052724 A KR 20050052724A KR 100707197 B1 KR100707197 B1 KR 10070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device
portable display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399A (ko
Inventor
박영수
김정우
권장연
유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197B1/ko
Priority to US11/453,537 priority patent/US20060284793A1/en
Publication of KR2006013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삽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삽입부에 삽입이 가능한 슬롯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 및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한계를 극복하여 화상을 보다 커다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디스플에이 디바이스의 연결단자를 최소화함으로써, 노이즈의 취약성을 극복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 종류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중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기 200: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20: 메모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 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슬롯 형태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고해상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중의 하나로 최근에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는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서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나 기타의 서비스에 따른 화상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면의 크기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크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등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확인할 경우에 작은 화면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상을 제대로 시청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커다란 화면을 통해 고해상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삽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삽입부에 삽입이 가능한 슬롯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 및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삽입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및 MP3(MPEG Audio Layer 3) 등을 포함한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DMB) 단말기는 위성 DMB용 단말기와 지상파 DMB용 단말기를 포함하면, 위성 DMB와 지상파 DMB를 수신할 수 있는 통합형 단말기도 포함한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 종류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휴대폰과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MP3과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휴대 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은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선을 통해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방식을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차등신호(DS: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직력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때, 차등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직렬 데이터를 전송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차등신호(DS:Differential Signaling) 방식 중 저 전압 차등신호(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 전압 차등신호 방식은 컴퓨터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고속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말한다.
저 전압 차등신호 방식은 빠른 비트율과 낮은 전력소모, 그리고 우수한 노이즈 특성 등으로 최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프린터 및 디지털 복사기 등의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저 전압 차등신호 방식은 많은 병렬 비트를 단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직렬화하여 고속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병렬식 인터 커넥션과 비교했을 때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에서 상당한 시스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또한, 높은 수준의 스위치 노이즈를 허용하므로 대규모 디지털 회로와 통합할 때 신뢰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완벽한 인터페이스 시스템 온 칩(Interface Systems-on-a-Chip)이 가능하 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연속 및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이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한편,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이란, 화상 데이터 중 이전에 전송된 동일한 화상 데이터 즉, 정지 화면이나 사진 등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는 방식을 말한다.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삽입부에 삽입이 가능한 슬롯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중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접적회로 및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접적회로 및 직류/직류 컨버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거나 디바이스 내에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화상 데이터의 동기를 일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의 구동에 필수적인 드라이버 집적회로로 구동신호 및 데이터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하는 집적회로를 말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순차적으로 게이트 라인(gate line)을 선택하는 스캔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직류/직류 컨버터는 입력되는 직류에 대해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기를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직렬 전송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가 직렬 전송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접속을 위한 연결단자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결부는 8핀 이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결부는 6핀의 연결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는 전원 공급선들(300)과 연결된 2개의 연결단자들과 차등 신호선들(320)과 연결된 6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여 총 8 핀의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수신된 화 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220)는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2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어 더이상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다 하더라도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잠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된다 하더라도 전원 충전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메모리(22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소자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OLED 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어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는다.
또한, 소형 화면에서는 LCD 이상의 화질과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OLED 소자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 구동방식(passive matrix)과 능동형 구동방식(active matix)으로 구분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서 능동형 구동방식에 의한 OLED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자 소자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서 능동형 LCD 소자에 해당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LCD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사용하는 이유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휴대 시의 파손될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 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한계를 극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보다 커다란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스플에이 디바이스의 연결단자를 최소화함으로써, 노이즈의 취약성을 극복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소비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상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장시간에 걸쳐 화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14)

  1.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삽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이 가능한 슬롯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 및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차등신호(DS: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멀티미더어 브로드캐스팅(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및 MP3(MPEG Audio Layer 3)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접적회로 및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접적회로 및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거나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직렬 데이터 전송방식로 전송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직렬 전송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8핀 이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 플레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삭제
KR1020050052724A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0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24A KR100707197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453,537 US20060284793A1 (en) 2005-06-18 2006-06-15 Display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displaying imag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24A KR100707197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399A KR20060132399A (ko) 2006-12-21
KR100707197B1 true KR100707197B1 (ko) 2007-04-13

Family

ID=3757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24A KR100707197B1 (ko) 2005-06-18 2005-06-1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84793A1 (ko)
KR (1) KR100707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5052B1 (en) * 2011-11-25 2019-03-13 Panasonic Corporation Baseband video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529A (ko) * 1998-08-21 2000-03-15 윤종용 평면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28824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759A (en) * 1992-07-27 1993-11-16 Cordata Incorporated Removable computer display interface
GB2374238A (en) * 2001-04-05 2002-10-09 Inventec Appliances Corp Modular mobile telephone
US20030160755A1 (en) * 2002-02-28 2003-08-28 Palm, Inc. Detachable expandable flexible display
US7342571B2 (en) * 2002-02-28 2008-03-11 Palm, Inc. Interchangeable display modules for portable handheld devices
US20030160767A1 (en) * 2002-02-28 2003-08-28 Palm Inc. Wireless detachable display
US7683865B2 (en) * 2003-12-29 2010-03-23 Lg Display Co., Ltd. Detach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M275445U (en) * 2005-01-31 2005-09-1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Multimedia display device having detachable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529A (ko) * 1998-08-21 2000-03-15 윤종용 평면 구동 방식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28824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19673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14529
1020010028824
10200400196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4793A1 (en) 2006-12-21
KR20060132399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039C (zh) 显示器件以及使用该显示器件的电子装置
US85199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04491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5646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1777386B (zh) 移位寄存器电路
US20100103149A1 (en) Driving System of Liquid Crystal Display
US11615752B2 (en) Backlight driver, backlight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backlight device
TW200901158A (en) Sample/hold circuit,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utilizing the same
CN104751809A (zh) 根据选通电压的用于公共电压的补偿电路
US822310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8264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60172B1 (ko) 반도체장치, 발광 표시장치 및 그들의 구동방법
US112706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274505B2 (en) Driving method and device for a display
US2007022943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643520B2 (en) Low power pixel circuit, an array substrate using the pixel circuit, a display device constructed with the array substrat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071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5053208A (zh) 用于更新显示装置上显示的图像的系统和方法
US7800599B2 (en) Display driv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20220101782A1 (en) Shift regis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KR10073928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348947B2 (en)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872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구동 드라이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56079A1 (en) Shift register system, driving method, and driving circu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JP3521658B2 (ja) 液晶素子の駆動方法,液晶素子の駆動回路,半導体集積回路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