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940B1 -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940B1
KR100706940B1 KR1020060018634A KR20060018634A KR100706940B1 KR 100706940 B1 KR100706940 B1 KR 100706940B1 KR 1020060018634 A KR1020060018634 A KR 1020060018634A KR 20060018634 A KR20060018634 A KR 20060018634A KR 100706940 B1 KR100706940 B1 KR 10070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amera
axis
lower support
align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개별 정렬 조정 또는 교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렬 조정 또는 교정 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다 시점 카메라, 3차원, 6축 미세 조정기, 정렬, 교정

Description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MULTI-VIEW CAMERAS ALIGNMENT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사용되는 6축 미세조정기를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관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사용되는 6축 미세조정기를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에 있어서 6축 미세치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교정작업에 대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1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200 : 제2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1, 1' : 카메라 조립체 10 : 카메라부
11, 12 : 제1 및 제2 카메라 20 : 6축 미세조정기
21 : x축 슬라이딩 조정부 22 : y축 슬라이딩 조정부
23 : z축 슬라이딩 조정부 24 : x축 틸팅 조정부
25 : y축 틸팅 조정부 26 : z축 틸팅 조정부
2 : 하부 지지플레이트 3 : 상부 지지플레이트
4 : 종형 지지봉
5 :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
6 :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
7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시청 각도에 따른 입체영상의 시청 제약을 해소하여 방송용이나 기타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 시점 카메라의 배치 및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인지하는 3차원 공간을 그대로 TV 또는 영화 등에서 보기 위한 3차원 영상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이 상용화된 이후 3차원 영상 TV 및 3차원 영상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영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의 표시방식은 매우 다양하며, 그 일예로서 주로 야외에서 공영되는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산란매질에 상을 그려주는 방식과, 수평으로 배열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공간 또는 시간적으로 일정 순서로 배열 표시하는 방식과, 물체에서 반사파의 위상을 기록하는 홀로그래피 방식과, 대상체의 체적영상을 깊이별 샘플링에 의해 체적적으로 표시하는 방식, 그리고 양안 시차를 이용한 특수 안경을 착용하는 안경식, 및 대형 화상에 의한 인간의 심리적 효과를 이용하는 심리학적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방식 중 현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방식은 현재의 평면 영상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있는,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공간 또는 시간적으로 일정 순서를 따라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시역(Viewing Zone)의 형성을 위해 광학판(Optical Plate)을 필요로 하므로 광학판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여러 시점(View Point)에서 본 평면영상을 표시소자에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이 표시소자의 영상을 광학판 상에 투사하거나 광학판을 통해 보이도록 함에 의해, 이 표시소자에 표시되는 공간 또는 시간분할(Time Multiplexing)된 다 시점(Multi view)의 영상들이 광학판에 의해 독립적인 시역을 형성하도록 하여, 시청자는 이 시역을 통해서 입체 영상을 인식하도록 한다. 시청자가 시선을 움직이게 되면, 다른 시점에서 본 영상에 의한 시역에 눈을 맞추게 되 어 다른 시점 영상을 보게 되므로 3차원 영상 인식을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다 시점을 갖는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점(view)의 수에 따라 이미지를 만들고 만들어진 이미지들을 특정한 규칙에 의해서 합성하여야 한다. 합성된 이미지가 입체 영상 장치에 표시되면 다 시점의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 시점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입체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법과, 3D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방법 등이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이웃한 각 시점의 이미지 사이에 깊이감(depth)이 존재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피사체에 대해 배치된 카메라 또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한 경우는 가상 카메라 사이의 각도에 의해 깊이감이 표현되며, 둘은 서로 비례 관계를 갖는다. 시점 사이의 깊이감의 크기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특성에 의존하게 되는데 그 크기가 너무 커지면 영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어 피로감이 커질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작으면 입체감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고안된 영상 처리 방법은 미리 정해놓은 깊이감의 크기에 맞추기 위해 카메라 사이의 각도(3D 모델링의 경우는 가상 카메라의 각도)를 고정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표시한다.
도 1은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공간 또는 시간적으로 일정 순서를 따라 표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복수의 카메라가 고정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가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카메라에 대한 정렬 조정 또는 교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하여 정확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개개의 카메라에 대한 정렬 또는 교정(calibration)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개별 정렬 조정 또는 교정장치가 구비되어 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개별 정렬 조정 또는 교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렬 조정 또는 교정 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하부 지지플레이 트 각각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에 포함된 6축 미세 조정기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종형 지지봉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와 동일한 구성이 3 행 이상의 층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에 포함된 6축 미세 조정기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종형 지지봉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세 조정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카메라는 3차원 입체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중 단위 조립체(1)는,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20)마다 하나의 카메라(1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도 3에 도시된 단위 카메라 조립체(1')는,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20)마다 한 쌍의 카메라(11, 12)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1)는,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의 간격이 큰 경우(통상적으로 도 5에 도시된 a 치수가 60 mm 이상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20)에 의하 여 상기 미세 조정기(20)에 결합된 하나의 카메라(10)를 미세 이동시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조립체(1')는,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 각각의 간격이 작은 경우(통상적으로 도 6에 도시된 a 치수가 60 mm 이하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20)에 의하여 상기 미세 조정기(20)에 결합된 한쌍의 카메라(11, 12)를 미세 이동시켜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쌍의 카메라(11, 12)가 하나의 미세 조정기(20)에 의하여 교정됨으로써, 각각의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렬 조정 또는 교정 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한쌍의 카메라(11, 12)는 서로 독자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 1') 각각에 포함된 6축 미세 조정기(20)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여 교정하는 6축 개별식 구동장치로서, 0.01 mm 및 0.1° 단위로 미세 치수 조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x축 슬라이딩 조정부(21),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y축 슬라이딩 조정부(22), 및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z축 슬라이딩 조정부(23)에 의하여 미세 구동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0)를 x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x축 틸팅 조정부(24), 상기 카메라부(10)를 y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y축 틸팅 조정부(25), 및 상 기 카메라부(10)를 z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z축 틸팅 조정부(26)에 의하여 미세 회전된다. 도 4는 상술한 6축 미세치수 조정에 의하여 수행하는 교정작업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며, 이러한 각각의 카메라 조립체에 대한 6축 미세치수 조정이 개별적으로 가능하여 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 시점 카메라 정렬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의 평면도, 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카메라 조립체로서 하나의 카메라에 하나의 6축 미세조정기가 부착된 상태의 카메라 조립체(1) 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한 쌍의 카메라에 하나의 6축 미세조정기가 부착된 카메라 조립체(1')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프레임은,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 상부 지지플레이트(3), 및 상기 상부 지 지플레이트(3)와 하부 지지플레이트(2)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그 사이에 상기 카메라 조립체(1)를 설치하기 위한 종형 지지봉(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는 저면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하부 지지플레이트(2)에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5)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4)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의 상면과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각 카메라 사이의 간격은 도 5에 나타난 a의 치수가 60 mm 이상이고, b의 치수가 120 mm 이상일 경우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종형 지지봉(4)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3) 사이에는 탄성부재(7)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4)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의 결합부에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 각각은,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될 수도 있다. 세부적인 구성 및 그 작동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100)는 카메라 조립체의 배치에 있어서 행 및 열의 제약 없이, 앞서 설명한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가 순차적으로 상방향으로 더욱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계를 변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200)는,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구비한 카메라 조립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및 단면도(A-A')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카메라 조립체로서 한 쌍의 카메라에 하나의 6축 미세조정기가 부착된 상태의 카메라 조립체(1') 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하나의 카메라에 하나의 6축 미세조정기가 부착된 카메라 조립체(1)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프레임은,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 상부 지지플레이트(3),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와 하부 지지플레이트(2)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그 사이에 상기 카메라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종형 지지봉(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는 저면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하부 지지플레이트(2)에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5)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4)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형 지지봉(4)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3) 사이에는 탄성부재(7)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4)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2)와의 결합부에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3)의 하면과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2)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각 카메라 사이의 간격은 도 6에 나타난 a의 치수가 60 mm 이하이고, b의 치수가 120 mm 이하일 경우에 적용된다. 즉, 상측 미세 조정기는 상부 지지플레이트(3)에 하방향으로 매달려 세팅된다는 점에서, 상부 지지플레이트(3)에 상방향으로 세팅되는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열로 인하여, 각각의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 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1') 각각은,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될 수도 있다. 세부적인 구성 및 그 작동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 각각에 대한 개별 정렬 조정 또는 교정장치가 구비되어 전체 장치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서 전체 장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렬 조정 또는 교정 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하부 지지플레이트 각각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를 포함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에 포함된 6축 미세 조정기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형 지지봉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와 동일한 구성이 3 행 이상의 층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8.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종형 지지봉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6축 미세 조정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를 포함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은, 하나의 6축 미세 조정기마다 한 쌍의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 조립체 각각에 포함된 6축 미세 조정기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x축, y축,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종형 지지봉의 상단과 상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 어 있고, 상기 종형 지지봉의 하단과 하부 지지플레이트와의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부 지지플레이트 평행도 조절 받침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KR1020060018634A 2006-02-27 2006-02-27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KR10070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34A KR100706940B1 (ko) 2006-02-27 2006-02-27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634A KR100706940B1 (ko) 2006-02-27 2006-02-27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940B1 true KR100706940B1 (ko) 2007-04-12

Family

ID=3816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634A KR100706940B1 (ko) 2006-02-27 2006-02-27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58B1 (ko) 2011-04-29 2012-07-03 주식회사 레드로버 카메라 정렬장치가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54A (ko) * 2000-10-28 2002-05-04 김춘호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시스템 및영상제조방법
KR20050058085A (ko) * 2003-12-11 2005-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이지도 및 깊이지도의 융합을 통한 3차원 장면 모델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54A (ko) * 2000-10-28 2002-05-04 김춘호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시스템 및영상제조방법
KR20050058085A (ko) * 2003-12-11 2005-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이지도 및 깊이지도의 융합을 통한 3차원 장면 모델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58B1 (ko) 2011-04-29 2012-07-03 주식회사 레드로버 카메라 정렬장치가 구비된 입체 카메라 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694B2 (en) Minimized-thickness angular scanner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EP2811746B1 (en) Glasses-free 3d image display device for flattening field of view and minimizing dynamic crosstalk
KR101413244B1 (ko) 변형된 공통시역을 이용하는 다시점 3차원 영상표시장치
JP4628471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US831052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801999B (zh) 基于裸眼3d显示技术的合成算法
JP471411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432775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3966830B2 (ja) 立体表示装置
EP2615838B1 (en) Calibration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CN108174182A (zh) 三维跟踪式裸眼立体显示视区调整方法及显示系统
KR10048073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3221872A (zh) 具有主动快门板的3d显示系统
US20140063213A1 (en) Method for setting stereoscopic image data at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CN103947199A (zh) 图像处理装置、立体图像显示设备、图像处理方法和图像处理程序
KR20100002094A (ko) 영상 입체적 인식장치
WO2016201898A1 (zh) 三维显示设备和三维显示设备的控制方法
Woodgate et al.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s with observer tracking
KR102070800B1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1012682B2 (en) Linearly actuated display
JP4892205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US20070159525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KR102094124B1 (ko) 진동하는 격자 기반의 3차원 공간 시각화 장치
KR100706940B1 (ko) 다 시점 카메라의 정렬 장치
EP2408217A2 (en) Method of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and apparatus for virtual 3d image pres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