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545B1 - 머플러 구조 - Google Patents

머플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545B1
KR100706545B1 KR1020050077259A KR20050077259A KR100706545B1 KR 100706545 B1 KR100706545 B1 KR 100706545B1 KR 1020050077259 A KR1020050077259 A KR 1020050077259A KR 20050077259 A KR20050077259 A KR 20050077259A KR 100706545 B1 KR100706545 B1 KR 10070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ase
catalyst
inle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065A (ko
Inventor
정일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5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1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 F01N13/01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1Platin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7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exhaust purification
    • F01N2370/02Selection of materials for exhaust purification used in catalytic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머플러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머플러 구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게 설치된 인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통과되며 정화되게 하는 다수개의 촉매와, 상기 촉매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구비하여 된 머플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렛 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일단이 노출되며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타단쪽에 분기되며 다수개가 설치된 다발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금과 같은 촉매 코팅량을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고, 배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머플러, 배기가스, 인렛 파이프

Description

머플러 구조{STRUCTURE OF MUFFL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머플러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y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인렛 파이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케이스
61. 아웃렛 파이프
62. 촉매
63. 배플
70. 인렛 파이프
71. 유입부
72. 다발관
본 발명은 머플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렛 파이프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촉매 일방으로 쏠리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머플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배기가스 환경규제 EURO4가 2008년부터 적용 예정인데, 이 EURO4에 대응하기 위하여 배기가스용 머플러 내부에 POC를 장착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라 함은,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 설치되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엔진의 폭발음(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머플러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 전후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케이스(10) 내로 유입되는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인렛 파이프(inlet pipe)(42) 및 아웃렛 파이프(outlet pipe)(41)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20)와, 이 다수개의 촉매(20)를 지지하는 배플(baffle)(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플러 구조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인렛 파이프(42)로 들어와 촉매(20)를 통과하면서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정화되고, 아웃렛 파이프(41)를 통해서 대기로 배출된다.
그런데, 차량 레이아웃(layout)에 의해 머플러의 인렛부와 아웃렛부는 위치를 변경하는데 있어 그 제한이 크다. 그리고 상기 인렛 파이프(42)를 통해서 유입 된 배기가스는 입구 근처의 일부 촉매(20)로 주로 유입되고, 입구와 먼 곳의 촉매(20)로는 유입되는 양이 적게 된다.
또한 배기가스가 촉매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되어야 정화 효율이 큰데 일부 촉매로 유입된 공기가 많을 경우에는 배기가스 속도가 증대되어 촉매(2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 효율이 떨어진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제대로 된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촉매를 향하여 배기가스가 유입 및 통과하게 하여 배기가스 정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 머플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머플러 구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게 설치된 인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통과되며 정화되게 하는 다수개의 촉매와, 상기 촉매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구비하여 된 머플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렛 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일단이 노출되며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타단쪽에 분기되며 다수개가 설치된 다발관;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유입부는 상기 다발관과 연통되도록 각각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다발관은 상기 촉매를 각각 향하며 설치되기 위해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며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는, 케이스(50)와, 이 케이스(5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게 설치된 인렛 파이프(70)와, 상기 케이스(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케이스(50)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 파이프(61)와,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통과되며 정화되게 하는 다수개의 촉매(62)와, 이 촉매(62)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에서 특징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인렛 파이프(7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0)의 외부에 일단이 노출되며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71)와, 이 유입부(71)의 타단쪽에 분기되며 다수개가 설치된 다발관(7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입부(7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관(72)과 연통되도록 각각의 배기가스 유입구(71a)가 별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발관(72)은 촉매(62)의 수량과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다발관(72)은 다수개의 촉매(62) 각각을 향하며 설치되기 위해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며 설치된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유입부(71)와 다발관(72)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다발관(7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원통형의 다발관(72)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는, 상기 인렛 파이프(70)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특정 위치의 촉매(62)로 쏠리는 현상을 개선하는 다발관(72)으로 이루어진 인렛 파이프(70)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인렛 파이프(70)의 설치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다발관(72)을 통하여 각각의 촉매(62)를 향하여 배출되고, 머플러 첫 번째 방은 전체적으로 배기 압력이 균일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촉매(6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균일한 유량을 가지게 되어 배기가스 정화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촉매(62)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아웃렛 파이프(61)를 통해서 대기로 방출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촉매(62)의 효율은 배기가스가 촉매(62)를 통과할 때 촉매(62) 내부에 코팅된 금속과 화학반응 시간, 즉 촉매(62)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정화효율이 커진다. 따라서 촉매(62)에 들어오는 배기가스 량이 많으면 배기가스 속도가 증대되어 촉매(62)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져 정화되는 가스 량이 작아져 촉매(62)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촉매(62)의 효율을 높이려면 촉매(62)에 예컨대, 백금 코팅(coating)량을 증가시키거나, 촉매(62)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백금 코팅량을 증가시킬 경우 원가가 매우 상승되어 부담이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와 같이, 각각의 촉매(6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균일하게 하면 배기가스가 촉매(62)에 머무는 시간이 동일하게 되어 배기가스 정화 효율 능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촉매(62)에 걸리는 배기가스 속도에 의한 동압을 균일하게 해야 하는데 직경이 동일한 다발관(72)을 인렛 파이프(70)로 구성하면 각각의 다발관(72)을 통하여 분출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동일하게 되고, 배기 다발관(72)을 각각의 촉매(62)를 향하도록 하여 촉매(62)에 유입되는 유량이 동일하게 되어 이를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백금과 같은 촉매 코팅량을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게 설치된 인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아웃렛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통과되며 정화되게 하는 다수개의 촉매와, 상기 촉매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구비하여 된 머플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렛 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일단이 노출되며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타단쪽에 분기되며 다수개가 설치된 다발관;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유입부는 상기 다발관과 연통되도록 각각의 배기가스 유입구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다발관은 상기 촉매를 각각 향하며 설치되기 위해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077259A 2005-08-23 2005-08-23 머플러 구조 KR10070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259A KR100706545B1 (ko) 2005-08-23 2005-08-23 머플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259A KR100706545B1 (ko) 2005-08-23 2005-08-23 머플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065A KR20070023065A (ko) 2007-02-28
KR100706545B1 true KR100706545B1 (ko) 2007-04-13

Family

ID=4162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259A KR100706545B1 (ko) 2005-08-23 2005-08-23 머플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583B1 (ko) 2007-12-04 2009-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개의 촉매담체를 구비하는 매연저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3433A (en) * 1976-04-30 1977-11-08 Kubota Ltd Engine muffler
JPH0814033A (ja) * 1994-06-24 1996-01-16 Caterpillar Inc 内燃エンジン用モジュール触媒コンバータとマフラ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3433A (en) * 1976-04-30 1977-11-08 Kubota Ltd Engine muffler
JPH0814033A (ja) * 1994-06-24 1996-01-16 Caterpillar Inc 内燃エンジン用モジュール触媒コンバータとマフ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583B1 (ko) 2007-12-04 2009-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개의 촉매담체를 구비하는 매연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065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402B2 (en) Exhaust system with catalytic converter and motorcycle using the same
JP4024127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4027338B2 (ja) 内燃機関の排ガス系における排ガス後処理装置/消音装置コンビネーション
JP2010255520A (ja) 消音器
WO2009096336A1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JP2005105918A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JP2009013902A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KR100706545B1 (ko) 머플러 구조
JP2008248814A (ja) 排気通路構造
JP3955114B2 (ja) 内燃機関の触媒式排気装置
JP4974548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178296Y1 (ko) 산업용 소음기
JP2008286184A (ja) 触媒装置
JP3886194B2 (ja) 触媒付排気装置
JP5009333B2 (ja) 排気消音装置
KR19990072425A (ko) 내연기관에있어서의촉매부착배기계장치
JP3445560B2 (ja) マフラ
CN203532006U (zh) 柴油机消声器
KR200346657Y1 (ko) 차량의 배기장치
KR20130045502A (ko) 기능이 향상된 차량용 서브 머플러 구조 및 그의 제작 방법
JP2007309155A (ja) 排気浄化装置
JP2006002612A (ja) エンジンの消音器
JP2005069191A (ja) 排気装置
KR100793316B1 (ko) 배기 밸런스 및 오리피스관이 구비된 차량의 배기장치
JP3075432U (ja) 自動車用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