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495B1 -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 Google Patents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495B1
KR100706495B1 KR1020060005747A KR20060005747A KR100706495B1 KR 100706495 B1 KR100706495 B1 KR 100706495B1 KR 1020060005747 A KR1020060005747 A KR 1020060005747A KR 20060005747 A KR20060005747 A KR 20060005747A KR 100706495 B1 KR100706495 B1 KR 10070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carbon fiber
fiber layer
multilayer film
superconduct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선
김도형
김춘동
김익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를 구비하며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 사이를 단열하는 초전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다층 필름에 활성탄소 섬유를 부착하여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의 사이에 진공도를 높임에 따라 단열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초전도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은, 외측 쉬스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 쉬스의 외주를 감쌈에 있어, 일면에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이 상기 내측 쉬스와 접하도록 감싸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초전도 케이블, 쉬스, 다층 필름, 활성탄소 섬유, 진공

Description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Superconduction Cable with Multilayer Insulation Film Bonded Active Carbon Fiber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전도 케이블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착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전도 케이블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층필름 및 섬유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의 다층 필름 및 섬유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초전도 케이블 110 : 외측 쉬스
120 : 내측 쉬스 130 : 다층 필름
131 : 알루미늄 층 132 : 투명 필름층
133 : 활성탄소 섬유층 133H : 활성탄소 섬유
140 : 스페이서
본 발명은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를 구비하며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 사이를 단열하는 초전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층 필름에 활성탄소 섬유를 부착하여 내측 쉬스와 외측 쉬스의 사이에 진공도를 높여 단열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전도 케이블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착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 케이블(1)은 파형의 외측 쉬스(10)와, 상기 외측 쉬스(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파형의 내측 쉬스(2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쉬스(10)와 내측 쉬스(20)의 사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열적 대류 및 기체 열전도 등을 차단한다.
한편, 외측 쉬스(10)와 내측 쉬스(20)의 사이에는 다층 필름(30)이 위치하여 복사열을 차단한다. 또한 다층 필름(30)과 외측 쉬스(1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40)가 위치하여 외측 쉬스(10)와 다층 필름(30)을 지지하며, 다층 필름(30)과 내측 쉬스(20)의 사이에는 흡착제(50)가 고정되어 쉬스(10, 20)에서 분출된 기체 분자 알 갱이를 흡착한다.
도 3에서는 상기 흡착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보이듯이, 내측 쉬스(20)의 외측면에는 흡착제(50)가 위치하고 고정수단(51)으로 상기 흡착제(50)를 고정한다. 여기에서 흡착제(50)는 활성탄이 여과지 티백에 수용된 구조로서, 수작업으로 흡착제(50)를 내측 쉬스(20)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흡착제를 부착함에 따라 작업이 비효율적이며, 부착 상태 및 간격 등이 균일하지 않아 진공도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흡착제를 부착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저온용 테이프가 추가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흡착제가 쉬스 전체에 균일하게 고정되어 있어 케이블 전장에서 균일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초전도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진공도가 케이블 전장에서 균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단열 또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자동화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층 필름의 변형 및 압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은, 외측 쉬스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 쉬스의 외주 를 감쌈에 있어, 일면에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이 상기 내측 쉬스와 접하도록 감싸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상기 다층 필름은 상기 내측 쉬스의 외주를 다수 겹 감싸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쉬스에 감겨진 상기 다층 필름과 상기 외측 쉬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고정되어 상기 다층 필름과 상기 외측 쉬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활성탄소 섬유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짧은 길이의 활성탄소 섬유들의 단부가 상기 다층 필름에 부착되어 섬유층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필름은 알루미늄 층과 투명 필름층이 부착되며,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에 부착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전도 케이블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층필름 및 섬유층을 나타 낸 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 케이블(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 외측 쉬스(110)와, 상기 외측 쉬스(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쉬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쉬스(110)와 내측 쉬스(120)의 사이에는 다층 필름(130)이 내측 쉬스(120)의 외측면을 감싸며, 다층 필름(130)과 외측 쉬스(11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40)가 위치하여 다층 필름(130)과 외측 쉬스(1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초전도 케이블(100)에 있어서, 다층 필름(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알루미늄 층(131)이 형성되고, 내측에 활성탄소 섬유층(133)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 투명 필름층(13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다층 필름(130)의 활성탄소 섬유층(133)은 내측 쉬스(120)의 외측에 접해 감겨지며, 이와 같은 다층 필름(130)이 도 4에 보이듯이, 여러 겹으로 겹쳐 감겨질 수 있다.
한편, 다층 필름(130)의 활성탄소 섬유층(133)은 도 6에 보이듯이, 다수 가닥의 활성탄소 섬유(133H)가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배치되어 섬유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섬유층(133)은 투명 필름층(132)에 도포된 바인더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투명 필름층(132)에 바인더를 도포하고, 도포된 바인더에 활성탄소 섬유층(133)을 덮어 부착 고정하는 작업은 자동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다층 필름(130)을 내측 쉬스(120)에 감아 부착 고정하는 것 또한 자동화가 가능 하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1 실시예에서는 투명 필름층에 활성탄소 섬유층을 바인더로 부착 고정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짧은 길이의 활성탄소 섬유를 정전기방식으로 투명 필름층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만,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또한 정전기를 이용하여 섬유를 필름 등에 부착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의 다층 필름 및 섬유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투명 필름층(132)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길이가 비교적 짧은 활성탄소 섬유(133H)들의 단부가 투명 필름층(132)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다층 필름(130)에는 활성탄소 섬유층(133)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133)이 내측 쉬스(120)에 접하도록 감아 부착 고정한다.
제1,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초전도 케이블(100)에 있어서, 초전도 케이블(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 구성요소들 중에서 기체분자 알갱이들이 석출되는데, 활성탄소 섬유(133H)는 상기 기체분자 알갱이들을 흡착하여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은 활성탄소 섬유를 필름 자체에 접착함으로써, 초전도 케이블의 전장에 균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초 전도 케이블 내부의 진공도 또한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유지되어 단열효과를 증진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활성탄소 섬유는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로서, 다층 필름층 사이의 전도 열전달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층 필름끼리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전도 열전달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은 투명 필름층에 활성탄소 섬유를 부착 고정함에 있어 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종래의 초전도 케이블은 내측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나 케이블이 곡선으로 포설되는 부분에서는 다층 단열 필름이 변형 압축되어 열전달이 증가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은 다층 필름 사이에 고강도의 탄소섬유가 위치함으로써, 압축을 완충하며 다층 필름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활성 탄소섬유는 마찰계수가 낮은 물질이므로, 다층필름 사이의 접촉 마찰력을 저하시켜 다층 필름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장력을 넓게 분산하여 완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외측 쉬스의 내부에 위치한 내측 쉬스의 외주를 감쌈에 있어, 일면에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이 상기 내측 쉬스와 접하도록 감싸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일면에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상기 다층 필름은 상기 내측 쉬스의 외주를 다수 겹 감싸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쉬스에 감겨진 상기 다층 필름과 상기 외측 쉬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고정되어 상기 다층 필름과 상기 외측 쉬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활성탄소 섬유들이 상호 직교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짧은 길이의 활성탄소 섬유들의 단부가 상기 다층 필름에 부착되어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은 알루미늄 층과 투명 필름층이 부착되며,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 케이블.
KR1020060005747A 2006-01-19 2006-01-19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KR10070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747A KR100706495B1 (ko) 2006-01-19 2006-01-19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747A KR100706495B1 (ko) 2006-01-19 2006-01-19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495B1 true KR100706495B1 (ko) 2007-04-10

Family

ID=3816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747A KR100706495B1 (ko) 2006-01-19 2006-01-19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925A1 (en) 2009-02-23 2010-08-26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Cryostat for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power c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4685U (ko) 1973-08-24 1975-05-06
US4785138A (en) 1985-12-06 1988-11-15 Kabel Electro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Electric cable for use as phase winding for linear motors
JPH09152089A (ja) * 1995-12-01 1997-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極低温断熱管及び超電導ケーブル
KR20050075463A (ko) * 2004-01-15 2005-07-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케이블의 다층절연층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4685U (ko) 1973-08-24 1975-05-06
US4785138A (en) 1985-12-06 1988-11-15 Kabel Electro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Electric cable for use as phase winding for linear motors
JPH09152089A (ja) * 1995-12-01 1997-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極低温断熱管及び超電導ケーブル
KR20050075463A (ko) * 2004-01-15 2005-07-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케이블의 다층절연층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925A1 (en) 2009-02-23 2010-08-26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Cryostat for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power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1077B1 (en) Method for insulating a cryogenic container
EP2557894B1 (en) Jacket heater and method for attaching same
US3595275A (en) Spacer means for cryogenic coaxial tubing
CA2157924C (en) Multi-component cable assembly
CN1603675A (zh) 管道的绝热保温结构及绝热保温成套工具
EP0877892B1 (en) Heat reflective sleeve
KR101129761B1 (ko) 기술 설비 부품용 파이프 쉘
KR20040086756A (ko) 테이프 히터
US6367509B1 (en) Thermal harness using encased carbon-based fiber and end attachment brackets
US20040255452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superconducting cable
KR100706495B1 (ko) 활성탄소 섬유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구비한 초전도케이블
JP6552371B2 (ja) 超電導ケーブル
WO2012077648A1 (ja) ジャケットヒータ及びジャケットヒータを用いた加熱方法
KR100641343B1 (ko) 흡착제 구비 네트층을 포함하는 초전도케이블용 저온유지장치
JP5923513B2 (ja) 極低温素子の絶縁体及び、極低温素子を絶縁する方法
US7288715B2 (en) High-vacuum-maintaining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
US20200292106A1 (en) Insulated hose arrangements
KR100641344B1 (ko) 초전도케이블용 저온유지장치 구조
CN1338141A (zh) 导电体,涡轮发电机以及用于为一个导电体建立外部辉光放电保护的方法
KR100750063B1 (ko) 흡착층이 구비된 초전도 케이블의 저온 유지 장치
CN219676950U (zh) 一种双层导热电缆
CN214337462U (zh) 一种低压电缆用的护套管
JP6899304B2 (ja) 耐火電線
WO2012005641A1 (en) Self-supporting cable
JP4099945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配線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