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315B1 -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315B1
KR100706315B1 KR1020050063370A KR20050063370A KR100706315B1 KR 100706315 B1 KR100706315 B1 KR 100706315B1 KR 1020050063370 A KR1020050063370 A KR 1020050063370A KR 20050063370 A KR20050063370 A KR 20050063370A KR 100706315 B1 KR100706315 B1 KR 10070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erence light
axis
mirror
hologra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272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45Multiplexing processes, e.g. aperture, shift, or wavefront multiplexing
    • G03H1/265Angle multiplexing; Multichannel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5/00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 G03H2225/10Shape or geometry
    • G03H2225/122D 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40/00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2240/50Parameters or numerical values associated with holography, e.g. peel strength
    • G03H2240/53Diffraction efficiency [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회절 효율 곡선간 독립 배치를 통해 동일 부피 내에서 중첩 저장 가능한 각도 다중화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2차원적 회절 효율 곡선 배치에서 확장하여 3차원 회절 효율 곡선을 배치시켜 기록 저장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홀로그램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홀로그램 저장장치는 광경로를 변화하는 미러가 2축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미러의 2축 중 하나의 축은 상하로 회전하고, 다른 한 축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러는 기준광 또는 물체광의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저장 밀도 향상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 기준 광의 회전 메커니즘에 2축 회전 스테이지를 추가하여, 광의 회전 각도를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성에 있어서도 단순하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홀로그램 저장장치, 각 다중화, 2축 회전, 기준광

Description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Hologram Storage consisting of Mirror rotating to 2-axis}
도 1은 고정된 미디어를 포함하는 종래의 홀로그램 저장장치.
도 2는 회전하는 미디어를 포함하는 종래의 홀로그램 저장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광반사미러가 2축 회전을 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도 4는 종래 홀로그램 저장장치에서 하나의 북에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광반사미러가 좌우회전을 함에 따라 하나의 북에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광반사미러가 2축 회전을 함에 따라 하나의 북에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
도 7은 종래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광 회절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광 회절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원시광원 2 : 광분할기
3 : 물체광반사미러 4 : 공간광변조기
6 : 기준광반사미러 7 : 광 미디어
9 : 물체광 10 : 기준광
300 : 2축 회전 가능한 기준광반사미러
본 발명은 홀로그램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의 회전을 2축 방향으로 하여 각 선택도를 확장시켜 데이터의 저장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로그램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멀티미디어 산업은 가전, 컴퓨터, 통신, 영상, 방송 등의 여러 산업이 융합된 고도의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산업 환경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환경이 필요해 지고 있다. 즉, 정보량이 방대해짐에 따라 정보저장매체의 초대용량화, 초고속화, 초소형화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한 예로, 멀티미디어 정보통신의 주문형 비디오(Video-On-Deman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비디오 서버의 용량이 103Tb이상, 데이터 전달속도는 1Gb/sec이상 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의 반도체 메모리 및 MOD(Magneto-optical disc) 및 CD(Compact disc) 등은 이러한 정보저장 처리에 있어서 기술적, 경제적 한계가 있음에 따라 새로운 차원의 차세대 초대용량 정보저장기기가 절실해지고 있다. 현재 CD메모리의 경우 640MB(1시간 40분가량의 음악이나 양면 문서 30만 페이지 이상)의 용량을 갖지만, 방대한 데이터의 저장이 필요한 병원업무, 법률, 회사, 정부기관, 도서관 등에서는 수백~수만장의 디스크를 쌓아놓고 로봇팔을 이용하여 액세스하는 고가의 주크박스(Jukebox)를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CD/DVD 급 저장장치는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집광된 빔 스폿을 이용하여 미디어의 한 면에 정보를 저장하는 2차원적 저장방식이었다. 이 경우 트랙간 피치 간격을 조정하거나, 레이어의 층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통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증가시켰으나, 피치간격 축소 및 레이어 증가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저장 용량의 증가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3차원 입체 저장 방식인 홀로그램 저장방식이며, 이는 빛의 회절 및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저장 매체의 내부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CD/DVD에 비해 수십~수백 배의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가 있다.
홀로그램이란 저장될 때 사용된 광파를 똑같이 재생하는 것 또는 저장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홀로그램 메모리에서는 2차원의 광패턴들을 저장하였다가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 방법은 적절한 다중화(Multiplexing)기법에 의해 공간적 으로 겹쳐져서 저장된 정보라도 서로 분리하여 읽어낼 수 있으며 2차원 영상이 한꺼번에 재생되는 페이지 단위의 읽기를 구현하기 때문에 초대용량의 병렬 액세스 매 모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홀로그램 메모리 시스템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레이저(1)는 광분할기(Beam splitter, 2)에 의해 기준광(reference beam, 10)과 신호를 싣게 될 물체광(Object beam, 9)으로 갈라지게 된다. 물체광은 공간 광변조기(SLM, Spatial Light Modulator, 4)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입력 데이터에 의해 2차원 패턴으로 변조된다. 이 빛이 광굴절 물질로 된 미디어(7) 내에서 기준광(10)과 간섭하여 정보저장을 하게 된다. 정보를 읽어낼 때에는 광굴절 물질에 기준광(10)만을 조사하게 된다. 그러면 원래의 정보를 실은 신호광이 재생되어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검출기 어레이(Detect array, 8)에 입사된다.
도 2는 디스크 회전형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이 고정된 미디어를 이용한 홀로그램 저장장치라고 한다면, 도 2의 홀로그램 저장장치는 미디어가 일반 CD/DVD의 광 디스크 미디어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하며, 데이터는 트랙을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다만, 상기 디스크 회전형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미디어는 일반 CD/DVD와 같이 고속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북(데이터가 저장되는 소정의 공간)에 소정의 페이지(하나의 북에 저장되는 화면 단위)가 저장되면 스테핑 형식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홀로그램 드라이브 관련하여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적인 방법으로, 각도 다중화, 위상 다중화, 파장 다중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으나, 제품화 단계에 이른 기술은 각도 다중화 방법이 있다.
각도 다중화 방법은 미디어의 저장 밀도를 향상하기 위해 기준광의 디스크 입사 각도를 조절하여, 특정 각도에서 기록한 데이터는 그 특정 각도로 다시 레이저를 조사해야만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기준광의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구간을 각 선택도라고 하며, 현재는 기준광의 미러를 한 방향만 회전하여 중첩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나의 방향만으로 회전하는 미러를 포함하는 경우 미디어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저장방법이 강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광의 회전을 2축 방향으로 하여 각 선택도를 확장시켜 데이터의 저장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홀로그램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홀로그램 저장장치는 광경로를 변화하는 미러가 2축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미러의 2축 중 하나의 축은 상하로 회전하고, 다른 한 축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러는 기준광 또는 물체광의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저장장치는 광분할기(2), 공간광변조기(4), 물체광반사미러(3), 기준광반사미러(300) 및 광 미디어(7)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광반사미러(300)는 2축 회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기준광반사미러(300)를 2축으로 형성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물체광반사미러(3)를 2축으로 형성하여 회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기준광반사미러(300)만이 2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분할기(2), 공간광변조기(4), 물체광반사미러(6), 광 미디어(7)는 기존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기준광반사미러(300)만이 2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기존의 기준광반사미러(300)는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상하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상기 광분할 기(2)에서 출력되는 빛을 광 미디어(7) 쪽으로 각θ를 형성하며 반사시켰다. 이렇게 반사된 빛은 도 4에서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도 4는 기존 광 미디어(7)에 북 단위로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광 미디어(7)에 하나의 불륨을 가지고 저장하는 경우 저장공간의 단위를 북(book)이라 하고, 상기 북에 저장되는 각 화면 데이터는 페이지(page)라 한다. 기존 상하방향으로만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기준광반사미러의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준광반사미러가 움직임에 따라 θ1, θ2, θ3, ...., θn의 각도를 가지고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에 따른 다른 회절무늬가 형성되어 저장되었다. 이러한 저장방법은 하나의 북(book)에서 z축에서 x축 방향으로 페이지가 회전하면서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기준광반사미러를 수평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상하에 따른 각 θ는 고정되고 도 5에서와 같이 φ의 각이 형성되면서 광 미디어에 빛이 입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2축 회전이 가능한 기준광반사미러를 사용하였을 때 페이지가 북에 저장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기준광반사미러가 상하방향 각θ는 고정되고 수평방향 각 φ가 변함에 따라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인데, 상기 기준광반사미러가 회전함에 따라 φ1, φ2, φ3, .... , φn의 각도를 가지고 입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각도의 변화는 기존과 다르게 y축 방향에서 x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페이지가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광반사미러를 상하좌우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하나의 북에 페이지를 저장하는 경우 페이지가 저장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색의 페이지는 기준광반사미러를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페이지를 저장한 것이고, 청색의 페이지는 상기 기준광반사미러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페이지를 저장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북에 페이지를 저장시킨다면, 기존에 1축 회전시 하나의 북에 약 100페이지를 저장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페이지 저장한다면, 하나의 북에 100 x 100 = 10000 페이지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비해서 약 100배의 저장용량의 향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회절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저장능력의 향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기존 단축 회전의 기준광반사미러를 가지고 있는 경우 회전각에 따른 각 페이지의 회절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회절효율은
Figure 112005037957965-pat00001
로 나타나는데, 상기에서 S는 입력광을 나타내고, R은 기준광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페이지에 따라 회절효율이 sinc함수로써 나타나는데, 이중 그 값이 최대로 되는 각도에서만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굵은 실선 좌측의 점선은 소정의 각 θ에서만 큰 값을 가지게 되므로 하나 의 북에서는 상기 각 θ로 입사되는 빛은 하나의 페이지만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와 같이 기준광반사미러를 2축 회전으로 구성하면 기준광이 광 미디어에 입사되는 각도의 범위가 3차원으로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회절 효율 곡선도의 3차원화가 도 8과 같이 이루어지며, 기존 θ 방향의 회절 효율 곡선의 중첩을 피해 각 다중화가 이루어지는 방법에 추가로, φ 방향으로 회절 효율 곡선을 추가할 수 있어 서로 독립적인 곡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M/#(미디어 내 저장 가능 지표 수)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M/#는 홀로그램 저장장치에서 저장용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M/# 값은 DE의 루트값으로 나타나는데, 상기 DE는 각 다중화된 피크의 회절효율이다. 이렇게 구해진 M/#값은 하나의 매체에 다중화된 피크가 많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저장할 수 있는 페이지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광의 회전 메커니즘에 2축 회전 스테이지를 추가하여, 광의 회전 각도를 다중화하면 가능하므로, 구성에 있어서도 단순하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홀로그램 저장장치에 있어서,
    입사되는 광을 기준광과 물체광으로 분리하는 광분할기;
    상기 물체광을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공간광변조기;
    상기 물체광을 기록매체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물체광반사미러;
    상기 기준광을 기록매체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준광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광반사미러는 2축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미러의 2축 중 하나의 축은 상하로 회전하고, 다른 한 축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홀로그램 저장장치에 있어서,
    입사되는 광을 기준광과 물체광으로 분리하는 광분할기;
    상기 물체광을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공간광변조기;
    상기 물체광을 기록매체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물체광반사미러;
    상기 기준광을 기록매체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준광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광반사미러는 2축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미러의 2축 중 하나의 축은 상하로 회전하고, 다른 한 축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KR1020050063370A 2005-07-13 2005-07-13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KR10070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70A KR100706315B1 (ko) 2005-07-13 2005-07-13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70A KR100706315B1 (ko) 2005-07-13 2005-07-13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72A KR20070008272A (ko) 2007-01-17
KR100706315B1 true KR100706315B1 (ko) 2007-04-13

Family

ID=3801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370A KR100706315B1 (ko) 2005-07-13 2005-07-13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455A (ko) 1997-06-24 1999-01-25 엘리 와이스 홀로그래픽 메모리내의 데이터 위치를 엑세스하기 위해 프레넬 영역 데이터를 조종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9990007454A (ko) * 1997-06-24 1999-01-25 엘리 와이스 홀로그래픽 메모리내의 데이터 위치를 억세스하기 위해 원형좌표를 사용하여 프레넬 영역 데이터를 조종하는 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455A (ko) 1997-06-24 1999-01-25 엘리 와이스 홀로그래픽 메모리내의 데이터 위치를 엑세스하기 위해 프레넬 영역 데이터를 조종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9990007454A (ko) * 1997-06-24 1999-01-25 엘리 와이스 홀로그래픽 메모리내의 데이터 위치를 억세스하기 위해 원형좌표를 사용하여 프레넬 영역 데이터를 조종하는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72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09495A (ja) 光学情報記憶・読出し方法及び装置
Horimai et al. Holographic information storage system: today and future
WO2007029799A1 (ja) 検索方法
JP3305656B2 (ja) 複合入射ビームの制御システム
JP3215669B2 (ja) 複合空間変調入射ビームの方向制御システム
EP1569209B1 (en) Data read/write device for holographic WORM media and method thereof
JP3749380B2 (ja) 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3215668B2 (ja) 空間変調複合入射ビームの方向制御システム
CN1296916C (zh) Rom系统中使用的倾斜伺服装置
US20070030787A1 (en) Data read/write device for holographic storage medium and method thereof
KR100706315B1 (ko) 2축 회전이 가능한 미러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KR20080092054A (ko) 홀로그램 기록 및 재생 장치
US7408865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holography
KR100763637B1 (ko) 병진운동을 하는 반사미러를 구비한 홀로그램 저장장치
KR100756247B1 (ko) 병진 및 회전운동을 하는 미러를 구비한 홀로그램 저장장치
KR100683931B1 (ko) 광 변조를 위한 dmd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KR100706316B1 (ko) 홀로그램 저장장치의 집광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홀로그램 저장장치
JP2021111433A (ja) ディスク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媒体の記憶容量を増やすための多重化方法
Hong et al. Dense holographic storage promises fast access
JP3904050B2 (ja) 光検索方法および光検索装置
US7133171B2 (en) Double facing double storage capacity
Lim et al. Tracking servo method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using discrete pre-patterns
KR100765922B1 (ko) 홀로그래픽 저장장치
KR20070008275A (ko) 복수개의 검출소자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재생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저장장치
KR100263492B1 (ko) 홀로그램데이터기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