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574B1 -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574B1
KR100705574B1 KR1020040039453A KR20040039453A KR100705574B1 KR 100705574 B1 KR100705574 B1 KR 100705574B1 KR 1020040039453 A KR1020040039453 A KR 1020040039453A KR 20040039453 A KR20040039453 A KR 20040039453A KR 100705574 B1 KR100705574 B1 KR 10070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frequency signal
base station
converter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311A (ko
Inventor
이돈신
Original Assignee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게인안테나 filed Critical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to KR102004003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574B1/ko
Priority to PCT/KR2004/002301 priority patent/WO2005119935A1/en
Publication of KR2005011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을 설치할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는 마스터장치와 옥외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장치로 구분하여 전송손실과 비용을 절감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용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에 설치되어 교환국과 연결되고 슬레이브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장치;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 상기 안테나 근처에 설치되어 동축 케이블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슬레이브 장치; 및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TP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 설치시 건물내에 마스터 장치를 위치시키고 옥외 안테나 근처에 슬레이브 장치를 위치시킨 후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를 저가의 UTP 케이블로 연결하고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기존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방식보다 고주파 손실을 약 1/11로 줄이고 고주파 송수신 잡음도 대략 1/10정도로 줄이며, 케이블 비용도 대략 1/4정도로 절감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 디지탈 통신, 동축케이블, UTP 케이블, 마스터/슬레이브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Digital Transceiver of Base station for cellular system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터 장치 20: 슬레이브장치
311,312,313: 송신 안테나 321,322,323: 주 수신안테나
32'1,32'2,32'3: 다이버스티 수신안테나
40-1~40-n: UTP 케이블
111~11n: 다운컨버터 121~12n: 업컨버터
12'1~12'n: 다이버스티용 업컨버터 131~13n: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141~14n: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14'1~14'n: 다이버스티용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15: 마스터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161~16n: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261~26n: 슬레이브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25: 슬레이브용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231~23n: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211~21n: 업컨버터 271~27n: 고주파고출력 증폭기
281~28n:저잡음 증폭기 28'1~28'n: 다이버스티 저잡음 증폭기
221~22n:다운컨버터 22'1~22'n: 다이버스티 다운컨버터
241~24n: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24'1~24'n: 다이버스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17,29: 콘트롤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 국을 설치할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는 마스터장치와 옥외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장치로 구분하여 전송손실과 비용을 절감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교환국과, 기지국 제어장치, 기지국 등 구성되어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가입자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기지국을 거쳐 교환국측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에 있어서 종래의 기지국 장치는 교환국에서 전송하는 순방향 가입자신호를 수신하여 엔코딩한 후 변조하여 소출력으로 중간 주파수(IF) 또는 고주파수로 변환하고, 고주파 증폭기로 증폭한 후 외부 옥상 또는 지상의 높은 철탑에 설치된 안테나로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며, 가입자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역방향 가입자신호는 저잡음 증폭 후 동축 케이블을 통해 건물내의 기지국 장치로 인입하여 복조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 후 디코딩하여 교환국측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지국 장치는 철탑에 설치된 안테나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서 케이블 손실에 의해 대략 송신신호의 1/10 정도가 감쇠되고, 수신시에 저잡음 증폭기도 입력손실이 많아 잡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이 많이 소모되어 기지국 설치에 따른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지국 안테나 근처에 슬레이브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동축 케이블 또는 직접 접속하고, 건물내에 위치하는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를 저가의 UTP 케이블로 연결한 후 디지탈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신호손실과 비용을 대폭 절감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히여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용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에 설치되어 교환국과 연결되고 슬레이브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장치;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 상기 안테나 근처에 설치되어 동축 케이블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슬레이브 장치; 및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TP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순방향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 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디지탈로 변환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합하고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의 순방향 출력을 엔코딩하여 상기 UTP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UTP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마스터용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 UTP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지탈 데이터를 엔코딩 및 디코딩하는 슬레이브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상기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를 통해 재생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고 역방향 데이터를 합하여 상기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로 전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 상기 분배된 순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 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업컨버터; 상기 순방향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역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및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로 전달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기지국 장치는 하나의 전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향성을 갖는 2 내지 N 섹터 안테나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 섹터 안테나이고, 각 섹터에 대해 수신 안테나를 2개 사용하는 다이버스티 방식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를 설치한 개략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 내에 설치되어 교환국과 연결되고 슬레이브 장치(20)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장치(10)와, 옥외 철탑(4)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311,312,313, 321 ,322,323, 32'1,32'2,32'3), 기지국 안테나 근처에 설치되어 짧은 케이블로 혹은 직접 안테나에 연결되고 마스터 장치(10)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슬레이브 장치(20), 마스터 장치(10)와 슬레이브 장치(20)를 연결하기 위한 저가의 일반 전화선용 UTP 케이블(40-1~40-3)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 안테나(311,312,313, 321,322 ,323, 32'1,32'2,32'3)는 3 섹터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섹터은 하나의 송신 안테나와 2대의 수신 안테나가 서비스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섹터은 참조번호 하단에 표기되는 아래 첨자로 구분하고, 수신 안테나에서 다이버스티 안테나는 참조번호에 " ' "를 붙여 표기한다.
슬레이브 장치(20)는 기지국 안테나 가까이 설치되어 짧은 동축 케이블로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고, 마스터 장치(10)와는 각 섹터별로 UTP 케이블(40-1~40-3)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 섹터 안테나 구조이므로 3개의 UTP 케이블(40-1~40-3)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마스터 장치(10)와 슬레이브 장치(20) 사이는 디지탈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므로 UTP 케이블(40-1~40-3)을 사용하더라도 손실이 전혀 없 고, 슬레이브 장치(20)와 안테나 사이는 매우 짧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직접연결하므로 케이블 손실이 거의 없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로서, 건물내에 설치되는 마스터 장치(10)와 기지국 안테나(30) 근처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장치(20)의 세부 구성 블럭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데이터는 통상의 기지국 내에 있는 각 섹터별 고주파 또는 중간주파 송신기(T1~Tn)에서 엔코딩 및 변조되어 각 섹터별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장치(10)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섹터별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N개의 섹터부로 구성되는데, 각 섹터부는 순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111~11n)와, 순방향 중간주파수신호(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131~13n),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신호(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141~14n), 역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R1~R n)에 제공하는 업컨버터(121~12n),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신호(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다이버스티용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13'1~13'n), 역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수신기(R'1~R'n)에 제공하는 다이버스티용 업컨버터(121~12n), 디지탈로 변환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합하고 슬레이브측으로부터 수 신된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의 출력을 엔코딩하여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전송하고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161~16n)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섹터부는 콘트롤러(17)에 의해 제어되고, 고주파 또는 중간주파 송신기(T1~Tn)로부터 중간주파신호가 입력되면 점선과 같이 다운컨버터(111~11n)나 업컨버터(121~12n,12'1 ~12'n)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패스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섹터별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N개의 섹터부로 구성되는데, 각 섹터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의 출력을 엔코딩하여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전송하고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슬레이브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261~26n)와, 디지탈로 변환된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합하여 마스터 측으로 전송하고 마스터측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 순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231~23n), 순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업컨버터(211~21n), 순방향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271~27n), 주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281~28n), 다이버스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 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다이버스티용 저잡음 증폭기(28'1~28'n), 역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221~22n), 역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이버스티용 다운 컨버터(22'1~22'n),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1~24n),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다이버스티용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1~24'n)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섹터부는 슬레이브용 콘트롤러(29)에 의해 제어되고, 마스터측의 콘트롤러(17)와 통신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 콘트롤러들(17,29)은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동작상태(예컨대, 출력, 온도, 전원 이상유무, 기타 환경 등)를 감시 및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1섹터 또는 섹터 수가 작은 경우와 중계기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25)를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순방향 신호 전송]
VHF, UHF, 마이크로웨이브 등 고주파수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데이터, 음성, 영상)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환국에서 전송한 순방향 가입자신호들은 건물내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엔코딩 및 변조된 후 고주파수로 서비스할 소출력 신호들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장치(10)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장치의 다운 컨버터(111~11n)는 입력신호가 고주파신호일 경우에는 중간주파수신호로 다운시키고, 중간주파수신호이면 그대로 바이패스시킨다.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131~13n)는 다운 컨버터(111~11n )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중간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고,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는 각 섹터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131~13n)로부터 전달된 송신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섹터별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한 후 해당 이더넷 엔코더/디코더(161~16n)로 전송한다. 그리고 각 이더넷 엔코더/디코더(161~16n)는 수신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엔코딩하여 UTP 테이블(40-1~40-n)을 통해 슬레이브 장치(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안테나 근처에 설치된 슬레이브 장치(20)는 이더넷 엔코더/디코더(261~26n)로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마스터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로 전달한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는 각 이더넷 엔코더/디코더(261~26n)로부터 수신된 순반향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여 해당 섹터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31~23n)로 전달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31~23n)는 수신된 순방향 디지탈 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업컨버터(211~21n)는 순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한 후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271~27n)로 전달하고,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271 ~27n)는 순방향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311~31n)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송출한다.
[역방향 신호 전송]
한편,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전달되는 역방향 신호는 주 수신 안테나(321~32n)와 다이버스티용 수신 안테나(32'1~32'n)를 통해 수신된다. 주 수신 안테나(321~32n)를 통해 수신된 역방향 신호는 슬레이브장치의 저잡음 증폭기(281~28n)에서 증폭된 후 다운 컨버터(221~22n)에서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된다.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된 수신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1~24n)에서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 되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로 입력된다. 한편, 다이버스티 수신 안테나(32'1~32'n)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해당 저잡음 증폭기(28'1~28' n)에서 증폭된 후 해당 다운 컨버터(22'1~22'n)에서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된다.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된 수신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1~24n)에서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역방향 경로의 경우, 주 수신신호와 다이버스티 수신신호는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 수신신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슬레이브장치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25)는 각 섹터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41~24n)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섹터의 이더넷 엔코더/디코더(261~26n)로 전송하고, 해당 섹터의 이더넷 엔코더/디코더(261 ~26n)는 수신된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엔코딩하여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마스터 장치의 이더넷 엔코더/디코더(161~16n)로 전송한다.
건물내에 설치된 마스터 장치의 이더넷 엔코더/디코더(161~16n)는 UTP 케이블(40-1~40-n)을 통해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디코딩하여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로 전달하고,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15)는 수신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각 섹터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41~14n)로 분배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41~14n)는 수신된 디지탈 데이터를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업컨버터(121~12n)로 전달하고, 업컨버터(121~12n )는 기지국 수신장치가 고주파수신를 수신하도록 된 경우에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고, 중간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경우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141~14n)에서 수신된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기지국 수신기(R1~Rn)로 전달한다.
한편, 마스터 장치의 콘트롤러(17)와 슬레이브 장치의 콘트롤러(29)는 소정 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여 동작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마스터 장치의 콘트롤러(17)는 이 정보를 교환국 장치로 제공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 설치시 건물내에 마스터 장치를 위치시키고 옥외 안테나 근처에 슬레이브 장치를 위치시킨 후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를 저가의 UTP 케이블로 연결하고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기존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방식보다 고주파 손실을 약 1/11로 줄이고 고주파 송수신 잡음도 대략 1/10정도로 줄이며, 케이블 비용도 대략 1/4정도로 절감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건물 내에 설치되어 교환국과 연결되고 슬레이브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장치와,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근처에 설치되어 동축 케이블을 거치거나 직접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TP 케이블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순방향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
    역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 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의 순방향 출력을 엔코딩하여 상기 UTP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UTP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마스터용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장치는
    다수 섹터로 구현된 경우에 디지탈로 변환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합하여 상기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여 각 섹터의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로 제공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장치는
    교환국측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와,
    상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업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기지국이 N섹터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각 섹터별로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와, 상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이더넷 엔코더/디코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 지탈 송수신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수신 다이버스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다이버스티용 디지탈 아날로그변환기와, 다이버스티용 업컨버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7. 건물 내에 설치되어 교환국과 연결되고 슬레이브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마스터 장치와,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근처에 설치되어 동축 케이블을 거치거나 직접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와 디지탈 방식으로 통신하는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마스터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TP 케이블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와 UTP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지탈 데이터를 엔코딩 및 디코딩하는 슬레이브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순방향 디지탈 데이터를 중간주파수 또는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업컨버터;
    상기 순방향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역방향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상기 역방향 중간주파수신호 또는 고주파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슬레이브용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다수 섹터로 구현된 경우에 상기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를 통해 재생된 순방향 데이터 스트림을 분배하여 각 섹터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 전달하고, 각 섹터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합하여 상기 이더넷 엔코더/디코더로 전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기지국이 N섹터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각 섹터별로
    상기 슬레이브용 이더넷 엔코더/디코더와, 상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업 컨버터와, 상기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다운 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 다이버스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다이버스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이버스티용 저잡음 증폭기와, 다이버스티용 다운 컨버터와, 다이버스티용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11. 삭제
KR1020040039453A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KR10070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453A KR1007055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PCT/KR2004/002301 WO2005119935A1 (en) 2004-06-01 2004-09-09 Digital transceiver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453A KR1007055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208U Division KR200360398Y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311A KR20050114311A (ko) 2005-12-06
KR100705574B1 true KR100705574B1 (ko) 2007-04-10

Family

ID=3546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453A KR1007055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5574B1 (ko)
WO (1) WO20051199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819A (ko) * 2003-10-10 2005-04-15 고남옥 기가비트 이더넷 망을 사용한 유무선 통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687A (en) * 1995-03-01 1998-04-07 Qualcomm Incorporated Self-attenuating RF transceiver system using antenna and modem interfaces and cable link
GB2315643B (en) * 1996-07-24 1998-09-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Base station
JP3587688B2 (ja) * 1998-06-26 2004-11-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lan用ブース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819A (ko) * 2003-10-10 2005-04-15 고남옥 기가비트 이더넷 망을 사용한 유무선 통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9935A1 (en) 2005-12-15
KR20050114311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9601C (e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employing utility poles and optical signal distribution
US8577286B2 (en) Point-to-multipoint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KR101288290B1 (ko) 원격 분산 안테나
US8452333B2 (en) Feeder cable reduction
CN101426303A (zh) 通信系统、设备和方法
JP2006510331A (ja) 衛星放送用の配信システム
US9392617B2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US7221906B2 (en) Distributed multi-drop base station/repeating unit using extension of analog optical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600686B1 (en) Communication link for a split microwave backhaul architecture
KR20140123493A (ko) 확산 스펙트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리턴 링크를 가진, 위성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 방송 신호의 송수신
KR10070557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KR200360398Y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탈 송수신장치
US11296779B2 (en) Signal terrestrial repeater having a master unit and a remote unit tha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master unit
US11923951B2 (en) Repeating device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coverage of a Wi-Fi access point
CN2927565Y (zh) 一种基站子系统
CN101552881A (zh) 电视信号合路接收方法及电视信号合路接收系统
KR100375837B1 (ko) 다중방향 섹터형 이동 통신 중계 장치
KR100627800B1 (ko) 디지털 유선 중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404167Y1 (ko) 텔레비전 동축 분배망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인빌딩 초소형 중계장치
KR200235290Y1 (ko) 다중방향 섹터형 이동 통신 중계 장치
KR100432300B1 (ko) 고층 건물형 무선통신망 중계방법 및 장치
JPH034627A (ja) 移動電話通信中継方式
KR100627797B1 (ko) 디지털 무선 중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6888466B (zh) 一种实现移动基站远距离通信的方法及装置
CN101702775B (zh) 数字微波图像传输系统及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