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172B1 -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172B1
KR100705172B1 KR1020050134895A KR20050134895A KR100705172B1 KR 100705172 B1 KR100705172 B1 KR 100705172B1 KR 1020050134895 A KR1020050134895 A KR 1020050134895A KR 20050134895 A KR20050134895 A KR 20050134895A KR 100705172 B1 KR100705172 B1 KR 10070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formation
audio file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함께 구성되며,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매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녹음 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mp3, 시간정보, 신호처리, mp3 플레이어

Description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Audio recording regen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저장영역의 오디오 파일을 도시한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오디오 녹음재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100a : FM 수신부.
100b : 마이크. 100c: 라인-인 단자.
102 : 오디오 제어부. 104 : 오디오 파일 전환부.
106 : 정보 제공부. 108 : 오디오 신호 처리부.
110 : 오디오 출력부. 112 : 오디오 저장부.
114 : 디스플레이부. 116 :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본 발명은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는 소리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저장방식 중의 하나로 'MPEG Player 3'을 줄여 쓴 것으로서, 동영상 압축기술을 뜻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_3'가 개발된 이후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 음악파일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MP3 방식의 디지털 음악 데이터는 압축율이 커서 파일의 크기가 작고,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통신 등을 통해 많이 제공하고 있어서, 쉽게 내려받기(Download)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메모리 카드(MMC : Multi-Media Card)에 쉽게 저장할 수 있으므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MP3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소형의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가방이나 주머니등에 소지하고 다니며, 음악을 듣고 싶을 경우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이용해 이동중에도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이러한 MP3 플레이어에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는 추세이다.
녹음 모드시 상기 MP3 플레이어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결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는 FM 레코딩, 보이스 레코딩 및 라인-인 레코딩이며, 상기 시리얼은 파일이 생성될 때마다 예를 들면 "001"씩 증가 된다.
만일,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가 FM 레코딩인 경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인 예를 들면 "F"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 예를 들면 "F001.mp3"를 생성한다.
만일,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가 보이스 레코딩인 경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인 예를 들면 "V"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를 결합하여 오디오 파일 "V001.mp3"를 생성한다.
만일,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가 라인-인 레코딩인 경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인 예를 들면 "L"과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를 결합하여 오디오 파일 "L001.mp3"을 생성한다.
이것은 단순히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구분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형태로, 많은 오디오 파일 존재 시 사용자가 재생하기 원하는 녹음된 오디오 파일을 찾을 경우, 직접 디스플레이하여 오디오 파일명 및 녹음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그리고, HDD형, MP3, PMP등 저장용량이 큰 세트(Set)로 녹음하는 경우, 많은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어, 오디오 파일의 녹음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없어 저장매체를 관리하기가 불편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녹음 모드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오디오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오디오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력부는 FM 주파수를 수신하는 FM 수신부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라인-인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저장 포멧에 맞게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녹음 모드 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오디오 파일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 리얼을 오디오 파일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특정정보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시간정보 순으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소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소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저장부는 녹음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저장영역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특정 정보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이 시간정보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상기 오디오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녹음 모드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녹음재생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녹음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06)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10)와,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100)와, 녹음 모드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오디오 파일 전환부(104)와, 녹음 모드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오디오 제어부(102)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오디오 저장부(112)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FM 주파수를 수신하는 FM 수신부(100a)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00b)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라인 -인 단자(100c)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녹음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아 오디오 제어부(102)로 전송시킨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10)는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 소스를 출력시킨다.
상기 입력부(100)는 FM 주파수를 수신하는 FM 수신부(100a)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00b)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라인-인 단자(100c)로 구성된다.
정보 제공부(이하 시간정보 제공부라 칭함)(106)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시간정보이다.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한다.
오디오 파일 전환부(104)는 녹음 모드시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도록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녹음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FM 수신부(100a)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FM 수신부(100a)의 정보인 예를 들면 FM 레코딩(Recording)의 "F"와,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인 년월일 예를 들면 "20050824"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F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F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예를 들면 FM 폴더로 구분한 후, 상기 예를 들면 FM 폴더에 예를 들면 "F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마이크(100b)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마이크(100b)의 정보인 예를 들면 보이스 레코딩(Voice Recoding)의 "V"와,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인 년월일 예를 들면 "200508024"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V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V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상 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예를 들면 보이스 폴더로 구분한 후, 상기 예를 들면 보이스 폴더에 예를 들면, "V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라인-인 단자(100c)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라인-인 단자(100c)의 정보인 예를 들면 라인-인 레코딩(Line-in Recoding)의 "L"과,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인 년월일 예를 들면 "200508024"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L2005080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L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예를 들면 라인-인 폴더로 구분한 후, 상기 예를 들면 라인-인 폴더에 예를 들면, "L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08)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저장 포멧에 맞게 mp3, OGG 및 WMA 등의 오디오 파일로 신호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는 녹음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저장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는 사용자에 의해 시간 정보가 설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시간정보 순으로 소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소팅할 수 있다.
만일, 녹음 모드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도록 상기 오디오 파일 전환부(104)의 모드를 전환된 경우,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FM 레코딩(FM Recording)의 "F"과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F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저장부(112)의 FM 폴더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보이스 레코딩(Voice Recording)의 "V"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V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의 보이스 폴더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라인-인 레코딩(Line-in Recording)의 "L"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L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의 라인-인 폴더에 저장한다.
전술한 시리얼은 오디오 파일이 생성될 때만 예를 들면 "001"씩 카운트 된 다.
상기 오디오 파일에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저장영역의 오디오 파일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저장부(112)는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저장영역의 FM 폴더(112a), 보이스 폴더(112b) 및 라인-인 폴더(112c)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저장영역의 오디오 파일을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저장부(112)는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저장영역인 FM 폴더(112a), 보이스 폴더(112b) 및 라인-인 폴더(112c)로 구분된다.
상기 FM 폴더(112a), 상기 보이스 폴더(112b) 및 상기 라인-인 폴더(112c)에는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 및 상기 시간 정보부가 제공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오디오 파일과,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생성된 오디오 파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FM 폴더(112a)에는 예를 들면 F001.mp3, F20050824.mp3 등이 포함되며, 상기 보이스 폴더(112b)에는 예를 들면 V001.mp3, V20050824.mp3 등이 포함되고, 상기 라인-인 폴더(112c)에는 예를 들면 L001.mp3, L20050824.mp3 등이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녹음재생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아 오디오 제어부(102)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FM 주파수를 수신하는 FM 수신부(100a)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00b)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라인-인 단자(100c)로 구성된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10)는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오디오 소스를 출력시킨다.(S300)
정보 제공부(이하 시간정보 제공부라 칭함)(106)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특정정보는 시간정보이다.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 파일 전환부(104)는 녹음 모드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되도록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
녹음 모드시(S302)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FM 수신부(100a)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S304),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FM 수신부(100a)의 정보인 예를 들면 FM 레코딩의 "F"와, 상기 시간 제공 정보부(106)가 제공하는 시간 설정 정보를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20050824"와 같은 형식의 정보를 이용하여(S310),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F20050824.mp3"의 형식으로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된다(S312).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F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예를 들면 FM폴더(112a)로 구분한 후, 상기 예를 들면 FM폴더(112a)에 예를 들면 "F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마이크(100b)에 의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인 경우(S306),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오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마이크(100b)의 정보인 예를 들면 보이스 레코딩의 "V"와, 상기 시간 정보 제공부(106)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인 년월일의 예를 들면 "20050824"를(S310) 이용하여 예를 들면 "V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1" 을 결합 하여 예를 들면 "V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예를 들면 보이스 폴더(112b)로 구분한 후, 상기 예를 들면 보이스 폴더(112b)에 예를 들면 "V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입력부(100)의 라인-인 단자(100c)에 이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S308),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라인-인 단자(100c)의 정보인 예를 들면 라인-인 레코딩의 "L"과,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인 년월일의 예를 들면 "20050824"를(S310) 결합하여 예를 들면 "L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S312)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정보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1"을 결합하여 예를 들면 "L20050824 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는 예를 들면 라인-인 폴더(112c)로 구분한 후, 예를 들면 라인-인 폴더(112c)에 예를 들면 "L20050824.mp3"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는 녹음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저장영 역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 제공부(106)는 사용자에 의해 시간정보가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탐색시 상기 오디오 파일이 생성된 시간정보 순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소팅할 수 있다.
만일, 녹음 모드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되도록 상기 오디오 파일 전환부(104)가 사용자에 의해 전환된 경우, 종래기술과 같이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FM 레코딩(FM Recording)의 "F"과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결합하여, 예를 들면 "F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저장부(112)의 FM 폴더(112a)에 저장한다.
또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보이스 레코딩(Voice Recording)의 "V"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결합하여 예를 들면 "V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저장부(112)의 보이스 폴더(112b)에 저장한다.
또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라인-인 레코딩(Line-in Recording)의 "L"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예를 들면 "001"을 결합하여 예를 들면 "L001.mp3"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저장부(112)의 라인-인 폴더(112c)에 저장한다.
전술한 시리얼은 오디오 파일이 생성될 때마다, 예를 들면 "001"씩 카운트 된다.
만일, 생성되어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탐색 키가 선택되면(S314),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선택되는 폴더의 오디오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S316)
상기 GUI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파일은 상기 오디오 제어부(102)에 의해 오디오 파일이 생성된 시간정보 순 및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소팅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파일에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오디오 저장부(112)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간정보를 결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탐색시 시간정보 및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 순으로 소팅할 수 있어, 상기 오디오 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매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17)

  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오디오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녹음 모드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오디오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녹음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FM 주파수를 수신하는 FM 수신부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라인-인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녹음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저장 포멧에 맞게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녹음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모드 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오디오 파일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오디오 파일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정보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시간정보 순으로 상기 오 디오 파일을 소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저장된 오디오 파일 탐색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소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녹음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에 의해 저장영역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장치.
  11. 녹음 모드시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년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이 시간정보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 순으로 상기 오디오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녹음 모드시 상기 오디오 소스에 따른 정보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시리얼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녹음 재생방법.
KR1020050134895A 2005-12-30 2005-12-30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95A KR100705172B1 (ko) 2005-12-30 2005-12-30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95A KR100705172B1 (ko) 2005-12-30 2005-12-30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172B1 true KR100705172B1 (ko) 2007-04-06

Family

ID=3816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95A KR100705172B1 (ko) 2005-12-30 2005-12-30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1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58A (ko) * 2001-05-15 2001-07-25 양덕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1603A (ko) * 2003-10-31 2005-05-04 박병강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제작방법 및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 컨텐츠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58A (ko) * 2001-05-15 2001-07-25 양덕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1603A (ko) * 2003-10-31 2005-05-04 박병강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제작방법 및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 컨텐츠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41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N100385371C (zh) 再现装置及再现控制方法
KR20090029135A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EP2463861A1 (en)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CN109618116B (zh) 多媒体信息的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705172B1 (ko) 오디오 녹음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4023233B2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1290498A (ja)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ユニット
US6525251B1 (en) Method of displaying the title and words of songs on a digital music player
JP2004134010A (ja) 音楽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141316A (ja) オーディオ装置
KR100708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음원 가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4005832A (ja) データ再生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26659B1 (ko) 음악파일의 특정 연주부분을 소거 또는 선택하여 청취하는방법
JP2002196778A (ja) 履歴優先の再生機能付き情報再生装置
JP2002245033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同装置の文字列表示方法
US20060047642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4978306B2 (ja) 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装置、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プログラム
TW587213B (en) Playing method of video and audio
JP2004047047A (ja)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編集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編集方法、再生方法
JP2007257712A (ja) コンテンツ選択装置
KR20080055420A (ko) Mp3 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40090183A (ko) 엠피쓰리 파일을 이용한 노래 연습 기능 제공 장치 및 그방법
JP2003296672A (ja) 記録媒体識別装置、この方法、再生装置、この方法、このプログラム、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JP2005056491A (ja) 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