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954B1 -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954B1
KR100704954B1 KR1020050008030A KR20050008030A KR100704954B1 KR 100704954 B1 KR100704954 B1 KR 100704954B1 KR 1020050008030 A KR1020050008030 A KR 1020050008030A KR 20050008030 A KR20050008030 A KR 20050008030A KR 100704954 B1 KR100704954 B1 KR 10070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fluid
supply pipe
spray
nitroge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151A (ko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이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일 filed Critical 이원일
Priority to KR102005000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9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액 또는 소화액과 질소가스를 이용한 2유체 혼합 분무노즐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재구역 내의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배열에 따라서 질소가스가 유입되는 제1 주입구와 강화액이 유입되는 제2 주입구에 설치되는 오리피스의 홀 구경이 공급배관으로부터 1열(A)은 대구경, 2열(B)은 중간구경, 3열(C)은 소구경으로 차등시켜 설치된 것으로서,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배열에 따라서 오리피스 홀 구경을 차등화 함으로서 분무노즐이 설치되는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한 압력으로 안개분무되도록하여 화재시 초기에 진화토록 함과 동시에 진화 후 주변의 반도체 기기 등을 걸레로 닫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 비해 오리피스를 이용를 사용할 경우 소화약제의 소비를 절감(스프링클러사용시 1/10 : 오리피스를 이용한 소화약제 1/100)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유체 분무노즐, 포그, 질소가스, 강화액, 소화액, 오리피스

Description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A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spray nozzel having orifice to control a mixed proportion of two fluids}
도1은 본 발명의 분무노즐의 주입구에 오리피스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구비한 분무노즐이 공급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3a,b는 본 발명의 분무노즐이 공급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배열 예시도.
도4a,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예시도.
도5a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 단면 구성도.
도5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오리피스 단면도.
도6b는 도6a의 오리피스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유체 분무노즐 11:몸체
12:제1 주입구 13:제2 주입구
14:고정부재 15:돌출부
16:공간부 17:노즐헤드
18:노즐 홀 19:가스가압홀
19':혼합실 20,20':오리피스
21,21':오리피스 홀 30:공급배관
40:질소 압력탱크 40':강화액 압력탱크
본 발명은 강화액(소화액)과 질소가스를 이용한 2유체 혼합 분무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강화액과 질소가스를 혼합시켜 안개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사노즐의 각 유입구에 오리피스(orifice)를 설치하여 강화액과 질소가스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이 설치된 배관의 거리에 관계없이 방재구역에 균일하게 분무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무입자를 최소화시켜 소화시 물방울이 생기지 않고 안개분무 시킬도록 한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환경공해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 현상이 심각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면서 환경친화적인 소화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소화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관계로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러한 약제들은 소화시 분사되면서 화학성분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오존층을 파괴하고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소화약제들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스계소화설비의 경우 소화약제들은 소화성능은 뛰어나지만 환경파괴와 인간의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그 대안으로 물을 사용하여 분무하는 방식의 워터미스트(WATER MIST) 소화설비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 A급화재(종이, 나무, 플라스틱, 단열재등)의 소화에는 효과가 있으나, B급화재(유류), C급화재(전기, 반도체)등의 소화에는 그 효과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소화 후 2차적인 피해가 더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관계로 B급화재와 C급화재에는 강화액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반도체 생산현장, 전기 관련 생산 현장 및 변전소, 발전소, 제약생산 현장 등에서 사용하기에 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B급화재와 C급화재의 소화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과 가스를 혼합하여 분무하는 소화시스템이 제공되어야하나 물과 가스를 혼합하여 분무하는 방식은 분무되는 물방울 입자의 크기 조절이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나 현재까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인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방재구역 내의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배열에 따라서 분무노즐의 각 주입구에 결합되는 오리피스의 구경을 차등화하여 설치된 분무노즐의 거리에 관계없이 다수의 분무노즐의 압력을 균일하게 분무함으로서 화재시 질소가스의 강력한 스프레이로 화원에 신속하게 침투시켜 소화구역내에 분무밀도를 높여 최단시간 내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된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재구역 내의 공급배관(30)에 설치되는 2유체 분무노즐(10)의 배열에 따라서 질소가스가 유입되는 제1 주입구(12)와 강화액(소화수)이 유입되는 제2 주입구(13)에 설치되는 오리피스(20)(20')의 오리피스 홀(21)(21') 구경이 공급배관으로부터 1열(A)은 대구경, 2열(B)은 중간구경, 3열(3)은 소구경으로 차등되게 설치하여 설치된 다수의 2유체 분무노즐이 균일한 압력으로 안개 분무하여 화재를 최단시간내에 진화할 수 있도록 된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은 일측면에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의 외면에는 나사가 구비된 돌출부(15)를 형성하며 내부의 공간부(16)에는 가스가압홀(19)이 형성된 고정부재(14)가 위치되도록 몸체(11)를 구성하고,
몸체(11) 일측면의 돌출부(15)와 결합되도록 내벽에 너트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다수의 노즐 홀(18)을 갖는 노즐헤드(17)를 형성하며,
몸체(11)의 제1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오리피스 홀(21)(21')을 갖는 오리피스(20)(20)가 결합된 2유체 분무노즐(10)을 형성하여 공 급배관(30)에 다수 설치한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무노즐 소화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2유체 분무노즐(10)은 설치되는 공급배관(30)의 길이에 관계없이 질소가스와 강화액의 혼합 분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20)(20')의 오리피스 홀(21)(21') 크기를 배관에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10)의 배열에 따라서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오리피스는 한개 이상의 오리피스 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방재구역에 설치된 공급배관(30)에 일정한 등간격으로 2유체 분무노즐(10)을 설치하게 된다.
공급배관(30)에 다수 설치되는 2유체 분무노즐(10)은 몸체(11)와 노즐헤드(17)로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몸체(11)의 내부 공간부(16)에 삽입되어 몸체(11) 일측면의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로 각각 분리되어 주입되는 2가지 유체를 혼합시켜주는 구조를 가진 고정부재(14)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1)의 돌출부(15)와 맞물려 나사로 결합되고 타측면에 다수의 노즐 홀(18)이 형성된 노즐헤드(17)가결합되어 화재시 혼합된 질소가스와 강화액이 안개형태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2유체 분사노즐(10)의 몸체(11)에 형성된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는 중앙부에 오리피스 홀(21)(21')을 갖는 오리피스(20)(20')가 설치되어 제1 주입구로 유입되는 질소가스와 제2 주입가스로 유입되는 강화액(소화수) 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혼합실(19')에서 혼합 후 노즐 홀(18)을 통하여 분무되는 물의 입자크기를 안개형태로 분무 될 수 있도록 50마이크론 이하로 형성할 수 있게된다.
즉, 본 발명은 2유체 분무노즐(10)의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 서로 다른 크기의 오리피스 홀을 갖는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질소가스와 강화액(소화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게된다.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 설치되는 오리피스(20)(20')의 홀 구경은 2유체 분무노즐이 설치되는 주변조건에 따라서 그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에 설치되는 각 오리피스의 홀 구경은 소구경, 중간 구경, 대구경으로 각각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경 크기의 비율은 질소가스의 오리피스(20) 홀 구경 보다 강화액의 오리피스(20') 구경을 작게 형성(예 10:8비율)하면 공급배관(30)에서 공급되는 질소가스와 강화액이 제1, 제2 주입구에 설치된 오리피스(20)(20')를 통과시 안개분무에 적합한 비율로 고정부재(14)의 가스가압홀(19)와 공간부(16)로 각각 유입된 후 고정부재(14)의 혼합실(19')에서 혼합된 후 외부로 안개분무 된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20)(20')가 설치된 본 발명의 2유체 분무노즐(10)은 건물의 공급배관(30)에 설치시 질소가스의 압력탱크(40)와 강화액의 압력탱크(40')의 위치에서 이격되는 거리에 관계 없이 균일하게 안개분무할 수 있게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물이나 산업현장에 소화 시스템을 설치시 면적이 작은 지역에는 공급배관라인이 짧게 설치 될 수 있지만 작업현장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일정한 지역을 구획하여 제1, 제2, 제3 방재구역으로 구획하여 방제시스템을 설치하게된다.
따라서 소화액과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배관(30)라인 역시 방재구역 별로 설치되며 이의 공급배관(30) 라인에는 다수의 분무노즐(30)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화재시 소화액(소화수) 또는 가스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도록 한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유류화재의 B급화재와 전기전자 및 반도체 통신 생산라인의 C급화재 화재발생시 초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강화액(소화수)과 질소가스를 혼합하여 안개분무하기 위한 것임을 다시 한번 밝히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A급화재, B급화재, C급화재 등은 소방법에서 분류하고 있는 화재류를 말하는 것으로 A급화재는 종이, 목재를 말하며, B급화재는 유류를 말하며, C급화재는 전기계통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질소가스와 강화액을 분무하기 위해서는 일측에 강화액과 질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압력탱크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방재구역에 설치되는 공급배관(30) 역시 질소 압력탱크(40)와 강화액 압력탱크(40')와 연결되도록 공급배관(30)이 설치되고 이의 공급배관(30)에는 방재구역 별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무노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공급배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2유체 분무노즐(10)은 질소가스와 강화액의 주입구 구경은 최초 안개분무에 적합한 구경으로 동일하게 제작된 후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에 결합되는 오리피스를 제작하여 공급배관의 거리에 따라서 적합한 구경을 갖는 오리피스를 선택하여 결합하게 된다.
일예를 들어 방재구역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을 생산시 한가지 형태의 혼합 비율을 갖는 분무노즐 만을 생산하여 공급배관에 다수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질소가스 또는 강화액 압력탱크(40)(40')의 공급배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2유체 분무노즐과 가깝게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이 모두 동일한 압력으로 동일한 형태의 분무를 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즉, 공급배관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분무노즐 중 압력과 질소가스 및 강화액의 비율이 잘맞는 분사노즐 중 어느 하나는 요구하는 안개분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지만 나머지 멀리떨어져 있는 노즐들은 거리에 따른 압력비율이 상이하여 2유체 분무노즐에서 분무되는 물방울의 입자가 커져 안개분무가 이루어지지 않고 물방울로 분사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전자소자 또는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화재로 인한 피해보다 분사시 굵어진 물방울에 의해 발생되는 2차적인 피해가 더 크게 발생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질소가스가 유입되는 제1 주입구와 강화액이 유입되는 제2 주입구의 혼합비율에 알맞는 10(질소):8.5㎜(강화액), 7:5.5㎜, 5: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오리피스를 설치하되 공급배관(30)라인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설치 열과 거리에 비례한 혼합비율 순서는 공급배관에서 가까운 거리부터 10(질소):8.5㎜(강화액), 7:5.5㎜, 5:3.5㎜의 순서로 오리피스 홀 구경을 갖는 분무노즐을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화재발생시 공급배관에 설치된 모든 분무노즐이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와 같이 배관의 거리에 따라서 혼합비율을 달리 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 의 분무노즐의 오리피스(20)(20') 구경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아래의 표1과 같다.
유체 구분 공급라인에서
가까운 분무노즐(A) 중간 분무노즐(B) 먼쪽 분무노즐(C)
질소가스오리피스 구경 10㎜ 7㎜ 5㎜
소화액 오리피스 구경 8.5㎜ 5.5㎜ 3.5㎜
상기 표1의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공급배관(30)에서 멀수록 분무노즐의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홀(21)(21') 구경을 작게하고 공급배관(30)에서 가까울수록 2유체 분무노즐(10)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홀(21)(21')의 구경은 크게 형성한 것이다.
즉, 오리피스의 홀 구경은 항상 질소 가스의 오리피스 홀 구경보다 강화액 또는 소화액 이 통과하는 오리피스 홀 구경이 작아야 하며, 작을 수록 분무(Fog)되는 물망울의 입자가 극소로 작아져야 안개분무를 할 수 있는 동시에 방재구역 전반에 걸쳐 균일한 압력으로 분무를 할 수 있어 소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강화액은 중탄산칼륨등의 침륜소화약제를 이용하며, 분무시 강화액은 가압기체인 질소가스의 압력을 빌어 2유체 내부 혼합방식의 2유체 2유체 분무노즐(10)에 의하여 안개분무되며 이와 같이 2유체 혼합방식을 채택하여 소화할 경우 기존의 물을 사용하여 소화할때보다 물의 양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물을 사용했을때에는 물방울의 크기를 100마이크론 이상 크게해야 소화설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강화액은 질소가스와 혼합하면 50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를 형성하여 소화시 질소가스의 강력한 스프레이를 화원에 신속하게 침투하여 방재 구역(소화구역)내의 밀도를 높여 물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20배이상 빠른 속도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여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아 전기통신시설의 경우 화재로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분무노즐의 주입구에 오리피스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로서, 2유체 분무노즐(10)의 몸체(11) 일측면에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12)와 소화액 또는 강화액이 주입되는 제2 주입구(13)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개방되어 외면에 나사를 갖는 돌출부(15)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고정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16)가 형성된다.
몸체(11)의 다른 일측 외면에는 나사가 구비된 돌출부(15)가 형성되고 고정부재(14)에는 가스가압홀(19)이 형성된 고정부재(14)가 위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몸체(11) 일측면의 돌출부(15)와 결합되는 노즐헤드(17) 양측면 역시 개방되고 내벽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다수의 노즐 홀(18)이 구비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1)의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오리피스 홀(21)(21')을 갖는 오리피스(20)(20)가 결합된 것으로서 제1 주입구(12)로 유입되는 질소가스와 제2 주입구(13)로 유입되는 강화액이 혼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2유체 분사노즐(10)은 공급배관(3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에(13) 설치되는 오리피스(20)를 공급배 관(3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2유체 분무노즐에는 작은 직경의 홀을 갖는 오리피스를 체결하고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에는 홀이 가장 큰 오리피스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구비한 분무노즐이 공급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오리피스가 구비된 분무노즐을 공급배관에 설치하고 공급배관은 질소가스 압력탱크(40)와 강화액 압력탱크(40')와 연결된 구성을 간단하게 요약하여 도시한 것이며, 이의 전기적인 구성과 컨트롤부 및 기타 밸브 등은 통상의 방법으로서 그 도시를 생략하고 본 발명의 취지에 대응된 구성요소만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2에서 공급배관(30)으로부터 가깝게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은 1열(A)이라하고, 중간의 2유체 분무노즐은 2열(B)이라 하며, 가장멀리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은 3열(C)로 도면상 표기하였다.
도3a,b는 본 발명의 분무노즐이 공급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배열 예시도로서, 도3a는 공급관 일측으로만 분무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3b는 공급관 양측으로 분무노즐이 배열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는 공급관에서 근접거리에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을 1열(A), 중앙부에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을 2열(B), 가장멀리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을 3열(C)로 표기하여 상기 표1에 따른 2유체 분무노즐의 배열구조이며, 1열(A)(점선표기 부분)에 속하는 2유체 분무노즐(10)의 오리피스(20)(20')의 홀 구경이 가장크고 가장멀리 설치된 분무노즐의 3열(C)(점선표기 부분)의 오리피스(20)(20'의 홀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설치된 2유체 분사노즐이 공 급관으로부터 가깝거나 또는 멀리 설치되어 있더라도 2유체 분무노즐(10)을 통하여 분무되는 혼합액의 안개부분무는 1열(A), 2열(B), 3열(C)지역 모두 균일하게 안개분무되도록한 것이다.
도4a,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분무노즐의 예시도로서, 2유체 분무노즐에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노즐의 형태에 관계없이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가 설치된 2유체 분무노즐일 경에 대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분사노즐이라도 2유체 분사노즐로서 질소가스와 강화액이 주입되는 제1 주입구(12)와 제2 주입구(13)에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20)(20')가 설치된 2유체 분사노즐(10)이면 어느 형태의 것이나 가능하다.
도5a 와 도5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 단면 구성도와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2유체 분사노즐 몸체에 형성된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것이다.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오리피스 단면 구성도와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사노즐 몸체에 형성된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에 결합되는 오리피스는 중앙부에 1개이상의 오리피스 홀을 갖고 상면 일측에는 오리피스를 착탈할 수 있도록 렌치 끼움공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1, 제2 주입구로부터 착탈시키기 위해 오리피스 홀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렌치등의 공구를 끼울할 수 있는 끼움공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유체 분무노즐의 설치 형태는 천장에 설치하여 분무되는 방향이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하거나, 일측 벽면에 설치하여 분무방향이 옆으로 향하도록 할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는 화재시 소화해야할 대상물위 위치에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유체 분무 노즐이라 함은 하나의 노즐 몸체에 강화액과 질소가스 또는 물과 질소가스로된 2가지 유체가 인입되어 내부혼합 또는 외부 혼합방식으로 혼합분무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강화액과 질소가스를 혼합분무시 물방울의 입자를 50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로 함으로서 2유체 분무노즐(10)의 분무형태가 안개와 같이 분무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별도의 오리피스를 형성하지 않고 분무노즐의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의 크기를 분무노즐 제작시 크기를 비율에 알맞도록 제작할 수 있으나 이는 공급배관에 한정적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으므로 각각 설치되는 1열(A),2열(B),3열(C)에 대응되는 타입의 오리피스를 일체로 갖는 분무노즐을 각각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그효과는 별도의 분리되는 오리피스를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는 전자기기로 이루어진 산업 현장과 산도체 생산 현장등에서 화재발생시 안개분무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동시에 소화한 후 주변 기기들은 걸레로 닦은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공급배관에 설치되는 2유체 분무노즐의 배열에 따라서 오리피스 홀 구경을 차등화 함으로서 분무노즐이 설치되는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한 압력으로 안개 분무하여 화재시 초기에 진화함과 진화 후 주변의 반도체 기기등을 걸레로 닦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2유체 혼합방식을 채택하여 소화할경우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 비해 소화시 물을 사용할경우 소비를 1/10로 절감할 수 있고, 소화약제로 강화액을 사용했을 경우는 안개입자크기를 50마이크론 이하로 소화가능하며 이로인해 S/P소화설비에 비해 1/100절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국에서 전량 수입하는 소화약제를 대체하여 외화낭비를 방지하고 환경친화적인 소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방재구역 내의 공급배관(30)에 설치되어 화재시 소화액을 분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무노즐에 있어서,
    공급 배관에 설치되는 2유체 분무노즐(10)은 설치배열에 따라서 질소가스가 유입되는 제1 주입구(12)와 강화액이 유입되는 제2 주입구(13)에 설치되는 오리피스(20)(20')의 오리피스 홀(21)(21') 구경이 공급배관으로부터 1열(A)은 질소 10: 강화액 8.5㎜의 대구경, 2열(B)은 질소 7: 강화액 5.5㎜의 중간구경, 3열(C)은 질소 5: 강화액 3.5㎜의 소구경으로 차등되게 분무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2유체 분무노즐의 제1 주입구와 제2 주입구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KR1020050008030A 2005-01-28 2005-01-28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KR10070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30A KR100704954B1 (ko) 2005-01-28 2005-01-28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30A KR100704954B1 (ko) 2005-01-28 2005-01-28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51A KR20060087151A (ko) 2006-08-02
KR100704954B1 true KR100704954B1 (ko) 2007-04-11

Family

ID=3717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030A KR100704954B1 (ko) 2005-01-28 2005-01-28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60B1 (ko) * 2012-09-26 2014-06-2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방수 테스트 시스템
KR102082148B1 (ko) * 2019-09-23 2020-05-26 주식회사 코텍에너지 가스를 이용한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44Y1 (ko)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KR200341246Y1 (ko) *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44Y1 (ko)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KR200341246Y1 (ko) *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51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7402C1 (ru) Форсунка кочетова
RU2416443C1 (ru) Распылитель
RU2428235C1 (ru) Форсунка вихревая кочетова
RU2481159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416444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424835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474452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615256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646675C2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ATE470505T1 (de) Sprühdüsenanordnung mit interner mischluftzerstäubung
US20170120092A1 (en) Compressed Air Foam Fluid Mixing Device
AU2017290823A1 (en) A high pressure water mist nozzle device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irect and direct impingement of a fire
KR20070020248A (ko) 미세물분무 발생 헤드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KR100704954B1 (ko) 2유체 혼합량 조절 오리피스 분사노즐 소화장치
RU2533108C1 (ru) Активный рассекатель для форсунки
CN105910213A (zh) 一种微雾加湿器
KR101104478B1 (ko)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RU2526783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кочетова
RU2456041C1 (ru) Распылитель
RU2551733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кочетова
RU2648188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494779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вихревого типа
RU245508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RU2646721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