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78B1 -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78B1
KR101104478B1 KR1020090105619A KR20090105619A KR101104478B1 KR 101104478 B1 KR101104478 B1 KR 101104478B1 KR 1020090105619 A KR1020090105619 A KR 1020090105619A KR 20090105619 A KR20090105619 A KR 20090105619A KR 101104478 B1 KR101104478 B1 KR 10110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itrogen gas
nozzle
flui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875A (ko
Inventor
김봉환
김지훈
이대찬
정재학
최효성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20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 A62C37/21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가스나 압축공기로 저압에서 물안개를 만드는 방식을 이용하여 정전시나 무전원 공급지대 등에서 자동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압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가스나 압축공기로 10bar 이하의 저압에서도 물안개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구동 미세 물 분무 노즐을 구현함으로써, 주요산업시설, 지하공동구, 무인기지국, 문화재, 정전시, 무전원공급지대 등에서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미세 물 분무 소화가 가능하고, 소화 후 2차 오염문제, 환경오염 및 건강문제, 비용문제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한편, 노즐의 내부구조를 3차원적 형상으로 개선하여 물과 공기가 만나는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스월(Swirl)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방울의 크기를 초미세화시킬 수 있고, 결국 초기 진화시 소화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축수 탱크, 질소 탱크, 제어장치, 컨트롤 밸브, 노즐 및 배관, 작은 용량의 배터리 등을 하나의 모듈형태로 제작하여 이동이 용이한 포터블(Portable)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무인설비에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취급 및 유지보수 등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한다.
화재, 소화, 질소 가스, 2유체, 미세 물 분무, 물안개, 노즐, 스월

Description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using two fluid}
본 발명은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질소가스나 압축공기로 저압에서 물안개를 만드는 방식을 이용하여 정전시나 무전원 공급지대 등에서 자동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를 위한 다양한 소화용 시약 및 소화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특정 화재에 대하여 화재의 규모, 장소 및 관련된 연소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을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장치는 건물의 소화 배관에 물을 충전시켜 화재발생시 온도에 의해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소화장치는 과도한 물의 사용과 소화 후의 2차 오 염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소화시 많은 양의 물이 소요되므로 수도시설이 미비한 곳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 물이 분사되는 곳에 위치한 각종 전자기기 등이 물에 젖어 훼손되는 등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화가스와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소화가스나 소화약제는 뛰어난 소화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제품들은 가격이 매우 고가이면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소화가스나 소화약제 중에 포함된 화학성분으로 인해 환경오염은 물론, 사람의 호흡기 질환 및 피부 질환을 유발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3세대 소화장치로 냉각, 질식, 집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미세 물 분무 소화(Fine water mist fire suppression)가 대두되고 있으며, 선박 등에 실제 적용되고 있으나, 육상용은 아직 적용이 미진한 실정이고 그 효과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예를 들면, 물과 가스를 혼합하여 분무하는 방식의 경우 분무되는 물방울 입자의 크기 조절, 즉 미세화가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나, 현재까지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기술적인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요산업시설, 지하공동구, 무인기지국, 문화재 등 특히 정전시, 무전원지대 등의 화재시를 대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아직 적용이 매우 미진한 상태이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화 장치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압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가스나 압축공기로 10bar 이하의 저압에서도 물안개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구동 미세 물 분무 노즐을 구현함으로써, 주요산업시설, 지하공동구, 무인기지국, 문화재, 정전시, 무전원공급지대 등에서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미세 물 분무 소화가 가능하고, 소화 후 2차 오염문제, 환경오염 및 건강문제, 비용문제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내부구조를 3차원적 형상으로 개선하여 물과 공기가 만나는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스월(Swirl)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방울의 크기를 초미세화시킬 수 있고, 결국 초기 진화시 소화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수 탱크, 질소 탱크, 제어장치, 컨트롤 밸브, 노즐 및 배관, 작은 용량의 배터리 등을 하나의 모듈형태로 제작하여 이동이 용이한 포터블(Portable)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무인설비에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취급 및 유지보수 등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는 분무를 위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 탱크와, 소화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 탱크와, 상기 질소 탱크와 물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질소과 물을 혼합 분무하는 2유체 노즐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2유체 노즐은 일측의 질소가스 유입구와 다른 일측의 물 유입구를 가지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축선방향의 질소가스 도입구 및 반경방향의 물 도입구로부터 들어온 질소가스와 물이 혼합되는 혼합실이 갖추어져 있는 노즐 믹싱부, 다수의 토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실의 전면을 마감하면서 노즐 본체에 결합되는 노즐 캡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히 혼합실의 물 도입구는 물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축선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진 자세를 갖는 동시에 원주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자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물과 와류가 만나는 혼합실에서 자연스럽게 스월이 일어나면서 물방울의 크기를 미세화되어 분무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실의 질소가스 도입구에는 질소가스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홈부를 마련하고, 이때의 나선형 홈부를 따라 유동되는 질소가스의 회전방향과 상기 물 도입구를 따라 유동되는 물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월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켜 물의 입경(물방울의 크기)이 더욱 작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재 발생시 물과 질소가스 또는 압축공기가 혼합된 2유체의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분무가 이루어짐으로써, 증기발생, 냉각, 분진포집, 세정 등의 효과로 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진압시 효과적이다.
둘째, 물낭비, 소화 후 2차 오염, 환경 오염, 인체 유해, 과다한 비용 등을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가스의 분사력을 이용하여 할론가스나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는 소화기를 대체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이다.
셋째, 노즐 내부에서 물과 공기가 만나 스월을 일으키면서 분무되어 물의 입경을 초미세화시킬 수 있고, 결국 물방울이 작을수록 불로부터 열을 더 잘 빼앗게 되므로, 소화에 효율적이다.
넷째, 소화장치의 각 부품이나 설비들이 하나의 모듈형태를 이루고 있고, 이동이 용이한 포터블(Portable) 방식이므로, 무인설비에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설치장소나 공간상의 제약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취급 및 유지보수 등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인기지국 등과 같이 펌프 설치가 곤란한 지역의 소화설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플랜트나 발전설비의 소화장치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화학공정의 미세 분무 건조장치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는 펌프의 사용을 배제하고 비교적 저압에서 물안개를 만들 수 있는 2유체 노즐(12)을 포함하며, 상기 2유체 노즐(12) 내부에서 고속의 질소가스 또는 압축공기와 물이 혼합되면서 물안개 입자가 형성되어 노즐을 통해 미세 입자로 분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질소가스와 물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2개의 탱크, 즉 질소 탱크(10)와 물 탱크(11)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질소 탱크(10)와 물 탱크(11)로부터 각각의 배관(23a,23b)이 일정길이 연장되며, 2개의 배관(23a,23b)이 합류되는 지점에 2유체 노즐(12)이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소화를 위한 매체로서 각각 질소가스와 물을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압축공기와 소화액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화재 감지를 위한 수단으로는 2유체 노즐(12)과 인접한 위치의 배관(23a)상에 설치되는 열센서(27), 화재 발생을 경보하기 위한 열센서 사이렌(28) 등이 마련되며, 외부 전원없이 자체적인 구동을 위한 배터리(미도시) 및 열센서(27)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받아 질소가스 공급, 물 공급, 사이렌 작동, 밸브개 폐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2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 배관(23a,23b)상에는 각종 밸브류, 압력게이지, 솔레노이드 밸브, 압력 레귤레이터 등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상기 열센서(27)의 감지신호를 시작으로 하여 질소 탱크(10)와 물 탱크(11)로부터 자동으로 질소가스와 물이 공급되면서 2유체 노즐(12)을 통한 분무작동에 의해 화재가 진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는 이동이 용이한 포터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인기지국 등과 같이 펌프 설치가 곤란한 무인설비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과, 또 구조가 콤팩트하여 설치장소나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질소 탱크(10), 물 탱크(11), 각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배관(23a,23b)의 끝에 장착되는 2유체 노즐(12),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24) 등은 바퀴(26)를 가지는 하나의 카트(25) 내에 모듈형태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필요시 임의로 위치를 간단하게 옮길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유체 노즐(12)은 노즐 내부에서 질소가스와 물을 혼합한 후에 미세 분무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스월 현상을 이용하여 물안개 입자를 초미세화 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소화가 가능하도록 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질소가스 유입구(13)와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물 유입구(14)를 가지는 노즐 본체(15)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 본체(15)의 내부에는 심부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노즐 믹싱부(19)가 결합되며, 상기 노즐 본체(15)의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토출구(20)를 가지는 노즐 캡(21)이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노즐 믹싱부(19)가 노즐 본체(15)의 심부에 배치됨에 따라 노즐 내부로 들어오는 질소가스와 물은 서로 격리되어 흐르다가, 즉 질소가스는 노즐 믹싱부(19)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동시에 물은 노즐 믹싱부(19)의 둘레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최종적으로 노즐 믹싱부(19)에 있는 혼합실(18) 내에서 섞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 믹싱부(19)의 하단부에는 와류를 일으켜 질소가스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실(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혼합실(18)에는 질소가스 도입을 위한 질소가스 도입구(16)가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물의 도입을 위한 물 도입구(17)가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질소가스 도입구(16)를 통해 들어오는 고압의 질소가스와 상기 물 도입구(17)를 통해 들어오는 물이 혼합실(18)의 내부에서 강하게 부딪히면서 서로 뒤섞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 도입구(17)의 경우에는 물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축선에 대해 일정각도, 예를 들면 40∼50°의 각도, 바람직 하게는 45°의 각도로 경사진 자세를 갖는 동시에 원주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예를 들면 40∼5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기울어진 자세를 갖게 되고, 이러한 물 도입구(17)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물 도입구(17)가 원주방향을 따라 90°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상기 물 도입구(17)를 통해 혼합실(18)의 내부로 들어오는 물은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즉, 4개의 물 도입구(17)가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있기 때문에 각 물 도입구(17)를 통해 토출되는 물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실(18)로 들어오는 질소가스 또한 소정의 회전력을 부여받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질소가스 도입구(16)의 내벽면은 나선형 홈부(22)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질소가스 도입구(16)를 따라 흐르는 질소가스는 나선형태의 회전흐름으로 유도될 수 있고, 결국 이러한 회전흐름 형태를 유지한 채 혼합실(18)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홈부(22)의 형성 방향과 상기 물 도입구(17)의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나선형 홈부(22)를 따라 유동되는 질소가스의 회전방향과 물 도입구(17)를 따라 유동되는 물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 예를 들면 질소가스는 시계방향, 물은 반시계방향이 되므로서, 서로 간의 간섭이 극대화될 수 있고, 결국 이러한 스월 현상에 의해 질소가스와 물이 강하게 뒤섞이면서 물방울 입자가 초미세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내부로 공급된 물은 질소가스를 만나기 전에 직경 1mm 정도의 가는 구멍인 물 도입구(17)를 지나야 하고, 이때의 물 도입구(17)의 방향이 하향으로 대략 45°정도, 노즐 중심으로부터 대략 45°정도 기울어진 3차원적 형상이므로, 자연스럽게 물과 질소가스가 만나는 시점에서 스월(Sswirl), 즉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질소가스 또한 물과 만나기 전에 좁은 원통형의 구멍인 질소가스 도입구(16)를 지나야 하는데, 이 구역에 의도적으로 꼬인 모양의 홈, 즉 나선형 홈부(22)를 구비하여, 질소가스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요한 점은 이 두 유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혼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유체 간의 간섭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곧 분사되는 물의 입경(물방울의 크기)을 더 작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국 토출구(20)를 통해 최종 분무되는 물의 입자가 매우 미세한 입자 상태로 분무되면서 소화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배관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지역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열센서(27) 에서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컨트롤러(24)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컨트롤러(24)의 출력제어에 의하여 열센서 사이렌(28)의 경보와 함께 질소가스 탱크(10)와 물 탱크(11)가 개방되면서 이때의 각 탱크로부터 토출되는 질소가스와 물은 각각의 배관(23a,23b)을 통해 2유체 노즐(12)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열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컨트롤러의 출력제어에 의해 각 탱크로부터 질소가스와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계속해서, 각 배관(23a,23b)을 통해 2유체 노즐(12)의 내부로 공급된 질소가스와 물은 노즐 내부에서의 스월 작용에 의해 최적의 미세한 입자로 혼합되고, 최종적으로 노즐 캡(21)의 토출구(20)를 통해 분무되므로서, 초기에 화재가 진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는 화재 진화를 위해 가하는 물이 고압의 질소가스와 함께 혼합 분무되어, 미세한 입자의 안개 분무 형태로 신속하게 화염에 침투되므로, 물의 균일한 분포와 효율적인 진화는 물론, 최단시간 내에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으며, 특히 분무되는 물이 질소가스와 함께 혼합 분무되므로, 분무된 물이 화재발생지역에 비치된 각종 전자기기 및 전자제품에 일부 도포되기는 하지만, 질소가스에 의해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표면에만 묻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진압을 위해 사용되는 물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노즐 내부에서의 질소가스와 물이 스월 발생에 의해 최대한 간섭을 받으면서 혼합되고, 결국 물 입자가 더욱 작게 만들어지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노즐의 나선형 홈부에 의해 질소가스가 소용돌이 흐름을 분사되고, 이와 더불어 질소가스와 물이 혼합되기 직전에 두 유체의 흐름을 반대방향으로 조성함으로써, 유체 간의 간섭으로 물의 입경이 초미세화되면서 분무될 수 있고, 결국 소화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로부터 물과 질소가 분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에 형성되는 물 도입구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서 2유체 노즐 내부의 스월 현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배관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질소 탱크 11 : 물 탱크
12 : 2유체 노즐 13 : 질소가스 유입구
14 : 물 유입구 15 : 노즐 본체
16 : 질소가스 도입구 17 : 물 도입구
18 : 혼합실 19 : 노즐 믹싱부
20 : 토출구 21 : 노즐 캡
22 : 나선형 홈부 23a,23b : 배관
24 : 컨트롤러 25 : 카트
26 : 바퀴 27 : 열센서
28 : 열센서 사이렌

Claims (4)

  1.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 탱크(10)와, 물을 공급하는 물 탱크(11)와, 상기 질소 탱크(10)와 물 탱크(11)로부터 공급받은 질소과 물을 혼합 분무하는 2유체 노즐(12)을 포함하는 2유체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2유체 노즐(12)은 일측의 질소가스 유입구(13)와 다른 일측의 물 유입구(14)를 가지는 노즐 본체(15)와, 상기 노즐 본체(15)의 내부에는 축선방향의 질소가스 도입구(16) 및 반경방향의 물 도입구(17)로부터 들어온 질소가스와 물이 혼합되는 혼합실(18)이 갖추어져 있는 노즐 믹싱부(19)와, 다수의 토출구(2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실(18)의 전면을 마감하면서 노즐 본체(15)에 결합되는 노즐 캡(21)을 포함하며,
    상기 질소가스 도입구(16)는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물 도입구(17)는 상기 나선형 홈부(22)의 형성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질소가스 도입구(16)의 나선형 홈부(22)를 따라 유동되는 질소가스의 회전방향과 상기 물 도입구(17)를 따라 유동되는 물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혼합실(18)의 물 도입구(17)는 물에 회전력을 배가하기 위하여 축선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도입구(17)의 경사 각도는 축선에 대해 40~50°의 각도로 이루어지고, 반경방향을 향해 40~50°의 각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체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질소 탱크(10), 물 탱크(11), 각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배관(23a,23b)의 끝에 장착되는 2유체 노즐(12),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24)는 하나의 카트(25) 내에 모듈형태로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한 포터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KR1020090105619A 2009-11-03 2009-11-03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KR10110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19A KR101104478B1 (ko) 2009-11-03 2009-11-03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619A KR101104478B1 (ko) 2009-11-03 2009-11-03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75A KR20110048875A (ko) 2011-05-12
KR101104478B1 true KR101104478B1 (ko) 2012-01-12

Family

ID=4436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619A KR101104478B1 (ko) 2009-11-03 2009-11-03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8740A (zh) * 2012-11-07 2013-02-06 北京天必达科技有限公司 一种推车式脉冲气压喷雾水枪
KR101709729B1 (ko) 2015-07-28 2017-02-27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소방출식 하이브리드 소방용 노즐 헤드
KR102188917B1 (ko) * 2019-03-15 2020-12-09 정상원 도시형 안개 분무 쿨링 시스템
KR20220154289A (ko) 2021-05-12 2022-11-22 이희두 드라이포그 방식의 공기(Air) 살균소독세척 방역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252A (ja) * 1999-08-04 2001-02-13 Tsukishima Kikai Co Ltd ノズルおよび廃液燃焼装置
KR20030041245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20030041244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크린커버 고정장치
KR200341245Y1 (ko) *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KR200341244Y1 (ko)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KR100432509B1 (ko) * 2003-11-13 2004-05-20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252A (ja) * 1999-08-04 2001-02-13 Tsukishima Kikai Co Ltd ノズルおよび廃液燃焼装置
KR20030041245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20030041244A (ko) * 2001-11-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크린커버 고정장치
KR100432509B1 (ko) * 2003-11-13 2004-05-20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
KR200341245Y1 (ko) *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KR200341244Y1 (ko) 2003-11-27 2004-02-11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875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478B1 (ko) 2유체 미세 물 분무 자동소화장치
CN202199004U (zh) 车用细水雾自动灭火喷射装置
KR20100101099A (ko) 미스트로 화재에 대처하기 위한 방화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060006526A (ko) 소화용 분무장치
KR101282702B1 (ko) 급수홀을 가지는 소화용 분무노즐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CN206414660U (zh) 一种备压柜式全氟乙基异丙基酮灭火装置
KR20190034840A (ko) 소방장치
CN104127980B (zh) 一种双流体细水雾喷头
CN103100173A (zh) 一种固定管网灭火系统
CN203710587U (zh) 一种洁净化学气体和细水雾联合作用的灭火系统
CN209967489U (zh) 一种双通道低压流体雾化喷头
CN101574564B (zh) 手提细水雾灭火器
JP2010142560A (ja) 噴霧装置
KR101881533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0432509B1 (ko)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
CN201384808Y (zh) 手提细水雾灭火器
CN201197856Y (zh) 隔板斜孔导流式液体雾化装置
CN201208463Y (zh) 转轴切换双功能喷枪
CN106861090A (zh) 一种用于变压器和电缆隧道的预制式火灾带电安全防护系统
CN101279125B (zh) 隔板斜孔导流式液体雾化装置
CN102327685A (zh) 上下复合罐
RU2264833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и огнетушитель
CN101822880B (zh) 船用储压预混式细水雾泡沫灭火装置
CN201668912U (zh) 船用储压预混式细水雾泡沫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