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34B1 -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34B1
KR100704734B1 KR1020040088314A KR20040088314A KR100704734B1 KR 100704734 B1 KR100704734 B1 KR 100704734B1 KR 1020040088314 A KR1020040088314 A KR 1020040088314A KR 20040088314 A KR20040088314 A KR 20040088314A KR 100704734 B1 KR100704734 B1 KR 100704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evator
block
hol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220A (ko
Inventor
오명환
김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to KR102004008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규격에 맞게 필요한 수만큼 구비되고 다수개로 블럭화하여 분할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에 사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축과, 상기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너트와 와셔로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축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럭이 상기 축에 삽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중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를 다수개로 블럭화함으로써 생산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균형추. 블럭. 고정부재. 볼트.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균형추{counter weight for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요부의 각각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은 종래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블럭 11: 관통홀
20: 축 21: 홀
22: 체결부
31: 너트 32: 와셔
43: 삽탈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분할형성하여 블럭화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로프의 양단부에 카 및 균형추가 각각 고정되어 균형을 이루면서 승강하게 된다. 통상 균형추는 시스템의 효율을 고려하여 카 의 정격하중의 반의 무게로 설정되는데, 이에 대하여 국내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규격사항 중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비중은 4 이상이 되어야 하고, 압축강도는 80㎏/㎠이상이 되어야 하며, 표면은 평활하게 한다. 단, 양생은 3주로 한다.
ⅱ)1m 높이에서 수평으로 떨어 뜨렸을 때 깨지지 않아야 한다.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특히 철재 케이스(100) 내에 비중이 높은 재질(200)을 충진하여 상기의 규격사항에 맞게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작업이나 교체, 수리 등을 위한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어렵다.
또한 일부에 있어서 파손이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체를 폐기처리해야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이 용이하도록 블럭화한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규격에 맞게 필요한 수만큼 구비되고, 다수개로 블럭화하여 분할 형성된 블럭; 상기 블럭에 사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축; 상기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너트와 와셔로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축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럭이 상기 축에 삽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균형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은, 일단에 형성된 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삽탈키;가 더 구비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는 블럭(10), 축(20) 및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10)은 취급이 용이하도록 적당한 부피 및 질량으로 다수개 분할형성한다. 상기 다수개의 블럭(10)에는 각각이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축(20)은 상기 다수개의 블럭(10)을 결합하고 전체적인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블럭(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축(20) 및 관통홀(11)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럭(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로서 너트(31) 및 와셔(32)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너트(31) 및 와셔(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양단부에 체결부(22)를 형성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로서 양측이 절개된 플레이트인 삽탈키(43)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축(20)의 일단부에 상기 삽탈키(43)가 삽입할 수 있도록 축방향의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21)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축(20)을 따라 규격에 맞도록 상기 블럭(10)을 다수개 삽입하고, 상기 축(20)의 양단부에 상기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블럭(10)을 고정 결합함으로써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1)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블럭들을 고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밴딩처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중이 높은 엘리베이터용 균형추를 다수개로 블럭화함으로써 생산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블럭을 부가 또는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뛰어나다.
더욱이, 상기 다수개의 블럭들을 축 및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때문에 안정성 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일부의 파손 또는 불량이 발생한 경우 당해 블럭만 제거하고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규격에 맞게 필요한 수만큼 구비되고, 다수개로 블럭화하여 분할 형성된 블럭;
    상기 블럭에 사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축;
    상기 축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너트와 와셔로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축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럭이 상기 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일단에 형성된 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삽탈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KR1020040088314A 2004-11-02 2004-11-02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KR100704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14A KR100704734B1 (ko) 2004-11-02 2004-11-02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14A KR100704734B1 (ko) 2004-11-02 2004-11-02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20A KR20060039220A (ko) 2006-05-08
KR100704734B1 true KR100704734B1 (ko) 2007-04-06

Family

ID=3714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14A KR100704734B1 (ko) 2004-11-02 2004-11-02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106A (ja) * 2013-08-23 2015-03-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装置用調整おも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106A (ja) * 2013-08-23 2015-03-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装置用調整おも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20A (ko) 200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734B1 (ko)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CN109795932B (zh) 卷扬机以及电梯
CN209988942U (zh) 一种装配式建筑叠合板吊装工具
JP2009155024A (ja)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CN211470599U (zh) 一种吊装辅助扁担梁
KR200191011Y1 (ko)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CN104314354A (zh) 高压电塔基座
CN209767049U (zh) 一种轻质高强度防尘防水桥架
CN210214540U (zh) 一种预制构件吊具
CN203806947U (zh) 一种自平钢板吊装卡具
CN111960243A (zh) 一种吊具结构及架梁吊机
CN206872220U (zh) 电梯对重装置
KR200418042Y1 (ko) 건축물의 승강기 통로 시공용 거푸집 장치
CN215055544U (zh) 一种用于保护预制混凝土竖向构件的快装式护套
CN205917590U (zh) 一种大型桥梁用抗震支座
KR200388466Y1 (ko) 강도가 보강된 컨테이너의 코너 케스팅
CN210176302U (zh) 一种应用于预制叠合板的吊装结构
CN214705231U (zh) 矿用可移动可悬挂警示牌支架
CN219384387U (zh) 一种电梯机房的主机吊装结构
CN211393545U (zh) 机床吊装工装
CN220686791U (zh) 一种房屋起吊施工结构
CN213416074U (zh) 一种多吊点带锁杆的塔机平衡重
CN220467299U (zh) 一种开关柜吊装结构
CN212639665U (zh) 一种吊具结构及架梁吊机
CN212639782U (zh) 卷扬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