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425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425B1
KR100703425B1 KR1020050032957A KR20050032957A KR100703425B1 KR 100703425 B1 KR100703425 B1 KR 100703425B1 KR 1020050032957 A KR1020050032957 A KR 1020050032957A KR 20050032957 A KR20050032957 A KR 20050032957A KR 100703425 B1 KR100703425 B1 KR 10070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ssembly
couple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953A (ko
Inventor
장응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응순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2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8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5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frequency variation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2개 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는 헬리컬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2개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소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구가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구의 외측에 대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구가 설치된 금속성 몸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장파용 안테나 도선;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소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단파용 안테나 도선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 도선을 보호하는 비금속성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폰, 휴대폰, 이동통신 단말기, 헬리컬, 듀얼밴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antenna assembly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나사결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직경 및 피치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사체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130, 210: 안테나 조립체
111, 131, 211: 메탈로드 113: 방사체
120, 134, 216, 220: 케이스 121: 소켓
132: 내부보빈 133: 외부보빈
211a: 소지름 나사산 211b: 대지름 나사산
211c, 211d: 걸림돌기 211e, 212e: 고정홀
212: 연결부재 212a: 접촉돌기
212d, 216c: 걸림홈 213: 대지름 도선
214: 소지름 도선 215: 보빈
221: 전자파 차폐 부재 223: 안테나 삽입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2개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나라마다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마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은 880~960M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DCS(Digital Cellular Service)는 1710~1880M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1920~2170M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서비스의 경우 1572.42MHz를 사용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술한 방식마다 고유한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 하기위한 전용 안테나 조립체가 구비되는바, 1/4 λ의 길이를 갖으며, 소정 지름 및 피치를 갖도록 성형된 방사체를 갖는 헬리컬(helical) 구조를 갖는 안테나 조립체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테나 조립체가 결합된 임의의 방식을 채택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채택된 방식의 주파수 신호만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타 방식의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 및 호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테나 조립체의 도선을 복수개의 피치로 만들어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 2001년 특허 등록번호 제 10-303418호에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나사결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판(미도시)과 연결된 소켓(121)에 나사결합 되는 메탈로드(111) 및 메탈로드(111)의 상부 돌기에 억지끼움 되며, 2개의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하나의 방사체(113) 및 메탈로드(111)와 결합되며, 방사체(113)를 보호하는 케이스(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방사체(113)는 헬리컬 형상의 금속성 도선으로 달성되며, 도선의 하부(113b)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방식에 사용되는 1900㎒ 의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소정의 피치를 유지하며, 상부(113a)는 하부(113b)보다 작은피치로 형성되어 하부(113b) 및 상부(113a)를 합친 방사체(113) 전체로 GSM방식에 사용되는 900㎒의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110)는 방사체(113)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적인 안테나 조립체(110)의 길이가 길어지며, 안테나 조립체(1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결합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120) 외부로 표출되는 안테나 조립체(11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안테나 조립체(110)의 일부를 본체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통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직경 및 피치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사체를 구비시킨 방법이 2001년 특허 등록번호 제 20-0220784호에 개시된다.
도 3은 직경 및 피치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사체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및 피치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사체가 구비된 헬리컬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판(미도시)에 설치된 소켓(121)과 나사결합 되는 메탈로드(131), 메탈로드(1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직경과 피치가 서로 다른 스트립라인이 형성된 내부보빈(132)과 외부보빈(133) 및 메탈로드(131)와 결합되며 내부보빈(132) 및 외부보빈(133)을 보호하는 케이스(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130)는 단일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와 그 길이가 동일하며,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2개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따르면, 직경과 피치가 서로 다른 스트립라인이 형성된 내부보빈 및 외부보빈을 구비시킴으로써 안테나 조립체의 길이를 최소화 하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메탈로드의 상부에 단순 밀착 결합 또는 억지끼움 된 내부보빈과 외부보빈의 결합이 불안정하며, 메탈로드의 경우 기판에 결합될 때 기판에 구비된 소켓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추후 기판과 안테나 조립체의 분리가 요구될시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며, 헬리컬 형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내부 도선 및 외부 도선을 메탈로드에 나사결합 시키고, 메탈로드는 금속성 연결부재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에 탄성접촉결합 되며, 도선을 보호하는 케이스는 메탈로드의 걸림돌기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한 헬리컬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2개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소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구가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구의 외측에 대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구가 설치된 금속성 몸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장파용 안테나 도선;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소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단파용 안테나 도선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 도선을 보호하는 비금속성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210)는 상부에 소지름 나사산(211a)과 대지름 나사산(211b)이 형성되며, 중부 및 하부 적소에 걸림돌기(211c)(211d)가 형성된 금속성 메탈로드(metal rod)(211); 임의의 저주파신호를 송/수신하며, 메탈로드(211)의 대지름 나사산(211b)에 나사결합 되는 헬리컬 형태의 대지름 도선(213); 대지름 도선(213)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밴드의 임의의 고주파신호를 송/수신하고, 대지름 도선(213) 내부에 위치하며, 소지름 나사산(211a)에 나사결합 되는 헬리컬 형태의 소지름 도선(214); 소지름 도선(214)과 대지름 도선(213) 사이에 구비되어 도선(213)(214)간 쇼트를 방지하는 보빈(bobbin)(215); 메탈로드(211)의 중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11c)와 결합하는 걸림홈(216c)이 형성되며, 도선(213)(214)을 보호하는 케이스(216) 및 메탈로드(21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11d)와 결합하는 걸림홈(212d)이 형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의 기판(미도시)과 탄성접촉결합 되도록 성형된 금속성 연결부재(2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대지름 도선(213)은 길이가 1/4 λ이며, GSM 및 CDMA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지름 및 피치가 크게 형성된 금속성 방사체이다. 특히 대지름 도선(213)의 하부는 대지름 나사산(211b)과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되도록 상부보다 작은 피치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소지름 도선(214)은 길이가 1/4 λ이며, DCS PCS, CDMA 및 GPS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지름 및 피치가 대지름 도선(213)보다 작게 형성된 금속성 방사체이다. 특히 소지름 도선(214)의 하부는 소지름 나사산(211a)과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되도록 상부보다 작은 피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메탈로드(211)는 상부에 도선(213)(214)과 결합되는 대지름 나사산(211b) 및 소지름 나사산(211a)이 구비되는바, 대지름 도선(213) 내부에 소지름 도선(214)이 구비되도록 대지름 나사산(211b) 내부에 소지름 나사산(211a)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부에는 케이스(216)의 걸림홈(216c)과 결합되는 걸림돌기(211c)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하부에도 연결부재(212)의 걸림홈(212d)과 결합되는 걸림돌기(211d)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바, 특히 하부 적소에는 메탈로드(211)가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의 케이스(미도시)에 고정되도록 나사결합용 고정홀(211e)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걸림돌기(211c)(211d)는 중부 및 하부 각각에 2개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바, 메탈로드(211)를 수평으로 절단하였을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 보빈(215)은 소지름 도선(214)과 대지름 도선(213) 사이에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위해 절연소재로 제작되는바, 소지름 도선(214)과 대지름 도선(213) 사이의 지름을 갖으며, 밑면이 뚫린 원통형 플라스틱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보빈(215)을 대지름 도선(213) 내부에 위치한 소지름 도선(214)의 상부에 씌움으로써 쇼트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 연결부재(212)는 소정 위치에 메탈로드(211)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돌기(211d)와 결합하는 걸림홈(212d)이 구비되며, 타 위치에 메탈로드(211)의 고정홀(211e)에 대응되는 동일한 크기와 위치를 갖는 고정홀(212e)이 천공된다. 특히 연결부재(212)의 일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의 기판(미도시)과 탄성접촉결합 되도록 접촉돌기(212a)가 형성된다.
다음 케이스(216)는 부도체로써, 도선(213)(214)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으며, 메탈로드(211)의 중부에 구비된 걸림돌기(211c)와 결합하는 걸림홈(216c)이 구비된 플라스틱으로 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사시도인바, 도 4를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다.
메탈로드(211)의 하부에는 걸림돌기(211d)를 통하여 연결부재(212)가 결합되며, 상부의 소지름 나사산(211a) 및 대지름 나사산(211b)에는 소지름 도선(214) 및 대지름 도선(213)이 보빈(215)에 의해 분리된 형태로 나사결합 되고, 중부에는 케이스(216)가 걸림돌기(211c)를 통하여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와 이동통신 단말기 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21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결합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케이스(220)에 구비된 안테나삽입부(223)에 안테나 조립체(210)를 삽입시킨 후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달성된다. 특히 하부의 고정은 나사를 하부의 고정홀(211e)에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케이스(220)에는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또는 Polypyrrole-Nylon 6 복합 직물과 같은 전자파 차폐부재(221)가 부착되는바, 안테나 조립체(210)가 위치하는 부위는 제외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내부 도선 및 외부 도선을 메탈로드와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보다 쉽고 안정적인 결합을 얻을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에 탄성접촉결합 시킴으로써 기판과 안테나의 연결 및 분리가 간편해지고, 도선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연결부재를 메탈로드에 결합 시킬 때 걸림부재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대역의 임의의 2개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소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구가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고정구의 외측에 대지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구가 설치된 금속성 몸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대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장파용 안테나 도선;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소지름 나사산에 고정되는 단파용 안테나 도선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 도선을 보호하는 비금속성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용 안테나 도선과 상기 장파용 안테나 도선 사이에 쇼트를 방지하는 쇼트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성형된 금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금속부재에 의해 상기 기판에 탄성접촉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소에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되는 피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피걸림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소에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금속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결합되는 피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피걸림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KR1020050032957A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KR10070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57A KR100703425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57A KR100703425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53A KR20060110953A (ko) 2006-10-26
KR100703425B1 true KR100703425B1 (ko) 2007-04-03

Family

ID=3761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57A KR100703425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67B1 (ko) * 2012-02-17 2013-11-15 김경훈 방수형 장착구조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72A (ko) * 1997-12-11 1999-07-05 홍성용 핸드폰용 엔드피드 안테나
KR20020000842A (ko) * 2000-06-27 2002-01-05 마찌다 가쯔히꼬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2020784A (ja) * 2000-07-12 2002-01-23 Maruzen Pharmaceut Co Ltd 香料の劣化防止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72A (ko) * 1997-12-11 1999-07-05 홍성용 핸드폰용 엔드피드 안테나
KR20020000842A (ko) * 2000-06-27 2002-01-05 마찌다 가쯔히꼬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2020784A (ja) * 2000-07-12 2002-01-23 Maruzen Pharmaceut Co Ltd 香料の劣化防止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48972
200220784
20028425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53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9861B (fi) Tasoantenni
FI113220B (fi) Monikaista-antenni
KR1002631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안테나
US6636725B1 (en) Antenna equipment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6448934B1 (en) Multi band antenna
US6639562B2 (en) GSM/DCS stubby antenna
US6275198B1 (en) Wide band dual mode antenna
JP2001085931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端末
KR1007034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조립체
CN101359778B (zh) 天线组合件
US6091369A (en) Telescopic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phone
US7158093B2 (en) Quadri-filar helix antenna structure
US6348896B2 (en) Antenna device
US6798388B2 (en) Stubby, multi-band, antenna having a large-diameter high frequency radiating/receiving element surrounding a small-diameter low frequency radiating/receiving element
EP1267439B1 (en) Multiple frequency bands antenna using two concentric interleaved antennas, the external one being a meander line antenna
CN210040539U (zh) 天线及电子设备
CN215816389U (zh) 一种2.4GB 5dBi圆杆外置天线
CN213584156U (zh) 高增益天线及具有其的通信设备
KR20110083302A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CN211605414U (zh) 多端口双频垂直极化全向天线
KR200385313Y1 (ko) 큐빅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1166779B1 (ko) 힌지 지지부에 매칭부가 내장된 다중대역 로드 안테나
KR100988480B1 (ko) 다단 안테나
CN207994060U (zh) 一种天线装置
KR101107748B1 (ko) 접장길이 축소 및 전장길이 확대 방송수신용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