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227B1 - 점착 테이프 청소기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227B1
KR100703227B1 KR1020060045816A KR20060045816A KR100703227B1 KR 100703227 B1 KR100703227 B1 KR 100703227B1 KR 1020060045816 A KR1020060045816 A KR 1020060045816A KR 20060045816 A KR20060045816 A KR 20060045816A KR 100703227 B1 KR100703227 B1 KR 10070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tape
base plate
groov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청산뉴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산뉴미디어 filed Critical (주)청산뉴미디어
Priority to KR102006004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속이 빈 통형 점착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풀림부재를 형성하되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체를 갖는 본체와, 본체 상에 점착테이프를 감을 수 있게 형성된 감개부재와, 풀림부재로부터 감개부재로의 점착테이프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되 호형 곡률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본체에 형성되어 청소면을 제공하는 청소면 안내부재와, 청소면 안내부재의 양단에 설치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와, 감개부재가 설정된 제1방향에 대해서는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역회전 방지용 래치부를 구비하고, 감개부재는 점착테이프를 일정깊이 삽입할 수 있게 제1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테이프 삽입홈에 인접된 외주면 상에 돌기가 형성된 내통부재와, 내통부재가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제1 테이프 삽입홈에 대응되는 제2 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테이프 삽입홈의 연장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내통부재의 돌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돌기 수용홈과, 타측에는 돌기에 간섭되어 이완될 수 있게 형성된 이완편을 갖는 외통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 청소기에 의하면, 넓은 영역에 대해 청소가 가능하며 동일 점착면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점착테이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된 점착테이프를 긴장되게 감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분리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청소기{cleaner using adhesive t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 청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착 테이프 청소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바디체의 배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감개부재에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감개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감개부재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11: 제1지지체
115: 풀림부재 121: 제2지지체
130: 감개부재 131: 내통부재
136: 외통부재 151: 제1가이드롤러
153: 제2가이드롤러 160: 래치부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제거대상 이물질을 점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점착 테이프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옷에 붙은 이물질 또는 그 밖의 제거대상 이물질을 점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 청소기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365913호에는 롤러에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롤러에 감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로울러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로울러 청소기는 로울러를 회전시켜 청소한 다음 로울러의 원주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만큼 잘라 사용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와는 다르게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86971호에는 케이스로부터 노출되게 형성된 압지롤러에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을 노출되게 감아가면서 청소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청소기는 점착면이 안내롤러의 표면에 대향되게 밀착된 상태로 압지롤러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점착면과 안내롤러와의 점착력에 의해 이송이 원할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지롤러에 점착테이프가 감기는 횟수의 증가에 따라 압지롤러의 외경이 증가함으로써 점착테이프에 일부만 부착된 이물질의 경우 압지롤러에 감긴 점착테이프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관상 보기가 싫은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도 압지롤러에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점착테이프의 압지롤러로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 번거럽고, 압지롤러에 감긴 점착테이프를 압지롤러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점착테이프 청소기들은 원통구조에 점착테이프가 감긴 형태로 이용하기 때문에 대면적에 걸쳐 청소하고자 할 때 롤러를 청소대상 영역에 밀착시켜 회전시킬 경우 청소대상영역의 길이 만큼 점착테이프가 감기면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점착테이프의 소모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롤러를 회전시키지 않고 점착식으로 붙였다 떼었다를 반복하는 경우 접착면이 너무 좁아 1회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좁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된 점착테이프를 긴장되게 감아 보관하되 외측으로의 노출을 억제시킬 수 있으면서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점착테이프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면적의 청소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 청소기는 속이 빈 원통형 점착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게 내측에 풀림부재를 형성하되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상기 풀림부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점착테이프를 감을 수 있게 형성된 감개부재와; 상기 풀림부재로부터 상기 감개부재로의 상기 점착테이프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청소면을 제공하는 청소면 안내부재와; 상기 청소면 안내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감개부재가 설정된 제1방향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에 역방으로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역회전 방지용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점착테이프를 일정깊이 삽입할 수 있게 제1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테이프 삽입홈에 인접된 외주면 상에 돌기가 형성된 내통부재와; 상기 내통부재가 수납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을 관통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상기 점착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게 제2 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테이프 삽입홈의 연장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상기 내통부재의 상기 돌기가 비간섭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돌기 수용홈과, 타측에는 상기 돌기에 간섭되어 이완될 수 있게 형성된 이완편을 갖는 외통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바디체는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상기 제2바디체 방향으로 돌출되되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1파쥐용 홈이 형성된 제1풀림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체는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되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2파쥐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림통과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제2풀림통을 구비한다.
또한, 상호 밀접되는 상기 제1풀림통 및 상기 제2풀림통의 각 바닥면에는 각 각 나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나사결합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결합용 홀에 결합되는 나사선부와 상기 나사선부의 일 측에 상기 나사결함용 홀 보다 외경이 머리부와, 상기 나사선부 타측에 점착테이프를 자를 수 있는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면 안내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일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서포트부분과;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2서포트 부분과; 상기 제1서프트부분과 상기 제2서포트부분의 상부에서 상기 풀림부재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감개부재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연장된 곡률판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서포트부분과 상기 제2서포트부분의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 롤러 맞은 편의 상기 곡률판 부분의 종단에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바디체 외측에서 상기 내통부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방사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진 걸림홈을 갖는 톱니형 간섭편이 형성된 간섭회전체와; 상기 본체 상에 상기 걸림홈 내에 입출될 수 있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부재가 제1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홈을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홈 내에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래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착테 이프 청소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 청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착 테이프 청소기의 본체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바디체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본체(110), 감개부재(130), 청소면 안내부재(140),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51)(153), 래치부(16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 및 제2바디체(111)(121)로 되어 있다.
제1바디체(111)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12)와, 제1풀림통(11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베이스플레이트(112)는 8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풀림통(114)은 제2바디체(121)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풀림통(114)은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1파쥐용 홈(114a)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바닥면(114b)에 나사선을 갖는 나사결합용 홀(114c)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바디체(121)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22)와, 제2풀림통(12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122)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풀림통(124)은 제1베이스플레이트(112) 방향으로 돌출되되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2파쥐용 홈(12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파쥐용홈(124a)의 내측 바닥면(124b)에는 제1풀림통(114)과 결합부재(127)로서 적용된 나사에 의해 제1풀림통(114)과 결합될 수 있게 나사결합용 홀(124c)이 형성되어 있다.
제1풀림통(114)과 제2풀림통(124)의 나사결합용 홀(114c)(124c)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127)는 머리부(127a), 나사선부(127b) 및 칼날부(127c)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합부재(127)의 나사선부(127b)는 나사결합용 홀(114c)(124c)에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127a)는 나사선부(127b)의 일 측에서 나사결합용 홀(114a)(124a)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 등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게 회전 가이드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127a)는 육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칼날부(127c)는 나사선부(127b) 타측에 형성되어 필요시 점착테이프(210)를 자르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칼날부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풀림통(114)과 제2풀림통(124)은 결합된 상태에서 점착테이프(210)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풀림부재(115)를 형성한다. 제1풀림통(114)과 제2풀리미통(124)은 점착테이프(210)가 감긴 속이 빈통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는 점착테이프(210)의 폭 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풀림부재(115)로부터 제1가이드롤러(151)까지의 점착테이프(210)의 긴장도가 적절히 유지되도록 풀림부재(115)와 점착테이프(210) 통과의 유격을 적절하게 적용한다.
청소면 안내부재(140)는 풀림부재(115)로부터 감개부재(130)로의 점착테이프(210)의 이송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점착테이프(210)의 점착면(211)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본체(110)에 형성되어 청소면을 제공한다.
청소면 안내부재(140)는 제1 및 제2 서포트부분(141)(142), 곡률판부분(14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서포트부분(141)은 제1베이스플레이트(112)의 제1풀림통(114) 형성부분 상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서포트부분(142)은 제2베이스 플레이트(122)에 지지될 수 있게 하단에 안착홈(142a) 형성되어 있고 제1서포트 부분(14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률판 부분(143)은 제1서프트부분(141)과 제2서포트부분(142)의 상부에서 풀림부재(115)에 대응되는 폭으로 감개부재(130)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곡률판 부분(143)은 사용자가 청소대상면에 대해 가압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롤러(151)는 곡률판 부분(143)의 선단의 제1서포트부분(141)과 제2서포트부분(142)의 상단에 형성된 걸이구(14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가이드롤러(153)은 제1가이드 롤러(151) 맞은 편 즉, 곡률판 부분(143)의 종단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분에 형성된 걸이구(146)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51)(153)는 점착테이프(210)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감개부재(130)는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112)(122)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용 홀(117)(127)에 삽입되어 풀림부재(115)로부터 청제1 가이드롤러(151) 곡률판부분(143) 및 제2가이드롤러(153)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인출된 점착테이프(210)를 감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감개부재(130)는 내통부재(131), 외통부재(136)를 구비한다.
내통부재(1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테이프(210)를 일정깊이 삽입할 수 있게 제1테이프 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재(131)의 제1 테이프 삽입홈(132)에 인접된 외주면 상에는 두개의 돌기(133)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133)는 제1 테이프 삽입홈(13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34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22)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이다.
외통부재(136)는 내통부재(131)가 수납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된 중공(136a)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재(136)의 외측면에는 중공(136a)을 관통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1테이프 삽입홈(132)으로의 점착테이프(210)의 삽입이 가능하게 제2 테이프 삽입 홈(137)이 형성되어 있고, 제2테이프 삽입홈(137)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내통부재(131)의 돌기(133)가 비간섭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돌기 수용홈(138)과, 타측에는 돌기(133)에 간섭되어 강제적으로 이완될 수 있게 형성된 이완편(139)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36b는 제1베이스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제1지지홀(117)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턱(117a)에 인입되어 본체(110) 내부에 구속될 수 있게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링이다.
이러한 감개부재(130)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210)의 선단 부분을 감개부재(130)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 외통부재(136)와 내통부재(131)의 테이프 삽입홈(132)(137)이 상호 일열로 되게 한 상태에서 테이프 삽입홈(132)(137)에 점착테이프(210)의 선단을 일정 깊이 삽입하고, 이후 내통부재(131)를 돌기(133)가 이완편(139) 내로 진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점착테이프(210)는 돌기(133)와 이완편(139) 사이에 강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내통부재(131)와 외통부재(136)도 돌기(133)의 이완편(139) 내로의 진입깊이가 일정깊이로 제한되면서 상호 강력하게 밀착되어 돌기(133)가 이완편(139)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호 한 몸체로 회전된다.
한편, 래치부(160)는 감개부재(13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시켜 점착테이프(210)의 긴장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적용되었다. 래치부(160)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래치부(160)는 간섭회전체(161) 및 래치(165)를 구비한다.
간섭회전체(161)는 제1바디체(111) 외측에서 내통부재(131)와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톱니형 간섭편(162)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64는 내통부재(131)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돌출되어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분이다.
톱니형 간섭편(162)은 간섭 회전체(161)의 방사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굴곡진 걸림홈(163)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래치(165)는 제1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 힌지(16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치(165)는 걸림홈(163) 내에 입출될 수 있게 형성되되 걸림홈(163)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감개부재(130)가 제1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걸림홈(163)을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걸림홈(163) 내에 구속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테이프 청소기(100)는 결합부재(127)를 분리하여 제1지지체(111)로부터 제2지지체(1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1풀림통(114)에 점착테이프(210)의 통체를 삽입한 다음 접착테이프의 선단을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인출한 다음 감개부재의 테이프 삽입홈(132)(137)에 삽입한 다음 내통부재(131)의 손잡이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점착 테이프(210)의 선단을 감개부재에 고정시킨 다음 사용하면 된다. 또한, 청소면 안내부재(140)에 지지된 점착테이프(210)에 청소작업에 의해 이물질이 충분히 부착된 경우 내통부재(131)를 제1방향으로 일정길이 감은 다음 사용하면 된다.
감개부재에 감긴 점착테이프를 분리하여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래치(165)를 걸림홈(163)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내통부재(131)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133)가 돌기 수용홈(138)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결합부재(127)를 푼 다음 칼날부(127c)를 이용하여 점착테이프(210)를 자르고, 제2지지체(121)를 제1지지체(111)로부터 분리한 후 한 외통부재(136)에 감긴 점착테이프(210)를 잡아 꺼내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 청소기에 의하면, 넓은 영역에 대해 청소가 가능하며 감개 부재를 감을 때만 청소대상 점착면이 이동되기 때문에 동일 점착면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점착테이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된 점착테이프를 긴장되게 감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분리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속이 빈 원통형 점착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게 내측에 풀림부재를 형성하되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바디체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상기 풀림부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점착테이프를 감을 수 있게 형성된 감개부재와;
    상기 풀림부재로부터 상기 감개부재로의 상기 점착테이프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호형 곡률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청소면을 제공하는 청소면 안내부재와;
    상기 청소면 안내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점착테이프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와;
    상기 감개부재가 설정된 제1방향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방향에 역방으로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역회전 방지용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점착테이프를 일정깊이 삽입할 수 있게 제1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테이프 삽입홈에 인접된 외주면 상에 돌기가 형성된 내통부재와;
    상기 내통부재가 수납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을 관통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상기 점착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게 제2 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테이프 삽입홈의 연장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상기 내통부재의 상기 돌기가 비간섭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돌기 수용홈과, 타측에는 상기 돌기에 간섭되어 이완될 수 있게 형성된 이완편을 갖는 외통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청소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체는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상기 제2바디체 방향으로 돌출되되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1파쥐용 홈이 형성된 제1풀림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체는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되 외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제2파쥐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림통과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제2풀림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청소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호 밀접되는 상기 제1풀림통 및 상기 제2풀림통의 각 바닥면에는 각각 나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나사결합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결합용 홀에 결합되는 나사선부와 상기 나사선부의 일 측에 상기 나사결함용 홀 보다 외경이 머리부와, 상기 나사선부 타측에 점착테이프를 자를 수 있는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청소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면 안내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일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제1서포트부분과;
    상기 제2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2서포트 부분과;
    상기 제1서프트부분과 상기 제2서포트부분의 상부에서 상기 풀림부재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감개부재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연장된 곡률판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서포트부분과 상기 제2서포트부분의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 롤러 맞은 편의 상기 곡률판 부분의 종단에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청소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바디체 외측에서 상기 내통부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방사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진 걸림홈을 갖는 톱니형 간섭편이 형성된 간섭회전체와;
    상기 본체 상에 상기 걸림홈 내에 입출될 수 있게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부재가 제1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홈을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홈 내 에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청소기.
KR1020060045816A 2006-05-22 2006-05-22 점착 테이프 청소기 KR10070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16A KR100703227B1 (ko) 2006-05-22 2006-05-22 점착 테이프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16A KR100703227B1 (ko) 2006-05-22 2006-05-22 점착 테이프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227B1 true KR100703227B1 (ko) 2007-04-09

Family

ID=3816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816A KR100703227B1 (ko) 2006-05-22 2006-05-22 점착 테이프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2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289B1 (ko) * 2008-11-12 2009-04-21 황재일 얼룩 제거장치
KR20230126915A (ko) 2022-02-24 2023-08-31 이원준 먼지제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611U (ko) 1978-08-17 1980-02-28
JPS55100747U (ko) 1979-01-06 1980-07-14
JPS58109456U (ja) 1982-01-20 1983-07-26 高橋 光江 ダストクリ−ナ−
JPH07100090A (ja) * 1993-06-26 1995-04-18 Tsutomu Shimizu 粘着テープクリーナ
KR200178722Y1 (ko) 1999-04-08 2000-04-15 박상록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먼지 크리너
KR200286971Y1 (ko) 2002-06-05 2002-08-24 김용수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611U (ko) 1978-08-17 1980-02-28
JPS55100747U (ko) 1979-01-06 1980-07-14
JPS58109456U (ja) 1982-01-20 1983-07-26 高橋 光江 ダストクリ−ナ−
JPH07100090A (ja) * 1993-06-26 1995-04-18 Tsutomu Shimizu 粘着テープクリーナ
KR200178722Y1 (ko) 1999-04-08 2000-04-15 박상록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먼지 크리너
KR200286971Y1 (ko) 2002-06-05 2002-08-24 김용수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289B1 (ko) * 2008-11-12 2009-04-21 황재일 얼룩 제거장치
KR20230126915A (ko) 2022-02-24 2023-08-31 이원준 먼지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6826B (zh) 一种带有摩擦制动器的手持式非胶粘条带分配器
US9635986B2 (en) Spindle and adapter for roll paper product dispensers
US20060278751A1 (en) Membrane reel fixing device for a membrane strapping dispenser
CA3043689C (en) Dental floss member and dental floss holder
KR100703227B1 (ko) 점착 테이프 청소기
TWI451983B (zh) 塗膜轉寫具
KR100655752B1 (ko) 스풀
US20030089632A1 (en) Cover for a roll of contaminant removal tape
US7201173B2 (en) Dental floss holder
US20050230057A1 (en) Hand tool for holding a tape spool
US20040035973A1 (en) Spool winder device
GB2570987A (en) An improved lint roller
JP2003265401A (ja) 粘着式清掃具
US10154773B1 (en) Adhesive cleaning system
US20160221788A1 (en) Dispensers
KR200483035Y1 (ko) 롤러식 먼지제거기
TWI548466B (zh) 黏著式清潔器
US20060026782A1 (en) Free-standing lint roller with case
KR20210000007U (ko) 롤러식 먼지제거기
KR20090105626A (ko) 접착테이프케이스의 롤풀림방지장치
JP3245735B2 (ja) 塗装ローラ
US10238475B1 (en) Orthodontic flosser
CA3050295A1 (en) Adhesive cleaning system
JP2005134447A (ja) 光ファイバ端面処理装置
US20070029430A1 (en) Removable and reusable device for extracting and retracting a length of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