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45B1 -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145B1
KR100702145B1 KR1020050101948A KR20050101948A KR100702145B1 KR 100702145 B1 KR100702145 B1 KR 100702145B1 KR 1020050101948 A KR1020050101948 A KR 1020050101948A KR 20050101948 A KR20050101948 A KR 20050101948A KR 100702145 B1 KR100702145 B1 KR 10070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power plant
unburned carbon
duc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이종민
김재성
김종진
강대현
백인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5010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발전소 덕트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에서 전송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의 송신 전압 값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수신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실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전소, 덕트, 미연탄소, 송수신, 더스트 프로브

Description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f unburned carbon in electric power station 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발전소 덕트에 설치한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더스트 프로브 20 :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
21 : 발진부 22 : 커플러
23 : 송신 안테나 24 : 송신 전압 검출부
25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 30 :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
31 : 수신 안테나 32 : 수신 전압 검출부
33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 40 : 분석부
50 : 발전소 덕트
본 발명은 발전소 덕트(Duct)의 미연탄소 측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실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기에 적당하도록 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원동기와 발전기 및 이에 부속되는 설비를 갖춘 곳으로서, 이러한 발전소에는 덕트(Duct)가 있다. 이러한 발전소 덕트는 미분탄을 연료로 해서 에너지를 얻어 발전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분탄이 완전히 연소되지 못한고 남은 탄소를 미연탄소(Unburned carbon)라고 한다. 이러한 미연탄소가 적을수록 에너지 회수율이 높다.
그리고 종래에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발전소 덕트 내의 비산회(Fly ash)를 직접 채집하였다.
그래서 발전소 덕트 내의 비산회(Fly ash)를 다량 채집한 후 직접 가열하여 무게 감소를 측정하거나 채집된 비산회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사하여 미연탄소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에 의해서는 실시간 측정이 어렵고, 측정값의 대표성 문제를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실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발전소 덕트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에서 전송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의 송신 전압 값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수신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은,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전소 덕트로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송신 전압과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수신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량을 계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을 발전소 덕트에 설치한 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발전소 덕트(50)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전송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50)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의 송신 전압 값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의 수신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발전소 덕트(50)의 미연탄소를 분석하는 분석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는, 상기 발전소 덕트(50)의 비산회(Fly ash) 양을 측정하여 상기 분석부(40)로 전달하는 더스트 프로브(Dust Probe)(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40)는, 온도 변화와 송신 전력 변화를 보상하여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의 전압 값을 분석하고, 상기 더스트 프로브(10)로부터 전달받은 비산회 양을 이용하여 미연탄소율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는, 마이크로웨이브 를 생성시키는 발진부(21)와; 상기 발진부(21)에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분기시키는 커플러(Coupler)(22)와; 상기 커플러(22)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발전소 덕트(50)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23)와; 상기 커플러(22)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송신 전압을 검출하는 송신 전압 검출부(24)와; 상기 송신 전압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송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분석부(40)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1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송신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50)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31)와; 상기 수신 안테나(31)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수신 전압을 검출하는 수신 전압 검출부(32)와; 상기 수신 전압 검출부(32)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수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분석부(40)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C)(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전소 덕트(50)로 송신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제 2 단계(ST2)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송신 전압과 상기 제 2 단 계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수신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발전소 덕트(50)의 미연탄소량을 계산하는 제 3 단계(ST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후 미연탄소율을 계산하고자 하면, 상기 발전소 덕트(50)의 비산회 양을 측정하여 미연탄소율을 계산하는 제 4 단계(ST4)(ST5)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온도 변화와 송신 전력 변화를 보상하여 상기 발전소 덕트(50)에 대해 송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압 값을 분석하고, 상기 발전소 덕트(50)의 측정된 비산회 양을 이용하여 미연탄소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미연탄소율을 계산할 때,
Figure 112005061515827-pat00001
에 의해 미연탄소율을 계산하고, 여기서 α 는 스팬(Span) 상수이고, K0 는 제로(Zero) 상수이며, dust 는 더스트 프로브(10)에서 측정된 비산회 양이고, PtKt 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검출된 송신 전압 값이며, PrKr 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20)에서 검출된 수신 전압 값이고, Kt 는 송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이며, Kr 은 수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채집없이 직접 미연탄소량을 측정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발전소 덕트(50)에 전송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전송되어 발전소 덕트(50)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발전소 덕트(50)의 양쪽 측면에 서로 마주 보도록 창을 내에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부(20)(30)를 설치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발진부(21)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 커플러(22)로 전달한다.
또한 커플러(22)는 발진부(21)에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분기시켜 송신 안테나(23)와 송신 전압 검출부(24)로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23)는 커플러(22)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사시켜 발전소 덕트(50)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에서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송신 전압 검출부(24)는 커플러(22)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송신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5)는 송신 전압 검출부(24)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송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분석부(40)로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송신 전압은 분석부(40)에서 미연탄소량과 미연탄소율을 분석할 때 Pt 값으로 이용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에서 수신 안테나(31)는 마이크로웨이브 송 신부(20) 내의 송신 안테나(23)에서 방사되어 발전소 덕트(50)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전압 검출부(32)에서는 수신 안테나(31)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수신 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33)는 수신 전압 검출부(32)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수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분석부(40)로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 전압은 분석부(40)에서 미연탄소량과 미연탄소율을 분석할 때 Pr 값으로 이용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방사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발전소 덕트(50) 안을 지나면서 미연탄소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2에서 참조번호 61은 미연탄소에 의해 반사된 마이크로웨이브이고, 참조번호 62는 반사없이 발전소 덕트(50)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이다.
그래서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방사된 마이크로웨이브는 발전소 덕트(50) 안을 지나면서 미연탄소에 의해 61과 같이 반사되어 마이크로웨이브 전력에 손실을 주게 되고, 62와 같이 미연탄소와 마주치지 않는 마이크로웨이브 전력은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에서 측정된다.
이때 미연탄소가 0 일 경우에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기준으로 보면, 발전소 덕트(50) 내에 미연탄소가 증가할수록 미연탄소에 의해 산란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전력 손실이 증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은 감소하게 된다. 미연탄소를 채집하여 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과 달리 발전소 덕트(50) 내에서 흘러가는 밀도가 낮은 상태의 미연탄소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값 자체도 매우 미세하여 측정치에 참고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의 송신 전압 값과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의 수신 전압 값을 이용하여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이루어진 분석부(40)에서 미연탄소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더스트 프로브(10)는 발전소 덕트(50)를 지나가는 미연탄소를 포함한 모든 비산회(Fly ash)의 량을 측정하여 분석부(40)로 전달함으로써 미연탄소율 계산에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분석부(40)에서는 미연탄소율(미연탄소 함유율)도 포함하여 분석하고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5061515827-pat00002
여기서 α 는 스팬(Span) 상수이고, K0 는 제로(Zero) 상수이며, dust 는 더스트 프로브(10)에서 측정된 비산회 양이다. 또한 PtKt 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에서 검출된 송신 전압 값이며, PrKr 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20)에서 검출된 수신 전압 값이고, Kt 는 송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이며, Kr 은 수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이다.
그래서 Kt 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 내의 송신 전압 검출부(24)의 부품 특성에 의해 정해지는 값으로 송신 전압 검출부(24)의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리고 Kr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 내의 수신 전압 검출부(32)의 부품 특성에 의해 정해지는 값으로 수신 전압 검출부(24)의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또한 미연탄소가 없는 상태에서도 송신 전력이 항상 변하기 때문에 Pt 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 전력 Pr 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20)와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3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미연탄소가 없는 상태에서 PtKt/PrKr 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Kt 와 Kr 을 정하게 하여 온도 변화와 송신 전력변화를 보정한다.
미연탄소가 없을 경우 미연탄소 함유율은 0 이 되어야 하므로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부(20)(30) 사이에 미연탄소가 없을 때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되도록 K0 을 설정하여 제로 상태 보정을 수행한다.
Figure 112005061515827-pat00003
그리고 특정한 함유율에서 계산식에 의한 함유율과 일치하도록 α 를 설정하여 계산식을 완성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실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은 발전소 덕트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 투과시켜 미량의 미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미연탄소의 실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발전소 덕트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에서 전송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의 송신 전압 값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수신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발전소 덕트의 비산회 양을 측정하여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는 더스트 프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석부는 온도 변화와 송신 전력 변화를 보상하여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의 전압 값을 분석하고, 상기 더스트 프로브로부터 전달받은 비산회 양을 이용하여 미연탄소율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에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분기시키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발전소 덕트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와;
    상기 커플러에서 분기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송신 전압을 검출하는 송신 전압 검출부와;
    상기 송신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송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분석부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에서 송신되어 상기 발전소 덕트를 통과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상기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수신 전압을 검출하는 수신 전압 검출부와;
    상기 수신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수신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분석부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6.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전소 덕트로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송신 전압과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수신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량을 계산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미연탄소율을 계산하고자 하면, 상기 발전소 덕트의 비산회 양을 측정하여 미연탄소율을 계산하고, 온도 변화와 송신 전력 변화를 보상하여 상기 발전소 덕트에 대해 송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전압 값을 분석하며, 상기 발전소 덕트의 측정된 비산회 양을 이용하여 미연탄소율을 계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미연탄소율을 계산할 때,
    Figure 112006096398667-pat00004
    에 의해 미연탄소율을 계산하고, 여기서 α 는 스팬 상수이고, K0 는 제로 상수이며, dust 는 더스트 프로브에서 측정된 비산회 양이고, PtKt 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신부에서 검출된 송신 전압 값이며, PrKr 는 마이크로웨이브 수신부에서 검출된 수신 전압 값이고, Kt 는 송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이며, Kr 은 수신 전압 값에 대한 온도 보정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방법.
KR1020050101948A 2005-10-27 2005-10-27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48A KR100702145B1 (ko) 2005-10-27 2005-10-27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48A KR100702145B1 (ko) 2005-10-27 2005-10-27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145B1 true KR100702145B1 (ko) 2007-03-30

Family

ID=4156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948A KR100702145B1 (ko) 2005-10-27 2005-10-27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484B1 (ko) 2010-08-03 2011-02-08 (주)파워엔지니어링 보일러의 미연탄소 측정장치
KR20150030071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력공사 석탄 보일러 미연손실 실시간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CN111060533A (zh) * 2019-12-31 2020-04-24 华北电力大学 一种基于空心金属波导的飞灰含碳量静态测量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201A (en) * 1989-12-08 1992-04-28 Trerice Douglas 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rbon content in fly a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201A (en) * 1989-12-08 1992-04-28 Trerice Douglas 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rbon content in fly as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484B1 (ko) 2010-08-03 2011-02-08 (주)파워엔지니어링 보일러의 미연탄소 측정장치
KR20150030071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력공사 석탄 보일러 미연손실 실시간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KR102071080B1 (ko) * 2013-09-11 2020-01-29 한국전력공사 석탄 보일러 미연손실 실시간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CN111060533A (zh) * 2019-12-31 2020-04-24 华北电力大学 一种基于空心金属波导的飞灰含碳量静态测量系统及方法
CN111060533B (zh) * 2019-12-31 2021-04-20 华北电力大学 一种基于空心金属波导的飞灰含碳量静态测量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9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EP3447534A1 (en) Laser rang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time domain waveform matching technique
JP3784823B1 (ja)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および距離測定プログラム
JP3616627B2 (ja) 電磁波探査機における媒体中誘電率の測定方法、並びに、電磁波探査機
EP0493598B1 (en) Apparatus for underground radar tomography
CN101349729B (zh) 一种电磁兼容发射测试方法
CN108957379B (zh) 一种gis局部放电特高频检测设备的现场校准方法
JP5868504B2 (ja) 風計測コヒーレントライダ装置
JP4826747B2 (ja) ブリルアン散乱光の周波数シフトの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WO2009125843A1 (ja) 超音波伝搬時間測定システム
KR100702145B1 (ko) 발전소 덕트의 미연탄소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6468741A (zh) 辐射杂散自动测试方法及装置
CN104849292A (zh) 煤质快速分析装置
CN105973943A (zh) 一种吸波材料行波抑制性能测试装置及方法
CN104914115A (zh) 土壤墒情测定仪及其测定方法
CN101881833A (zh) 光电测距装置
CN201654231U (zh) 基于超声波的动态距离测量系统
CN212905423U (zh) 导航雷达综合测试设备
JP3768511B2 (ja)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および距離測定プログラム
KR100920768B1 (ko) 초광대역 레이더
Borchert et al. Directional borehole radar calibration
JP3860824B2 (ja) 媒体中誘電率の測定方法、並びに、電磁波探査機
CN112505717A (zh) 一种基于频域反射的水下多目标测距雷达系统
RU23418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отношения сигнал/шум
Hatsenko et al. Investigation of Measurement Errors of Electrical Signals Characteristics of Energy Suppl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