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593B1 -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593B1
KR100701593B1 KR1020060044367A KR20060044367A KR100701593B1 KR 100701593 B1 KR100701593 B1 KR 100701593B1 KR 1020060044367 A KR1020060044367 A KR 1020060044367A KR 20060044367 A KR20060044367 A KR 20060044367A KR 100701593 B1 KR100701593 B1 KR 10070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crete structure
cover
piston ro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철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4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 B05C17/0052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 B05C17/00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the driving means for the material being manual, mechanical or electrical
    • B05C17/0053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the driving means for the material being manual, mechanical or electrical comprising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포인트에 주입되는 보강약액이 침전되지 않고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주입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밀폐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피스톤헤드와 상기 피스톤헤드에 연결되도록 중앙에 피스톤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 중앙에는 보강약액주입공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가 내장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보강약액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린더와, 상기 저장실린더의 전방에는 주입구가 형성된 주입덮개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중앙에 피스톤로드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로드공을 형성한 실린더덮개로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실린더덮개와 피스톤부의 피스톤헤드 후방에 설치되는 탄력스프링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로드에 형성된 보강약액주입공의 후방을 넓게 형성하여 혼합실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실의 내측에는 혼합스크류를 내설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후단에는 스크류덮개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류덮개의 후방에는 보강약액개폐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The pour implement of concrete structure crack point}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스톤부 11 : 피스톤헤드
12 : 피스톤로드 13 : 보강약액주입공
14 : 패킹링 20 : 저장실린더
30 : 덮개부 31 : 주입구
32 : 주입덮개 33 : 로드공
34 : 실린더덮개 40 : 탄력스프링
50 : 혼합실 51 : 혼합스크류
52 : 스크류덮개 53 : 체크밸브
54 : 노즐연결구 55 : 결합홈
56 : 돌기 57 : 주입공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포인트에 주입되는 보강약액이 침전되지 않고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주입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주거를 하는 일반 주택이나 공공주택 이외에도 댐이나 교량, 지하철, 콘크리트포장도로 및 터널 등의 구조물을 통하여 인간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조물은 오랜 시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구성의 큰 재료인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나 시멘트는 재료의 특성상 양생시 수축이 발행하여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각종 외부환경의 변화나 자체의 하중 등에 의하여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크랙을 그대로 방치하면, 침수 또는 누수로 인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붕괴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에 보수약액을 주입하여 보수, 보강하는 지속적인 관리를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수약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여러가지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전형적인 일 예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부재번호 1은 콘크리트 구조물, 2는 크랙, 3은 주입기구, 4는 주입구를 각각 가리킨다.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는 콘크리트구조물(1)의 크랙(2)에 보수약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크랙(2)에 주입기구(3)를 설치하고 상기 주입기구(3)에 착탈되는 주입구(4)를 설치하여 주입한다.
상기의 주입구는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피스톤이 형성되어 주입구 몸체에 보수약액을 빨아들여 주입한 후 상기 주입기구에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보수약액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에 주입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포인트에 보수 및 보강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기구는 주입구 몸체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주입구를 사용해야 했으며 상기 주입구에 주입된 보수약액이 크랙에 주입된 후 주입구를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써 상기 크랙에 보수약액이 주입되면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허등록 제169051호의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는 체크밸브가 형성된 피스톤로드(6)를 장전케이스(7)에 내삽하고, 상기 장전케이스(7)의 하부는 하부조절캡(8)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상부는 체크밸브가 형성된 착설부재(9)에 고정되어 노즐을 피스톤로드(6)에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강약액 주입기구는 피스톤로드와 착설부재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므로써 기구가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보수약액의 주입이 노즐을 통하여만 주입되므로써 보수약액이 침전되거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전케이스에 유입되어 보수약액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포인트에 주입되는 보강약액이 침전되지 않고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주입될 수 있으며 구조를 간단히 하여 보강약액이 경화되어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하며 시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주입기구의 사용 수명을 연 장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피스톤헤드와 상기 피스톤헤드에 연결되도록 중앙에 피스톤로드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 중앙에는 보강약액주입공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가 내장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보강약액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린더와, 상기 저장실린더의 전방에는 주입구가 형성된 주입덮개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중앙에 피스톤로드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로드공을 형성한 실린더덮개로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실린더덮개와 피스톤부의 피스톤헤드 후방에 설치되는 탄력스프링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로드에 형성된 보강약액주입공의 후방을 넓게 형성하여 혼합실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실의 내측에는 혼합스크류를 내설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후단에는 중앙이 천공디고 중앙에 체크밸브를 내설한 스크류덮개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류덮개의 후방에는 노즐연결구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노즐연결구는 스크류덮개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덮개의 후방 외경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노즐연결구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결합되도록 노즐연결구 내경에 돌기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주입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는 보강약액을 가압하여 밀어넣을 수 있도록 피스톤부(10)부와, 보강약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린더(20)와, 상기 저장실린더(20)의 전후방을 덮는 덮개부(30)와, 상기 피스톤부(10)에 압력을 가해주는 탄력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부(10)는 저장실린더(20)의 내경에서 밀폐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경으로 패킹링(14)을 형성한 피스톤헤드(11)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헤드(11)의 후방 중앙에 연결되도록 피스톤로드(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피스톤로드(12) 중앙에는 보강약액주입공(13)을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보강약액주입공(13)의 후방은 넓게 형성하여 혼합실(50)을 형성한다.
상기의 혼합실(50)에는 혼합스크류(51)를 내설한다.
이러한 상기 피스톤부(10)가 내장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보강약액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린더(20)를 형성하되 상기 저장실린더(20)의 양단에는 숫나사를 형성한다.
상기의 저장실린더(20)의 전, 후방에는 저장실린더(20)의 숫나사에 체결되도록 덮개부(30)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부(30) 저장실린더(20) 전방으로 주입구(31)가 형성된 주입덮개(32)를 체결하고 후방에는 중앙에 피스톤로드(12)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로드공(33)을 형성한 실린더덮개(34)를 체결한다.
이러한 덮개부(30)의주입덮개(32)는 저장실린더(2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된 덮개부(30)의 실린더덮개(34) 내측과 피스톤부(10)의 피스톤헤드(11) 후방에는 피스톤부(10)가 탄력설치되도록 설치되는 탄력스프링(40)을 저장실린더(20) 내측에 형성한다.
상기의 피스톤로드(12)의 후단에는 스크류덮개(52)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류덮개(52)의 후방에는 노즐연결구(54)를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노즐연결구(54)는 스크류덮개(5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덮개(52)의 후방 외경에는 "ㄴ"자 형상의 결합홈(5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55)에 노즐연결구(54)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결합되도록 노즐연결구(54) 내경에 돌기(56)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주입공(57)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피스톤부(10)의 피스톤헤드(11)를 저장실린더(20)의 후방에서 삽입하고 상기 저장실린더(20)의 전방에는 주입덮개(32)를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린더(20)의 후방측으로 탄력스프링(40)을 내장하고 돌출된 피스톤로드(12)을 로드공(33)에 수용하면서 저장실린더(20)의 후방에 실린더덮개(34)를 체결하면 피스톤부(10)가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저장실린더(20) 전방으로 밀리면서 탄력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로드(12)의 후방에 형성된 혼합실(50)에 혼합스크류(51)를 삽입하고 상기 피스톤로드(12) 후방에 중앙이 천공된 스크류덮개(52)를 체결한다.
상기의 스크류덮개(52)의 후단부에는 노즐연결구(54)를 회전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포인트 주위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크랙 포인트에 착설기구(60)를 일치시킨 후 가압하여 밀착시켜 상기 착설기구(60)에 주입구(31)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강약액을 주입하는 노즐(70)을 노즐연결구(54)에 연결하여 주입공(57)을 주입구(31)와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보강약액을 주입시키면 상호 연통 된 주입공(55)과 혼합실(51), 주입구(31), 보강약액주입공(13), 저장실린더(20), 보강약액 주입공(13)을 통하여 착설기구(60)를 통하여 크랙포인트에 주입된다.
이때, 주입되는 보강약액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53)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되는 보강약액은 혼합실(50)을 통과할 때에는 혼합스크류(51)가 회전하면서 주입되어 보강약액의 혼합 및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입되는 보강약액의 양보다 노즐(70)을 통하여 주입되는 보강약액의 양이 많아 저장실린더(20)에 저장되면서 주입되는 보강약액의 압력보다 혼합실(50)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체크밸브(53)가 보강약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보강약액의 주입은 중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입되는 보강약액의 압력이 저장실린더(20) 내에서 탄력스프링(40)의 탄성을 극복하며 프스톤수(1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보강약액은 미세한 크랙부분에 탄력스프링(40)에 의해 서서히 주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포인트에 주입되는 보강약액이 침전되지 않고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주입될 수 있으며 구조를 간단히 하여 보강약액이 경화되어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하며 시공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저장실린더를 분해할 수 있어 청소를 용이하게 하므로써 주입기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보강약액의 주입이 끝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를 밀어주는 탄력스프링에 의해 미세한 균열 부분 까지도 탄력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하여 보강약액이 서서히 주입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밀폐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피스톤헤드(11)와 상기 피스톤헤드(11)에 연결되도록 중앙에 피스톤로드(12)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12) 중앙에는 보강약액주입공(13)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피스톤부(10)와, 상기 피스톤부(10)가 내장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보강약액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린더(20)와, 상기 저장실린더(20)의 전방에는 주입구(31)가 형성된 주입덮개(32)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중앙에 피스톤로드(12)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로드공(33)을 형성한 실린더덮개(34)로 형성된 덮개부(30)와, 상기 덮개부(30)의 실린더덮개(34)와 피스톤부(10)의 피스톤헤드(11) 후방에 설치되는 탄력스프링(40)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10)의 피스톤로드(12)에 형성된 보강약액주입공(13)의 후방을 넓게 형성하여 혼합실(50)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실(50)의 내측에는 혼합스크류(51)를 내설하며 상기 피스톤로드(12)의 후단에는 중앙이 천공고 중앙에 체크밸브(53)를 내설한 스크류덮개(52)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류덮개(52)의 후방에는 노즐연결구(54)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연결구(54)는 스크류덮개(5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덮개(52)의 후방 외경에 결합홈(5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55)에 노 즐연결구(54)가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결합되도록 노즐연결구(54) 내경에 돌기(56)를 형성하며 중앙에는 주입공(5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KR1020060044367A 2006-05-17 2006-05-17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KR10070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67A KR100701593B1 (ko) 2006-05-17 2006-05-17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67A KR100701593B1 (ko) 2006-05-17 2006-05-17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209U Division KR200423304Y1 (ko) 2006-05-17 2006-05-17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593B1 true KR100701593B1 (ko) 2007-04-09

Family

ID=3816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367A KR100701593B1 (ko) 2006-05-17 2006-05-17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92B1 (ko) * 2016-03-30 2017-04-11 최관희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CN107035161A (zh) * 2017-06-21 2017-08-11 湖北武大珞珈工程结构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强制搅拌型灌浆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51B1 (ko) * 1996-01-11 1999-02-18 유창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약액 주입기구
KR19990011977U (ko) * 1998-12-29 1999-03-25 유완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방수액 주입장치
KR20000017833U (ko) * 1999-03-05 2000-10-05 차재인 콘크리트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방수액 주입장치
KR200233686Y1 (ko) * 2001-03-21 2001-10-08 김천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조립체
KR200386938Y1 (ko) * 2005-04-01 2005-06-16 이상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51B1 (ko) * 1996-01-11 1999-02-18 유창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약액 주입기구
KR19990011977U (ko) * 1998-12-29 1999-03-25 유완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방수액 주입장치
KR20000017833U (ko) * 1999-03-05 2000-10-05 차재인 콘크리트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방수액 주입장치
KR200233686Y1 (ko) * 2001-03-21 2001-10-08 김천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조립체
KR200386938Y1 (ko) * 2005-04-01 2005-06-16 이상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92B1 (ko) * 2016-03-30 2017-04-11 최관희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CN107035161A (zh) * 2017-06-21 2017-08-11 湖北武大珞珈工程结构检测咨询有限公司 一种强制搅拌型灌浆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184Y1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7015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US20090309056A1 (en) Butterfly valve
CN108316565A (zh) 一种灌浆套筒组件
KR200423304Y1 (ko)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포인트의 보수 및 보강약액 주입기구
KR200449272Y1 (ko) 그라우팅 주입용 체크밸브
CN107744892B (zh) 一种可水平按压出液的便携泵
KR200400363Y1 (ko) 콘크리트 크랙 보강액 주입기
JP2012026196A (ja) 弁、弁装着構造および鉄筋連結装置
CN107687190B (zh) 马桶及其储压包
KR101026270B1 (ko) 펌핑 잠금장치
CN108758003A (zh) 一种液控-手动双控换向阀
BR0312328A (pt) Conjunto distribuidor de fluido
KR101420449B1 (ko) 유체 분배 장비에서 사용하는 자흡식 노즐
KR200250675Y1 (ko) 방수용 패커 첵밸브 구조
TW200833427A (en) Application liquid supply device
JP2008178770A (ja) 接着剤注入パイプ
KR101282015B1 (ko) 다이어프램식 드레인펌프
KR20000017833U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방수액 주입장치
CN209762293U (zh) 一种高密封性陶瓷片密封水嘴
KR200295686Y1 (ko) 배기관로를 갖는 사출금형의 안전장치
CN213088800U (zh) 一种球阀的安装结构
CN211371368U (zh) 一种船型分水阀
KR100669230B1 (ko) 유압펌프의 공기혼합장치
CN218152370U (zh) 一种适用于高粘度导热胶的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