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326B1 -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326B1
KR100701326B1 KR20050053949A KR20050053949A KR100701326B1 KR 100701326 B1 KR100701326 B1 KR 100701326B1 KR 20050053949 A KR20050053949 A KR 20050053949A KR 20050053949 A KR20050053949 A KR 20050053949A KR 100701326 B1 KR100701326 B1 KR 10070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de
byte
pressed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345A (ko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런
Priority to KR2005005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326B1/ko
Priority to PCT/KR2006/001514 priority patent/WO2006137642A1/en
Publication of KR2006013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스캔 데이터의 송신을 알리는 리더와 상기 리더에 연계된 스캔 코드를 전송하되,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질 때,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와 상기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순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될 때 상기 일반키의 브레이크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후에도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일 경우 추후 눌러질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의 눌러짐과 해제됨이 수회 반복되는 경우, 일반키의 누름 해제와 다른 일반키의 누름 사이에,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 송신오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하고, IR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최소 약 14.4 msec의 시간차에 의해 서로 다른 두개의 일반키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 프로토콜{METHOD FOR TRANSMITTING SCAN DATA OF WIRELESS INPUT DEVICE AND IR PROTOCO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셋톱박스로의 데이터 입력에 사용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를 위한 IR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입력장치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입력방식에 따라, 유선과 무선으로 나뉘어진다. 유선입력장치의 경우, 데이터 손실의 우려가 현저히 낮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키가 단독으로 사용되건, 또는 일반키가 기능키와 복합적으로 동시에 사용되건 간에 각 키에 대하여 늘리고 떨어졌음만을 전달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선입력장치는 유선처리가 곤란하고, 전자 장비와 가까운 거리에 있을 것을 요구한다. 특히, 셋톱박스 등과 같 이, 입력장치와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비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 유선입력장치의 사용은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셋톱박스로의 데이터 입력에는 무선 입력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4,628,541호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한 무선 키보드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은, 유선의 경우와 달리, 전송 도중에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쉬프트키, 콘트롤키 또는 알트키 등)의 키가 눌러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스캔 코드가 셋톱박스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기능키는 일반키와는 달리 하나의 키코드에 대하여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키와 동시에 눌려진 이후의 모든 키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기능키에 대한 스캔 코드의 전송 오류는 일반키에 비하여 대단히 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진전자 소유의 한국특허 제196665호는 기능키와 함께 일반키가 눌려지는 경우, 기능키의 눌림 여부를 알리는 메이크/브레이크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눌러진 기능키에 대응되는 플레그를 일반키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오류발생을 감소시키고 있다. 상기 한국특허 제196665호의 기재 내용은 본 발명의 참고자료로서 인용된다.
표 1은 상기 특허에 사용되는 무선 키보드용 IR 프로토콜의 구체적 예를 보여준다.
Figure 112005033137017-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허에 사용되는 IR 프로토콜은 총 4 바이트(byte)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 첫번째 바이트(Byte 1)는 디바이스 아이디 및 애플리케이션 플레그로 구성되며, 두번째 바이트(Byte 2)는 메이크/브레이크 플레그와, 각각의 기능키 플레그로 구성되며, 세번째 바이트(Byte 3)는 키포지션 코드로 구성되며, 네번째 바이트(Byte 4)는 사용자 ID와 체크섬으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IR 프로토콜은 일반키의 눌림여부를 기능키 플레그와 함께 전송하여 기능키의 전송오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이것은 기능키의 전송오류에 따른 에러를 감소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따른 방법은 메이크/브레이크 플레그와 각각의 기능키 플레그가 1 비트(bit)로 표현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오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특허에 개시된 전송방법에 따르면, 일반키가 눌려졌을 때, 이전에 기능키가 눌려졌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증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전에 기능키가 눌려졌는데도 불구하고 일반키의 스캔코드 오류에 의해 에러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더 나아가, 상기 특허에 따른 방법은 4 바이트를 갖는 IR 프로토콜의 사용을 요구한다. 따라서, 키보드의 코드 전송 처리속도가 늦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의 경우, 서로 다른 일반키를 누를 경우, 약 24.8 msec의 시간차를 요구한다. 이것은 데이터 입력속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에서 기능키의 전송오류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입력속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스캔 데이터의 송신을 알리는 리더와 상기 리더에 연계된 스캔 코드를 전송하되,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질 때,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와 상기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순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될 때 상기 일반키의 브레이크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후에도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일 경우 추후 눌러질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캔 코드의 패킷 데이터가 총 3 바이트로 구성되고, 첫번째 바이트는 디바이스 ID,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 및 체크섬 정보에 할당되고, 두번째 바이트는 애플리케이션 플레그 정보에 할당되고, 세번째 바이트는 키포지션 코드 정보에 할당된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ID와 상기 마 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는 각각 2 비트를 갖고, 상기 체크섬 정보는 4 비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체크섬 정보는 체크섬 정보에 할당된 4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20개의 비트를 4 비트씩 분할하여 얻어진 5개 단위의 XOR 연산에 의해 얻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이크 코드의 패킷 데이터와 상기 브레이크 코드의 패킷 데이터는 첫번째 바이트와 두번째 바이트에 동일한 값을 갖고, 세번째 바이트에 상이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입력장치의 스캔데이터 송신 방법에 사용되는 IR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상기 IR 프로토콜이 총 3 바이트의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고, 첫번째 바이트는 디바이스 ID,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 및 체크섬 정보에 할당되고, 두번째 바이트는 애플리케이션 플레그 정보에 할당되고, 세번째 바이트는 키포지션 코드 정보에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은 스캔 데이터의 송신을 알리는 리더와 상기 리더에 연계된 스캔 코드를 전송하되,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질 때,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와 상기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가 순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될 때 상기 일반키의 브레이 크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후에도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일 경우 추후 눌러질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입력장치의 특정키가 눌러졌는지 인식한다. 특정키가 일반키인 경우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일반키에 대응되는 메이크 코드가 발생되고,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경우, 상기 일반키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코드가 발생된다. 일반키의 눌러짐이 계속될 경우, 소정시간(예: 100 msec) 간격으로 반복해서 해당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가 발생하고,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경우 상기 일반키의 브레이크 코드가 발생된다. 특정키가 기능키인 경우, 특정키에 대응되는 메이크 코드가 발생된다. 그 후,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진 경우, 상기 일반키에 대응되는 메이크 코드가 발생한다. 만약,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계속해서 눌러진 경우, 소정시간(예: 50 msec)간격으로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가 다시 생성되고, 상기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가 다시 발생한다. 만약,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경우, 해당 일반키에 대응되는 브레이크 코드가 발생한다. 이 때, 기능키의 눌러짐이 해제되지 아니하였다면, 추후 눌러진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의 전송 전에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가 다시 발생한다. 다시 말해, 일반키의 눌러짐과 해제됨이 경과한 후에도, 기능키가 계속해서 눌러진 상태일 경우 추후 눌러진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 전송 전에, 다시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발생하고 추후 눌러진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능키의 활 성화 여부를 계속해서 송신하게 되고, 기능키의 스캔 코드 송신오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쉬프트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문자키 "a"와 문자키 "b"를 순차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때, 쉬프트키가 눌러질 경우, 쉬프트키에 해당하는 메이크 코드가 발생한다. 그 후, 쉬프트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문자키 "a"가 눌러지고 해제된 경우, 문자키 "a"의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가 순차 발생한다. 이 때, 수신부는 쉬프트키의 스캔코드와 문자키의 메이크 코드 및 브레이크 코드를 수신하여, 입력된 문자가 "A"임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문자키 "a"가 해제된 후에도 계속해서 쉬프트키가 눌러진 경우, 무선입력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추후 문자키 "b"가 눌러지는 경우, 쉬프트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발생시키고 문자키 "b"에 해당하는 메이크 코드를 발생시킨다. 문자키 "b"가 해제되는 경우, 문자키 "b"의 브레이크 코드가 발생된다. 문자키 "b"의 눌러짐이 해제된 후, 쉬프트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경우, 쉬프트키의 브레이크 코드가 발생한다.
상기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특정키의 눌러짐과 해제됨이 수회 반복되는 경우, 특정키의 누름 해제와 다른 키의 누름 사이에,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가 다시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 송신오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이러한 송신방법은 IR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표 2 및 표 3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 코드 송신방법에 사용되는 패킷 데이터 구조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Figure 112005033137017-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신방법에 사용되는 패킷 데이터는 전체 3 바이트로 구성된다. 첫번째 바이트(Byte 1)는 디바이스 ID,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 및 체크섬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바이트(Byte 1)의 2 비트(bit 7, bit 6)는 전송되는 IR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디바이스 데이터인지 구분해주는 디바이스 ID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키보드의 경우, 디바이스 ID로서 "00"의 값이 할당되고, 리모컨의 경우 "01", 마우스의 경우, "11"이 할당된다.
다음 2 비트(bit 5, bit 4)는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로 사용된다. 키보드의 IR 데이터와 리모컨의 IR 데이터는 모두 "00"의 값이 할당될 것이다. 마우스의 좌우 클릭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첫번째 바이트의 비트 5 및 비트 4 중 하나는 "1", 나머지 하나는 "0"이 할당된다.
다음 4 비트(bit 3, bit 2, bit 1, bit 0)는 체크섬에 할당된다. 체크섬은 전송되는 IR 데이터가 정상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값이다. 상기 체크섬 정보는, 체크섬 정보가 할당된 4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20개의 비트를 4 비트씩 분할하여 얻어진 5개 단위의 XOR 연산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수학식 1은 체크섬 데이터의 할당 기준을 보여준다.
checksum = (Byte 1의 좌측 4 bit)
XOR (Byte 2의 우측 4 bit)
XOR (Byte 2의 좌측 4 bit)
XOR (Byte 3의 우측 4 bit)
XOR (Byte 3의 좌측 MS 4 bit)
여기서, 체크섬에 할당된 값이 우변의 연산값과 동일하면 IR 데이터가 정상적임을 나타내며, 체크섬에 할당된 값이 우변의 연산값과 상이하면 IR 데이터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며, 수신된 데이터는 무시된다.
키보드의 경우, 두번째 바이트(Byte 2)는 애플리케이션 플레그 정보에 할당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Noraml/extend", "Power", "Sleep" 등을 들 수 있다. 표 2에서, 표준키와 확장키 나타내는 "Noraml/extend"는 두번째 바이트의 비트 2에, "Power"는 비트 1에, "Sleep"은 비트 0에 할당된 예를 보여준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플레그가 공란으로 표시된 미지정된 비트(bit 7, bit, 6, bit5, bit 4, bit 3)에 할당될 수 있다. 키보드의 경우, 세번째 바이트(Byte 3)는 키포지션 코드 정보에 할당된다. 키보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해당키가 눌러질 경우, 이를 토대로 키포지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세번째 바이트(Byte 3)에 이를 할당한다. 마우스의 경우, 두번째 바이트(Byte 2)와 세번째 바이트(Byte 3)에, X-방향 이동데이터 와 Y-방향 이동데이터가 각각 할당된다.
표 1에 보여진 한국특허 제196665호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에는 기능키 플레그가 포함되지 아니한다. 이것은 기능키와 일반키가 동시에 눌러졌을 때, 두개의 패킷 데이터를 순차 송신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는 총 3 바이트로 구성된다. 이것은 데이터 처리속도와 입력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2개의 서로 다른 일반키가 순차 눌러졌을 때, 14.4 msec의 시간차로도 코드 식별이 가능하였다(한국특허 제196665호: 약 24.8 msec). 따라서, 두개의 키가 순차 눌러졌을 때의 데이터 입력속도가 증진되고, 이것은 효율적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버전 IR 코드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의 6개의 코드 값 중 앞의 4개의 코드값이 서로 동일하다. 다시 말해, 키포지션 코드값이 할당된 패킷 데이터의 세번째 바이트(Byte 3)를 제외하고, 동일한 키의 브레이크 코드는 첫번째 바이트(Byte 1)와 두번째 바이트(Byte 2)의 할당값이 메이크 코드와 동일함을 의미한다. 표 3에 보여진 브레이크 코드 할당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설정되었다.
break code = 0xFF(16진수) - make code
동일한 키의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가 패킷 데이터의 첫번째 바이트(Byte 1)와 두번째 바이트(Byte 2)에 동일한 값을 가짐으로써,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오류검증 절차가 간단해지고, 이것은 데이터 처리 속도를 추가로 증진시킨다.
Figure 112005033137017-pat00003
Figure 112005033137017-pat00004
Figure 112005033137017-pat00005
본 발명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스캔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의 눌러짐과 해제됨이 수회 반복되는 경우, 일반키의 누름 해제와 다른 일반키의 누름 사이에, 다른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기 전에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발생한다. 따라서,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 송신오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질 경우, 기 능키의 메이크 코드와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가 순차 전송된다. 이것은 IR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킨다. 따라서, 총 3 바이트의 패킷 데이터에 의해 각 키의 IR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것은 데이터 처리속도와 입력속도와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약 14.4 msec의 시간차에 의해 서로 다른 두개의 일반키를 식별할 수 있다.
(3) 키포지션 코드값이 할당된 패킷 데이터의 세번째 바이트(Byte 3)를 제외하고, 동일한 키의 브레이크 코드는 첫번째 바이트와 두번째 바이트의 할당값이 메이크 코드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키의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오류검증 절차를 간단하게 하고, 데이터 처리속도를 추가로 증진시킨다.

Claims (7)

  1. 스캔 데이터의 송신을 알리는 리더와 상기 리더에 연계된 스캔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일반키가 눌러질 때,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와 상기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순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될 때 상기 일반키의 브레이크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반키의 눌러짐이 해제된 후에도 상기 기능키가 눌러진 상태일 경우 추후 눌러질 일반키의 메이크 코드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기능키의 메이크 코드를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코드의 패킷 데이터가 총 3 바이트로 구성되고, 첫번째 바이트는 디바이스 ID,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 및 체크섬 정보에 할당되고, 두번째 바이트는 애플리케이션 플레그 정보에 할당되고, 세번째 바이트는 키포지션 코드 정보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ID와 상기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는 각각 2 비트를 갖고, 상기 체크섬 정보는 4 비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섬 정보는 체크섬 정보에 할당된 4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20개의 비트를 4 비트씩 분할하여 얻어진 5개 단위의 XOR 연산에 의해 얻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메이크 코드의 패킷 데이터와 브레이크 코드의 패킷 데이터는 첫번째 바이트와 두번째 바이트에 동일한 값을 갖고, 세번째 바이트에 상이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코드가 아래의 연산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의 스캔코드 송신 방법.
    연산식
    break code = 0xFF(16진수) - make code
  7. 총 3 바이트의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고, 첫번째 바이트는 디바이스 ID, 마우스용 좌우 클릭 플레그 및 체크섬 정보에 할당되고, 두번째 바이트는 애플리케이션 플레그 정보에 할당되고, 세번째 바이트는 키포지션 코드 정보에 할당된 I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캔코드를 송신하는 무선입력장치.
KR20050053949A 2005-06-22 2005-06-22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KR10070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3949A KR100701326B1 (ko) 2005-06-22 2005-06-22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PCT/KR2006/001514 WO2006137642A1 (en) 2005-06-22 2006-04-21 Method for transmitting scan data of wireless input device and ir protoco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3949A KR100701326B1 (ko) 2005-06-22 2005-06-22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45A KR20060134345A (ko) 2006-12-28
KR100701326B1 true KR100701326B1 (ko) 2007-03-29

Family

ID=3757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3949A KR100701326B1 (ko) 2005-06-22 2005-06-22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1326B1 (ko)
WO (1) WO20061376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536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남명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폐스크랩과 폐섬유를 이용한 복합 성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477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키보드 데이타 송신 및 수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732A (en) * 1982-08-23 1985-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Technique for increasing battery life in remote control transmitters
US4628541A (en) * 1983-08-10 1986-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ra-red data communications system for coupling a battery powered data entry device to a microcomputer
KR100196665B1 (ko) * 1996-04-13 1999-06-15 이상영 무선 키 보드의 시스템 스캔 데이타 송신 방법
US6542149B1 (en) * 1999-09-22 2003-04-01 Sejin Electron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wireless data to a host system
US6664949B1 (en) * 1999-11-05 2003-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operable/heterogeneous environment keyboard
US6538595B1 (en) * 2000-01-26 2003-03-25 Scientific-Atlanta,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nfrared remote control packet delivery in a wireless keyboard having a pointing device
US6760773B1 (en) * 2000-07-31 2004-07-06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Infrared transmission codes for wireless keyboard and PC remote controller
KR20020030865A (ko) * 2000-10-18 2002-04-26 이상영 특수 기능키 상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477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키보드 데이타 송신 및 수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536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남명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폐스크랩과 폐섬유를 이용한 복합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7642A1 (en) 2006-12-28
KR20060134345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ommunication signal loss
US5881366A (en) Wireless peripheral interface
WO2002056154A3 (en) Usb securing device with keypad
MY105196A (en)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concurrently operating computer programs
WO1996034374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liable communication between a group of apparatuses
KR100459742B1 (ko) 키조작정보의송신방법과송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US83469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lector, remote operation system, scan code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therefor
US9626323B2 (en) Keyboard-video-mouse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01326B1 (ko) 무선입력장치의 스캔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ir프로토콜
US6760773B1 (en) Infrared transmission codes for wireless keyboard and PC remote controller
CN1115621C (zh) 带有轨迹球的无线键盘传输数据的方法
JP3808620B2 (ja) 情報識別システム、この情報識別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および応答装置
KR100397265B1 (ko) 멀티미디어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96779B1 (ko) 무선입력장치의 다차원 공간맵핑을 통한 스캔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입력장치
KR20070109829A (ko) Usb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JP3964108B2 (ja) ワイヤレス・キーボード及びpc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ための赤外線送信方法
CN107305442B (zh) 输入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4011389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wireless keyboard
US7696981B2 (en) Wireless human input device
WO2003003183B1 (en) Foot operated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ted data
KR100196665B1 (ko) 무선 키 보드의 시스템 스캔 데이타 송신 방법
JP3132203B2 (ja) ワイヤレス入力装置
KR100722020B1 (ko) 원격 제어 데이터 처리/송출 장치 및 방법
KR20100080953A (ko) 무선 키보드 데이터 송신 및 수신방법, 그리고 그 프로토콜
CN1291298C (zh) 计算机外围设备共享的无线接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