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59B1 -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 Google Patents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59B1
KR100701259B1 KR1020060017677A KR20060017677A KR100701259B1 KR 100701259 B1 KR100701259 B1 KR 100701259B1 KR 1020060017677 A KR1020060017677 A KR 1020060017677A KR 20060017677 A KR20060017677 A KR 20060017677A KR 100701259 B1 KR100701259 B1 KR 10070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pet
fluorine
antifouling
carp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원
김균호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6001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나일론, PP 및 PET 섬유의 카펫 층 및 방오성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는 균일하게 분포하는 굴곡을 가진 나일론6, 나일론 66, PP(Polypropylene) 또는 PET(Polyester) 섬유의 카펫 층; 및 불소 함유 수지를 가진 방오성 기능 층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오성, 불소 함유 수지, 실리콘 폴리머 코팅액, 건축용 소재, 카펫 층, 기능 층

Description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A Wallboard Material with Carpet Contamination-Resistance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펫 건축용 소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나일론, PP, PTT 또는 PET 섬유의 카펫 층 및 방오성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벽면, 천정 및 바닥 소재는 견고성 및 기능성을 필요로 한다. 견고성은 소재를 다른 소재와 함께 일정한 구조를 형성하면서 일정한 기간 동안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기능성은 소재가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 내부 환경을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위하여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견고성을 위한 소재는 제한이 되고 그리고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양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선택의 필요성이 높지 않다. 그러나 기능성을 위한 소재는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소재 변화가 가능하고 그리고 소재에 따른 효과의 차이로 인하여 높은 선택성을 필요로 한다.
벽면, 천정 및 바닥 소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은 흡음, 단열, 난연 또는 방염성이다. 그 외에도 사용공간의 용도에 따라 항균 또는 소취 및 장식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흡음이란 소재로 입사된 소리의 일부가 투과 또는 반사되지 아니하고 재료 내에 흡수되는 것을 말한다. 소재의 한쪽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 반사되지 않는 소리는 재료에 흡수되거나 또는 투과된 것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반사되지 아니한 소리는 모두 흡수된 것처럼 나타나므로 겉보기 흡수율이 되고 입사한 소리 에너지에 대한 겉보기에 흡수된 것으로 나타나는 소리 에너지의 비율을 흡음 비율이라 한다.
실내 건축용 소재는 흡음 및 진동 흡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 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요구되고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은 항균, 소취, 난연 및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유해 가스 발생 방지를 포함한다. 건축 소재에 추가되는 이와 같은 기능들은 새로운 건축 소재의 개발과 함께 필수적인 기능이 되어 가고 있다.
실내 건축용 소재에 기능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코팅제를 도포하여 하는 방법 및 소재에 필요한 기능을 가진 물질을 추가하여 조성물 형태로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대안으로 두 개의 방법을 혼용하여 접착제 또는 코팅제에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벽면 소재에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기능성을 가진 건축용 소재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 10-2002-0084252 "세라믹 복합체를 이용한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있다. 제안된 발명은 음이온 발생, 냉난방비 절감, 독성중화 및 항균, 방충 그리고 방음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제안된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재는 몸체 내에 미세 중공부를 형성한 실리카 비드; 상기 중공부 실리카 비드와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복합 세라믹을 포함한다.
기능성 건축용 소재에 관련된 다른 선행 기술로 WO2004/085151 "기능성 부재,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코팅액"이 있다. 제안된 발명은 습도 조절 기능, 독성 화학물질 및 불쾌한 생활 악취의 제거 기능, 오손 방지 특성, 오염 은닉성 및 가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제안된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재는 가연성 기재 상에 형성되고 무기 다공질체 및 유기 에멀젼을 포함하는 건조물을 포함하는 제1층; 및 유기 접착제에 의해 제1층의 거의 전체 표면에 걸쳐 고정되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제2층이 제공되고, 여기서 유기 에멀젼 중의 유리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5 ℃ 내지 -50 ℃이고; 제2층 중의 유기 접착제는 무기 충전제 100 부피부에 대하여 30 내지 300 부피부의 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시된 선행 발명 및 공지된 발명은 흡음 및 진동 흡수라는 기능과 분리하여 필요한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실내 건축용 소재는 흡음 및 진동 흡수라는 실내 건축용 소재가 가져야할 기본적인 기능과 결합되어 부가적인 기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형성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흡음 및 진동 흡수라는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부가적인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실내 건축용 소재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음 및 진동 흡수 소재로 카펫 층 및 발수 및 발유 성질로 인하여 방오성을 가진 방오성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소재는 균일하게 분포하는 굴곡을 가진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폴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의 카펫 층; 및 불소 함유 수지를 가진 방오성 기능 층; 및 카펫 층에 결합되는 흡수 층; 및 카펫 층과 흡수 층을 결합시키는 접착 층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1m2당 카펫층의 유효 표면적은 20~150m2 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건축용 소재.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오성 기능 층은 실리콘 폴리머 코팅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리콘 폴리머 코팅 액 : 불소 함유 수지의 중량비는 1: 0.2 내지 0.6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불소 함유 소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불소화비닐 및 테트라플루오르 알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플루오르올레핀 중합체, 비닐에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 비닐에스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오성 기능 층은 카펫 층에 딥핑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가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하는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건축용 기능성 소재(1)의 실시 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재(20)는 카펫 층(21), 방오성을 가진 기능 층(C); 합성수지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 층(22); 폼 형태의 흡음 층(23); 및 필요에 따라 고무 펠트와 같은 방진 소재로 이루어진 방진 층(24)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카펫 층(21)은 파일(211)과 기포지(2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펫 층(21) 내의 파일(211)은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PP),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 트(PET) 벌키 연속 필라멘트(BCF) 섬유가 될 수 있다. 나일론 BCF는 강도, 내마모성 및 탄성이 우수하고 그리고 내약품성,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및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다는 가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PP BCF 섬유는 다른 섬유와는 달리 수분율이 0이 되며 흡수율이 극히 낮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PP BCF 섬유는 낮은 흡수율로 인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내오염성 및 내항균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진다. PET BCF 섬유는 형태 안정성, 방염성이 양호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소재(20)의 카펫 층(21)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카펫으로 형성이 될 수 있지만 제시된 각각의 장점으로 인하여 나일론, PP, PTT 또는 PET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벌키 연속 필라멘트(BCF)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BCF 사를 함께 케이블 가연 및 열고정 시킨 다음, 이어서 1차 배면으로 직조한다. 이어서 라텍스 접착제 및 2차 배면을 도포한다. 대략 2 내지 20mm의 파일 높이를 갖는 컷 파일 스타일 카펫 또는 루프 파일 스타일의 카펫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카펫의 중량은 400 내지 4000g/m2이다.
본 발명의 카펫 난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프리코팅 또는 백킹공정에서 난연제를 첨가할 수 있다.
프리 코팅 공정에는 SBR 라텍스와 탄산칼슘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타일 카펫 제조시에는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나 SBS(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수지와 함께 탄산칼슘이 주로 백킹 보강재로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탄산칼슘 사용량의 일부를 무기계 난연제로 대체 투입해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펫 층의 파일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컷 파일, 루프 파일 등 어느 형태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카펫 층에 사용되는 카펫은 기포지 하면에 파일 빠짐 방지용 라텍스을 코팅한 상태로 사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백킹까지 완료된 형태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층(21)은 공지의 벽면 소재의 표면층에 비하여 유효 표면적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음의 흡수 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유효 표면적은 빛 또는 소리가 소재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 반사 또는 산란되지 않고 직접 도달하는 부분의 면적이 될 수 있다.
비표면적이 단위 무게에 대한 면적을 나타내지만 유효 표면적은 겉보기 표면적과 관련되며, 흡음 제품의 흡음성능은 비표면적 보다는 유효 표면적과의 상관성이 더 크다. 이와 같은 유효 표면적은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굴곡을 가진 경우 더 큰 값을 가질수 있다. 소재 표면이 거칠기를 가질 경우 실질적으로 유효 표면적을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유효 표면적은 소재의 단면적과 관련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 결정될 필요가 있다. 본 특허에서는 흡음층의 단위 면적 1m2 내에 존재하는 섬유의 표면적 값을 유효 표면적(m2)이라 정의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펫층 소재의 유효 표면적은 20~150m2인 것이 적합하였다. 유효 표면적 20m2 미만이면 흡음효과가 작아서 부적합하고 150m2를 초과하면 단위 면적당 지나치게 많은 섬유가 존재하거나 파일 길이를 길게 제직해야 하므로 소재의 중량이 커지고 경량성 확보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카펫 층을 가진 방음 소재가 벽이나 천정에 시공했을 때 공간 자치나 시공의 용이성과 관계된 제품의 중량과 흡음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카펫 층(21)의 두께가 제한되거나 또는 밀도가 제한될 필요가 있다. 카펫층의 두께는 2~20 mm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10mm가 적합하며 카펫층 소재의 밀도는 50~300 kg/m3가 적합하다. 카펫의 두께나 밀도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흡음 기능이 충분치 않고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경량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시공이 난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소재(20)는 항균, 소취 또는 유해 물질 제거를 위한 다양한 기능 층(C)이 카펫 층(21)의 파일(211) 표면에 형성되거나, 기포지(212)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층(C)들은 카펫 층에 코팅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해당 기능을 가진 물질을 카펫 층(21)을 위한 카펫에 제조 공정에서 기포지 하면에 파일 빠짐 방지용 라텍스에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첨가시키거나 또는 접착 층(22)의 형성 소재에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접착 층(22)과 기능성 층이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발수, 유해 성분 제거, 난연, 색조 형성, 항균, 전자파 차단 및 음이온 또는 자외선 방출 기능을 가진 물질이 접착제에 적당한 비율로 첨가가 되어 혼합이 된다. 필요에 따라 혼합물에는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접착제는 카펫 층 기포지(212)의 뒷면에 도포가 되어 점착 코팅 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 도1에 따른 방음 소재(20)는 항균, 소취 또는 유해 물질 제거를 위한 다양한 기능 층(C)이 카펫 층(21)의 파일(211) 표면에 형성되거나, 기포지(212)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층(C)은 불소 함유 수지를 포함한다. 불소 함유 수지는 발수 및 발유 성질을 가짐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층(C)이 방오성을 가지도록 한다. 발수 및 발유 성질을 가진 모든 화합물 중 불소 함유 수지가 가장 분자 사이의 인력이 작고 그리고 표면 에너지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불소 함유 수지는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불소 함유 방오성 기능 층(C)은 불소 함유 수지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실리콘 폴리머 코팅 액에 불소 수지 함유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폴리머 코팅 액에 대한 불소 함유 수지의 중량 비율은 1 : 0.2 내지 0.6이 될 수 있다. 불소 함유 수지의 중량 비율이 0.2가 되지 못하면 실질적으로 방오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반면에 0.6을 넘게 되면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층(C)을 위한 불소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불소화비닐 및 테트라플루오르 알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플루오르올레핀 중합체, 비닐에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 비닐에스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성 기능 층(13)은 카펫 층(11)에 직접 코팅 방식으로 형성이 되거나 또는 코팅 층(12)에 추가적으로 코팅이 되는 방법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층(22)은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저융점 PET 수지 중에서 선택되어진 것을 파우더, 펠렛 또는 핫멜트 필름 형태로 적용시킬 수 있다. 카펫층과 흡음층이 부착하게 되는 어느 한면에 열가소성 수지 파우더를 살포하거나 펠렛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거나 핫멜트 필름 형태로 배치시키고 가열 용융하여 카펫층과 흡음측을 밀착시켜 가압, 부착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수지(EVA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핫멜트 필름은 최종 제품의 원활한 흡음 성능을 위하여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뚫린 핫멜트 필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접착 층(22)은 카펫 층(21) 및 흡음 층(23)의 결합을 위한 것이므로 특별히 형태 및 소재의 제한이 없다. 다만 두께가 얇을수록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카펫 층(21)과 흡음 층(23)이 직접 접촉하는 것이 소리 및 진동 또는 충격의 흡수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흡음 층(23)은 공지된 임의의 흡음 및 충격 흡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암면(mineral wool), 우레탄 폼(Urethane Foam), 멜라민 폼 또는 펠트,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 층(23)은 소리의 흡수 또는 충격 및 진동 흡수 기능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소리는 카펫 층(21)에 의하여 일부 흡수 되고 그리고 나머지는 흡음 층(23)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충격 및 진동 흡수도 동일하게 일부는 카펫 층(21)에 의하여 나머지 부분은 흡음 층(23)에 의하여 소진이 된다. 흡음 층(23)은 방음 소재(20)의 내부 층을 형성하므로 외관 또는 미세한 물질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없다. 그러나 소리 및 충격의 완전한 흡수 또는 외부로의 전달의 완전히 차단을 고려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흡음 층(23)은 적합한 두께 및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흡음 층(23)은 카펫 층(21)에 비하여 충분히 두꺼워질 수 있고 그리고 강도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소리 또는 충격 및 진동의 충분한 흡수를 위한 두께는 10 내지 50mm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mm이며 흡수층의 밀도는 50~300 kg/m3 가 적합하다. 흡수층의 두께나 밀도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흡음 기능이 충분치 않고 설정범위를 초과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경량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시공이 난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고무 펠트와 같은 방진 소재로 이루어진 방진 층(24)을 포함한다.
<물성 평가방법>
1) 유효 표면적 평가
카펫층의 유효표면적은 카펫층을 가로, 세로 각각 10cm 크기인 0.01m2 면적으로 자른 후 기포지 상단에 존재하는 섬유를 최대한 기포지에 가깝게 깎아내어 무게(g)를 측정한다.
깎아낸 섬유의 일부를 취하여 BET(Brunauer-Emmett-Teller) 방법을 기초로 한 표준 ASTM D3663-92에 따른 질소 흡착법으로 비표면적(m2/g) 측정하고 이 값에 0.01m2에서 깎아낸 섬유 무게(g)와 100을 곱하여 1m2 내에 존재하는 섬유의 표면적 값인 유효 표면적(m2)을 구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펠트의 유효표면적은 표면이 굴곡이 없는 2차원 평면이므로 1 m2당 1의 값을 갖는다.
2) 흡음률의 평가
흡음재료의 표면에 입사하는 음의 에너지를 Ei, 그 표면에서 반사하는 음의 에너지를 Er 이라 할때 흡음률(α)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α= 1- (Er/Ei)
흡음률의 측정은 KS F 2805 규격에 따라서 랜덤입사에 가까운 조건이 실현되는 잔향실에서 측정한 잔향실법 흡음률로 평가하였고 흡음률의 값은 중심 주파수 250, 500, 1000, 2000Hz에서의 흡음률 값의 산술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3)방오성의 평가
방오성 시험은 광유를 떨어뜨리고 세탁후 잔존 오염을 판정하는 방식의 KS-K 0610 규격에 의거한 기름 오염 제거법으로 측정하였고 방오성 결과는 1등급에서 5 등급 까지 0.5급 간격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5등급이 방오성이 가장 뛰어남을 의미한다.
<실시예1>
1100den/68fila 나일론 BCF로 cut pile 형태로 직조한 카펫을 실리콘 폴리머 코팅액 : 불소계 고분자 성분의 약제(KF GUARG 910J, 니카코리아)의 중량비가 1: 0.2로 조절한 조성물을 스프레이 패딩 방식으로 처리하고 140℃ 5분 큐어링하여 기능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라텍스로 백코팅후 PVC수지를 사용하여 PP소재 2차 기포지에 접착하여 백킹한 것을 카펫층으로 사용하였다. 백킹 완료된 카펫층의 두께는 7mm, 밀도는 140kg/㎥이다.
흡수층은 두께 25mm, 밀도 12kg/m3인 멜라민 폼을 사용하였다.
카펫층과 흡수층의 접착은 카펫층의 뒷면에 폴리에틸렌 파우더를 400g/m2로 산포하고 150℃열풍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흡수층 소재를 포개면서 냉각 가압롤을 통과시켜 부착하였다.
<비교예1>
카펫층 대신 두께 10mm, 밀도 190kg/㎥인 PET 압축펠트를 사용한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방오기능이 있는 불소계 고분자 성분 약제(KF GUARG 910J, 니카코리아)를 적용한 기능층 부여방법 역시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제조한다.
표 1
유효 표면적 (㎡) 방오성 흡음률(α)
실시예1 73 4급 0.82
비교예1 1 3.5급 0.74
표 1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 1에서 흡음률이 뛰어나고 방오성이 있는 카펫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흡음 소재가 얻어진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은 카펫층 대신 PET 압축 펠트를 표면에 사용한 경우인데, 흡음 성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유효 표면적이 넓은 카펫층 흡음 소재에 비하여 방오성 가공 효과도 낮게 발현되며 카펫층이 표면에 형성될 때의 색상이나 패턴효과를 부여할 수 없어서 벽체나 천정용 인테리어 소재로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소재는 카펫 층으로 인하여 흡음성을 가지면서 동시 에 방오성을 가진 기능층을 포함하여 시공 후 건축 소재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5)

  1. 실내 건축용 소재에 있어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벌키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파일 형태의 카페 층;
    불소 함유 수지를 가진 방오성 기능층;
    카펫 층에 결합되는 흡수 층; 및
    카펫 층과 흡수 층을 결합시키는 접착 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카펫 층의 유효 표면적은 흡음 층 1 ㎡에 대하여 20 내지 150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건축용 소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오성 기능 층은 불소 함유 수지 이외에 실리콘 폴리머 코팅액이 추가로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실리콘 폴리머 코팅 액 : 불소 함유 수지의 중량비는 1: 0.2 내지 0.6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소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불소화비닐 및 테트라플루오르 알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플루오르올레핀 중합체, 비닐에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 비닐에스테르 및 플루오르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오성 기능 층은 카펫 층에 딥핑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KR1020060017677A 2006-02-23 2006-02-23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KR10070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677A KR100701259B1 (ko) 2006-02-23 2006-02-23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677A KR100701259B1 (ko) 2006-02-23 2006-02-23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259B1 true KR100701259B1 (ko) 2007-03-29

Family

ID=4156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677A KR100701259B1 (ko) 2006-02-23 2006-02-23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4635A1 (en) * 2007-05-18 2008-11-27 Invista S.Ar.I.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fibrous substrates
KR100947216B1 (ko) 2009-01-23 2010-03-11 (주)엘지하우시스 단순 구조의 카펫 타일
CN109803821A (zh) * 2016-10-07 2019-05-2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污垢消失性层叠物、使用该污垢消失性层叠物的图像显示装置和汽车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974A (ko) * 2003-08-28 2005-03-09 김동수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05063392A1 (ja) * 2003-12-25 2005-07-14 Taiyo Kogyo Corporation 光触媒シートおよびその接合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974A (ko) * 2003-08-28 2005-03-09 김동수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05063392A1 (ja) * 2003-12-25 2005-07-14 Taiyo Kogyo Corporation 光触媒シートおよびその接合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4635A1 (en) * 2007-05-18 2008-11-27 Invista S.Ar.I.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fibrous substrates
KR100947216B1 (ko) 2009-01-23 2010-03-11 (주)엘지하우시스 단순 구조의 카펫 타일
CN109803821A (zh) * 2016-10-07 2019-05-2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污垢消失性层叠物、使用该污垢消失性层叠物的图像显示装置和汽车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282B1 (ko) 카펫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100701279B1 (ko)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CA2829475C (en) Sound control mat
WO2003057465A1 (en) Sound absorbing article
RU2604608C2 (ru) Настенное покрытие для создания тепловых и акустических комфортных условий
KR100773156B1 (ko) 건축용 차음재
CA3106654C (en) Acoustic panel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m
KR100701259B1 (ko) 방오성 기능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US20180151167A1 (en) Nonwoven composite
KR100908972B1 (ko) 건축용 단열 내장재
US10792870B2 (en) Process for forming a nonwoven composite
US20050079314A1 (en) Moisture barrier and energy absorbing cushion
KR10252887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140004762U (ko) 적층 부재
KR100701277B1 (ko) 카펫 층 및 난연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100751887B1 (ko) 은나노 입자의 기능 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KR100731992B1 (ko) 항진드기성의 기능 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KR100701275B1 (ko) 광촉매의 기능 층을 가진 카펫 건축용 소재
GB2478962A (en) Reflective thermal and acoustic sheet insulating barrier material, for underlay, floor coverings, walls and loft insulation
KR100701274B1 (ko) 카펫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US20060014455A1 (en) Sound absorbing article
KR100701266B1 (ko)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20130003811A (ko) 소음 완화 기능을 가지는 발포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