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78B1 -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878B1
KR102528878B1 KR1020220142154A KR20220142154A KR102528878B1 KR 102528878 B1 KR102528878 B1 KR 102528878B1 KR 1020220142154 A KR1020220142154 A KR 1020220142154A KR 20220142154 A KR20220142154 A KR 20220142154A KR 102528878 B1 KR102528878 B1 KR 10252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panel
frame
absorb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환
Original Assignee
(주)동아건설
유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건설, 유대환 filed Critical (주)동아건설
Priority to KR102022014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7/00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층간 소음과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개시한다.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단열플레이트유닛,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흡음부, 제2 흡음부 및 제3 흡음부를 포함하는 흡음플레이트유닛, 흡음플레이트유닛을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흡음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한다. 제1 흡음부는 그 외부에서 유입된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하도록 그 측방으로 관통된 개구를 갖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Flooring for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나무를 소재로 한 판재가 많이 활용되었으며, 주택, 특히 아파트 문화의 발달과 함께 콘크리트바닥에 대한 습기차단, 유해물질 차단 등을 목적으로 친환경 바닥재들이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바닥재에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흠음재가 추가되고 있다.
흡음재는 소음 및 진동 저감을 목적으로 하며, 공기와 고체의 두 상(two phases)을 가진 다공성 물질(porous material)로 구성된다.
흡음재로 사용되는 다공성 물질은, 물리적으로 공기와 기체의 두 상 사이에서 서로간의 역학적 영향을 끼치는 연성작용(coupling)이 일어나는 물질 자체의 고유한 특성과, 미소구조 형상에 의하여 입사하는 음파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데 이용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하지만, 종래의 흡음재는 다공성 물질을 통해 소리를 흡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 에너지를 용이하게 소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아래층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데시벨의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바닥재는 접착제 등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면에 시공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바닥재는 접착제가 유해성 물질을 발산하므로, 거주자의 생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KR 10-0419673 B1
본 발명은 층간 소음과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한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단열플레이트유닛; 상기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흡음부, 제2 흡음부 및 제3 흡음부를 포함하는 흡음플레이트유닛;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을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부는, 그 외부에서 유입된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상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하도록, 그 측방으로 관통된 개구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제1 흡음부와 상기 제2 흡음부와 상기 제3 흡음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를 연결해주도록,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복수의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음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상기 제1 흡음부에 연결되고, 그 타면이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의 외측을 향하는 방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음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제1 관통구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1 셀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흡음패널; 상기 제1 흡음패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관통구를 구획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2 셀이 일렬로 배열되는 제2 흡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음패널은,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흡음패널과 접하는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음패널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 단부에 상기 방열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음패널과 상기 제2 흡음패널은, 상기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상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상기 제1 관통구과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제2 관통구을 통해 상기 방열패널로 전달하여 상기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2 흡음부는, 1100 Hz부터 11000 Hz까지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3dB 이상이 되도록, 부직포와 발포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흡음층; 섬유층 또는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지며, 그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0.2 ∼ 35 μm이고, 목부가 0.5 ∼ 250g/m2이고,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스타이렌, 폴리유레테인, 폴리설폰 및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흡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층과 상기 제2 흡음층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항하여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흡음부는, 상기 제2 흡음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제1 흡음판넬; 상기 제1 흡음판넬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입사되는 음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제2 흡음판넬; 상기 제1 흡음판넬과 상기 제2 흡음판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흡음판넬과 상기 제2 흡음판넬을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판넬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에서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판넬은, 그 적어도 일부가 강철판으로 제조되고, 상기 강철판은, 알카리 용액을 이용한 전처리(pre-processing), 열처리, 도금, 조질압연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60 내지 70도(섭씨)로 예열되어 그 적어도 일부에 일부에 크롬(chrome)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도장층이 코팅되고, 상기 제2 흡음판넬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0.3 내지 1.2 미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평판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평판에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면적의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 내지 35 퍼센트(%) 이하이다.
상기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은, SPC(Stone Plastic combination)로 이루어진 코어인 제1 바닥플레이트;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 위에 형성되어 색상과 무늬를 제공하는 제2 바닥플레이트; 상기 제2 바닥플레이트 위에 형성되어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제3 바닥플레이트; 상기 제3 바닥플레이트 위에 형성되어 표면을 보호하는 제4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 하부에 부착되어 완충성 및 흡음성을 제공하는 제5 바닥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는, PVC 분말 15 ~ 23중량%, 포졸란 분말 9 ~ 11중량%,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1.8 ~ 2.3중량%, 에틸렌수지 1.7 ~ 2.3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7 ~ 1.3중량%, PVC 루브리칸트(Lubricant PVC) 0.45 ~ 0.55 중량%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그 일측면에 외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 내측으로 상기 곡률을 갖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와 제2 바닥플레이트와 제3 바닥플레이트와 제4 바닥플레이트는, 고압 프레스 후 핫프레스 방식으로 합지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5 바닥플레이트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 10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카본블랙 10중량부를 혼합한 비율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곡률(K)을 가지고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상의 곡률원(C)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a)가 10°초과 내지 20°미만이고,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곡률(K)이 연산되고, 상기 제1 바닥플레이트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원뿔대 형상을 갖는 제1 섹션과, 상기 제1 섹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원뿔대 형상을 갖는 제2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원뿔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에 뭉툭한 무딘 팁(dull tip)을 구비하는 제3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학식]
Figure 112022114936710-pat00001
(여기서, K는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0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건축물의 바닥재로 적용되어 층간 소음과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와 함몰부를 통해 시공이 용이하고 유해물질이 생기지 않고 수축과 팽창이 거의 없어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건축물의 바닥재로 적용되어 파트 거실, 기타 친환경 시공이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어 내충격성, 방염성, 방수성 및 흡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3 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돌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3 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돌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100)(이하, 바닥재(100)라 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00)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단열플레이트유닛(110) 단열플레이트유닛(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흡음부(125), 제2 흡음부(126) 및 제3 흡음부(127)를 포함하는 흡음플레이트유닛(120) 및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을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플레이트유닛(110)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축물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건축물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한다. 단열플레이트유닛(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E 또는 PP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가 혼합되어 내열성과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단열플레이트유닛(110)은 폴리우레탄 폼(미도시)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폼은 0.1~0.5wt%의 환원그래핀 산화물(rGO) 및 섬유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원그래핀 산화물(rGO)의 잔류 산소함량은 2~7wt%일 수 있다. 또한, 환원그래핀 산화물(rGO)의 비중은 350~450g/cm3이고, 표면적은 2500~3000m2/g일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폼은 유리섬유이고 3.5~12.5wt%의 섬유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은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외부에서 발생된 음파에너지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열에너지를 다시 그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은 제1 프레임(121), 제2 프레임(122), 제3 프레임(123), 방열패널(124), 제1 흡음부(125), 제2 흡음부(126) 및 제3 흡음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21)은 단열플레이트유닛(110) 상부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2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프레임(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제1 프레임(121)의 상측에 이격되어 제1 프레임(121)과의 사이에 제1 흡음부(125)와 제2 흡음부(126)와 제3 흡음부(127)가 수납되는 수납공간(S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바닥면플레이트유닛(1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2)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프레임(1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은 허니컴 구조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으로 벌집 구조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은 가볍지만 강도가 우수해질 수 있다.
제3 프레임(123)은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을 연결해줄 수 있다. 제3 프레임(12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23)의 상단은 제1 프레임(121)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제2 프레임(122)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이 제3 프레임(123)에 의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2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제3 프레임(123)이 구비되어,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4개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모서리 부분들에 제3 프레임(123)들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21), 제2 프레임(122), 및 제3 프레임(123)이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방열패널(124)은 복수의 제3 프레임(123) 사이에 배치되고, 그 하부가 제1 프레임(121)에 결합되며, 제1 흡음부(125)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제1 흡음부(125)에 연결되고, 그 타면이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의 외측을 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패널(124)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패널(124)들이 제1 흡음부(125)에서 발생된 열에너지(즉, 음파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열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제1 흡음부(125)로 유입된 음파에너지가 소실될 수 있다.
방열패널(124)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방열패널(124)은 제1 흡음부(125)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패널(124)의 면적은, 제1 흡음부(125)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패널(124)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방열패널(124)의 타면이 외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패널(124)이 외부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흡음부(125)의 단부는 방열패널(124)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흡음부(125)이 전달하는 열이 방열패널(124)의 전체로 균일하게 전달되어, 방열패널(124)이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흡음부(125)는 제1 프레임(1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제1 관통구(125aa)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1 셀(125ab)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흡음패널(125a)과, 제1 흡음패널(125a)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1 관통구(125aa)와 연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관통구를 구획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2 셀(125bb)이 일렬로 배열되는 제2 흡음패널(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흡음패널(125b)은 제1 관통구(125aa)와 제2 관통구(125ba)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1 흡음패널(125a)과 접하는 일면(즉, 도면상 하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홀(125bc)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음패널(125b)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 단부에 방열패널(124)들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흡음패널(125a)과 제2 흡음패널(125b) 내부의 공기는 외부의 음파에너지에 의해 진동되며,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음파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될 수 잇다. 따라서, 제1 흡음패널(125a)과 제2 흡음패널(125b)은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제1 관통구(125aa)과 연통홀(125bc)과 제2 관통구(125ba)을 통해 방열패널(124)로 전달하여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소리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가는 성향이 있다. 이에, 제2 흡음부(126)는 제1 흡음부(125)의 상측에서 제1 흡음부(125)에서 소실시지 못한 소음을 소실시킬 수 있다.
제2 흡음부(126)는 1100 Hz부터 11000 Hz까지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3dB 이상이 되도록 부직포와 발포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흡음층(126a)과, 섬유층 또는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지며 그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0.2 ∼ 35 μm이고, 목부가 0.5 ∼ 250g/m2이고,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스타이렌, 폴리유레테인, 폴리설폰 및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흡음층(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음층(126a)과 제2 흡음층(126b)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항하여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흡음부(126)에 포함되는 제1 흡음층(126a)은, 섬유층 또는 미다공막(微多孔膜)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0.1∼30 μm이고, 0.2∼20 μ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유량 세공(流量細孔) 지름이 0.2 μm 이상이면, 소리의 반사에 의한 흡음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20 μm 이하이면 흐름 저항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음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흡음층(126a)은, 목부가 0.1∼200 g/m2로 할 수 있다. 목부가 0.1 g/m2 이상이면, 흐름 저항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음률을 상승시킬 수 있고, 200 g/m2 이하이면, 흡음재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평균 유량 세공 지름과 목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구체적인 제1 흡음층(126a)으로는 섬유층 혹은 미다공막을 전형적으로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섬유층으로는, 대략 평균 섬유 지름이 500 nm 미만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이다. 평균 섬유 지름이 500 nm 미만이면, 높은 흡음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450 nm 미만이면, 보다 높은 흡음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지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평균 섬유 지름이 10 nm 이상이면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용하기 쉽다. 평균 섬유 지름의 측정은 공지의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며, 상기한 범위의 섬유 지름 및 목부를 가지고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멜트 블로운 부직포, 전계 방사법에 의해 형성되는 극세 섬유의 부직포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계 방사법에 따르면, 극세 섬유를 제2 흡음층(126b) 위에 섬유 집합체로서 효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섬유층이 멜트 블로운 부직포인 경우,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소재가 되는 수지로는,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유레테인, 폴리락트산(乳酸),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류,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나일론(아마이드 수지)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스타이렌, 폴리설폰, 액정 폴리머류, 폴리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불화 바이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형(直鎖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나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單量體), 에틸렌이나 뷰텐 등이 중합된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섬유 집합체는 상기한 수지 중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종류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섬유층이 상기한 멜트 블로운 부직포인 경우, 그 목부는 특히 50∼200 g/m2로 할 수 있고, 60∼150 g/m2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하면,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작고, 또한 나노섬유와 비교하여 종래 설비에 의해 생산할 수 있는 점에서 비교적 저렴한 제2 흡음부(126)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섬유층이 전계 방사법에 의한 부직포인 경우,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소재가 되는 수지로는,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유레테인, 폴리락트산,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류,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나일론(아마이드(아미드) 수지)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스타이렌, 폴리설폰, 액정 폴리머류, 폴리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불화 바이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의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섬유층이 부직포인 경우, 그 목부는 특히 0.1∼10 g/m2로 할 수 있고, 0.1∼5.0 g/m2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전계 방사법에 의한 부직포를 사용하면,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작고, 또한 목부가 작은 부직포층으로 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제2 흡음부(126)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미다공막으로는, 특별히 미다공막의 원료에 한정은 없으나,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단체(單體)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되는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라고 약기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PTFE로 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PTFE 미다공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치수 변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연신(延伸) PTFE 미다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다공막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시판품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포어플론(poreflon)(스미토모 전공사(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제조), 멤브레인 필터(어드반테크사(Advantech Co., Ltd.)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다공막에는, 필요에 따라 비섬유화물(예를 들면 저분자량 PTFE),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김서림 방지제(防曇劑), 착색 안료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과제 달성 및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미다공막은 1층일 수도, 필요에 따라 2층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만일 보이드나 핀홀 등의 결합이 발생한 경우에도 결함이 전파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는 2층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음층(126b)은, 흡음성을 가짐과 아울러 제1 흡음층(126a)을 지지하여 흡음재 전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흡음부(126)에 있어서, 제1 흡음층(126a)은 매우 가는 섬유 지름의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 집합체인 섬유층이거나 미다공막이기 때문에, 강도(강성(剛性))가 낮다. 그 때문에, 제2 흡음층(126b)이 실질적으로 제2 흡음부(126)의 강도를 담당하게 된다.
제2 흡음층(126b)은, 1000 Hz부터 12500 Hz까지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2 dB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2 dB 이상인 제2 흡음층(126b)을 사용함으로써 제1 흡음층(126a)과 조합하였을 때 예상 외로 폭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흡음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제2 흡음층(126b)으로서 전형적으로는, 부직포, 직물, 발포 폼, 하니컴 코어 등의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적어도 일측의 표면 위에 제1 흡음층(126a)을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부직포, 발포 폼의 어느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흡음부(126)에 포함되는 제2 흡음층(126b)은 1종류일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의 제2 흡음층(126b)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 흡음층(126b)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은 차음 성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2 흡음층(126b)은 일정 이상의 차음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제2 흡음층(126b)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2 dB를 초과하는 것이라도, 제2 흡음층(126b) 단체에서는 반드시 폭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충분한 흡음성을 나타낼 수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2 흡음층(126b)과 치밀한 제1 흡음층(126a) 간의 조합에 의해 예상 외의 폭넓은 흡음성을 구현하고 있다.
제2 흡음층(126b)이 부직포인 경우, 멜트 블로운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쓰루 에어 부직포, 써멀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칭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원하는 물성이나 기능에 의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의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열 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마이드(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혹은 4-메틸펜텐-1 등의 단독 중합체 및 이들과 다른 α-올레핀, 즉,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펜텐-1, 헥센-1 혹은 4-메틸펜텐-1 등 중 1종 이상과의 랜덤 혹은 블록 공중합체 혹은 이들을 조합한 공중합체이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4, 나일론 6, 나일론 7,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6, 나일론 6,10,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파마이드(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 폴리파라자일릴렌데케인아마이드(폴리파라크실릴렌데칸아미드), 폴리비스사이클로헥실메테인데케인아마이드(폴리비스시클로헥실메탄데칸아미드) 혹은 이들의 코폴리아마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외에,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옥시벤조에이트, 폴리(1,4-다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테레프탈레이트) 혹은 이들의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한 성분만을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섬유끼리의 교점의 융착의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저융점 수지와 고융점 수지의 복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즉, 융점이 서로 다른 2성분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복합 형태는 예를 들면 초심(Sheath-Core)형, 편심 초심형, 병렬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융점이 서로 다른 2성분 이상의 혼섬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혼섬 섬유란, 고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와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섬유를 의미하고 있다. 기재가 직포인 경우에도 동일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지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섬유 지름이 500 nm∼1 mm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지름이 500 nm∼1 mm인이란, 평균 섬유 지름이 이 수치 범위 내인 것을 의미한다. 섬유 지름이 500 nm 이상이면, 제1 흡음층(126a)과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간의 밀도차에 의한 흐름 저항을 제어할 수 있고, 1 mm 미만이면, 범용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없고, 또한 입수도 용이해진다. 섬유 지름은, 1.0∼100 μm이면, 제1 흡음층(126a)과 제2 흡음층(126b)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차에 의한 흐름 저항을 제어할 수 있고 입수도 용이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 지름의 측정은, 제1 흡음층(126a)의 섬유 지름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기재가 직포인 경우에도 동일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흡음층(126b)이 직물인 경우, 평직, 목발 평직(目拔 平織, basket plain weave), 능직(綾織), 주자직(朱子織), 모사직(模紗織) 등의 편직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직물을 사용할 수 있고, 원하는 물성이나 기능에 의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직물로는, 예를 들면, 유리실(glass yarn)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리 섬유 직물(glass cloth)이나 금속선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평직이나 능직한 메시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흡음층(126b)이 발포 폼인 경우, 수지 중에 가스를 촘촘하게 분산시키고, 발포 형상 또는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시킨 수지 발포체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지 발포체로는, 예를 들면, 연질 폴리유레테인 폼, 경질 폴리유레테인 폼, 멜라민 폼, 폴리스타이렌 폼, 실리콘 폼, 폴리염화 바이닐 폼, 아크릴 폼, 유레아(urea) 폼을 이용할 수 있다. 발포 폼은 연속 기포(연통홀)를 갖는 발포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포 폼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혹은 4-메틸펜텐-1 등의 단독 중합체 및 이들과 다른 α-올레핀, 즉,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펜텐-1, 헥센-1 혹은 4-메틸펜텐-1 등 중의 1종 이상 간의 랜덤 혹은 블록 공중합체 혹은 이들을 조합한 공중합체이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2 흡음층(126b)의 목부는, 1 g/m2 이상이면 좋으며, 1∼300 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300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흡음층(126b)의 목부가 1 g/m2 미만이면, 흡음재로서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흡음층(126b)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흡음층(126b)의 두께가 제2 흡음부(126)의 두께의 대부분이 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성의 관점에서는 3∼3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2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흡음층(126b)이 둘 이상의 구조체로 구성되는 경우, 한 장 당 두께는, 예를 들면, 20 μm∼20 mm로 할 수 있고, 30 μm∼10 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 장 당 두께가 20 μm 이상이면, 주름의 발생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양호하며, 한 장 당 두께가 20 mm 이하이면, 공간 절약성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제2 흡음층(126b)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착색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화제, 조핵제(造核劑), 활제(滑劑), 항균제, 난연제, 가소제 및 다른 열가소성 수지 등이 첨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표면이 각종 마감제로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발수성(潑水性), 제전성(制電性), 표면 평활성, 내마모성 등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3 흡음부(127)는 제2 흡음부(126)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127aa)이 구비된 제1 흡음판넬(127a)과, 제1 흡음판넬(127a)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입사되는 음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제2 흡음판넬(127b)과, 제1 흡음판넬(127a)과 제2 흡음판넬(127b)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흡음판넬(127a)과 제2 흡음판넬(127b)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층(127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음판넬(127a)은 복수의 관통홀(127aa)이 형성되는 평판(127ab)과, 평판(127ab)에서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절곡판(127ac)을 포함하고, 그 적어도 일부가 강철판(미도시)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강철판은, 알카리 용액을 이용한 전처리(pre-processing), 열처리, 도금, 조질압연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60 내지 70도(섭씨)로 예열되어 그 적어도 일부에 일부에 크롬(chrome)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도장층이 코팅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0.3 내지 1.2 미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평판(127ab)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평판(127ab)에서 관통홀(127aa)이 형성되는 면적의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 내지 35 퍼센트(%)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흡음판넬(127a)은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판넬(127a)의 적어도 일부는, 냉연도금강철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강철판은, 제1 흡음판넬(127a)의 강철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은, 전처리(pre-processing), 소둔(열처리), 도금, 합금, 조질압연, 그리고 화학처리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전처리는, 알카리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도금은, 강철판에 알루미늄을 도금하거나 알루미늄과 인산아연을 혼합하여 도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도금은, 알루미늄(Al)과 아연(Zn) 중 적어도 하나로 도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도금에 있어서, 알루미늄(Al)의 중량비는 55%이고 아연(Zn)의 중량비는 45% 이하일 수 있다.
강철판의 도금은 특정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도금 시간은, 3분 내지 15분일 수 있다. 도금 시간이 3분 미만인 경우, 도금층(plating layer)의 두께가 너무 얇을 수 있다. 도금 시간이 15분 초과인 경우, 도금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수 있다. 도금된 강철판은, 화재시 유독가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시킬 수 있다.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후처리로서 크롬(chrome)이 코팅될 수 있다. 크롬이 코팅되는 경우, 제1 흡음판넬(127a)의 내부식성 향상 및 심미적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에 도장층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60 내지 70도(섭씨)로 예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크롬(chrome)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되는 폴리에스터의 두께는 3 내지 5 마이크로미터(μ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판넬(127a)의 적어도 일부는, 세라믹으로 코팅될 수 있다. 세라믹이 코팅되는 경우, 제1 흡음판넬(127a)의 내부식성 향상 및 심미적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강철판은, 0.2 내지 0.8 미리미터(mm)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강철판이 0.2 미리미터(mm) 보다 작은 두께의 경우, 제1 흡음판넬(127a)의 강성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강철판이 0.8 미리미터(mm) 보다 큰 두께의 경우, 제1 흡음판넬(127a)의 무게가 너무 무거울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강철판의 도금층은, 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μm)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은, 평판(127ab)을 포함할 수 있다. 평판(127ab)은, 제1 흡음판넬(127a)의 전체적인 형상 또는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평판(127ab)은, 판(板)의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흡음판넬(127a)은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평판(127ab)에 부착될 수 있다. 평판(127ab)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은, 약 40 마이크로미터(μm)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에는 복수의 관통홀(127a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7aa)은 평판(127ab)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7aa)은 평판(127ab)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관통홀(127a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27aa)은, 특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27aa)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평판(127ab)에서 관통홀(127a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음파가 반사되는 영역 또는 화재시 열을 반사하는 영역일 수 있다.
관통홀(127aa)은,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127aa)은, 원(circl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7aa)의 직경은, 예를 들어, 1.8 미리미터(mm)일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은, 평판(127ab)의 전체 면적 대비 관통홀(127aa)이 형성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은, 15 내지 35 퍼센트(%)일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이 15 퍼센트(%) 보다 작으면, 제1 흡음판넬(127a)을 통과하는 음파의 비율이 너무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 흡음부(127)의 흡음 기능이 너무 작을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이 35 퍼센트(%) 보다 크면, 제1 흡음판넬(127a)의 강성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개구율이 35 퍼센트(%) 보다 크면, 제1 흡음판넬(127a)의 열반사(heat reflection) 기능이 너무 작을 수 있다.
제3 흡음부(127)는 제2 흡음판넬(12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흡수층" 또는/및 "흡수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제2 흡음판넬(127b)에 입사되는 음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내열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두께는 0.3 내지 1.2 미리미터(mm)일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두께가 1.2 보다 크면, 제3 흡음부(127)의 전체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므로, 천장재의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두께가 0.3 보다 작으면, 제2 흡음판넬(127b)의 음파 흡수율이 너무 작을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음파 흡수율은, 제2 흡음판넬(127b)에 입사되는 음파의 세기 대비 흡수되는 음파의 세기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판넬(127b)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약 79.9% 중량비일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판넬(127b)에 포함된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는 약 20% 중량비일 수 있다.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의 영문 이름은, "Polyester (ethylene glycol:isophthalic acid:terephthalic acid)"일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에 포함된 카본블랙은, 약 0.1% 중량비일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불연성일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은, 화재시 유독가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배출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평판(127ab)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제2 흡음부(126)는 제2 흡음판넬(127b)의 일면(一面)은, 접착제층(127c)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판넬(127b)의 일면은, 접착제층(127c)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흡음판넬(127b)의 타면(他面)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흡음부(127)는, 접착제층(127c)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접착제층(127c)이 "접착층" 또는/및 "접착 패널"이라 칭해질 수 있다. 접착제층(127c)은, 핫멜트(hot-melt)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127c)은, 제2 흡음판넬(127b)의 일면에 부착되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흡음판넬(127a)과 제2 흡음판넬(127b)이 마주할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의 타면(他面)은, 제2 흡음판넬(127b)의 일면(一面)을 마주할 수 있다. 접착제층(127c)은, 제1 흡음판넬(127a)과 제2 흡음판넬(127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제층(127c)은, 제1 흡음판넬(127a)과 제2 흡음판넬(127b)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흡음판넬(127a)은 절곡판(127ac)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판(127ac)은, 평판(127ab)에서 굽어져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판(127ac)은 평판(127a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판(127ac)은, 예를 들어, 평판(127ab)과 일체로 형성되되 평판(127ab)에 대하여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절곡판(127ac)은 천장에 연결되거나 체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절곡판(127ac)은, 평판(127ab)의 외주(perimeter)에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평판(127ab)의 일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평판(127ab)의 타면은, 접착제층(127c)에 접할 수 있다. 평판(127ab)에 관통홀(127aa)이 형성될 수 있다.
평판(127ab)의 일면을 향하여 진행하는 음파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홀(127aa)을 통과하여 제2 흡음패널(125b) 또는/및 접착제층(127c)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흡음패널(125b) 또는/및 접착제층(127c)에 도달한 음파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흡음패널(125b) 또는/및 접착제층(127c)에서 흡수될 수 있다.
제2 흡음패널(125b)은, 제1 흡음판넬(127a)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패널(125b)은, 평판(127ab)과 절곡판(127ac)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음패널(125b)은, 제1 흡음판넬(127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닥면플레이트유닛(130)은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을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흡음플레이트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면플레이트유닛(130)은 SPC(Stone Plastic combination)로 이루어진 코어인 제1 바닥플레이트(131)와, 제1 바닥플레이트(131) 위에 형성되어 색상과 무늬를 제공하는 제2 바닥플레이트(132), 제2 바닥플레이트(132) 위에 형성되어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제3 바닥플레이트(133), 제3 바닥플레이트(133) 위에 형성되어 표면을 보호하는 제4 바닥플레이트(134) 및 제1 바닥플레이트(131) 하부에 부착되어 완충성 및 흡음성을 제공하는 제5 바닥플레이트(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닥플레이트(131)와 제2 바닥플레이트(132)와 제3 바닥플레이트(133)와 제4 바닥플레이트(134)는, 고압 프레스 후 핫프레스 방식으로 합지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플레이트(131)는 PVC 분말 15 ~ 23중량%, 포졸란 분말 9 ~ 11중량%,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1.8 ~ 2.3중량%, 에틸렌수지 1.7 ~ 2.3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7 ~ 1.3중량%, PVC 루브리칸트(Lubricant PVC) 0.45 ~ 0.55 중량%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닥플레이트(13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그 일측면에 외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131a)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 내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함몰되는 함몰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제1 바닥플레이트의 돌출부(131a)는, 타 제1 바닥플레이트의 함몰부(131b)에 형합 될 수 있다.
제1 바닥플레이트(131)는 밀도가 높고 견고한 층을 구현하도록 탄산칼슘과 버진(Virgin) PV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닥플레이트(131)는 포름알데히드와 VOC 배출이 없는 친환경소재로서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난연특성도 갖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바닥플레이트(131)는 SPC(Stone Plastic combination)를 구현하도록 PVC 분말 20-26중량%, 포졸란 분말 8-12중량%,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1.5-2.5중량%, 에틸렌수지 1.5-2.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5-1.5중량%, PVC 루브리칸트(Lubricant PVC) 0.4-0.6중량% 및 나머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조성물이 성형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때, PVC분말은 주된 수지성분으로서 높은 밀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친환경성을 위해 사용되며, 징크스테아레이트는 제1 바닥플레이트(131)의 내열성을 높이고 투명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정제이다.
또한, 에틸렌수지는 인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내충격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PVC 루브리칸트는 PVC 윤활제로서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포졸란분말은 적은 첨가량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제1 바닥플레이트(131)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공기정화, 곰팡이 억제는 물론 수맥파차단, 산소발생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하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포졸란이 게르마늄, 셀리늄, 바나듐, 각종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광물상태의 포졸란은 1분에 2,000번이나 공명공진 작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광물상태의 포졸란은 10-20㎛ 크기로 분쇄한 미분 형태의 분말을 사용하며, 제1 바닥플레이트(131)에 함유시켰을 때 항균, 곰팡이 억제는 물론, 유해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에 따른 유용성이 증가되며, 탈취, 새집증후군, 라돈 분해 억제, 시멘트의 독성중화, 유해물질 제거와 중금속 중화 작용으로 인체 유익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제1 바닥플레이트(131)의 양측면중 일측면에는 돌출부(131a)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함몰부(131b)가 형성되어 상호 맞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클릭-락구조를 갖는다.
돌출부(131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을 가지고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상의 곡률원(C)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a)가 10°초과 내지 20°미만이고,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곡률(K)이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22114936710-pat00002
(여기서, K는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0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곡률원(C)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또한, 돌출부(131a)는 제1 바닥플레이트(131)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원뿔대 형상을 갖는 제1 섹션(131aa)과, 제1 섹션(131aa)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원뿔대 형상을 갖는 제2 섹션(131ab)과, 제2 섹션(131a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원뿔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에 뭉툭한 무딘 팁(dull tip)을 구비하는 제3 섹션(131a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플레이트(132)는 제1 바닥플레이트(131)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닥 다양한 색상을 현출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무늬를 넣어 디자인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바닥플레이트(132)는 제1 바닥플레이트(131)과의 교합성을 위해 PVC 필름에 색상과 무늬가 디자인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3 바닥플레이트(133)는 제2 바닥플레이트(1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닥플레이트(133)는 내마모층으로서, 0.4-0.6mm의 두께 범위를 갖는 필름형태이다. ㅇ;러한 제3 바닥플레이트(133)는 제2 바닥플레이트(132)과의 교합성을 위해 PVC를 사용하여 제조된 후 고압프레스 방식으로 합지된다.
제4 바닥플레이트(134)는 제3 바닥플레이트(13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바닥플레이트(134)는 방습성은 자외선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져 변색을 방지하고, 나아가 내스크래치성을 강화시켜 표면을 보호하는 특징이 있다.
제4 바닥플레이트(134)는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필름형태로 만들어져 고압프레스 방식으로 제3 바닥플레이트(133) 위에 합지된다.
제5 바닥플레이트(135)는 제1 바닥플레이트(13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바닥플레이트(135)는 소음흡수 및 완충 기능을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 10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카본블랙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여기에서, 아조디카본아미드는 탄성흡수 및 완충력을 증대시키고, 아연 스테아레이트는 안정제로 사용되며, 카본블랙은 내열성 및 보온, 방습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이처럼,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건축물의 바닥재로 적용되어 층간 소음과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와 함몰부를 통해 시공이 용이하고 유해물질이 생기지 않고 수축과 팽창이 거의 없어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건축물의 바닥재로 적용되어 파트 거실, 기타 친환경 시공이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어 내충격성, 방염성, 방수성 및 흡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110: 단열플레이트유닛
120: 흡음플레이트유닛 130: 바닥면플레이트유닛

Claims (3)

  1.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단열플레이트유닛;
    상기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흡음부, 제2 흡음부 및 제3 흡음부를 포함하는 흡음플레이트유닛;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을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부는, 그 외부에서 유입된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상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하도록, 그 측방으로 관통된 개구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은,
    상기 단열플레이트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제1 흡음부와 상기 제2 흡음부와 상기 제3 흡음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바닥면플레이트유닛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를 연결해주도록,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프레임와 상기 제2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복수의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흡음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상기 제1 흡음부에 연결되고, 그 타면이 상기 흡음플레이트유닛의 외측을 향하는 방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음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제1 관통구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1 셀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흡음패널;
    상기 제1 흡음패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관통구를 구획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육각형 형상의 복수의 제2 셀이 일렬로 배열되는 제2 흡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음패널은,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흡음패널과 접하는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흡음패널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 단부에 상기 방열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음패널과 상기 제2 흡음패널은, 상기 음파에너지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가 진동될 경우, 상기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상기 제1 관통구과 상기 연통홀과 상기 제2 관통구을 통해 상기 방열패널로 전달하여 상기 열에너지를 그 외부로 배출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음부는,
    1100 Hz부터 11000 Hz까지의 평균 음향 투과 손실이 3dB 이상이 되도록, 부직포와 발포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흡음층;
    섬유층 또는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지며, 그 평균 유량 세공 지름이 0.2 ∼ 35 μm이고, 목부가 0.5 ∼ 250g/m2이고,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스타이렌, 폴리유레테인, 폴리설폰 및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흡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층과 상기 제2 흡음층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항하여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흡음부는,
    상기 제2 흡음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제1 흡음판넬;
    상기 제1 흡음판넬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입사되는 음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제2 흡음판넬;
    상기 제1 흡음판넬과 상기 제2 흡음판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흡음판넬과 상기 제2 흡음판넬을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판넬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에서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음판넬은, 그 적어도 일부가 강철판으로 제조되고,
    상기 강철판은, 알카리 용액을 이용한 전처리(pre-processing), 열처리, 도금, 조질압연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강철판의 적어도 일부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60 내지 70도(섭씨)로 예열되어 그 적어도 일부에 일부에 크롬(chrome)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도장층이 코팅되고,
    상기 제2 흡음판넬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스터(에틸렌 글리콜-아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0.3 내지 1.2 미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평판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평판에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면적의 비율은, 15 퍼센트(%) 이상 내지 35 퍼센트(%) 이하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0220142154A 2022-10-31 2022-10-31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52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54A KR102528878B1 (ko) 2022-10-31 2022-10-31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54A KR102528878B1 (ko) 2022-10-31 2022-10-31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878B1 true KR102528878B1 (ko) 2023-05-08

Family

ID=8638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154A KR102528878B1 (ko) 2022-10-31 2022-10-31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035B1 (ko) * 2023-06-23 2023-11-15 김민수 Ai 기반의 버츄얼 챗봇 운영 시스템
KR102625147B1 (ko) * 2023-08-10 2024-01-15 (주) 엘제이종합건설 공동주택 시공방법
KR102663135B1 (ko) 2023-07-18 2024-05-03 주식회사 탑그린이피에스 층간소음방지재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73B1 (ko) 1995-04-28 2004-06-10 가부시키가이샤 도가미덴키 세이사쿠쇼 가스차단기
KR20180005647A (ko) * 2017-12-28 2018-01-16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샌드위치 판넬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20618B1 (ko) * 2021-09-03 2022-07-15 배준성 건축물의 소음 차단 방지 구조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73B1 (ko) 1995-04-28 2004-06-10 가부시키가이샤 도가미덴키 세이사쿠쇼 가스차단기
KR20180005647A (ko) * 2017-12-28 2018-01-16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샌드위치 판넬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20618B1 (ko) * 2021-09-03 2022-07-15 배준성 건축물의 소음 차단 방지 구조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035B1 (ko) * 2023-06-23 2023-11-15 김민수 Ai 기반의 버츄얼 챗봇 운영 시스템
KR102663135B1 (ko) 2023-07-18 2024-05-03 주식회사 탑그린이피에스 층간소음방지재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625147B1 (ko) * 2023-08-10 2024-01-15 (주) 엘제이종합건설 공동주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87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US8739927B2 (en) Gypsum panel having outstanding sound-absorbing propertie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AU2010205258B2 (en) Soundproof panel and soundproof structure
KR100701282B1 (ko) 카펫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KR20090055270A (ko) 건축용 층간 차음패널
AU2017375758A1 (en)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surface layers that provide enhanced formability
TWI585273B (zh) 防音構造以及其施工方法
KR100701279B1 (ko) 카펫 층 및 기능 층을 가진 실내 건축용 소재
WO2021049224A1 (ja) 吸遮音材
KR20140002335A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0761693B1 (ko) 불연성 적층 시이트
KR100724123B1 (ko)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US20220165243A1 (en) Laminated sound absorbing material
JP2010275842A (ja) 屋根用下地材とこれに使用される透湿性野地板
KR101830688B1 (ko) 샌드위치 판넬
JP6751278B1 (ja) 積層吸音材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US20210245469A1 (en) Laminate sound-absorbing material
US20130230686A1 (en) Slim carpet tile having excellent dimentional s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610152B1 (ko) 단열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창호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102623376B1 (ko) 콤프레셔용 부착형 패널
KR102420868B1 (ko) 가요성 흡음벽
CN213449233U (zh) 一种自洁外墙面漆涂料结构
JP6466646B2 (ja) 吸音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