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638B1 -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 Google Patents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638B1
KR100700638B1 KR1020050039421A KR20050039421A KR100700638B1 KR 100700638 B1 KR100700638 B1 KR 100700638B1 KR 1020050039421 A KR1020050039421 A KR 1020050039421A KR 20050039421 A KR20050039421 A KR 20050039421A KR 100700638 B1 KR100700638 B1 KR 10070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t
silica
compound
nanotubes
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898A (ko
Inventor
정종화
한원석
석 훈 이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63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00Dyes with anthracene nucleus not condensed with any other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2Coumar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3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8Metal complexes of other metal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previous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성을 갖는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산화물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유기물인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주형을 제조하고 여기에 형광성 염료 및 실리카를 결합시켜 제조되는 발광성 나노튜브에 관한 것이다.
나노튜브, 형광성, 실리카

Description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A luminescent silica nanotube}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튜브 제조공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튜브를 분석한 이미지이다.
A: CLSM(conforcal laser scanning microscope)로 2-SNT(silica nanotube)를 측정한 이미지
B: 2-SNT의 FE-SEM 이미지이다.
C: 2-SNT의 FE-TEM 이미지이다.
D: 에탄올상에서 2-SNT의 EDX 스펙트럼 결과
도 3은 실시예 2의 2-SNT 화합물의 TEM이미지와 원소맵핑(elemental mapping) 이미지이다.
A: Bright-fild TEM 이미지
B: 탄소 맵핑(그린)
C: 산소 맵핑(레드)
D: Si 맵핑(블루)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튜브를 분석한 이미지이다.
A: CLSM(conforcal laser scanning microscope)로 3-SNT를 측정한 이미지
B: 3-SNT의 FE-SEM 이미지이다.
C: 3-SNT의 FE-TEM 이미지이다.
D: 3-SNT의 EDX 스펙트럼 결과
도 5는 3-SNT 화합물의 TEM이미지와 원소맵핑 이미지이다.
A: Bright-fild TEM 이미지
B: 탄소 맵핑(그린)
C: 산소 맵핑(레드)
D: Si 맵핑(블루)
도 6은 용매상과 고체상에서의 흡광도와 PL(photoluminescence)스펙트럼 그래프이다.(a): 화합물 2, (b): SNT(silica nanotube), (c): 2-SNT.
A: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2와 SNT(silica nanotube), 2-SNT의 흡광도 그래프
B: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2와 SNT(silica nanotube), 2-SNT의 PL 스펙트럼
C: 고체상태에서 화합물 2와 SNT(silica nanotube), 2-SNT의 흡광도 그래프
D: 고체상태에서 화합물 2와 SNT(silica nanotube), 2-SNT의 PL 스펙트럼
도 7은 용매상과 고체상에서의 흡광도와 PL스펙트럼 그래프이다. (a): 화합물 3, (b): 3-SNT.
A: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3과 3-SNT의 흡광도 그래프
B: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3와 3-SNT(silica nanotube)의 PL 스펙트럼
C: 고체상태에서 화합물 3와 3-SNT(silica nanotube)의 흡광도 그래프
D: 고체상태에서 화합물 3와 3-SNT(silica nanotube)의 PL 스펙트럼
본 발명은 발광성을 갖는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산화물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유기물인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주형을 제조하고 여기에 형광성 염료 및 무기기산화물을 결합시켜 제조되는 발광성 나노튜브에 관한 것이다.
무기화합물은 조성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기화합물이나 초분자(supramolecule)의 특징 중 하나인 구조적 다양성이 부족하다. 1차원 구조의 무기화합물은 분자센서, 화합물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흡착재, 촉매 및 광발산뿐만 아니라, 기능성 소자로의 응용과 같은 유용한 성질 때문에 현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나노크기의 무기화합물 튜브는 일반적으로 광촉매와 발광다이오드 및 전자장치와 같은 분야에서 진보된 물질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나노미터 크기의 기능성 물질은 이들의 잠재적인 용도로 인하여 나노테크놀로지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특이적인 상보성 분자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튜브는 전자분야, 광학분야 및 센서 등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현재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지난 10년간 나노튜브 제조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으며, 이것은 나노미터 크기의 와이어 및 장치를 나타내는 데 기본원리를 제공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기 다공재료는 그 표면적과 기공의 지름에 기인하여 분자의 선택성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촉매나 지지재 재료, 흡착재, 크로마토그래피용 재료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개량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공재료의 제조에 있어서 주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졸-겔 주형법(sol-gel template method, SGTM)은 1차원 구조를 갖는 나노크기의 광범위한 무기화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분자 조립체의 적절한 양이온 부위와 흡착 음이온 무기물 입자 사이의 효과적인 수소결합 작용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섬유상 또는 혹은 중공상의 무기 재료나 주석산의 분자상 회합체나 탄소섬유, 카본나노 튜브를 주형으로 하여 합성하였다. 또한 생체물질의 기능을 이용하여 생체물질을 주형으로 하고 다양한 형태의 무기 재료를 제조하는 시도(일본 공개특허 제2000-220036호)가 있었으며, 자기조립화한 지방질 튜브를 이용한 원통상의 유기 무기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1-335594호는 수소결합부위를 갖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주형으로 이용하여 유기 무기 복합체 및 금속산화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원통상 또는 롤페이퍼(roll paper)상의 금속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상기 발명들은 유기물 분자와 금속알콕시드 등의 졸(sol)이 촉매에 의하여 중합, 가교하면서 금속산화물 중합체가 형성되는 기술을 이용하며 금속산화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제조되는 유기 무기 복합체 또는 금속산 화물이 원통상인 화이버(fiber)형상 또는 중공이 형성된 나선형으로 제조되며 균일한 형상으로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발광성이 없어 광반도체 소재로의 사용에 제한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졸겔주형법과 변형된 형광성 염료를 이용하여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성을 갖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 광센서, 광촉매 등의 다양한 광소재로 응용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을 바탕으로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유기졸 시스템에서 용액상과 고체상태에서 특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변형된 형광 실리카 염료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silane, TEOS)을 공축합하여 발광성을 갖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아조벤젠 부위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졸-겔법을 이용하여 튜브형의 주형을 제조하는 단계; 유기실란을 이용하여 변형시킨 형광염료를 상기 제조된 튜브 주형의 외주면에 반응시켜 형광성 튜브주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형광성 튜브주형에 실리카를 반응시키고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형성된 내부 주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광염료가 쿠마린계 또는 안트라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직경이 나노미터 크기인 실린더 형상이며 형광염료(fluorescent dye) 및 실리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형광염료가 쿠마린계 또는 안트라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2-SNT"는 "형광성 염료인 화합물 2와 실리카 나노튜브가 결합된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를 의미하며, "3-SNT"는 "형광성 염료인 화합물 3과 실리카 나노튜브가 결합된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각을 혼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5024722848-pat00001
Figure 112005024722848-pat00002
Figure 112005024722848-pat00003
실시예 1: 형광성 염료의 변형
변형된 염료를 합성하기 위하여 60ml 디클로로메탄에 2,3,6,7-tetrahydro-1,1,7,7-tetramethyl-11-oxo-1H,5H,11H-[1]benzopyrano[6,7,8-ij]quinolizine-10-carboxylic acid 4.5mmol을 분산시키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DCC와 NEt3, HOBt를 각각 4.5mmol씩 첨가한 후 상기 현탁액을 24시간동안 교반시키고 용매 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하, "화합물 2"라고 칭함)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원소분석, IR, UV, 탄소 및 수소 NMR스펙트럼을 통해 특성화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안트라센계 염료를 변형하여 화학식 3의 형광성 염료(이하, "화합물 3"이라고 칭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리카 나노튜브 제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하, "화합물 1"이라고 칭함)을 겔형성제(gel-generator)로 10mg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2(4mg)을 1-부탄올 200mg에 첨가하고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가온하였다. 반응혼합물은 상온 정지상태(static condition)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여기에 TEOS (tetraethoxysilane) 50mg과 벤질아민 20mg, 물 20mg을 더 첨가하여 다시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가열하고, 이를 상온, 정지상태(static condition)에서 5일간 보관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1을 THF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2-silica nanotube, 2-SNT)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합물 3을 이용하여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3-silica nanotube, 3-SNT)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2-SNT 및 3-SNT의 이미지 측정
본 시험예에서는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FE-SEM(fi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와 FE-TEM(fi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2-SNT의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물에 분산시킨 샘플을 유리판에 놓고 LSM510 레이저 스캐닝 컨포컬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여기파장은 488nm와 360nm이였다.
도 2A에서와 같이, 실리카 나노튜브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화합물 2가 나노튜브에 물리적 흡착보다 공유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화합물 2의 존재하에서 화합물 1의 거동은 도 2B의 FE-SEM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섬유상의 실리카로 제조되었다. 상기 섬유상 실리카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FE-TEM 이미지를 찍어 도 2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섬유상 실리카는 화합물 1의 겔상에서 졸-겔 중합으로부터 얻은 것과 유사한 튜브구조를 갖는다.
도 2D는 2-SNT의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스펙트럼으로 탄소, 수소 , 실리콘의 3개의 피크(peak)가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제조된 2-SNT가 이들 원소로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탄소피크는 쿠마린 염료인 화합물 2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질소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어 검출되지 않았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3-SNT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도 3에 나타냈다.
시험예 2: 2-SNT 및 3-SNT의 elemental mapping
EELS(electron energy-loss spectroscopy)는 원소 및 화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EELS로 2-SNT의 TEM이미지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SEM 이미지와 EDX 데이터는 히다찌사의 S-4700 EELS(electron energy-loss spectroscopy)를 사용하였다. TEM 이미지와 X-ray 맵핑은 JEOL JEM2100F 마이크로스코프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4은 같은 부위를 bright-fild 이미지와 C, O, Si 맵핑하여 나타낸 것이다. EELS를 이용한 원소맵핑(elemental mapping)은 화합물 2의 탄소원자가 실리카 나노튜브의 측벽을 따라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이것은 화합물 2의 형광성 염료가 실리카 튜브의 외경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또한 수소결합작용에 의하여 화합물 1의 실린더 주형의 표면에 화합물 2가 흡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2-SNT는 나노미터 크기의 강(腔)을 갖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3-SNT의 원소맵핑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3: 2-SNT, 3-SNT의 흡광도와 발광스펙트럼 측정
본 시험예에서는 변형된 화합물 2, 실리카 나노튜브(SNT)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형광성 실리카 나노튜브(2-SNT)에 대한 용액상(도 6A, 도 6B) 및 고체상태(도 6C, 도 6D)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흡광데이터는 200~900nm의 파장영역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PL 스펙트럼은 PL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에탄올 용액상에 분산된 SNT(silica nanotube)의 UV-Vis 스펙트럼은 저에너지에서 고에너지로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특성이 없는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2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의 공중합은 형광성 실리카 나노튜브(2-SNT)의 UV-Vis 스펙트럼에서 증명되었다.
366nm에서 2-SNT가 새로운 밴드를 갖는 것은 에탄올상의 화합물 2의 스펙트럼과 비교하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도 6B는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2와 SNT와 2-SNT 및 기능성 형광염료인 2의 PL(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을 나타냈다. 도 6C는 SNT의 UV 스펙트럼은 도 6A와 비교하면 높은 인텐시티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SNT는 300~400nm에서 인텐시티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D는 고체상태에서 화합물 2와 SNT와 2-SNT의 PL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 2의 스펙트럼은 SNT와 2-SNT에 비하여 현저히 약한 인텐시티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액상에서의 스펙트럼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SNT의 PL 스펙트럼은 496nm의 백색광 부근에서 강한 블루광을 방출하고 529nm와 460nm에서 약한 두개의 피크를 갖는다.
안트라센 염료인 화합물 3을 이용한 측정도 상기 화합물 2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3-SNT의 흡광도 밴드의 수는 용액상과 고체상에서 고유한 화합물 3의 흡광도에 비하면 감소하였다(도 7A와 도 7C).
도 7B는 에탄올상에서 화합물 3과 3-SNT의 PL스펙스럼을 나타낸 것이다. 3-SNT의 최대방출이 약 10nm정도 블루이동(blue-shift)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D는 고체상태의 화합물 3과 3-SNT의 PL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3-SNT의 PL 스펙트럼이 2-SNT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발광성을 갖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노튜브는 발성광을 가지므로 발광다이오드 및 광센서 등의 광반도체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상과 고체상 모두에서 발광 특성이 있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아조벤젠기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졸-겔법을 이용하여 튜브형의 주형을 제조하는 단계;
    유기실란을 이용하여 변형시킨 형광염료를 상기 제조된 튜브 주형의 외주면에 반응시켜 형광성 튜브주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형광성 튜브주형에 실리카를 반응시키고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형성된 내부 주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염료는 쿠마린계 또는 안트라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3. 직경이 나노미터 크기인 실린더 형상이며 형광염료(fluorescent dye) 및 실리카로 형성된
    Figure 112006068857431-pat00011
    또는
    Figure 112006068857431-pat00012
    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염료는 쿠마린계 또는 안트라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KR1020050039421A 2005-05-11 2005-05-11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KR100700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21A KR100700638B1 (ko) 2005-05-11 2005-05-11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21A KR100700638B1 (ko) 2005-05-11 2005-05-11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898A KR20060116898A (ko) 2006-11-16
KR100700638B1 true KR100700638B1 (ko) 2007-03-27

Family

ID=3770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421A KR100700638B1 (ko) 2005-05-11 2005-05-11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13B1 (ko) * 2007-12-31 2010-04-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중금속 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색성을 갖는 유기-무기하이브리드형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광학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469B1 (ko) * 2009-03-13 2011-02-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뉴클레오티드 선택적 실리카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KR101134224B1 (ko) * 2010-02-10 2012-04-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형광스위치용 나노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형광표시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254A (ko) * 1999-01-18 2000-11-25 니시무로 아츠시 카본 나노튜브의 필름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필름화된카본 나노튜브 및 이것을 이용한 전계 전자 방출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254A (ko) * 1999-01-18 2000-11-25 니시무로 아츠시 카본 나노튜브의 필름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필름화된카본 나노튜브 및 이것을 이용한 전계 전자 방출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712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13B1 (ko) * 2007-12-31 2010-04-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중금속 이온에 대해 선택적 발색성을 갖는 유기-무기하이브리드형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광학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898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Highly emissive carbon dots in solid state and their applications in light-emitting devices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Hou et al. Modified facile synthesis for quantitatively fluorescent carbon dots
Zhang et al. Supramolecular organogels and nanowires based on a V-shaped cyanostilbene amide derivative with aggregation-induced emission (AIE) properties
KR101348074B1 (ko) 형광 고분자 기반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Liu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bifunctional nanocomposites possessing upconversion and oxygen-sensing properties
Wang et al. Solvent-dependent red emissive carbon dots and their applications in sensing and solid-state luminescence
Yoshinaga et al. Glycothermally synthesized carbon dots with narrow-bandwidth and color-tunable solvatochromic fluorescence for wide-color-gamut displays
CN113105349B (zh) 具有聚集诱导的发光化合物及超分子聚合荧光纳米材料和制备方法
Ma et al. Highly selective fluorescence chemosensor based on carbon-dot-aerogel for detection of aniline gas
KR100700638B1 (ko) 발광성 실리카 나노튜브
Wang et al. Carbon quantum dots embedded mesoporous silica for rapid fluorescent detection of acidic gas
CN114574196B (zh) 一种高荧光量子产率的碳量子点制备方法及应用
Yan et al. Silsesquioxane-based fluorescent nanoporous polymer derived from a novel AIE chromophore for concurrent detection and adsorption of Ru3+
Shen et al. Barcoded materials based on photoluminescent hybrid system of lanthanide ions-doped metal organic framework and silica via ion exchange
Geng et al. The fabrication of highly ordered fluorescent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microspheres for the selective sensing of sparfloxacin in biological samples
Wang et al. Palygorskite-based hybrid fluorescent pigment: Preparation,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environmental stability
Kim et al. Highly luminescent tetra (biphenyl-4-yl) ethene-grafted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for fluorescent sensing of diethylstilbestrol
NZ570093A (en) Method of making luminescent nanoparticles from carbohydrates
Trupp et al. Lanthanide–based luminescent hybrid silica materials prepared by sol-gel methodologies: a review
Li et al. Sulfide functionalized lanthanide (Eu/Tb)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 (PMOs) hybrids with covalent bond: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photoluminescence
Tang et al. Luminescent behaviors of bipyridine proline-grafted hybrid bimodal mesoporous silica and its catalytic performance in asymmetric aldol reaction
CN108558954A (zh) 一种自旋交叉-上转换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u et al. Cu 2+-Triggered shrinkage of a natural betulin-derived supramolecular gel to fabricate moldable self-supporting gel
WO2003060037A1 (fr) Spheres de silice contenant des molecules de colorant fluorescent
Ma et al. Interfacial self-assembly of bipyridyl-functionalized nanoSiO2-BPy@ Ln (β-diketone) n composites and their luminescent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