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069B1 -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069B1
KR100700069B1 KR1020050043226A KR20050043226A KR100700069B1 KR 100700069 B1 KR100700069 B1 KR 100700069B1 KR 1020050043226 A KR1020050043226 A KR 1020050043226A KR 20050043226 A KR20050043226 A KR 20050043226A KR 100700069 B1 KR100700069 B1 KR 10070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rotating shaft
user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966A (ko
Inventor
안기봉
Original Assignee
(주)체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체어텍 filed Critical (주)체어텍
Priority to KR102005004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0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2)의 상측에 구비되는 좌판(3),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받이(4)가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4)의 양측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지주(5)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주(5)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6)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4)는 상기 회전축(6)이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결합공(7)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회전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면과 후면의 외피면이 다르게 구비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게 망사가 접촉되도록 하며, 또한 가죽에 의하여 부드러운 부분이 접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의 사용자의 상태에 알맞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등받이를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 등받이

Description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Chair with Backplate that is rotat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지주 및 등받이에 대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일 실시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다른 실시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 : 실린더
3 : 좌판 4 : 등받이
5 : 지주 6 : 회전축
7 : 회전축결합공 8 : 장축
9 : 단축 10 : 원형공
11 : 회전축고정홈 12 : 외피면
13 : 망사부분 14 : 가죽부분
15 : 측면이송로 16 : 고정홈입구
본 발명은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회전되도록 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댈 경우 등받이가 후방 쪽으로 기울어지는데,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형성된 의자와 등받이와 좌판이 별체로 형성되는 의자 등으로 구비된다.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탄성있는 재질로 구비하여, 반동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좌판과 등받이가 별체로 형성된 의자의 경우에는 등받이의 기울어지는 회동 각도를 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여 안락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100)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3-0018438호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는 기둥(101)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좌판(102)이 구비된다. 또한 좌판(102)의 후방에서 상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등받이(103)가 구비되며, 좌판(102)과 등받이(103)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팔걸이(10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종래의 의자(100)는 사용자의 조절에 의하여 등받이(103)를 후방측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를 받치는 부분은 항상 동일한 접촉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접촉부위에서 땀이 나오고, 반대로 겨울에는 찬기를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체형이 다른 다수의 사용자의 머리위치, 등의 형상 및 허리의 굴곡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하게 형성되는 종래의 의자(100)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몸에 이상이 생기거나 또는 이상체형이 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회전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면과 후면의 외피면이 다르게 구비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게 망사가 접촉되도록 하 며, 또한 가죽에 의하여 부드러운 부분이 접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의 사용자의 상태에 알맞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등받이를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등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의 상측에 구비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의 양측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주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주의 회전축은 단면이 상하 길이가 긴 장축이고 전후길이가 짧은 단축으로 되는 타원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의 회전축결합공은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인 중앙의 원형공, 상기 원형공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기 회전축의 단축보다 같거나 또는 크며 장축보다 좁은 폭의 회전축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고정홈은 상기 회전축의 단축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억지끼움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입구을 더 형성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양측 지주를 잇도록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 지주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약간의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기 등받이가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결합공은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대해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결합공은 복수의 원형공을 이어주며 상기 회전축의 단축보다 같거나 또는 넓은 폭의 통공인 측면이송로를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하며, 전·후 양면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면이 구비되며, 상기 외피면은 일측 외피면이 망사로 구비되며, 타측 외측면은 가죽,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지주 및 등받이에 대한 부분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일 실시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를,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의 다른 실시에 대한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 회전되는 등받이(4)가 구비되는 의자(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2)의 상측에 구비되는 좌판(3) 그리고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받이(4)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등받이(4)가 세 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가 가능하다. 하나로 하여 등받이(4)를 구비할 경우에는 등받이(4)의 상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며, 많은 수로 구비할 경우에는 상하길이를 짧게 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 개로 등받이(4)를 구비할 경우, 각각 대응되는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에 알맞게 등받이(4)의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4)의 양측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지주(5)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주(5)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6)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4)는 상기 회전축(6)이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결합공(7)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6)은 상기 양측 지주(5)를 잇도록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 지주(5)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약간의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양측 지주(5)를 잇도록 회전축(6)을 형성할 경우에는 양측 지주(5) 및 회전축(6)에 의해 등받이(4)의 강도를 높여 튼튼하게 구비하여 안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양측 지주(5)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회전축(6)을 형성할 경우에는 회전축(6)을 포함하는 지주(5) 및 등받이(4)의 구조를 간단하고 경량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5)의 회전축(6)은 단면이 상하 길이가 긴 장축(8, 폭 = m)이고 전후길이가 짧은 단축(9, 폭 = n)으로 되는 타원 단면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등받이(4)의 회전축결합공(7)은 상기 회전축(6)이 회전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인 중앙의 원형공(10, 반지름 = r), 상기 원형공(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기 회전축(6)의 단축(9)보다 같거나 또는 크며 장축(8)보다 좁은 폭(t)의 회전축고정홈(11)을 형성하였다.
즉 원형공(10)의 지름(2*r)을 회전축(6)의 장축(8) 폭(m)보다 크거나 같게(2*r≥m)형성하고, 회전축고정홈(11)의 폭(t)은 단축(9)의 폭(n)보다 크거나 같게(t≥n)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회전축고정홈(11)에 회전축(6)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며, 또한 원형공(10) 내에서 회전축(6)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등받이(4)의 외피면(12)을 여름철에 시원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망사부분(13)과 겨울철에 따뜻하게 지내거나 표면이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가죽부분(14)으로 하여,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하며, 전·후 양면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였으며, 이때 양측 망사부분(13)과 가죽부분(14)은 다른 용도 및 목적을 위하여 다르게 구비하여도 무관하다. 즉 첨부되는 도면에는 망사와 가죽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죽, 섬유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하여 망사형태, 양모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하여 양측 전후면의 외피면(12)을 서로 다르게 구 비하면 무관하다.
그리하여 회전축결합공(7)의 회전축고정홈(11)에 회전축(6)이 삽입 결합되게 되면, 회전축(6)에 등받이(4)가 고정되어 일측 외피면(12)에 의하여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타측 외피면(12)으로 하여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등받이(4)를 상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올리면 회전축고정홈(11)으로부터 회전축(6)이 이탈되어 중앙의 원형공(10)에 위치하게 된 후, 등받이(4)를 180도 회전시켜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하면, 회전축(6)은 타측 방향의 회전축고정홈(11)에 삽입 결합되어, 회전축(6)에 등받이(4)가 고정되어 결국 타측의 외피면(12)에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는 상기 회전축(6)이 회전되고 이동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결합공(7)이 상기 등받이(4)의 양쪽 측면에 대해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4)의 중앙 부분에 한 개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4)의 양 측면에 복수 개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에서는 회전축결합공(7)이 세 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두 개 또는 네 개 및 그보다 많은 복수 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회전축결합공(7)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받히게 되면, 머리의 전 후 높이에 알맞도록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를 받히게 되면, 등 또는 허리가 들어가고 나오는 정도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의자(1)의 조절기능에 의하여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불편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결합공(7)을 형성할 경우에는 회전축(6)이 다른 회전축결합공(7)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원형공(10)을 이어주며 상기 회전축(6)의 단축(9)보다 같거나 또는 넓은 폭의 통공인 측면이송로(15)를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하였다. 이때 측면이송로(15)의 폭(s)은 회전축(6)의 단축(9)의 폭(n)보다 조금 크거나 또는 같게 형성(s≥n)하여 측면이송로(15)를 따라 회전축(6)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나의 회전축결합공(7)으로 형성된 예로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오른쪽을 전방으로 할 경우, 망사부분(13)이 전면에 해당되며, 이때 회전축(6)은 회전축결합공(7)의 상측 회전축고정홈(11a)에 삽입 결합되어, 등받이(4)가 고정된 초기단계(a1)가 된다. 그리하여 등받이(4)를 상향으로 올리게 되면 회전축결합공(7)의 원형공(10)이 회전축(6)과 같은 높이(a2)가 된다. 이때 회전축(6)을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4)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a3, a4)하면, 전방인 오른쪽으로는 외피면(12)의 가죽부분(14)이 전면(a5)이 된다. 그리하여 다시 등받이(4)를 하향으로 내리면, 다시 최초와 다른 측인 상측의 회전축고정홈(11b)에 회전축(6)이 결합(a6)되어, 등받이(4)가 회전축(6)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회전축(6)에 대해 사용자의 등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등받이(4)의 외피면(12)의 양측을 다르게 구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알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비한 것으로, 전면 외피면에서 타측 외피면으로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며,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홈에 의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때 회전축고정홈(11)의 고정홈입구(16)의 폭(t')을 회전축(6)의 단축(9) 폭(n)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조금 작게 형성(t'≤n)하여 회전축(6)이 회전축고정홈(11)에 억지끼움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축(6)과 결합되는 회전축결합공(7)을 전 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세 개로 하여 구비하였다. 최초 전방으로 외피면(12)의 망사부분(13)이 향하도록 하여, 중앙에 형성된 원형공(10)의 상측의 회전축고정홈(11c)에 회전축(6)이 결합된 상태(b1)에서, 등받이(4)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중앙의 원형공(10c)이 회전축(6)과 같은 높이(b2)가 된다.
이 상태에서 등받이(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도 6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함)으로 회전(b3)시키면, 최초의 상태에서 등받이(4)가 90도 회전되어, 망사부분(13)이 상향으로, 가죽부분(14)이 하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고정홈(11)과 직각을 이루는 양측 측면이송로(15)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회전축(6)의 장축(8)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b4)이 된다.
그리하여 등받이(4)를 하향으로 내리게 되면(b5), 최초 원형공(10c)의 오른 쪽에 위치되는 원형공(10d)에 회전축(6)이 위치(b6)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등받이(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도 6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함)으로 회전(b7)시키면, 최초의 상태에서 등받이(4)가 180도 회전되어, 망사부분(13)은 후방으로, 가죽부분(14)은 전방(b8)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등받이(4)를 다시 하향으로 내리면, 최초 원형공(10c)의 오른쪽 아래쪽에 위치되는 회전축고정홈(11d)에 회전축(6)이 삽입 결합되어(b9), 등받이(4)가 요동되지 않게 회전축(6)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하여 최초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를 지지하고 있던 망사부분(13)은 후면으로 향하고, 후면에 위치되어 있던 가죽부분(14)은 전면으로 향하여,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의 들어가고 나오는 정도에 알맞게 등받이(4)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의자(1)에 앉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회전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면과 후면의 외피면이 다르게 구비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게 망사가 접촉되도록 하며, 또한 가죽에 의하여 부드러운 부분이 접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 등 또는 허리 등의 사용자의 상태에 알맞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등받이를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지면에 지지되는 실린더(2)의 상측에 구비되는 좌판(3) 및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등받이(4)와, 상기 좌판(3)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4)의 양측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지주(5)와, 상기 양측 지주(5)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각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6)과, 상기 등받이(4)는 상기 회전축(6)이 삽입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결합공(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은 단면이 상하 길이가 긴 장축이고 전후길이가 짧은 단축으로 되는 타원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결합공(7)은 상기 회전축(6)이 회전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인 중앙의 원형공(10)과 상기 원형공(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기 회전축(6)의 단축보다 같거나 또는 크며 장축보다 좁은 폭의 회전축고정홈(1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고정홈(11)은 상기 회전축(6)의 단축(9)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6)이 억지끼움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입구(16)을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결합공(7)은 복수개로 형성하고, 각각의 복수의 원형공(10)을 이어주며 상기 회전축(6)의 단축보다 같거나 또는 넓은 폭의 통공인 측면이송로(15)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8. 삭제
  9. 삭제
KR1020050043226A 2005-05-23 2005-05-23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KR10070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26A KR100700069B1 (ko) 2005-05-23 2005-05-23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26A KR100700069B1 (ko) 2005-05-23 2005-05-23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30U Division KR200394228Y1 (ko) 2005-06-09 2005-06-09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66A KR20060120966A (ko) 2006-11-28
KR100700069B1 true KR100700069B1 (ko) 2007-03-28

Family

ID=3770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26A KR100700069B1 (ko) 2005-05-23 2005-05-23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471A1 (ko) * 2013-10-23 2015-04-30 김정인 의자용 거더백받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957U (ko) 1980-09-04 1982-03-17
JPS6256052U (ko) 1985-09-28 1987-04-07
KR960006840Y1 (ko) * 1993-09-10 1996-08-08 이정섭 지압등받이 의자
KR20030055157A (ko) * 2001-12-26 2003-07-02 닛뽄 페인트 컴파니 리미티드 아크리릭 수지와 항오염성 도료
KR200401323Y1 (ko) 2005-09-01 2005-11-15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의자 등받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957U (ko) 1980-09-04 1982-03-17
JPS6256052U (ko) 1985-09-28 1987-04-07
KR960006840Y1 (ko) * 1993-09-10 1996-08-08 이정섭 지압등받이 의자
KR20030055157A (ko) * 2001-12-26 2003-07-02 닛뽄 페인트 컴파니 리미티드 아크리릭 수지와 항오염성 도료
KR200401323Y1 (ko) 2005-09-01 2005-11-15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의자 등받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55157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66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US7118176B2 (en) Bucket seat with inclination-profile adjusting mechanism
US6517156B1 (en) Backrest structure for a leisure chair
JP2016093536A (ja) 椅子、特に事務用椅子
US11337525B1 (en)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KR100700069B1 (ko)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0394228Y1 (ko) 회전되는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EP1354537B1 (en) Human body support structure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US10702066B2 (en) Office chair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JP4197045B2 (ja) 椅子
EP3653082B1 (en) Office chair
KR200422115Y1 (ko) 수평회동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US7159935B2 (en) Structure of a chair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TWI731718B (zh) 椅背傾仰支撐結構
KR102193999B1 (ko) 조절 가능한 요추지지부재를 갖는 의자
GB2565537B (en) Office chair
JP2984609B2 (ja) 椅 子
KR200392972Y1 (ko)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