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780B1 -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780B1
KR100699780B1 KR1020050019468A KR20050019468A KR100699780B1 KR 100699780 B1 KR100699780 B1 KR 100699780B1 KR 1020050019468 A KR1020050019468 A KR 1020050019468A KR 20050019468 A KR20050019468 A KR 20050019468A KR 100699780 B1 KR100699780 B1 KR 10069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erver
identifier
sen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138A (ko
Inventor
김연정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5001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7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의 전송 시 상기 메일의 전송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상기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메일 발송자가 자신이 송신한 메일의 현재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는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메일 생성부, 상기 메일의 수신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수신측 메일 서버로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 발송부,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상기 메일의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메일 수신부,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는 송신 메일 식별부,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를 표시하는 메일 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메일서버, 전자메일, 이메일, 수신확인, 메일헤더

Description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ELECTRONIC MAIL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AIL SERVICE FOR INFORMING STATUS OF SENDING M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외부 메일 서버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헤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발신자의 우편함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전달 실패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전자 메일 서버
201: 사용자 인터페이스
202: 메일 생성부
203: 메일 발송부
204: 메일 수신부
205: 송신 메일 식별부
206: 메일 상태 표시부
본 발명은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의 전송 시 상기 메일의 전송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상기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메일 발송자가 자신이 송신한 메일의 현재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로 발송하고, 상기 발송한 메일은 소정의 수신확인 메일함에 저장하며,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에 저장된 메일의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은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이러한 인터넷 이용의 증대와 함께 상업적 용도 또는 개인적 용도의 전자 메일이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메일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최근에는 메일 발신자가 송신한 메일에 대한 수신자의 메일 확인 여부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메일 서비스에서는, 발신자가 PC 등의 단말기를 통해 웹 메일 서비스의 웹 서버에 접속하고 메일을 작성하여 상기 작성한 메일을 발송하면 메일 서버의 MUA(Mail User Agent)는 상기 메일을 메일 서버의 MTA(Mail Transfer Agent)로 전송한다. MTA는 수신된 메일을 메일 포맷(MIME 포맷)으로 변환하고, 수신자가 상기 웹 메일 서버와 동일한 메일 도메인인 경우, 예를 들어 aaa@naver.com이 bbb@naver.com로 메일을 보내는 경우, 상기 웹 서버의 메일 박스 내의 수신자의 메일 박스에 상기 메일을 기록하고, "OK" 값을 리턴한다. 수신자가 외부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MTA는 SMTP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지의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외부 메일 서버로 메일을 송신한다. 상기 수신자의 수신 메일함이 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용량이 남아있지 않거나, 수신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바르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Returned Mail)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메일이 발송되었지만 수신자로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는 발신자에게 리턴되는 전송 실패 확인 메일로부터 전송 실패를 알 수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을 송신한 발신자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받기 전까지는 발송 메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즉, 발송된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는 전달된 것인지 아니면 아직도 송신측 메일 서버에서 처리 중인지 여부 등을 알 수 없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하루에도 매우 많은 수의 메일을 발송하기 때문에, 상기 전송 실패 확인 메일로부터 자신이 송신한 메일 중 어떤 메일의 전송이 실패하였는지를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의 발송자는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수신하고서야 자신이 송신한 메일이 전송 실패하였음을 알게 된다. 그런데, 발신자가 송신한 메일이 많은 경우, 전송 실패 확인 메일로부터 자신(발신자)이 송신한 메일 중 어느 메일이 전송 실패가 되었는지 발신자가 일일이 전송 실패 확인 메일로부터 확인하여야 했다.
또한,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은 메일 서버마다 그 형식이 다르고 또한 제공하는 정보도 다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상기 전송 실패 확인 메일로부터 자신이 송신한 어떤 메일이 실패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메일 서버 또는 전송 실패의 유형에 따라서는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이 며칠 또는 수주가 지난 후에야 발신자에게 발송이 되기 때문에, 이 경우 발신자는 자신의 어떤 메일이 전송 실패 되었는지 확인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수신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메일 전송이 성공한 경우 및 메일 전송이 실패된 송신 메일 모두 무조건 읽지 않은 상태로 분류되어 발신자에게 제공되므로 발신자는 1)메일은 정확히 전송되었지만 수신자가 아직 메일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와 2)메일의 전송이 아직 되지 않은 상태를 전혀 구분할 수 없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일을 송신한 후, 수신확인 메시지를 받기 전까지는 송신한 메일에 대한 상태를 정확하기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상당한 시간이 흘렀는데도 아직 메일이 수신측 메일 서버에 전송이 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다시 메일을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메일의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수신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HTML 태그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수신을 확인하기 때문에 일반 텍스트 메일인 경우에는 HTML 태그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메일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출현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일의 전송 시 상기 메일의 전송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상기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메일 발송자가 자신이 송신한 메일의 현재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일이 발송되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된 상태인지 아니면 아직도 송신측 메일 서버에서 처리 중 인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메일의 발신자에게 송신 메일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되었지만 아직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와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 전달되고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한 상태를 구분하여 메일의 발신자에게 송신 메일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일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메일의 발신함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메일의 현재 상태를 표시해 줌으로써, 메일의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중 어느 메일이 발송 실패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메일의 발신자가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일일이 확인하여 어느 메일이 전송 실패 되었는지 확인할 필요 없이 메일의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중 어느 메일이 발송 실패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전송이 실패한 메일의 보다 상세한 이유를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신자가 일일이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분석하지 않아도 전송 실패의 이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텍스트 메일인 경우에도 메일의 전송 상태 파악이 가능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 른 전자 메일 서버는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메일 생성부, 상기 메일의 수신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수신측 메일 서버로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 발송부,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상기 메일의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메일 수신부,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는 송신 메일 식별부,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하는 메일 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고,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고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고,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고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는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고,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상기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같은 경우, 상기 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메일박스)에 저장한다.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의 저장이 성공하면, 상기 메일 식별자로부터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외부 메일 서버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 메일 서버(MUA)(100)는 사용자(130)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140)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MIME 포맷의 메일을 생성하고 이를 MTA(100)에 전달한다. 그러면 MTA(100)는 상기 메일을 외부 메일 서버(110)에 발송한다. MUA와 MTA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리적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 MUA는 메일 헤더에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메일을 생성함으로써, 추후 본 발명에서 MTA가 각 메일의 발송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각 사용자의 우편함 에 있는 해당 메일의 관련된 상태 정보 필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메일 서버(100)는 통상의 메일 서버일수도 있고 웹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메일 서버일 수도 있다. 통상의 메일 서버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PC(135)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하고, 이를 전자 메일 서버(100)로 전달하여 메일의 발송을 요청한다. 전자 메일 서버(100)가 웹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PC(135)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 서버(100)에 접속하고, 전자 메일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메일을 작성한 후 전자 메일 서버(100)에 메일의 발송을 요청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주로 전자 메일 서버가 웹 메일 서버인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통상의 전자 메일 서버인 경우도 포함한다.
수신측 메일 서버(110)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MTA(100)는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식별한다. MTA(100)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우편함(120)에서 해당하는 송신 메일을 검색하고, 해당하는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를 표시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수신측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수신한 경우), 어떠한 메일의 송신이 성공했는지 송신측 메일 서버에서는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송신 메일의 메일 헤더에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MTA 에 전달함으로써 송신측 전자 메일 서버(100)에서 메일의 송신 성공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자 메일 서버(100)는 사용자(130)로부터 발송 요청된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동일한 경우 상기 메일을 자신의 우편함(Mailbox)(120)에 저장하고, 도메인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외부 메일 서버(110)로 전송한다.
사용자(130)는 아무 때나 전자 메일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발송한 메일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메일 서버(100)가 웹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사용자(130)가 자신의 PC(135)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 서버(100)에 접속하고, 자신의 우편함 정보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각각의 현재 발송 상태를 확인한다. 그러면, 각 메일들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은 상태(발송 성공이지만 수신자가 아직 개봉하지 않은 상태), 읽음 상태 또는 발송 실패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메일 서버(100)가 통상의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이 전자 메일 서버(100)로부터 사용자가 발신한 각 메일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발송함의 각 메일들에 관하여 상기 수신한 메일들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준다.
사용자 단말기(135)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PDA,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유무선 통신망에서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메일 서버(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1), 메일 생성부(202), 메일 발송부(203), 메일 수신부(204), 송신 메일 식별부(205), 메일 상태 표시부(20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는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입력 받는다. 발신자는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메일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전자 메일 서버(200)가 웹 메일 서버인 경우, 발신자는 전자 메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 메일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소정의 메일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메일의 발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는 소정의 웹 페이지 접속을 통해 메일 입력, 발송 요청 또는 발송된 메일 상태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메일 서버(200)가 통상의 메일 서버인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하고, 전자 메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작성된 메일의 발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201)는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으로부터 작성된 메일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일 생성부(202)는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종래기술의 메일 생성부(20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수신자 메일 주소, 메일 내용 등을 기초로 하여 메일 헤더 및 바디(body)를 생성하는데, 본 발명의 메일 생성부(202)는 이러한 기능에 추가하여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상기 메일 헤더의 일례로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헤 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포맷의 메일 헤더가 이용될 수도 있다. MIME은 메일의 헤더(header) 및 내용(body)의 포맷에 관한 규약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는 규약이다. MIME 헤더는 메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필드, 예를 들면, Reply-To, Return-Path, From, To, Received, Date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MIME 헤더의 분석을 통해 수신된 메일이 어떤 경로로 전송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메일 헤더에 포함시키는 경우, 메일 생성부(202)가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User Definable Mail Header Field)를 이용하여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는 메일 헤더 내에 포함되는 표준 필드가 아닌 사용자가 지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필드를 의미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일 헤더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헤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헤더는 발송되는 메일에 대한 Return-Path, Received, Date Reply-To, From, To, Subjec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일 규약상 요구되는 상기와 같은 필드 외에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에 발송 메일에 대한 메일 식별자(301) 및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302)를 포함시킨다.
메일 식별자(301)는 발송이 요청되는 각각의 메일에 대해 유일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자(302)는 발신자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발신자의 아이디, 이름 등의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메일 식별자(301) 및 사용자 식별자(302)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메일 식별자(301)는 사용자 식별자(302) 내에서만 유일한 값을 갖도록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메일 식별자란 메일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상 사용자가 수신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저장된 메일(수신확인 메일)의 식별자로서, 사용자에 한해서 유일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메일 발송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메일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뒤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신 메일을 메일 식별자로만 식별하는 경우에는 메일 식별자는 전체 발신 메일에 대하여 유일한 값을 갖도록 식별자가 할당된다. 이 경우, 메일 식별자는 메일 발송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시간 범위 내에서 유일한 식별자를 갖도록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메일 식별자(301) 및 사용자 식별자(302)는 메일 서버(MUA) 프로그램이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일 헤더에 메일 식별자(301) 및 사용자 식별자(302)를 포함시킴으로써, MTA는 메일 수신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메일 수신 성공 응답 또는 메일 수신 실패 응답에 대한 해당 송신 메일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의 외부 메일 서버에 대한 전달이 성공 또는 실패한 경우에도 어떠한 메일의 전달이 성공하였는지 송신측 메일 서버는 알 수 없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MTA가 송신한 메일이 성공적으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전달된 경우, MTA가 그 메일의 성공 여부는 성공 응답을 통해서 알게 되지만, 전달이 성공된 메일이 누구의 어떤 메일인지 여부는 알 수 없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발송되는 메일의 헤더에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서 발송하고, 또 이 메일이 MTA의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됨으로써, 메일의 발송 성공 또는 실패시, 해당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통하여 MTA가 송신 메일이 누가 발송한 어떤 메일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메일의 발송 성공 또는 실패시 수신측 메일 서버는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SMTP 통신상 수신측 서버로부터 성공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졌을 경우(메일이 성공적으로 발송 되었을 경우)에는, SMTP 규약에 따른 250 응답코드를, 그렇지 않을 경에는 기타 에러코드 번호와 함께 간략한 에러 메시지(error message)를 수신한다. MTA는 마임(MIME)을 메일 서버의 저장장치에 저장해두었다가, 적절한 스케줄링(scheduling)을 통해서 메일을 발송하는데, 응답 코드값과 응답 메세지에 따라서 MTA가 갖고 있는 해당 마임(mime)의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참조해서 발송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서버에 따라서는, 메일수신 성공 후 마임(mime) 메시지를 일단 수신하고, 나중에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자가 상기 메일에 대한 수신 거부를 설정한 경우, 수신자의 메일함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 또는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메일 주소인 경우 등이다. 이 경우에는 수신측 서버에서는 원래의 마임(mime) 메시지 헤더는 수정하지 않고, 이를 첨부로 하여 반송 메일을 보내주기 때문에, 처음 발송서버의 MTA가 이를 식별해서 발송 상태를 변경해 줄 수는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메일 서버가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일 서버가 아닌 통상의 메일 서버라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송신 메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메일 서버들과 완전히 호환되어 함께 사용되면서도 발신자의 발송 성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현재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메일 서버의 수는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이러한 메일 서버들과 호환되면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메일 발송부(203), 메일 수신부(204), 송신 메일 식별부(205) 및 메일 상태 표시부(206)를 설명한다.
메일 발송부(203)는 발송 메일의 수신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수신측 메일 서버로 상기 메일을 발송한다. 메일 발송부(203)는 상기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전자 메일 서버와 동일한 도메인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메일 서버의 우편함(메일 박스)로 상기 메일을 발송하고, 상기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전자 메일 서버와 동일하지 않은 도메인인 경우에는 해당 외부 메일 서버로 상기 메일을 발송한다.
메일 수신부(204)는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발송 메일의 수신 성공 응답(Receive Success Acknowledge)을 수신한다. 메일의 발송 성공시 수신측 메일 서버는 수신 성공 응답을 송신한다. 발송측 메일 서버는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로부터 발신자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사용자의 우편함(120)에 접근하고, 다시 상기 송신 메일의 메일 식별자로부터 해당하는 발신 메일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는 메일의 발송시 본 발명 의 메일 생성부(202)에 의하여 발송 메일의 메일 헤더 중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에 포함되어 수신측 메일 서버에 발송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메일 서버는 어떤 메일에 대한 발송이 성공하였는지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HTML 포맷의 메일 외에 일반 텍스트 메일인 경우에도 메일의 발송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HTML 형태의 메일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형태의 메일에 대하여 메일의 발송 상태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일 수신부(204)는 수신 실패 응답(Receive Fail Acknowledge)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실패 응답은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측 메일 서버로 가는 중간 단계의 릴레이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에서 메일 수신이 실패한 경우, 예를 들면 수신서버가 상기 메일에 대한 수신 거부를 설정한 경우, 수신서버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 또는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메일 주소인 경우 등에는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높아, 네트워크 전송 상태가 좋지 않아 메일의 전송이 실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떤 송신 메일이 전송 실패되었는지를 발신측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송신 메일 식별부(205)는 상기 수신 성공 응답 또는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식별한다. 메일의 전달 성공 또는 실패시 발신측 메일 서버는 수신 성공 응답 또는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송신 메일 식별부(205)는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자로부터 발신자를 식별하고, 메일 식별자로부터 해당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수신 성공 응답 또는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하게 된다.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상기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또한,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즉, 소정의 메일에 대해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의 상태를 발송중 상태에서 읽지 않음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의 상태를 발송중 상태에서 발송 실패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발송된 메일에 대한 메일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을 웹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송신된 메일들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음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사용자로부터 메일 발송 요청을 받으면, 해당 메일의 상태를 발송중 상태로 표시한다. 그리고, 해당 메일에 대하여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메일의 상태를 발송중 상태에서 읽지 않음 상태로 변경한다. 만약 해당 메일에 대하여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메일의 상태를 발송중 상태에서 발송 실패 상태로 변경한다. 그 후, 수신자가 해당 메일을 개봉하면 해당 메일의 상태를 읽지 않음 상태에서 읽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메일의 전송 시 상기 메일의 전송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상기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메일 발송자가 자신이 송신한 메일의 현재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이 발송되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되지 않은 상태인지 아니면 아직도 송신측 메일 서버에서 처리 중인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본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되었지만 아직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와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 전달되고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한 상태를 구분하여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전자 메일 서버(100)가 웹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웹 페이지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각 사용자의 발송 메일의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PC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 서버에 접속하고, 자신의 우편함 정보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각각의 현재 발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이러한 웹 화면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메일 서버가 통상의 메일 서버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이 전자 메일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발신한 각 메일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 를 수신하여 발송함의 각 메일들에 관하여 상기 수신한 메일들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준다. 따라서, 이 경우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클라이언트 메일 프로그램에게 각 메일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Returned Mail)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전송이 실패한 메일의 보다 상세한 이유에 따라 발송 메일의 상태를 표시한다.
메일 상태 표시부(206)는 메일 전달 실패 유형 및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수신하면,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유형의 정보를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성공 상태를 표시한다.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은 수신측 메일 서버가 발송된 메일은 수신하였으나, 용량 초과 또는 수신 거부 등과 같은 이유로 상기 발송된 메일이 수신자에게 전달되지 못한 경우, 수신측 메일 서버에 의하여 생성되어 송신측 메일 서버에 전송된다. 또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은 송신측 메일 서버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송신측 메일 서버가 수신측 메일 서버와 SMTP 통신 등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 송신측 메일 서버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생성하여 발신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의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분석하여 보다 상세한 메일 전달 실패 이유를 발신자에게 알려 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일 상태 표시부(206)가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전송이 실패한 메일의 보다 상세한 이유를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신자가 일일이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분석하지 않아도 전송 실패의 이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발신자의 우편함에서의 메일 상태 표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발신자의 우편함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우편함에는 발신자가 발송한 메일의 상태 정보, 보낸 날짜, 읽은 날짜, 받는 사람, 메일 제목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발송 우편함의 경우 발송된 메일의 보낸 날짜, 받는 사람, 메일 제목 등의 정보만이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발송된 메일 각각에 대하여 발송 상태에 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상기 상태 정보는 발송중(401), 발송 실패(402), 읽지 않음(403), 읽음(404), 용량초과(수신자의 용량 초과), 수신거부(수신자가 송신자의 주소를 거부)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발송중(401) 상태는 발신자에 발송 요청에 따라 메일 발송된 후 아직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발송 실패(402) 상태는 발송된 메일이 수신자에게 전송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읽지 않음(403) 상태는 메일이 수신자에게 전송된 후 수신자가 아직 메일을 읽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읽음(404) 상태는 메일이 수신자에게 전송된 후 수신자가 전송된 메일을 읽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읽음(404) 상태의 메일에는 읽은 날짜 정보가 표시되고, 발송 실패(402) 상태의 메일에는 메일 전달 실패 유형 정보(405, 406)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메일의 상태를 메일 발송함에 각 메일 별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메일 발송자가 매우 용이하게 각 메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메일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이 수신되는데, 발신 메일이 많은 경우, 상기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통해 어떤 메일이 전송 실패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메일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메일의 발신함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메일의 현재 상태를 표시해 줌으로써, 메일의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중 어느 메일이 발송 실패되었는지를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의 발신자는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일일이 확인하여 어느 메일이 전송 실패 되었는지 확인할 필요 없이 메일 발송함을 통해서 각 메일들의 전송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계(501)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메일의 발송 후에 상기 메일은 소정의 수신확인 메일함에 저장되고,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은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에 포함된 메일의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음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한다.
상기 발송되는 메일은 메일 바디 및 메일 헤더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일 헤더는 MIME 헤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일의 MIME 헤더에는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키는데¸ 이때, 상기 MIME 헤더의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 식별자는 상기 메일과 연관된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일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는 추후 발송 메일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메일의 메일 바디에는 수신 확인용 HTML 이미지 태그를 포함시키고, 상기 수신 확인용 HTML 이미지 태그에 의한 이미지 접근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 접근 요청에 대응한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수신자가 메일을 읽는 경우 상기 메일에 포함된 수신 확인용 HTML 이미지 태그에 의해 상기 이미지 태그에 지정된 경로로 접속하여 해당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이미지 접근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수신자의 메일 확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메일 서버는 수신자의 메일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송신하는 메일의 내용에 널(NULL) 값의 이미지 태그를 포함시킨다. 즉, 송신하는 메일의 내용(body) 중에 HTML 포맷으로 이미지 태그, 예를 들어 <img src="http://mail.naver.com/...>을 포함시켜서 메일을 발송한다. 메일 수신자가 상기 메일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측에서 이미지 태그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해 상기 이미지 태그에 포함된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의 이미지 태그는 실제적으로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자는 이러한 사실을 알 지 못한다. 수신측으로부터 이미지 태그에 의해 송신측 서버로 접속 요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신측은 상기 접속 요청을 분석함으로써 수신측에서 해당 메일이 개봉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단계(503)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메일 식별자(또는 메일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메일 서버가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메일 식별자를 식별하여 그에 대응하는 메일을 발송 실패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실패 응답은 상기 메일이 수신자의 메일 주소로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예를 들면 수신거부 또는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인 경우 수신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실패 메시지(예를 들면, "FAIL")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식별하여 해당 메일에 대해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전자 메일 서버가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한 후에, 수신거부 등의 이유로 마임 메시지 헤더가 포함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메일 서버는 수신자가 메일을 읽었는지 또는 읽지 않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어떤 메일에 대한 발송이 성공하였는지 또는 발송이 실패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6을 참조하여 메일 전달 실패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일 전달 실패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601)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메일 전달 실패 유형 및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미리 저장한다.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은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 수신거부, 수신자 주소 불명확 등이 될 수 있다.
메일의 발송이 실패한 경우에는 메일 발신자의 수신 메일함으로 메일 전달 실패 메일(Returned Mail)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은 메일 전달이 실패한 이유, 예를 들면 수신자 메일함의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 수신거부, 수신자 주소 불명확, 외부 메일 서버의 접속 거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 또한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 수신거부, 수신자 주소 불명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형에 대응하는 메 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은 발송한 메일 서버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메일 서버에서 발송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공통된 패턴을 찾아 각각의 메일 전달 실패 유형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자의 수신 메일함의 용량이 초과되어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이 발신자로 전송된 경우에는 서로 다른 메일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들은 서로 형식은 다르지만 대부분 "full"이란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내용 중 "full"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경우에는 수신 메일함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의 메일 실패로 판단하여, 발송 메일의 상태를 발송 실패 상태이면서 좀 더 상세하게 용량 초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수신하면,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과 비교한다.
단계(603)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유형의 정보를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버는 메일 발송이 실패하는 경우 메일 발송이 실패한 정확한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과 비교 결과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의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과 연관된 메일 상태를 " 발송 실패 - 수신자 메일함의 용량초과"라고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전자 메일 서버의 도메인과 동일한 경우의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계(701)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일의 발송 후에 상기 메일은 소정의 수신확인 메일함에 저장되고,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은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에 포함된 메일의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음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상기 메일 식별자는 상기 메일과 연관된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상기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같은 경우, 상기 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메일박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의 메일 주소가 "coolguy@navor.com"이고,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coolgirl@navor.com"인 경우 전자 메일 서버는 수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메일을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704)에서 전자 메일 서버는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의 저장이 성공하면, 상기 메일 식별자로부터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읽지 않음 상 태는 수신자의 메일 주소로 메일이 전송된 후 수신자가 메일을 읽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의 저장이 오류발생, 용량초과, 수신거부 등의 이유로 실패하면, 상기 메일 식별자로부터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전자 메일 서버의 도메인과 동일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앞에서 설명하였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외부 메일 서버에 속하는 경우의 실시예 중 설명되었던 구체적인 구성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 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의 전송 시 상기 메일의 전송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상기 메일의 발신자에게 제공됨으로써, 메일 발송자가 자신이 송신한 메일의 현재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수신자의 메일 개봉 정도만 발신자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이 발송되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된 상태인지 아니면 아직도 송신측 메일 서버에서 처리 중인 상태인지를 메일의 발송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 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되었지만 아직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와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 전달되고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한 상태를 구분하여 메일의 발송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의 발송자는 수신자가 단지 "읽지 않음" 상태에 있다는 정도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이러한 "읽지 않음" 상태가 메일이 외부 메일 서버에까지 전달되었지만 아직 수신자가 메일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인지 또는 메일이 아직 외부 메일 서버에 전달되지 않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경우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의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로 발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일의 발송 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종래의 메일 서버와 연결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송측 메일 서버의 간단한 수정만으로 발송 메일의 상태를 보다 상세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메일 서버들과의 상호 동작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메일의 발신함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메일의 현재 상태를 표시해 줌으로써, 메일의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중 어느 메일이 발송 실패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메일의 발신자가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일일이 확인하여 어느 메일이 전송 실패 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자신이 발송한 메일들 중 어느 메일이 발송 실패되었는지를 용이 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전송이 실패한 메일의 보다 상세한 이유를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신자가 일일이 전송 실패 확인 메일을 분석하지 않아도 전송 실패의 이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텍스트 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메일의 전송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전자 메일 서버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메일 생성부;
    상기 메일의 수신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수신측 메일 서버로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메일 발송부;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상기 메일의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는 메일 수신부;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는 송신 메일 식별부;
    상기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하는 메일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생성부는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수신부는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 메일 식별부는 상기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메일 상태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의 메일을 검색하여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상태 표시부는,
    메일 전달 실패 유형 및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저장하고,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수신하면,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유형의 정보를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 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서버는 웹 메일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을 웹 페이지에 표시할 때, 송신된 메일들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음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버.
  7. 전자 메일 서버에서 전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 및 상기 발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고,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는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서버에서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메일의 사용자 식별자 및 메일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전자 메일 서버에서 전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 성공 응답을 수신하면, 메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성공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을 식별하고,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는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발송 후에 상기 메일은 소정의 수신확인 메일함에 저장되고,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은 상기 수신확인 메일함에 포함된 메일의 각각에 대하여 발송중 상태, 읽지 않음 상태, 읽음 상태 및 발송 실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서버에서 수신 실패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실패 응답에 대응하는 송신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메일 전달 실패 유형 및 상기 메일 전달 실패 유형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수신하면,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을 상기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을 식별하면, 상기 식별된 메일 전달 실패 메일의 패턴에 대응한 메일 전달 실패 유형의 정보를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실패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상기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상기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같은 경우, 상기 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의 저장이 성공하면, 상기 메일 식별자로부터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 성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켜 수신측 메일 서버에 상기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일의 메일 바디에 수신 확인용 HTML 이미지 태그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확인용 HTML 이미지 태그에 의한 이미지 접근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 접근 요청에 대응한 송신 메일을 식별하여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음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전자 메일 서버에서 전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메일의 수신자의 메일 주소가 상기 전자 메일 서버와 도메인이 같은 경우, 상기 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의 우편함에의 저장이 성공하면, 상기 메일 식별자로부터 송신 메일을 식별하고, 상기 발신자의 우편함에 상기 송신 메일에 대응하여 읽지 않음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일의 발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메일에 대응하여 발송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메일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메일의 메일 식별자는 사용자 지정 가능 메일 헤더 필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내지 제20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019468A 2005-03-09 2005-03-09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9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468A KR100699780B1 (ko) 2005-03-09 2005-03-09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468A KR100699780B1 (ko) 2005-03-09 2005-03-09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138A KR20060098138A (ko) 2006-09-18
KR100699780B1 true KR100699780B1 (ko) 2007-03-27

Family

ID=3762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468A KR100699780B1 (ko) 2005-03-09 2005-03-09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15A (ko) 2022-01-18 2023-07-25 정재윤 전자메일 오발송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9044B2 (en) * 2006-12-0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Formatted message processing utilizing a message map
CN117294670B (zh) * 2023-11-17 2024-04-05 麒麟软件有限公司 一种邮件追溯和撤回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639A (ko) * 1997-12-26 1999-07-15 서정욱 인터넷상에서의 전자우편 자동 수신 상태 확인방법
KR19990064656A (ko) * 1999-04-24 1999-08-05 최우진 이-메일의 '보낸편지확인' 기능을 갖춘 등기 메일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639A (ko) * 1997-12-26 1999-07-15 서정욱 인터넷상에서의 전자우편 자동 수신 상태 확인방법
KR19990064656A (ko) * 1999-04-24 1999-08-05 최우진 이-메일의 '보낸편지확인' 기능을 갖춘 등기 메일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15A (ko) 2022-01-18 2023-07-25 정재윤 전자메일 오발송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138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089B2 (en) Interactive physical mail content management
US8239473B2 (en) Security classification of e-mail in a web e-mail access client
JP6242796B2 (ja) メッセージの分類と管理
US20030110227A1 (en) Real time streaming media communication system
US7945629B2 (en) Active removal of e-mail recipient from replies and subsequent threads
US20080040243A1 (en) Notification of mail deliveries in remote post office mailboxes
US8935337B2 (en) Proactive notification of availability status in email communication systems
US20020091772A1 (en) Method for correlating an electronic mail message with related messages
US20100146058A1 (en) Method for Providing a Meeting Scheduling Service
US8832206B2 (en) Email recipient behavior tracking
JP2007528686A (ja) 迷惑メール遮断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081816A1 (en) Electronic message management system
US8140628B2 (en) Enforcing conformance in email content
US9299063B2 (en) Receiver side indication of preview content for template emails
KR100699780B1 (ko) 메일 발송 상태 확인을 지원하는 전자 메일 서버 및 전자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8234437A (ja) 電子メール誤送信防止装置、電子メール誤送信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63596B1 (ja) プログラム
JP2002091874A (ja) 電子メール代理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453936B1 (ko) 다중수신 확인이 가능한 전자우편시스템 및 이의 방법
AU201421597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essage classification of web email
JP2006197252A (ja) 電子メールトレースシステム
WO2016051239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email messages containing cited text
JP2007013229A (ja) 電子メール受渡しネットワーク
KR20140066526A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보낸 메일에 대한 수신 확인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40034659A (ko) 전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