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171B1 -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171B1
KR100699171B1 KR1020060116083A KR20060116083A KR100699171B1 KR 100699171 B1 KR100699171 B1 KR 100699171B1 KR 1020060116083 A KR1020060116083 A KR 1020060116083A KR 20060116083 A KR20060116083 A KR 20060116083A KR 100699171 B1 KR100699171 B1 KR 10069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tained
water
pip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786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10918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120551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06012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786A/ko
Priority to PCT/KR2007/0011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1114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빌딩, 학교,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 인공어초 또는 어도 등의 구조물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함은 물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건축물, 물고기집, 어도 등의 내부에 파이프, 블록,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부에 물, 흙, 기타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물질 등을 포함한 흙 혼합물을 수회 주입, 배출해주는 것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흙 혼합물을 수회 주입,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공간부를 메워주게 되므로 그 자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멘트 독성 제거 또는 중화과정에서 물 또는 흙 혼합물을 교반시키게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물 또는 흙 혼합물 사이의 물질교환 작용을 강제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고, 또 물 또는 흙 혼합물을 가열하게 되므로 빨래를 삶는 것과 같이 삼투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 신축시 사용된 창틀 및 창문, 기타 자재속에 함유된 유해독소 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으며, 이후 냉각과정을 거치면서 냉각부위 근처에 있는 물 또는 흙 혼합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있게 되고 다른 부위의 물 또는 흙 혼합물의 일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있게 되므로 대류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 및 그 구성재료와 물 또는 흙 혼합물의 접촉이 더욱 활발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독성이 보다 원활하게 제거 또는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외측에 밀폐용기, 주머니, 패널 등을 수밀성있게 덧대고 그 내측으로 순수한 물이나, 물, 흙, 기타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 흙 혼합물 등을 순차 수회 주입, 배출해주는 것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과 물 또는 흙 혼합물이 직접 접촉되는 과정에서 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물, 물고기집, 어도, 독성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Method to construct buildings using method to counteract or remove virulence in concrete structures or buildings and that srructing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일 실시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건축물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벽돌의 단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이 이루어진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한 건축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건축물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벽돌의 단면도.
도 8은 도 7과 같이 이루어진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한 건축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는 일 실시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실시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는 다른 실시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이 채워진 상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공기, 물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상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투입 완료한 상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프로펠러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냉각기 또는 히터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 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우고 마감한 상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록의 일 실시예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평단면도.
도 24는 도 22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평단면도.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축물의 바닥에 온돌패널을 시공한 상태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골조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낸 상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내고 그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운 상태 정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내고 그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운 상태 평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어도의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어도를 제작할 때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어도를 제작할 때 파이프를 빼낸 상태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에 블록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44는 도 43의 시공완료상태 단면도.
도 45는 도 43에 적용되는 블록의 조적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46은 도 43에 적용되는 블록의 조적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에 블록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48은 도 47의 시공완료상태 단면도.
도 49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예시도.
도 49b는 도 49a에 따른 블록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
도 50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예시도.
도 50b는 도 50a에 따른 블록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
도 51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예시도.
도 51b는 도 51a와 쌍을 이루도록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
도 52는 도 51a와 도 51b에 따른 각 블록의 조적상태 사시도.
도 53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예시도.
도 53b는 도 53a와 쌍을 이루도록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
도 54는 도 52a와 도 52b에 따른 각 블록의 조적상태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건축물의 평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 평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거푸 집을 제거한 상태 평단면도.
도 58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 정단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을 제거한 후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충전하여 시공하는 상태 단면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시공 완료한 건축물의 정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3은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6은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내부구조 단면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내부기둥의 단면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2 : 포장지 1',76 : 박리제 2,2', 77,11 : 파이프
3,56 : 삽입부재 4 : 벽돌 5,22 : 통공
6 : 건축물의 벽체 7 : 바닥 8 : 물 또는 액체
9 : 홈 21,55 : 콘크리트 몰탈 22,114 : 통공구
33,124 : 거푸집 58,115: 흙 혼합물 78,778 : 공간부
79 : 결합 부재 88 : 액체 유입구 98 : 액체 공급통
99 : 압축펌프 99' : 공기펌프 111,221,888,889 : 블록
112,113,116,117,885 : 요철홈 118 : 칸막이
121 : 물고기집 211,441 : 히터 211',441' : 냉각기
222 : 패널 222' : 밀폐 용기 223 : 고정부재
224,773 : 유입관 225,557 : 배출관 227 : 용액
228,556 : 배출밸브 229 : 주머니 233 : 용액 받침대
331 : 교반기 333 : 프로펠러축 334 : 프로펠러
335 : 지수 밴드 338 : 내부 거푸집 442 : 전원
445 : 결속선 446 : 고임목 447 : 이음밴드
448 : 철근 551 : 마감재 555 : 액체펌프
558 : 용적감소용 블록 600 : 유출관 601 : 유출밸브
771 : 용기 772 : 히터 또는 버너 774 : 유입밸브
777 : 건축물 778 : 분사기 800 : 지하철 역사
801 : 출입구 810 : 지하철통로 820 : 기둥
880 : 걸림턱 887 : 걸림돌기 991 : 어도
996 : 난방 파이프 998 : 온돌패널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빌딩, 학교,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 인공어초 또는 어도 등의 구조물을 축조할 때 인위적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여기에 물, 방향 또는 중화특성을 갖는 액상물질, 흙 혼합물 등을 충전해줌으로써 각 구조물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함은 물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로는 가장 흔하게 주택, 빌딩, 학교,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이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 이외에도 인공어초, 옹벽블록, 어도 등 다양한 형태로 축조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되는 시멘트로부터 지속적으로 라돈,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독성 물질이 발산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또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독성을 제거시켜주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 제10-0557007호가 있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 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수시로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판을 세척하여 주어야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결점이 있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영구히 사용하지 못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광촉매 코팅을 건물 벽체에 도포하여주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들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공기 속에 섞여 있는 수분이 응축되는 현상, 즉 결로현상에 의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이 외부로 발산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막아줄 수는 없어 유해물질들을 원천적으로 제거시켜 주지 못하는 중대한 결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물고기집들은 콘크리트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지 않고 그대로 바다에 투입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으로 인하여 바다의 수질을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바다에 서식하는 해조류 등이 일정기간 동안 물고기집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물고기가 서식할 수 없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을 순수하게 목재로만 구성하는 경우에도 그 내부에는 수많은 독성물질이 존재하고,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속에도 수많은 독성물질이 존재하지만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몰탈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때 파이프, 블록, 거푸집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간에 인위적인 통공구를 형성하고, 이 통공구에 흙 혼합물을 투입해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구성요소인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콘크리트 또는 목재 또는 블록을 통해 축조된 건축물을 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각 구성재료속에 함유된 독성물질을 외부로 배출해줌으로써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 및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재료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주고, 다시 신선한 공기 또는 증기성분을 재투입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 제거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건축물, 인공어초, 물고기집, 어도 등을 축조할 때 파이프, 블록, 거푸집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독성제거물질 또는 중화물질을 투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재료인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일 실시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건축물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벽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이 이루어진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한 건축물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건축물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파이프 조립체가 적용된 벽돌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과 같이 이루어진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한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등을 콘크리트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할 때 그 내측에 인위적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몰탈(21)에 의해 제조된 벽돌(4)에 인위적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조립체의 제 1파이프(2)에는 내외부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5)이 형성되며, 제 1파이프(2)의 내부에는 솜, 섬유사, 화학섬유사, 숯·모래·흙과 같은 광물성 물질 또는 식물성 부재를 분쇄한 분쇄물, 펄프 슬러지 등의 함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3)가 충전되고, 제 1파이프(2)의 외부에는 부직포, 천 또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포장지(1)가 감싸지며, 제 1파이프(2)와 마찬가지로 내외부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된 제 2파이프(11)는 적어도 그 내경이 제 1파이프(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포장지(1)가 싸여진 제 1파이프(2)의 외부에 끼워져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파이프(2)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의 중앙에 물 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유입구(88)가 구성되도록 삽입부재를 사출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제 1파이프(2) 내부에 충전하여 줄 수도 있으며, 제 2파이프(11)의 외부에 포장지(32)를 더 감아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삽입부재(3)는 헝겊, 천, 종이, 여러 가닥의 실로 구성되는 섬유사, 모래, 석분, 흙과 같은 광물성 부재 또는 숯, 국화, 국화 대공과 같은 식물성 부재들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경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파이프 조립체들을 실제 적용할 때에는 먼저, 파이프 조립체를 철근 골조(미도시)와 거푸집(33)의 사이사이에 설치하고, 제 1파이프(2)의 일단부를 밀봉하여 준 상태에서 타단에 위치한 유입구를 통해 순수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8)를 함수성을 갖는 삽입부재(3)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정도로 약간 량만을 유입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게 되며, 콘크리트 몰탈(21)의 타설이 완료된 후 10시간 이상이 경과한 다음 파이프 조립체의 제 1파이프(2) 타단에 위치한 유입구를 통해 순수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8)들을 제 1파이프(2)의 내부에 5~50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3회 이상 반복적으로 유입시켜주게 되는바, 유입되는 액체(8)들은 제 1파이프(2)와 제 2파이프(11)에 구성되어 있는 통공(5)(22)과 각 파이프(2)(11)를 감싸고 있는 포장지(1)(32)를 통하여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는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에 흡수됨과 동시에 액체(8)들이 자연적으로 발휘하는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들이 중화되거나 순화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 1파이프(2)의 유입구를 통해 순수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8)들을 주입할 때에는 소형의 호스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해야만 하며, 그 이유는 물 또는 액체(8)가 통공(5)(22)의 내부에 정체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빠져나온 독성성분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독성성분의 추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순수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8)는 상온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독성성분을 활성화하여 보다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물 또는 액체(8)를 가열하여 온수 상태로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파이프(2)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에 물 또는 액체(8)를 유입시켜주는 이유는 한번 수분을 흡수한 재료들은 더 이상의 수분을 추가적으로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며, 따라서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더라도 콘크리트 몰탈(21)의 수분 변화가 전혀 없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나중에 물 또는 액체(8)를 추가적으로 3회 이상 반복적으로 유입시켜주게 되면 이러한 물 또는 액체들이 삽입부재(3)에 흡수되지 않고 콘크리트 몰탈(21)의 내부로 흡수되거나, 삼투압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21) 내부의 물질과 물질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콘크리트 몰탈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들이 중화되거나 순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콘크리트 몰탈(21)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순차적인 물 또는 액체(8)의 유입과정을 마치고 난 상태에서 제 1파이프(2) 내부에 물 30~60wt%정도와 흙 40~70wt% 정도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미도시)을 2~6회 정도 채워 제 1파이프(2)의 내부, 제 1파이프(2)의 통공(5), 제 2파이프(11)의 통공(22)을 흙 혼합물로 완전히 메워주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건축물 자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고, 또 건축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미량의 유해물질들도 지속적으로 흙 혼합물(58)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제거 또는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립체는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을 통한 건축물의 축조 이외에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한 벽돌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콘크리트 몰탈(21)을 사용하여 벽돌(4)을 제작할 때 벽돌(4)의 일측에 홈(9)이 형성되게 한 후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조립체를 홈(9)에 안치하면 도 3 또는 도 7과 같은 형상이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 1파이프(2)의 일단부를 막고 타단부의 유입구를 통해 물 또는 액체(8)를 삽입부재(3)가 수분을 함유할 정도로 유입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21)을 홈(9)에 채워넣고 양생시킨 후 도 4 또는 도 8과 같이 건축물을 축조하고, 상기와 같이 물 또는 액체(8)를 3회 이상 시간을 두고 주입한 후 물과 흙 을 혼합한 흙 혼합물(5)을 파이프 조립체에 채워넣어 마감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콘크리트 몰탈(21)을 통해 건축물을 축조할 때 그 내부에 파이프 조립체를 통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효능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파이프 조립체에 채워지는 물 또는 액체(8)에 의해 건축물의 주 재료인 시멘트의 독성이 많은 부분 제거 또는 중화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채워지는 흙 혼합물에 의해 건축물 자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고, 또 건축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미량의 유해물질들도 지속적으로 흙 혼합물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제거 또는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각 파이프(2)(11)의 재료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파이프(2)(11)의 모양 또한 어느 한 가지 모양이나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파이프(2)(11)의 외부를 감싸주는 포장지(1)(32)의 재료 또한 수분을 통한 물질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재료이든 사용하여 다양하게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한 가지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포장지(1)(32)를 통해 파이프(2)(11)를 감싸는 횟수는 1회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수회 또는 10회 이상으로 감싸 줄 수가 있는 것이므로 파이프(2)(11)의 외부를 감싸주는 횟수를 설계 변경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2)(11)의 외부를 감싸주는 포장지(1)(32)의 재료를 외부에서는 내부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지만 내부에서는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도록 구비되어 있 는 발수천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주는 물질은 맥반석, 제오라이트와 같은 세라믹 물질의 분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와 같은 기능성을 갖는 화학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종류 및 혼합비율에는 구애받지 않으나, 물과 혼합이 가능할 정도로 분말상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자명하며, 이러한 다양한 분말상 또는 액상의 물질들을 다양하게 조합하거나 제조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할 때에 사용하는 액체(8)의 성질과 성분들을 달리하여 구성한 것 모두가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은 물론 이를 모방하는 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2)(11)의 외부를 포장지(1)(32)로 감싸주는 기술들 역시 얼마든지 응용변형이 가능한 것이므로 파이프(2)(11)의 외부를 감싸줄 때 사용하는 포장지(1)(32)의 재료를 변경하거나 감싸주는 기술들을 변경하여 사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2)(11)에 구성되는 통공(5)(22)의 숫자를 많게 하거나 적게 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며, 통공(5)(22)의 모양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벽돌(4)의 형상 역시 다양한 구조로 변경 구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벽돌의 형상을 변경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배열위치와 배열순서와 배열개수를 더하거나 늘려 주어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과정에서 사용된 제 1파이프(2)와 제 2파이프(11)의 내부에 액체와 혼합된 광물성물질을 유입시켜주어 제 1파이프(2)와 제2 파이프(11)의 내부를 완전히 메워 주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거나 응용하여 조제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상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는 일 실시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실시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는 다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립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에 통공(5)을 형성하고, 파이프(2')의 외부에 스펀지, 부직포, 종이 또는 천 등의 함수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포장지(1)를 1차로 1겹 또는 3겹 이상 감아주며, 파이프(2')의 외부에 감겨 있는 포장지(1)의 표면에 윤활성 유제로 구성되어 있는 박리제(1')를 도포하고, 박리제(1')가 도포된 포장지(1)의 상단에 상기의 포장지(1)와 동일한 포장지(1)를 또다시 감아주며, 파이프(2')의 외부에 감겨진 포장지(1)의 표면외부에 물 20~50wt%, 시멘트 50~80wt%, 모래 20~30wt%로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 몰탈(55)을 두께 3~20mm 정도로 덧대어 접착시켜주고, 파이프(2')의 외부에 감싸져 있는 포장지(1)에 콘크리트 몰탈(55)이 접착될 수 있도록 파이프(2')를 건조 양생시키게 된다.
건조양생이 완료된 파이프 조립체의 파이프(2') 내부에 파이프(2')의 형상 유지를 위하여 고무, 철재, 플라스틱 수지, 목재로 된 막대 또는 고무, 비닐,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공기튜브 형태의 삽입부재(56)를 삽입하고, 이러한 파이프 조립체를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등을 축조하기 위한 철근 골조(미도시)의 사이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치하여 철근 골조와 파이프 조립체를 결합하여주게 되는데, 파이프(2')의 길이는 한계가 있으므로 파이프 조립체를 구성할 때 여러개의 파이프(2')를 이음소켓(87)을 이용하여 이어주게 된다.
이후, 파이프 조립체가 고정된 철근 골조의 외부에 거푸집(33)을 결합하고, 결합이 완료된 거푸집(33)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한 후 양생하여 건축물의 골 조를 완성하게 되며, 건축물의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 조립체로부터 삽입부재(56)를 빼내고, 파이프(2')의 일단부에 연결소켓(77)을 이용하여 압축펌프(99)를 연결하며, 압축펌프(99)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물,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들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조합한 액체가 담긴 액체 공급통(98)을 연결하고, 압축펌프(99)를 가동하여 건축물에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2')의 내부에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시켜주도록 조합되어 있는 액체를 약 5 ~ 24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3회 이상 반복하여 주입하여 액체가 파이프(2')의 통공(5)과 포장지(1)를 통과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흡수되도록 한다.
이때, 파이프(2')의 내부에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를 주입할 때에는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해야만 하며, 그 이유는 물 또는 액체가 통공(5)의 내부에 정체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빠져나온 독성성분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독성성분의 추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는 상온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독성성분을 활성화하여 보다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물 또는 액체를 가열하여 온수 상태로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파이프(2')로부터 압축펌프(99)를 떼어내고 물 또는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공기만을 이용하여 가동되는 공기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2 ~ 20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해줌으로써 파이프(2') 내부에 남아 있던 미량의 액체들이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공기펌프를 가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유해 성분들을 청소하여 주게 되며, 공기주입이 끝난 후에는 파이프(2')로부터 공기펌프를 분리하고 그 입구를 밀봉해줌으로써 파이프에 채워져 있는 공기에 의해 건축물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단열성을 높여 줌과 동시에 물리적인 또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과정에 사용되는 압축펌프(99), 액체, 공기펌프, 파이프(2'), 파이프(2')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6), 파이프(2')의 외부를 감싸주는 포장지(1) 등의 부재들은 그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재료이든 모두 적용하여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들의 재료들을 변경하거나 변형하여 구성한 설계변경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압축펌프 또는 공기펌프의 가동시간을 임의적으로 늘리거나 줄여줄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압축펌프를 이용하지 않고 채수펌프에서 나오는 물 또는 사람이 인위 적으로 공급하는 자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2')의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달성 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주요 구성요소인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기둥, 계단에 구성되는 통공구, 또는 건축물을 구성할 때에 사용하는 조립식 패널에 구성되는 통공구, 또는 블록에 구성되는 통공구의 상단 또는 일측 부분에 펌프를 설치하여 펌프에서 공급하는 공기 또는 액체들이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들을 제거하여 주거나 순화되도록 하는 물리적인 작용이 발생하도록 펌프를 가동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내부에 파이프 조립체를 구성한 후 여기에 주입되는 내용물 또는 내용물의 주입방법에 변화를 주어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보다 양호하게 제거 또는 중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축조를 위한 철근 골조에 파이프 조립체를 고정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한 후 5 ~ 4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벽돌의 조적을 완료한 후 5 ~ 5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 한 후 파이프 조립체의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물 10 ~ 60wt%, 흙 40 ~ 90wt%, 숯 5 ~ 20wt%비율로 혼합한 흙 혼합물을 투입하고, 흙 혼합물을 파이프(2 또는 2') 내부에 투입한 후 1 ~ 10시간 이상 경과한 상태에서 또다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을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2차 투입하며,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흙 혼합물을 2차 투입한 후 1 ~ 10시간 정도 이상의 시간이 흐른 후 물 5 ~ 20wt%, 흙 95 ~ 80wt%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파이프(2 또는 2')의 입구를 밀봉해 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몰탈 또는 벽돌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건축물의 내부에 흙 혼합물을 투입하는 방법과 흙 혼합물을 이루는 재료들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방법을 변경 응용하여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건축물 신축하는 공법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흙 혼합물을 혼합하는 비율들은 얼마든지 변형하여 그 비율을 달리하여 흙 혼합물을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흙과 혼합할 수 있는 재료들은 그 기능성만 동등하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물질이든 적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4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이 채워진 상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공기, 물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상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투입 완료한 상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프로펠러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냉각기 또는 히터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우고 마감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의 내부에 공간부(78)를 구성해 주기 위하여 천, 종이, 부직포, 윤활성 유제로 구성되는 박리제(76)를 파이프(77)의 외부에 부착하거나 도포하고, 박리제(76)에 감싸져 있는 파이프(77)를 H빔 또는 철근 등으로 구성되는 철근 골조(미도시)의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결합하며, 거푸집(33)을 파이프(77)와 철근 골조의 외부에 결합한 후 거푸집(33)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콘크리트 몰탈(21)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5 ~ 5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21)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파이프(77)를 빼내어 이 파이프(77) 자 리에 자연스럽게 공간부(78)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공간부(78)의 상부에 받침대(332)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교반기(331)를 설치하면서 이와 연결된 프로펠러축(333)과 프로펠러(334)가 공간부(78)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며, 공간부(78)에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순화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조합되어 있는 액체를 5 ~ 50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주입하고, 상기의 시간동안 교반기(331)를 가동하여 프로펠러(334)를 회전시켜주어 공간부(78)에 투입된 물 또는 액체와 콘크리트의 성분들 사이에서 물리 화학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강제 교반시켜주게 된다.
공간부(78)의 형성과정에서 공간부(78)의 하단부에는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공간부(78)와 통하도록 연결하게 되며, 공간부(78)의 상단부에 교반기(331)를 설치할 때 교반기(331)와 공간부(78)의 사이에 공기펌프(99')를 결합부재(79)를 통해 바람이 새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결해주게 된다.
이때, 공간부(78)에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를 주입할 때에는 소형의 호스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투입 하면서 배출밸브(228)를 열어주어 배출관(225)을 통해 배출해야만 하며, 그 이유는 물 또는 액체가 공간부(78)의 내부에 정체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빠져나온 독성성분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독성성분의 추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순수한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 성분이 함유된 액체는 상온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독성성분을 활성화하 여 보다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물 또는 액체를 가열하여 온수 상태로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교반과정을 마친 다음 공기펌프(99')를 1 ~ 20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하여 공기를 공간부(78)내부에 강제 주입해줌으로써 공간부(78) 내부를 건조시키게 되며, 상기 과정을 끝마친 후 공간부(78)에서 결합부재(79)와 공기펌프(99)를 분리하고, 흙 40 ~ 90wt%, 물 10 ~ 60wt%, 숯이나 식물성부재를 분쇄하여 가공한 부재, 또는 광물성 부재 1 ~ 10wt%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8)에 투입함과 동시에 교반기(331)를 가동하여 프로펠러(334)에 의해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 이러한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게 된다.
흙 혼합물(58)의 교반 후 공간부(78) 내측으로 전원(442)과 결합되어 있는 히터(441)를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60 ~ 100℃ 정도가 되도록 2 ~ 5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히터(441)를 가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다시 배출밸브(228)를 열어주어 흙 혼합물(58)을 배출관(225)을 통해 배출해주게 되고, 다시 공간부(78)에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재투입하며, 이번에는 전원(442)과 결합되어 있는 냉각기(441')를 투입하여 주게 되고, 교반기(331)를 가동하여 프로펠러(334)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냉각기(441')를 가동하여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0.5 ~ 5℃ 정도가 되도록 교반기(331)와 냉각기(441')를 1 ~ 5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하여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주어 흙 혼합물(58)을 다시 배 출관(225)을 통해 배출하고, 배출밸브(228)를 잠근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다시 공간부(78)에 채워준 후 교반기(331)를 가동하여 프로펠러(334)를 1 ~ 5시간 정도 회전시켜줌으로써 공간부(78)에 채워진 흙 혼합물(58)을 교반시키게 되며, 상기 과정을 마친 후 흙 혼합물(58)이 침전되도록 1 ~ 5시간 정도 안정화 시키고,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8)에 2 ~ 6회 정도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상승되는 높이만큼 교반기(331)를 서서히 높여주게 되며, 공간부(78)의 내부에 흙 혼합물(58)이 완전히 채워지는 순간 교반기(331)와 프로펠러(334)는 공간부(78)에서 제거되고, 이후 공간부(78)의 끝부분ㅇ에 마감재(551)를 메워줌으로써 지속적인 시멘트의 독성 제거 또는 중화의 작용을 수행하면서 건축물의 강성과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단열성을 높여주면서 동시에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순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펠러(334)를 통한 교반과정, 히터(441)를 통한 가열과정, 냉각기(441')를 통한 냉각과정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서도 같이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건축물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간부(78) 또는 벽돌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흙 혼합물(58)을 투입하여 주게 되면 흙과 혼합되어진 물들이 삼투작용에 의해 건축물 또는 벽돌에 자연적으로 흡수되면서 건축물과 벽돌의 주요 성분인 시멘트의 독성이 제거되거나 순화되는 작용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에서 주거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건축물 속에 구성되는 파이프(77)와 공간부(78)의 개수는 임의적으로 많게 하거나 줄여 주거나 또는 공간부(78)의 크기를 크게 하여 주거나 작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공간부(78)를 구성하기 위해 거푸집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이프(77)의 재료들은 그 성형성만 보장되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떻나 재료이든 사용할 수가 있으며, 파이프(77) 또는 공간부(78)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들의 모양을 변경하여 사용하거나, 파이프(77) 또는 공간부(78)에 투입되는 재료들의 비율을 더하거나 빼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 비율을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77)가 건축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파이프(77)의 형상을 나선형, 역삼각형, 원추형 삼각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또한 파이프(77)의 형상을 원형,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주름진 ☆ 별자리 형태 또는 파이프(77)를 2등분 또는 3등분하여 그 사이의 공간에 쐐기를 삽입하고 건축물의 내부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파이프(77)의 중간에 삽입되어 있는 쐐기를 빼낸 후 나머지 부분을 빼내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들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조립식 건축물의 내부에 통공구를 구성하여 주거나 그 공간에 흙 혼합물들을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통공구의 내부를 완전히 밀봉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거푸집(33)의 내부에 파이프(77)를 투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한 후 30분 ~ 3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파이프(77)를 2 ~ 6회 정도 회전시켜주거나 파이프(77)에 약간의 진동을 가하여 주게 되면 파이프(77)의 외부에 약간의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건축물로부터 파이프(77)를 용이하게 빼낼 수가 있는데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5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록의 일 실시예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평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정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평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블록의 시공상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콘크리트 몰탈을 사용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블록을 통해 건축물을 축조할 때 콘크리트 블록에서 생성되는 유해인자들을 원천적으로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블록의 내부에 구성된 공간부에 물, 흙, 숯을 혼합한 흙 혼합물을 채워주어 블록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시켜 줌과 동시에 단 열성이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적용되는 블록(111)은 도 22 내지 도 24와 같이 그 일단과 타단에 ⊂자 형태의 요철홈(11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자 형태로 요철홈(113)이 형성된다.
블록(111)의 일단과 타단과 상측단에 요철홈(112)(113)을 구성하여 주는 이유는 블록(111)을 조적할 때에 사용되는 조적용 몰탈에 의해 블록(111)과 블록(111)의 접착이 종래에 사용되오던 블록의 구조보다도 더욱 접착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는 블록(111)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신축할 때에 필요로 하는 곳에 순차적으로 조적하여 준 후 물 10 ~ 60wt%와 흙 40 ~ 90wt%, 그리고 물과 흙 전체 함량의 1 ~ 10wt% 정도의 비율로 숯을 추가적으로 투입한 재료들을 혼합기에 넣어 흙 혼합물(115)을 제조하며, 이를 블록(111)에 구성되는 통공구(114)에 채워주는 것이다.
블록(111)에 구성되는 통공구(114)의 내부에 빈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흙 혼합물(115)을 채워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먼저, 블록(111)의 조적을 완료한 후 5 ~ 2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블록(111)의 외부를 콘크리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미장처리 한 후 약 5 ~ 50시간 정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의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115)을 통공구(114)에 1차적으로 채워주며, 이후 5 ~ 1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흙 혼합물(115) 중 고체 성분은 앙금이 되어 블록(111)에 구성되어 있 는 통공구(114)의 내부에 일정한 두께로 가라앉고 물 또는 액체들은 블록(111) 밖으로 유출되거나 증발되며, 이와 동일한 과정을 2 ~ 4차례 이상 시간 공차를 두고 수행하여 블록(111)의 통공구(114)에 흙 혼합물(115)들을 완전히 채워주게 된다.
따라서, 블록(111) 내부에 흙 혼합물(115) 들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주택, 빌딩, 학교 또는 사무실의 벽체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블록(111)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블록(111)에 구성되는 통공구(114)에 흙 혼합물(115)을 투입하여 주게 되면 흙과 혼합되어진 물들이 자연적으로 발휘하는 삼투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어지는 블록(111)에 자연적으로 흡수되면서 블록(111)의 주요 성분인 시멘트의 독성이 제거되거나 순화되는 작용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에서 주거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블록(111)의 통공구(114)속에 조밀한 밀도로 채워진 흙 혼합물(115)에 의해 건축물의 강성 유지 및 단열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다른 실시예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건축물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블록(111)은 모든 구성이 도 22에 도시한 블록(111)과 동일하나, 블록(111)의 칸막이(118) 중앙 상하부에 ∪자 형태의 요철홈(116)(117)이 더 형성된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이 ∪자 형태의 요철홈(116)(117)을 구성하게 되면 블록(111)들을 조적한 후 통공구(114)에 흙 혼합물(115)을 채워줄 때 흙 혼합물(115)이 인접한 다른 통공구(114)측으로 골고루 흘러가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111)은 기존에 사용되오던 콘크리트 블록 또는 흙을 구운 블록들을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블록(111)의 중앙에 구성되는 요철홈(116)(117)의 구조는 그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흙을 구워 만든 블록을 조적할 때에 접착제용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몰탈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들이 자연적으로 제거되거나 순화되는 작용이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111)의 통공구(114) 내부에 채워지는 흙 혼합물(115)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그 비율을 더하거나 줄여서 혼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흙 혼합물들을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흙의 재료들은 마사토, 진흙, 황토 등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사용할 수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해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블록(111)에 구성되는 통공구(114)에 채워지는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 또는 화공약품이나 광물성 또는 식물성 재료들을 가공하여 사용 할 수가 있는 것이며, 식물성 재료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 또는 흙과 혼합되는 재료들을 광물성과 식물성 재료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6실시예]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싱와 같이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패널(6')의 제조시 그 거푸집 내부에 파이프 조립체를 투입하여 일체로 구성하여 파이프 조립체의 내부에 흙 혼합물을 채워 구성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와 같이 거푸집 내부에 파이프(77)를 투입한 후 후공정에서 파이프를 제거하여 그 자리에 자연스럽게 공간부(78)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공간부(78)에 흙 50 ~ 90wt%, 물 10 ~ 50wt%, 숯 또는 향기를 발생시키는 식물성부재 0.5 ~ 15wt정도를 추가적으로 혼합한 흙 혼합물들을 2~ 5회 정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6')을 구성해줌으로써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6')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시켜줌은 물론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6')에 구성되는 파이프 조립체 또는 공간부(78) 속에 조밀한 밀도로 채워진 흙 혼합물을 통해 건축물의 강성과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서 예시한 공법을 이용하여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6')을 제작하고,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축조방식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 역시 결국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자체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이고, 또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파이프 조립체 또 는 공간부가 구성되어 여기에 흙 혼합물이 채워져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공법에 사용되는 파이프(2,2',11,77)의 모양과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하거나 통공(5)(22)을 갖는 파이프(2,2',11)의 내부에 투입되어지는 삽입부재(3)(56)의 재료들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흙 혼합물들의 배합비율들은 필요에 따라 또는 장소에 따라 또는 재료의 성분 비율에 따라 또는 계절에 따라 그 비율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재료들과 흙 혼합물의 성분 비율을 명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설계변경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해 구성하는 조립식 건축패널의 내부에 빈 공간을 구성시켜준 상태에서 그 공간에 흙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들을 여러 번 주입하여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패널에 구성되는 빈 공간에 흙 혼합물들을 완전히 채워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조립식 건축물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신축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7실시예]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단면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단면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축물의 바닥에 온돌패널을 시공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37은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 설치전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 설치되는 섬유사, 플라스틱 망사, 또는 철망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는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벽체(6), 기둥, 계단, 천장 또는 바닥(7)의 외측면에 딱딱하거나 부드러운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덧대고, 이를 앵커볼트-너트와 같은 고정부재(223)를 통해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해주며, 이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이 공간에 물을 투입하거나, 숯, 국화, 허브, 솔잎, 향나무와 같이 향기를 발산시키는 향기발산부재들과 물, 흙을 혼합한 액체를 투입하거나,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물질들을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화학적인 용액이나 물질들 중에서 한가지 또는 복합적으로 선택된 물질을 투입하여 이들 용액(227)이나 물질들이 일으키는 삼투작용에 의해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구성 재료인 시멘트의 독성들이 자연적으로 제거되거나 중화 되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또는 블록이나 벽돌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계단, 기둥 등의 내외부에 석재, 철재, 합성수지, 비닐계통으로 구성되는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덧댄 후 그 사이사이에 앵커볼트-너트와 같은 고정부재(223)를 이용하여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가 건축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되, 건축물과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의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 록 지수고무와 같은 패킹부재(미도시)를 건축물과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의 틈새에 삽입하게 되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의 상단부에는 물 또는 용액(227)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224)을 연결하고,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의 하단부에는 물 또는 용액(227)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연결하며, 건축물과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 사이의 공간에는 물 또는 용액(227)의 온도를 높여줄 수 있는 히터(211) 또는 물 또는 액체(227)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기(211')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유입관(224)의 타측에는 물 또는 용액(227)을 펌핑해줄 수 있도록 액체 펌프(555)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패널(222)의 하단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그 외측 하부에 별도의 받침대(233)를 덧대어 물 또는 용액(227)을 모아줄 수도 있다.
이때,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가 건축물의 벽체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바닥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가 건축물의 벽체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의 사이 공간에 유입관(224)을 통해 물, 또는 광물성 물질, 화학적 물질, 식물성 물질들과 물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 또는 흙 10 ~ 30wt%, 물 70 ~ 90wt%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 등의 용액(227)을 투입하게 되며, 이 용액(227)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삼투압 현상에 의해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속에 자연스럽게 침투하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211)를 가동시켜주게 되면 용액(227)의 온도가 자연스럽게 올라가면서 건축물의 온도 또한 자연스럽게 상승되어 용액(227)이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삼투작용이 더욱더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콘크리트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이 더욱 빠른 시간내에 제거되거나 중화되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용액(227)의 온도를 높여 주면 온도가 높은 용액(227)이 건축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삼투작용이 더욱더 발생되는 현상은 가정집에서 때가 묻은 옷감을 솥에 넣고 삶으면 손쉽게 빨래가 이루어지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이다.
또한,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의 사이에 냉각기(211')를 넣고 냉각기(211')를 1 ~ 5시간 정도의 시간 동안 가동하게 되면 용액(227)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차가운 물질은 온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대류현상이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건축물의 내부로 상대적으로 차가운 온도의 용액(227)이 더욱 활발하게 침투하게 되어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이 더욱 빠른 속도로 제거되거나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용액(227)의 온도를 일정한 주기로 높여주었다가 낮추어주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이와 같이 용액(227)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변형시켜주게 되면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이 자연스럽게 제거되거나 중화되는 작용에 이루지는 것이다.
또한, 제 4실시예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프로펠러(334)와 같은 기구들을 이용하여 용액(227)을 교반시켜주어 용액(227)이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 내부에서 뭉쳐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수차례 실시하여 준 후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어 있던 용액(227)이 배출관(225)을 통해 완전히 배출된 후 건축물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던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제거해주면 되는 것이다.
만일,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는 용액(227)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서 예시한 흙 혼합물(58)로 이루어져 그 침전물이 건축물의 내외부에 부착된 상태에 있다면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만을 제거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여러 번 시행하여 도 32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온돌파이프(996)와 온돌패널(998) 또는 온돌패널(998)들의 사이사이의 틈새에 물과 혼합하거나 광물성 또는 식물성 혼합물과 일정비율의 흙 등을 혼합하여 만든 용액(227)의 침전물들이 완전히 채워지도록 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의 구성방법에 따라 구성되는 액체와 액체의 혼합물 또는 물질과 물질을 혼합하거나 조합하여 만든 혼합물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성 재료들과 액체와 고체로 구성되는 재료들을 물과 혼합하거나, 화학적 용액 또는 화학적인 물질들과 혼합하거나,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액체가 되었던 고체가 되었던 그 재료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재료 역시 성형성만 갖춘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그 어떠한 부재를 이용하여도 그 구성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그 재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로 구성되는 재료를 달리하여 구성한 방법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그 어떠한 재료들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변경하여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구성 재료들을 변형하여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건축물에 부착시키거나 접착시키는 방법들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방법을 어느 한 가지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고주파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접착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구성 방법을 완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기에 그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8실시예]
도 3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는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벽체(6)의 외측면에 목재로 된 고임목(446)를 끼워 목재, 석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 선택된 재료로 된 내장용 또는 외장용 패널(222)을 덧대어 고정하고, 이 패널(222)과 벽체(6)의 사이 공간에 물 30 ~ 60wt%와, 흙 40 ~ 70wt%를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서서히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에 함유된 수분과 벽체(6)를 이루는 구조물 사이의 밀도차이에 의한 삼투작용에 의해 벽체(6) 속으로 스며들어가 벽체(6)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자연적으로 중화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흙 혼합물(58)에 포함된 흙 성분은 벽체(6)와 패널(222) 사이의 공간에서 침전되고, 지속적인 흙 혼합물(58)의 주입으로 벽체(6)와 패널(222)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흙 성분으로 메워져 그 자체로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흙 혼합물(58)을 주입하는 장치 등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 또는 기타 일반적인 주입기기들을 사용하면 되므로 도시생략하였다.
또한, 흙 혼합물(5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과 흙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 숯, 국화, 허브, 솔잎, 향나무와 같이 향기를 발산시키는 미량의 향기발산부재들을 투입하거나,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물질들을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화학적인 용액이나 물질들 중에서 한가지 또는 복합적으로 선택된 물질을 투입하여 그 기능성을 강화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옥수수로부터 추출한 옥수수 전분을 흙 혼합물에 첨가하게 되면 전분성분으로 인해 흙 혼합물의 접착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에 포함된 시멘트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하는데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흙 혼합물(58)을 투입할 때에는 그 투입전에 미리 흙 혼합물(58)을 가열하여 50℃이상 뜨거운 온도가 된 상태에서 투입하여 주게 되면 빨래를 삶는 것 과 같이 분자와 분자의 사이가 느슨해져 독성성분의 제거 또는 중화에 더욱 유리해지게 된다.
또한, 흙 혼합물(58)을 투입한 후 별도의 히터 또는 냉각기를 흙 혼합물(58)에 삽입하여 흙 혼합물(58)을 가열 또는 냉각해줄 수도 있다.
물론,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6)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목재, 샌드위치 패널, 흙벽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와 같이 시공할 경우 건축물의 벽체(6)가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든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 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시공 자체만으로도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장재 또는 외장재의 시공까지 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적용되는 흙 혼합물(58)에 적용되는 흙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종류의 흙이든 적용가능하고, 미량의 첨가물들 역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성 재료들과 액체와 고체로 구성되는 재료들을 물과 혼합하거나, 화학적 용액 또는 화학적인 물질들과 혼합하거나,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액체가 되었던 고체가 되었던 그 재료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222)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재료 역시 성형성만 갖춘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그 어떠한 부재를 이용하여도 그 구성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그 재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222)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로 구성되는 재료를 달리하여 구성한 방법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그 어떠한 재료들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변경하여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구성 재료들을 변형하여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패널(222)을 건축물에 부착시키거나 접착시키는 방법들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방법을 어느 한 가지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고주파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접착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구성 방법을 완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기에 그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9실시예]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골조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사시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 단면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낸 상태 단면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내고 그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운 상태 정단면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제작시 파이프를 빼내고 그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채운 상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물고기집을 축조하는 것으로, 물고기집(121) 구성용 거푸집(124)의 내부에는 철근골조(미도시)의 사이사이에 박리제(76)가 도포되어 있는 파이프(77)가 고정된 상태에서 콘 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몰탈(21)의 타설이 완료된 후 2 ~ 8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21) 속에 있는 파이프(77)를 빼내어 그 자리에 자연스럽게 공간부(78)[77]를 형성하게 된다.
파이프(77)를 빼낸 후 5 ~ 20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공간부(78)의 내부에 물 40 ~ 80wt%, 흙 20 ~ 60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1차 투입하게 되며, 공간부(78)에 흙 혼합물(58)을 1차 투입하는 과정을 마친 후 약 1 ~ 10시간 정도가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2 ~ 6회 정도 순차 투입하여 물고기집(121)에 구성되어지는 공간부(78)의 내부를 100% 순수한 흙 혼합물(58)의 침전물로 채워주어 이러한 과정에서 물고기집(121)을 이루는 콘크리트 몰탈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게 되고, 순수한 흙 혼합물(58)의 침전물만으로 채워진 공간부(78)의 끝부분에 마감재(551)로 마감하여주면 물고기집(121)의 강성 및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물고기집의 형상은 인간이 구성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모두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그 모양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모양을 어느 한 가지 모양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원추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돔형 또는 삼각형 또는 원형 또는 장방형과 같은 형상을 모두 구성하여 줄 수가 있는 것이므로 모양을 달리 구성한 물고기집의 내부에 흙 혼합물을 투입하여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물고기집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구성하는 방법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물과 혼합되는 광물성 물질 또는 화학물질 또는 시멘트의 독성을 완화시켜주거나 제거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모든 물질 또는 물과 혼합되는 흙의 혼합 비율 등은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설계변경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0실시예]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어도의 단면도이고,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어도를 제작할 때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라 어도를 제작할 때 파이프를 빼낸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와 제 9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적용대상이 물고기 이동용 어도라는데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어도(99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박리제(76)가 도포되어 있는 파이프(77)를 철근골조에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한 후 3 ~ 8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어도(991)에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77)를 빼내어 공간부(78)를 형성하며, 공간부(78)에 흙 50 ~ 80wt%, 물 20 ~ 50wt%를 혼합한 흙 혼합물(58)을 1차 투입하고,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어도(991)에 구성되는 공간부(78)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2 ~ 5회 정도 순차 투입한 후 공간부(78)의 끝부분을 마감재(551)로 메워주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흙 혼합물(58)의 투입과 정에서 어도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켜줄 수 있고, 공간부(78)를 흙 혼합물(58)의 침전물로 채워줌으로써 강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적용된 어도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든 변형 가능하므로 그 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의 어도이든 본 발명과 같이 그 내부에 공간부(78)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충전하는 것이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1실시예]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에 블록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이고, 도 44는 도 43의 시공완료상태 단면도이며, 도 44은 도 43에 적용되는 블록의 조적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고, 도 45는 도 43에 적용되는 블록의 조적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건축물 축조시 건축물의 내부에 블록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이외의 다른 모든 것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진 블록(221)을 거푸집(미도시)의 내부에 몰탈 또는 지수밴드(335)를 이용하여 조적하여 주거나, 종이, 부직포, 천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밴드(447)를 이용하여 조적하여 주게 되며, 철근(448)과 철근(448)의 사이에 고임목(446)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결속선(445)을 이용하여 각 블록((221)을 철근(448)과 철근(448) 사이에 결합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블록(221)들을 안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안치된 블록(221)과 철근(448)의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공간부(778)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블록(221)의 안치시 블록(221)의 하단부에는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연결하고, 블록(221) 상단부에는 받침대(332)를 통해 교반기(331)를 설치하면서 이와 연결된 플로펠러(334)와 프로펠러축(333)이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며, 블록(221)과 교반기(331)의 사이공간을 통해 전원(442)과 연결된 히터(441) 또는 냉각기(441')를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게 한다.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이 완료되면 배출밸브(228)를 잠근 상태에서 블록(221)에 구성되어 지는 공간부(778)에 물 100wt%, 또는 흙 50 ~ 80wt%, 물 20 ~ 50wt%,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 20 ~ 50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투입하고, 블록(221)의 상단에 구성되는 교반기(331)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34)를 1 ~ 5시간 정도 회전시켜주어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며, 동시에 히터(441)의 전원(442)을 가동시켜주어 히터(44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 또는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80 ~ 100℃의 상태로 1 ~ 5시간 정도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후, 히터(441)를 빼내고, 냉각기(441')를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1 ~ 10℃ 정도가 되도록 냉각기(441')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주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던 흙 혼합물(58)을 배출하여 주고, 다시 배출밸브(228)를 잠그고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2차 투입하여주어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어느 정도 침전되었을 때에 또다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3 ~ 5차 투입하여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채워지도록 하며,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블록(221)에 구성되는 공간부(778)에 흙 혼합물(58)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주는 반복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100%를 이용하거나, 기온에 따라서 각 첨가물질의 비율을 달리하여 주어야 하며, 또한 콘크리트의 배합 비율에 따라서 그 투입비율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혼합되는 비율을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블록(221)을 구성하는 재료를 달리하거나 블록의 모양을 구성하는 형상은 인간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모양으로 블록의 형상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몰탈 속에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을 달리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액체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물질과 조합하 여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여 주거나 완화 되도록 혼합물을 만들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 가지 물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내부에 투입하여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 되도록 구성되는 어느 한 가지의 액체 또는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조합한 액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거나 완화시켜주도록 구성한 방법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2실시예]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에 블록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시공상태 단면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시공완료상태 단면도이며, 도 49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예시도이고, 도 49b는 도 49a에 따른 블록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이며, 도 50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예시도이고, 도 50b는 도 50a에 따른 블록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이며, 도 51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예시도이고, 도 51b는 도 51a와 쌍을 이루도록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이며, 도 52는 도 51a와 도 51b 에 따른 각 블록의 조적상태 사시도이고, 도 53a는 도 47에 적용되는 블록 중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예시도이며, 도 53b는 도 53a와 쌍을 이루도록 사각형이면서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부에 요철홈이 형성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54는 도 53a와 도 53b에 따른 각 블록의 조적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각 블록(888)(889)의 형상과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투입하는 방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즉,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걸림턱(880)이 형성된 제 1블록(888)과, 상기한 제 1블록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제 1블록(888)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887)가 형성된 제 2블록(889)을 거푸집(미도시)의 내부에 순차 조적하여 주고, 철근(448)과 철근(448)의 사이에 고임목(446)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결속선(445)을 이용하여 각 블록(888)(889)을 철근(448)과 철근(448) 사이에 결합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안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안치된 블록(888)(889)과 철근(448)의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공간부(778)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블록(888)(889)의 안치시 블록(888)(889)의 하단부에는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연결하고, 블록(888)(889) 상단부에는 받침대(332) 를 통해 교반기(331)를 설치하면서 이와 연결된 프로펠러(334)와 프로펠러축(333)이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며, 블록(888)(889)과 교반기(331)의 사이공간을 통해 전원(442)과 연결된 히터(441) 또는 냉각기(441')를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게 한다.
콘크리트 몰탈의 타설이 완료되면 배출밸브(228)를 잠근 상태에서 블록(888)(889)에 구성되어 지는 공간부(778)에 흙 55 ~ 75wt%, 물 25 ~ 45wt%,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 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 15 ~ 45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투입하고, 블록(888)(889)의 상단에 구성되는 교반기(331)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34)를 2 ~ 6시간 정도 회전시켜주어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며, 동시에 히터(441)의 전원(442)을 가동시켜주어 히터(44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 또는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60 ~ 100℃의 상태로 2 ~ 6시간 정도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후, 히터(441)를 빼내고, 냉각기(441')를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1 ~ 15℃ 정도가 되도록 냉각기(441')를 2 ~ 6시간 정도 가동하여주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던 흙 혼합물(58)을 배출하여 주고, 다시 배출밸브(228)를 잠그고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2차 투입하여주어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어느 정도 침전되었을 때에 또다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3 ~ 6차 투입하여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채워지도록 하며,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블록(221)에 구성되는 공간부(778)에 흙 혼합물(58)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주는 반복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100%를 이용하거나, 기온에 따라서 각 첨가물질의 비율을 달리하여 주어야 하며, 또한 콘크리트의 배합 비율에 따라서 그 투입비율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혼합되는 비율을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블록(221)을 구성하는 재료를 달리하거나 블록의 모양을 구성하는 형상은 인간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모양으로 블록의 형상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몰탈 속에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을 달리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액체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물질과 조합하여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하여 주거나 완화 되도록 혼합물을 만들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 가지 물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몰탈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내부에 투입하여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 되도록 구성되는 어느 한 가지의 액체 또는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조합한 액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거나 완화시켜주도록 구성한 방법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몰탈 속에 투입되는 삽입부재 또는 블록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들은 흙만을 이용하여 삽입부재 또는 블록의 구조를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재 또는 블록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시멘트와 혼합되는 재료들은 흙을 이용할 수도 있고, 옥수수 재료 또는 밀가루 또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식물성 재료 또는 펄프 슬러지를 이용한 재료 또는 식품을 만들고 남는 부산물의 재료들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블록을 구성하여 줄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을 이용한 당해 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9 및 도 50과 같이 제 1블록(888)의 상단부에 안쪽으로 "L"자 형상의 걸림턱(880)을 형성하고, 이와 쌍을 이루는 제 2블록(889)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L"자 형상의 걸림돌기(887)를 형성하게 되면 제 1블록(888)과 제 2블록(889)을 별도의 지수밴드(335) 필요없이 도 51과 같이 용이하게 순차 적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도 52와 도 53과 같이 제 1블록(888)의 상단부에 안쪽으로 "L"자 형상의 걸림턱(880)을 형성하면서 외부에 요철홈(885)을 형성하고, 이와 쌍을 이루는 제 2블록(889)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L"자 형상의 걸림돌기(887)를 형성 하면서 외부에 요철홈(885)을 형성하게 되면 도 54와 같이 제 1블록(888)과 제 2블록(889)을 별도의 지수밴드(335) 필요없이 용이하게 순차 적층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게 되면 콘크리트 몰탈이 이 요철홈(885)의 사이사이에 충전되어 건축물과 블록(888)(889)의 결합력이 매우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들의 구조는 상기한 것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그 모양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음으로 블록의 모양을 달리하여 구성한 이러한 설계 변경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3실시예]
도 5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건축물의 평단면도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 평단면도이며, 도 57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 평단면도이고, 도 58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 정단면도이며, 도 59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거푸집을 제거한 후 공간부에 흙 혼합물을 충전하여 시공하는 상태 단면도이고, 도 60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라 시공 완료한 건축물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는 건축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 기둥 등의 외부에 거푸집(33)을 구성한 후 그 내부에 공간부 구성용 내부거푸집(338)을 투입하 여 안치하고,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외부 거푸집(33)을 통과하여 내부 거푸집(338)과 통하도록 연결하며, 외부 거푸집(33)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고, 5 ~ 15시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여 양생이 끝난 콘크리트 몰탈(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거푸집(338)을 제거하여 그 자리에 공간부(778)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콘크리트 몰탈(2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거푸집(33)을 제거하고, 공간부(778)의 상단부에는 받침대(332)를 통해 교반기(331)를 설치하면서 이와 연결된 플로펠러(334)와 프로펠러축(333)이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며, 블록(221)과 교반기(331)의 사이공간을 통해 전원(442)과 연결된 히터(441) 또는 냉각기(441')를 공간부(778) 안쪽에 위치되게 한다.
배출관(225)에 구비된 배출밸브(228)를 잠근 상태에서 건축물에 구성되어있는 공간부(778)에 물을 주입해주고, 흙 42 ~ 73wt%, 물 27 ~ 58wt%, 식물성 재료를 분쇄하여 만든 식물성 부재 0.5 ~ 3wt%를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투입해주게 되며, 건축물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간부(778)의 상단에 결합된 교반기(331)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34) 1 ~ 4시간 정도 회전시켜주어 물 또는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고, 이와 동시에 히터(441)의 전원(442)를 가동시켜주어 히터(44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55 ~ 100℃의 상태가 되도록 1 ~ 7시간 정도의 시간동안 유지시켜준다.
히터(441)를 구동한 후에는 이를 제거하고 냉각기(441')를 투입하고,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0.5 ~ 10℃ 정도가 되도록 냉각기(441)를 1 ~ 5시간 정도 가동 하여주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는 물 또는 흙 혼합물(58)을 배출해주게 된다.
다시 배출밸브(228)를 잠그고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2차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어느 정도 침전 되었을 때에 또다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58)을 3 ~ 6차례 시간을 두고 순차 투입하여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공간부(778)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고, 그 끝부분을 마감재(551)로 메워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물 또는 흙 혼합물(58)을 주입해주는 과정, 흙 혼합물(58)을 교반해주는 과정, 흙 혼합물(58)을 가열해주는 과정, 흙 혼합물(58)을 냉각해주는 과정에서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공간부(778)에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채워지면 강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간부(778)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338)들의 모양과 형상의 변경 구성은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구성이 가능한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 변경은 당연히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4 실시예]
도 61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는 건축물의 벽체(6)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밀폐용기를 구성하여 보일러와 같은 강제 공급수단에 의해 물 또는 혼합물 을 벽체측으로 강제 공급해줌으로써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건축물의 벽체(6)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부와 통하는 다수의 유통구(601)를 형성하고, 공간부에는 건축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 액체, 흙 혼합물 또는 수증기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도록 금속이나 비닐 계통의 용기, 사각형 또는 장방형의 상자형태로 구성되는 용적감소용 블록(558)을 투입하게 되며, 건축물의 벽체(6) 외부에는 합성수지나 석유류 제품으로 구성되는 천막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밀폐 용기(222')를 덧댄 후 그 사이사이에는 밀폐 용기(222')를 고정하기 위한 앙카볼트와 같은 고정부재(223)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 사이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결합시켜주고, 밀폐 용기(222')의 상단부에는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수증기배출구(557)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일단부에는 물의 순환을 강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펌프와 같은 기구 또는 열을 발생시키는 작용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일러와 같은 열발생기구(600)를 연결하고, 열발생기구(600)와 밀폐 용기(222')의 사이에는 파이프와 같은 도관(559)을 이용하여 밀폐 용기(222')와 열발생기구(600)사이를 연결하며, 건축물의 벽체(6) 일단부 하단에는 물 또는 수증기 또는 액체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연결한다.
이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이용하 여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에 함유된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완화시켜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적용된다.
먼저, 건축물의 벽체(6) 내부와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물을 1차로 투입하고, 열을 발생시키면서 물의 순환을 강제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보일러와 같은 열발생기구(600)를 가동하여 물의 온도가 100℃ 정도가 되도록 열발생기구(600)를 2 ~ 8시간 정도 순환 가동시켜주며,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밀폐 용기(222')의 상부에 구성되는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해 2 ~ 8시간 정도 배출해주게 되고,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에 남아 있는 물을 배출관(225)을 통해 배출해주게 된다.
다시,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물을 2차로 채워주고, 열발생기구(600)를 가동하여 물의 온도가 100℃ 이상이 되도록 3 ~ 6시간 정도 가열한 후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하여 수증기를 3 ~ 6시간 정도 배출하여 주며,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에 남아있는 물을 다시 배출구(225)를 통해 배출해주게 된다.
이때, 밀폐 용기(222') 내부에서 수증기가 빠져나가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물이 점차 줄어들게 되므로 수증기가 빠져나간 만큼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해주어 보충해주게 되며, 이는 물이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정체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빠져나온 독성성분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배출밸브(228)를 잠근 후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의 내부 에 식물성 물질 또는 광물성 물질 또는 유기 물질 0.5 ~ 20wt%, 흙 10 ~ 30wt%, 물 70 ~ 95wt%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227)을 투입하며, 열을 발생시키면서 흙 혼합물(227)의 순환을 강제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보일러 펌프와 같은 열발생기구(600)를 흙 혼합물(227)의 온도가 100℃ 정도가 되도록 2 ~ 8시간 정도 가동해주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해 2 ~ 8시간 정도 배출해주게 된다.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건축물의 벽체(6)와 밀폐 용기(222')에 남아 있는 흙 혼합물(227)을 배출구(225)를 이용하여 배출하여준 후 건축물의 벽체(6) 외부에 설치된 밀폐 용기(222'), 수증기배출구(557), 건축물의 벽체(6)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용적 감소용 블록(558), 건축물의 벽체(6) 외부에 설치된 열발생기구(600), 건축물의 벽체(6)에 설치된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순차 제거하고, 건축물의 벽체(6) 내부에 남아있는 흙 혼합물(227)을 청소하여주면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에 사용되는 열발생기구(600)들은 시중에서 사용되는 보일러 또는 물의 순환을 하여주는 펌프와 결합되는 열 발생 장치들을 사용하면 얼마든지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열을 발생시키거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구와 액체 또는 물을 담도록 구비되는 용기 또는 건축물의 내부에 적층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주 입되는 물 또는 흙 혼합물의 양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용적 감소용 블록을 구성하는 방법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면 변경 구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 재료를 달리 구성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순화시키도록 구성하는 방법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밀폐 용기(222')와 건축물의 벽체(6) 내부 또는 벽체(6)의 내부에 구성되는 공간부에 소량의 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물을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열발생기구(600)를 가동하여 용기 또는 건축물의 벽체 내부 또는 벽체의 내부에 구성되는 통공구의 내부에 100℃ 정도의 뜨거운 열을 일정한 시간 이상동안 투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또한 당해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시행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5실시예]
도 62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777)의 내부에 건축물(777)의 내부 용적률이 감소되도록 요적 감소용 블록(558)을 적재하고, 건축물(777)의 내부에 용기(771)를 설치한 후 이러한 용기(771) 속에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 석유류 또는 상기 물질을 조합하거나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추출한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향기발생물질을 삽입하며, 건 축물(777)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과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과 수분 또는 향기발생부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해 작용되는 삼투작용에 의해 침투되어 있는 그 재료의 물질 속에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도록 히터 또는 버너(772)를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건축물(777)의 상부에는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을 설치하며, 건축물(777)의 하부에는 건축물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히터는 알콜을 연료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너 역시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건축물(777)의 외부 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건축물(777)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건축물(777)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과, 건축물(777) 내부에 삽입된 용기(771)에 담겨지는 향기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향기 발산성 수분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건축물(777)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의 상부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게 되는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마친 후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 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배출관(557)을 통해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과 동시에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3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하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들을 모두 개방한 후 건축물(777)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건축물의 외부로 강제 환기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콘크리트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 또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들과 광물성 재료들과 석유류에서 추출하는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 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6실시예]
도 63은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에 포함된 독성물질,또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수분 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는 방법에 신규한 구성 및 방법을 추가하여 보다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나 새로운 방법이 더 추가된 것이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777)의 내부에 건축물(777)의 내부 용적률이 감소되도록 용적 감소용 블록(558)을 적재하고, 건축물(777)의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용기(771)를 설치한 후 이러한 용기(771) 속에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 석유류 중에서 선택하여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조합하거나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추출한 물질 또는 상기 물질을 가공하여 만든 물질들로 이루어지는 재료 또는 상기 부재들로 구성되는 향기발생물질을 삽입하며, 건축물(777)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과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과 유해 물질 또는 유해물질들을 함유한 수분 또는 향기발생부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해 증발되는 증발작용과 삼투작용에 의해 침투되어 있거나 함유되어 있는 그 재료들의 내부에서 강제 이탈되어 나오도록 하는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히터 또는 버너(772)를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건축물(777)의 상부에는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을 설치하며, 건축물(777)의 하부에는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을 설치하고, 건축물(777)의 외부 상부에는 순수한 물이나,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광물성재료,또는 석유류 등을 이용하여 100% 비율로 만든 물질 또는 이들 재료들을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또는 이들 재료들과 100% 비율이 되도록 물과 혼합하여서 만든 액체(8) 또는 순수한 물만을 담아주는 액체 공급통(98)을 설치하며, 액체 공급통(98)과 건축물(777)의 표면 사이에는 액체 공급통(98)에 담긴 물 또는 액체(8)를 이송해주도록 유출밸브(601)를 갖는 다수의 유출관(60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히터는 알콜을 연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 지게 구성 할 수가 있으며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너 역시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은 어느 하나의 물질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물질들과 물의 함량 역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에서 예시하지는 않은 것이라도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인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또는 석유류를 함유한 성분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성분이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건축물(777)의 외부 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건축물(777)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건축물(777)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과, 건축물(777) 내부에 삽입된 용기(771)에 담겨지는 향기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향기 발산성 수분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건축물(777)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재료들의 상부 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미도시)과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배출관(557)을 통해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과 동시에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7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하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유출밸브(601)를 개방하여 액체 공급통(98)에 담긴 물 또는 액체가 유출관(600)을 통해 이동하여 건축물(777)의 표면에 분사 또는 페인팅되게 하는데, 이러한 물 또는 액체(8)를 분사 또는 페인팅하기 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건축물(777)의 내부는 이미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건축물(777) 표면에 물 또는 액체(8)를 분사하여 주게 되면 삼투작용과 흡수작용에 의해 건축물(777)을 이루는 벽체를 통과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물 또는 액체(8)가 흡수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물 또는 액체(8)가 벽체를 통과하여 건축물(777)의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건축물(777)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물 또는 액체(8)의 분사 또는 페인팅은 한번에 1 ~ 10시간 정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이러한 물 또는 액체(8)의 분사 또는 페인팅과정을 한번에 끝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수행한 후 처음부터 다시 새로운 과정을 여러번 반복수행함으로써 건축물(777)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물질, 독성수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료들로 구성되는 액체를 붓을 이용하여 페인팅하거나 분무기에 담아 분무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들을 건축물의 외부에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변경된 방법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들을 모두 개방한 다음 건축물(777)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건축물의 외부로 강제 환기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콘크리트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또는 본 발명 제 15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를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7실시예]
도 64는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는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777) 및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물질 또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수분 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목재로 된 건축물(777)의 상부에는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을 설치하고, 건축물(777)의 하부에는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을 설치하며,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목재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과 유해 물질 또는 유해물질들을 함유한 수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해 증발되는 증발작용과 삼투작용에 의해 침투되어 있거나 함유되어 있는 그 재료들의 내부에서 강제 이탈되어 나오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또는 버너(772)를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목재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건축물을 이루는 목재와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재료들의 상부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777)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777)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미도시)과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와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배출관(557)을 통해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과정을 수행하 며, 이러한 과정과 동시에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7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777)의 내부로 유입하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 및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순수한 물이나,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 석유류 중에서 선택하여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조합하거나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추출한 물질 또는 상기 물질을 가공하여 만든 물질들로 이루어지는 재료 또는 상기 부재들과 물을 혼합하여서 된 것을 용기(771)에 담아 건축물(777)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1 ~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증발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증발되는 증기가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에 침투되어 건축물(777)로서 적정한 수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이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의 사이사이에 침투하여 서서히 지속적으로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내부 생활자의 건강에 이롭게 작용되는 것이다.
이때, 히터는 알콜을 연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 지게 구성할 수가 있으며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너 역시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은 어느 하나의 물질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물질들과 물 의 함량 역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에서 예시하지는 않은 것이라도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인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또는 석유류를 함유한 성분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성분이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것과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777) 내부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순수한 증기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을 함유한 증기를 발생시켜 목재 또는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수분을 다시 침투시키는 과정은 한번에 끝내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수행한 후 처음부터 다시 새로운 과정을 여러번 반복수행함으로써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 및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물질, 독성수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모두 거친 후 건축물(777)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들을 모두 개방한 다음 건축물(777)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건축물(777)의 외부로 강제 환기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또는 본 발명 제 17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가능한 방법을 이용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제 18실시예]
도 65는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면도이고, 도 66은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는 건축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조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에 포함된 독성물질을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프링클러 방식에 의해 분사되는 액상의 물질에 의해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도록 도 61 또는 도 62에서 예시한 장치에 별도의 분사기를 부여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즉, 도 65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777) 또는 목조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과,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와, 히터 또는 버너(772)를 각각 설치하고, 건축물(777)의 내 외부가 통하도록 다수의 분사기(778)를 설치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이러한 분사기(778)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건축물의 내부에 분사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은 어느 하나의 물질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물질들과 물의 함량 역시 물질의 종류에 따라 희석되는 비율을 달리하여 그 비율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들이 철에 따라 또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되므로 그 배합비율과 추출비율과 혼합물질의 종류와 그 성분비율에 따른 100%의 비율 등을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각항의 실시 예들과 본 실시 예에서 예시하지는 않은 것이라도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인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또는 석유류를 함유한 성분 이외에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물질들과 성분이든 모두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들도 변형된 것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건축물(777)의 외부 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건축물(777)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건축물(777)에 함 유된 유독성 수분들과, 건축물(777) 내부에 삽입된 용기(771)에 담겨지는 향기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향기 발산성 수분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수분의 분자들이 브라운운동과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건축물(777)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재료들의 상부 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미도시)과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배출관(557)을 통해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과정을 수행한 후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건축물(777)의 내부에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인간에게 이로운 액체의 온도는 50 ~ 300℃의 온도범위를 갖도록 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들이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 속으로 파고들어가는 브라운 운동과 삼투작용에 의해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보다 용이하게 중화 또는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7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히팅과정을 거치지 않고 분사기(778)를 통해 처음부터 인간에게 이로운 재료를 액체상태로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주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후 다시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여러번 반복수행함으로써 건축물(777)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물질, 독성수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건축물(777)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상기와 같은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을 분사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 시키거나 제거할 수도 있는 것으로, 도 66과 같이 건축물(777)의 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널(222)을 덧대고, 패널(222)의 상부는 호퍼 형상으로 공기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이러한 공기 배출측에는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을 구비하게 되고, 나머지 구성은 도 65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히팅과정을 거친 후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건축물(777)의 내부에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킨 후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배출관(557)을 통해 독성을 포함한 공기성분 및 기체성분을 배출하여 주고,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7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과정을 수행하면 되고, 히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분사기(778)를 통해 처음부터 인간에게 이로운 재료를 액체상태로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주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후 다시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여러번 반복수행함으로써 건축물(777)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의 독성물질, 독성수분 등을 완벽하게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건축물(777)의 내외부에서 동시에 건축물(777) 또는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들을 모두 개방한 다음 건축물(777)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건축물의 외부로 강제 환기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콘크리트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물질들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를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중화 시켜주거나 제거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9실시예]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는 지하철 시설물에 함유된 독성을 중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도 67은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내부구조 단면도이고, 도 68은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내부구조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이 통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하철통로(810)의 중간에 지하철 역사(800)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양한 구성재료를 통해 축조되는데, 이러한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양한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을 중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지하철 역사(800)의 양측 지하철통로(810)와 지하철 역사(800)의 출입구(801)를 패널(222)을 통해 봉쇄하고, 지하철 역사(800)의 내측에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기(778)를 군데군데 안치하게 된다.
이때, 분사기(778)를 통해 분사되는 액체는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로서, 어느 하나의 물질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물질들과 물의 함량 역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에서 예시하지는 않은 물질 또는 성분이라도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인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또는 석유류를 함유한 성분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성분이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과, 다양한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들과,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양한 구성재료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독성물질과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브라운 운동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다양한 구성재료들로부터 이탈되어 나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지하철 역사(800)의 내부에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가 삼투작용에 의해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의 속으로 침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인간에게 이로운 액체의 온도는 50 ~ 300℃의 온도범위를 갖도록 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들이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 속으로 파고들어가는 삼투작용에 의해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보다 용이하게 중화 또는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지하철 역사(800)의 양측 지하철통로(810)는 봉쇄된 상태 그대로 두고 출입구(801)만을 개방하여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유입시켜주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완벽하게 환기가 이루어진 후 지하철통로(810) 양측을 봉쇄하고 있던 패널(222)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지하철 역사(800)의 양측 지하철통로(810)를 봉쇄된 상태 그대로 두는 이유는 독성물질이 지하철통로(810)로 배출되었을 경우 이러한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나중에 다시 지하철 역사(800) 내부로 또다시 유입되면서 원상태의 독성성분을 유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 유입시 지하철 역사(800)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를 구동함으로써 강제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도 68과 같이 지하철 역사(800)의 내부에 용적감소용 블록(558)을 적 재한 상태에서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기(778)를 순차 구동하게 되면 지하철 역사(800)의 용적이 감소되어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벽체 또는 구조물의 내부에 함유된 독성물질을 중화 또는 제거할 때 그 히팅시간 및 분사시간을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 및 소모되는 인간에게 이로운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는 알콜을 연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 지게 구성할 수가 있으며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너 역시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를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 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중화 시켜주거나 제거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20실시예]
도 69는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는 각종 건축물, 지하철 시설물 등을 지탱하기 위해 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돌 등으로 구성되는 기둥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을 중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820)의 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널(222)을 감싸고, 기둥(820)과 패널(222)의 사이 공간에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기(778)를 군데군데 안치하게 된다.
이때, 분사기(778)를 통해 분사되는 액체는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로서, 어느 하나의 물질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그 종류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물질들과 물의 함량 역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에서 예시하지는 않은 것이라도 인간에게 이로운 물질인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또는 석유류 등으로 구성되어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들을 함유한 성분이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성분이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것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기둥(820)을 이루는 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돌 등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들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독성물질들이 삼투작용과 부라운 운동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기둥(820)으로부터 이탈되어 나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가 기둥(820)의 속으로 침투하여 기둥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인간에게 이로운 액체의 온도는 50 ~ 300℃의 온도범위를 갖도록 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들이 기둥(820)을 이루는 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돌 등의 구성재료 속으로 파고들어가는 삼투작용에 의해 기둥(820)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보다 용이하게 중화 또는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기둥(820) 외부에 설치되어 있던 패널(222)을 제거하여 외부의 깨끗한 공기와 기둥(820)을 접촉시키면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 접촉시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는 알콜을 연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연소가 이루어 지게 구성할 수가 있으며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너 역시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를 통하여 건축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하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21실시예]
본 발명의 제 21실시예는 전술한 제 1실시예 내지 제 20실시예를 거쳐 건축 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또는 독성들이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서 이탈되어 나오도록 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독성이 제거된 수분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이 함유된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여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지속적으로 향기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발산시켜 인체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1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 내지 제 18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20실시예를 거쳐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또는 독성들이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서 이탈되어 나오도록 하는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 출입문, 또는 배출밸브를 개방하여 공기 속에 함유된 수분들이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재료들의 내부에 스며들도록 하는 과정과, 건축물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버너 또는 히터와 결합된 용기(미도시)를 건축물의 내부에 안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마친후,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식물성재료 또는 동물성재료 또는 광물성재료 또는 석유류 등을 이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희석하거거나 또는 조합하거나 또는 이상에서 열거한 물질들을 가공하거나 추출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 물질들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재조합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 20 ~ 80wt%와 물 20 ~ 80wt%를 혼합하여 용기에 투입하고, 전기 또는 알콜과 같은 청정에너지 또는 광물 성 또는 식물성으로 구성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버너 또는 히터를 2 ~ 8시간 가열해줌으로써 그 열에 의해 용기 속에 담기는 혼합물이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건축물의 내부에 2~8시간 정도 채워주는 과정을 통하여 인간에게 이로운 수분을 함유한 공기 성분들이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재료들 속에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한차례 또는 2 ~ 5차례 반복하게 되면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독성이 제거된 수분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이 함유된 수분들이 침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건축물의 내부에서 생활하는 생활자의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지속적으로 향기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발산시켜 인체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1실시예에 적용되는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또는 식물성과 동물성과 광물성 또는 물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재료들 역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스며들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재료들을 달리 가공하거나 또는 그 물질들끼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게 하여 줄 수가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된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독성이 제거된 수분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이 함유된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방법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러한 변경가능한 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침해하는 모방업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자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한 후 독성이 제거된 수분 또는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이 함유된 수분을 재침투시키는 방법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버너 또는 히터를 가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증기가 생성 되도록 물 또는 액체와 혼합하는 물질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고체와 모든 액체 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성 물질 또는 광물성 물질 또는 동물성 물질 또는 석유류를 가공하여 만든 모든 물질들을 사용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들 물질 들과 물 또는 액체들과 고체 또는 유체들과 희석하여 만든 물질에 열을 가하여 이들 물질로 부터 생성되는 증기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재들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도록 하는 방법들을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를 응용하거나 이용하면 그 결과를 얻을 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구성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과 지하철 구조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콘크리트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 모든 항에 있어서 물 또는 액체 또는 흙 혼합물 또는 광물성 혼합물 또는 식물성 혼합물 또는 석유류성 혼합물 등으로 구성되는 물질을 상기 통공,또는 파이프의 내부나, 상기 패널 또는 주머니와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공간부나,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 독성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물질들의 온도를 높여 주는 방법은 그 방법들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통공 또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나, 상기 통공 또는 패널 또는 주머니와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공간부나, 상기 밀폐용기 등의 내부에 물 또는 액체 또는 흙 혼합물 또는 광물성 혼합물 또는 식물성 혼합물 또는 석유류성 혼합물등으로 구성되는 물질을 수시로 주입하여 상기의 내부에 상기 물질들이 넘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 또한 당해 업자라면 당연히 이용하는 방법이 되므로 이러한 설계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순서와 시간과 기간과 순차적인 과정에 따른 공정들은 얼마든지 달리하거나 늘리거나 줄여서 변경 구성이 가능한 것임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순서와 시간과 기간과 순차적인 과정에 따른 공정들을 달리하여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을 사용한 자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건축물, 물고기집, 어도 등의 내부에 파이프, 블록,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부에 물, 흙, 기타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물질 등 을 포함한 흙 혼합물을 수회 주입, 배출해주는 것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흙 혼합물을 수회 주입,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공간부를 메워주게 되므로 그 자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멘트 독성 제거 또는 중화과정에서 물 또는 흙 혼합물을 교반시키게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물 또는 흙 혼합물 사이의 물질교환 작용을 강제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고, 또 물 또는 흙 혼합물을 가열하게 되므로 빨래를 삶는 것과 같이 삼투압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 신축시 사용된 창틀 및 창문, 기타 자재속에 함유된 유해독소 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으며, 이후 냉각과정을 거치면서 냉각부위 근처에 있는 물 또는 흙 혼합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있게 되고 다른 부위의 물 또는 흙 혼합물의 일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있게 되므로 대류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물 또는 흙 혼합물의 접촉이 더욱 활발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멘트의 독성이 보다 원활하게 제거 또는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밀폐용기, 주머니, 패널 등을 수밀성있게 덧대고 그 내측으로 순수한 물이나, 물, 흙, 기타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 흙 혼합물 등을 순차 수회 주입, 배출해주는 것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물 또는 흙 혼합물이 직접 접촉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주요 구성부재인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축물을 신축하는데 사 용하는 모든 건축용 자재들과 건축용 자재들을 결합하거나 또는 접착하거나 페인팅하는데 사용하는 건축물 부속재료들 속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과 상기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자재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 또는 중화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1)

  1. 다수의 통공(5)이 형성된 제 1파이프(2)의 외부에 콘크리트 속에 섞여 있는 고체 또는 액체들이 상기 제 1파이프(2)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부직포, 천, 발수천, 스펀지 중 선택된 재질로 된 포장지(1)를 감싸고, 상기 제 1파이프(2)의 내부에는 솜, 섬유사, 화학섬유사, 숯·모래·흙과 같은 광물성 물질 또는 식물성 부재를 분쇄한 분쇄물, 펄프 슬러지 중 선택된 함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3)를 충전하며, 상기 제 1파이프(2)와 상기 포장지(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외부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된 제 2파이프(11)를 상기 포장지(1)가 싸여진 제 1파이프(2)의 외부에 끼우고, 상기 제 2파이프(11)의 외부에는 포장지(32)를 감싸 파이프 조립체를 구성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콘크리트 몰탈(21) 타설을 위해 구성되는 거푸집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철근과 결합하여 안치하고, 상기 제 1파이프(2)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에 함유된 수분이나 고체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파이프(2)의 일단부를 통하여 물 또는 액체(8)를 유입시켜 상기 삽입부재(3)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 몰탈(21)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5 ~ 30시간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파이프(2)와 상기 제 2파이프(11)의 일단부를 밀봉하여 주고, 상기 제 1파이프(2)와 상기 제 2파이프(11)의 반대측 단부를 통하여 물 또는 액체(8)를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하여 유입시켜주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투입되어 있는 상기 제 1파이프(2)와 상기 제 2파이프(11)의 내부에 물 30 ~ 60wt%, 흙 40 ~ 70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2 ~ 6회 순차 투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수분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속의 시멘트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키면서 배출되고 그 침전물이 상기 제 1파이프(2)와 상기 제 2파이프(11)의 내부를 완전히 메워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 통공(5)을 갖는 다수의 파이프(2') 내부에 그 형상 유지를 위하여 고무, 철재, 플라스틱 수지, 목재로 된 막대 또는 고무, 비닐, 합성수지 중 선택된 재질로 구성되는 공기튜브 형태의 삽입부재(56)를 삽입한 상태로 거푸집(33) 내측의 철근 골조에 고정하고, 상기 거푸집(33)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 양생한 후 파이프 조립체로부터 상기 삽입부재(56)를 빼내며, 상기 파이프(2')의 일단부에 연결소켓(77)을 이용하여 압축펌프(99)를 연결하고, 상기 압축펌프(99)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도록 물,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을 혼합하여 조합한 액체가 담긴 액체 공급통(98)을 연결하며, 상기 압축펌프(99)를 가동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파이프(2')의 내부에 상기 액체 공급통(98)에 담긴 액체를 5 ~ 24시간 동안 3회 이상 반복 주입하여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2')의 통공(5)과 포장지(1)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흡수되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2')로부터 상기 압축펌프(99)를 떼어내고 그 자리에 공기펌프를 연결하여 2 ~ 20시간 동안 가동해주어 상기 파이프(2') 내부에 남아 있던 미량의 액체들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며, 공기주입이 끝난 후에는 상기 파이프(2')로부터 공기펌프를 분리하고 그 입구를 밀봉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조립체는 상기 파이프(2')에 통공(5)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2')의 외부에 스펀지, 부직포, 종이 또는 천 중 선택된 함수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포장지(1)를 1차로 1겹 또는 3겹 이상 감아주며, 상기 파이프(2')의 외부에 감겨 있는 포장지(1)의 표면에 윤활성 유제로 구성되어 있는 박리제(1')를 도포하고, 상기 박리제(1')가 도포된 포장지(1)의 상단에 상기의 포장지(1)와 동일한 포장지(1)를 또다시 감아주며, 상기 파이프(2')의 외부에 감겨진 포장지(1)의 표면외부에 물 20~50wt%, 시멘트 50~80wt%, 모래 20~30wt%로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 몰탈(55)을 두께 3 ~ 20mm로 덧대어 접착시켜주고, 상기 파이프(2')의 외부에 감싸져 있는 포장지(1)에 상기 콘크리트 몰탈(55)이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2')를 건조 양생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 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들의 이음매 사이를 이음 소켓(87)을 이용하여 이어주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적용되는 파이프 조립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축조를 위한 거푸집(33) 내부의 철근 골조에 고정하고,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한 후 5 ~ 40시간 경과한 다음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물 10 ~ 60wt%, 흙 40 ~ 90wt%, 숯 5 ~ 20wt%비율로 혼합한 흙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흙 혼합물을 상기 파이프(2 또는 2') 내부에 투입한 후 1 ~ 10시간 이상 경과한 상태에서 또다시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진 흙 혼합물을 상기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2차 투입하며, 상기 파이프(2 또는 2')의 내부에 흙 혼합물을 2차 투입한 후 1 ~ 10시간 정도 이상의 시간이 흐른 후 물 5 ~ 20wt%, 흙 95 ~ 80wt%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흙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2 또는 2')의 입구를 밀봉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6.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를 위해 천, 종이, 부직포, 윤활성 유제로 구성되는 박리제(76)를 파이프(77)의 외부에 구성하고, 상기 박리제(76)에 감싸져 있는 파이프(77)를 거푸집(33) 내부의 철근 골조 사이사이에 결합하며, 상기 거푸집(33)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 콘크리트 몰탈(21)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5 ~ 50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몰탈(21)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파이프(77)를 빼내어 그 자리에 공간부(78)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78)에 물 또는 콘크리트의 독성을 순화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조합되어 있는 액체를 5 ~ 50시간 동안 주입하고, 이와 동시에 교반기(331)를 가동하여 물 또는 액체를 교반시켜준 후 물 또는 액체를 배출해주며, 공기펌프(99')를 1 ~ 20시간 동안 가동하여 상기 공간부(78)내에 공기를 강제 주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간부(78) 내부를 건조시켜주고, 흙 40 ~ 90wt%, 물 10 ~ 60wt%, 숯이나 식물성부재를 분쇄하여 가공한 부재 또는 광물성 부재 1 ~ 10wt%를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상기 공간부(78)에 투입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기(331)를 다시 가동하여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며, 상기 흙 혼합물(58)의 교반 후 히터(441)에 의해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60 ~ 100℃ 정도가 되도록 2 ~ 5시간 동안 가열해준 후 상기 흙 혼합물(58)을 배출하고, 상기 공간부(78)에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재투입한 후 교반기(331)를 통해 상기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줌과 동시에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0.5 ~ 5℃ 정도가 되도록 냉각기(441')를 1 ~ 5시간 동안 가동한 후 상기 흙 혼합물(58)을 다시 배출하고,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다 시 상기 공간부(78)에 채워주고 교반기(331)를 1 ~ 5시간 가동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을 다시 교반시켜준 후 그대로 방치하여 상기 흙 혼합물(58) 중 액상성분은 그대로 빠져나가고 고체성분만 침전되도록 하며,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순차 주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수분은 모두 빠져나가고 그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8)를 완전히 메워주도록 한 후 상기 공간부(78)의 끝부분을 마감재(551)로 메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7.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고기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어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0.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조립식 건축물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1. 상하방향으로 통하도록 다수의 통공구(114)를 형성하면서 그 일단과 타단에는 ⊂자 형태의 요철홈(112)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자 형태의 요철홈(113)을 형성한 다수의 블록(111)을 조적용 몰탈을 통해 조적한 후 5 ~ 20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블록(111)의 외부를 콘크리트 몰탈로 미장처리하고, 5 ~ 50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물 10 ~ 60wt%와 흙 40 ~ 90wt%, 그리고 물과 흙 전체 함량의 1 ~ 10wt%의 비율로 숯을 추가적으로 투입한 재료들을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115)을 상기 블록(111)에 구성되는 통공구(114)에 1차적으로 채워주며, 이후 5 ~ 10시간을 방치 하여 상기 흙 혼합물(115) 중 수분은 배출되고 고체성분은 침전되도록 하고, 상기한 흙 혼합물(115) 충전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블록(111)의 통공구(114)에 상기 흙 혼합물(115)이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11)의 각 통공구(114) 사이를 막아주는 칸막이(118) 중앙 상하부에 ∪자 형태의 요철홈(116)(117)을 더 형성하여 상기 흙 혼합물(115)을 채워줄 때 상기 흙 혼합물(115)이 인접한 다른 통공구(114)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7), 계단, 기둥의 내외부에 석재, 철재, 합성수지, 비닐계통 중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덧댄 후 그 사이사이에 고정부재(223)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이 공간에 물, 또는 광물성 물질, 화학적 물질, 식물성 물질들과 물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 또는 흙 10 ~ 30wt%, 물 70 ~ 90wt%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 중 선택된 용액(227)을 투입하고, 히터(211)를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넣어 상기 채워진 용액(227)을 가열해준 후 냉각기(211')를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넣어 1 ~ 5시간 동안 가동하여 상기 용액(227)을 냉각시키며, 상기한 히터(211)와 냉각기(211')를 교번으로 작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교반기를 통해 상기 용액(227)이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공간에서 뭉쳐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용액(227)을 배출하고, 상기 패널(222) 또는 주머니(229)를 제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온돌패널(998)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돌패널(998)에 온돌파이프(996)가 구성된 상태에서 그 위쪽에 상기 주머니(229)를 설치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용액(227)의 침전물이 상기 온돌파이프(996)와 상기 온돌패널(998) 또는 상기 온돌패널(998)들의 사이사이의 틈새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 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5.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진 블록(221)을 거푸집의 내부에 몰탈 또는 지수밴드(335)를 이용하여 조적하여 주거나, 이음밴드(447)를 이용하여 조적하여 주며, 철근(448)과 철근(448)의 사이에 고임목(446)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결속선(445)을 이용하여 상기 조적된 각 블록((221)을 상기 철근(448) 사이에 결합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블록(221)들을 안치하고, 상기 거푸집과 상기 각 블록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 양생하고, 상기 각 블록(22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778)에 물 100wt%, 또는 흙 50 ~ 80wt%, 물 20 ~ 50wt%,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 20 ~ 50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투입하고, 교반기(331)를 1 ~ 5시간 가동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며, 이와 동시에 히터(441)를 가동하여 상기 히터(441)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 또는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80 ~ 100℃의 상태로 1 ~ 5시간 동안 유지시켜주며, 냉각기(441')를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1 ~ 10℃가 되도록 1 ~ 5시간 동안 가동한 후 상기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던 흙 혼합물(58)을 배출하여 주며,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상기 공간부(778)에 다시 투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수분은 배출되고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채워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 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6.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걸림턱(880)이 형성된 제 1블록(888)과, 상기한 제 1블록(888)과 쌍을 이루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제 1블록(888)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887)가 형성된 제 2블록(889)을 거푸집의 내부에 순차 조적하여 주고, 철근(448)과 철근(448)의 사이에 고임목(446)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결속선(445)을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888)(889)을 상기 철근(448) 사이에 결합하여 안치하며, 상기 거푸집과 상기 각 블록(888)(889)의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 양생하고, 상기 블록(888)(889)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778)에 흙 55 ~ 75wt%, 물 25 ~ 45wt%, 콘크리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순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는 화학적인 액체 15 ~ 45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58)을 투입하고, 교반기(331)를 2 ~ 6시간 구동하여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며, 이와 동시에 히터(441)를 가동하여 이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 또는 흙 혼합물(58)의 온도를 60 ~ 100℃의 상태로 2 ~ 6시간 정도 유지시켜준 후 냉각기(441')를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1 ~ 15℃ 정도가 되도록 2 ~ 6시간 정도 가동하여준 다음 상기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던 흙 혼합물(58)을 배출하여 주고,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상기 공간부(778)에 다시 투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수분은 배출되고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채워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흙 혼합 물(58)의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888)(889)의 외부에 요철홈(885)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몰탈과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6), 천장 또는 바닥, 기둥의 외부에 거푸집(33)을 구성한 후 그 내부에 공간부 구성용 내부거푸집(338)을 투입하여 안치하고, 상기 외부 거푸집(33)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21)을 타설하고, 5 ~ 15시간이 경과하여 양생이 끝난 콘크리트 몰탈(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거푸집(338)을 제거하여 그 자리에 공간부(778)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33)을 제거하고, 상기 공간부(778)에 물을 주입해주고, 흙 42 ~ 73wt%, 물 27 ~ 58wt%, 식물성 재료를 분쇄하여 만든 식물성 부재 0.5 ~ 3wt%를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상기 공간부(778)에 투입해주며, 교반기(331)를 1 ~ 4시간 동안 구동하여 물 또는 흙 혼합물(58)을 교반시켜주고, 이와 동시에 히터(441)를 가동하여 이로부터 전달되는 열 에 의해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55 ~ 100℃의 상태가 되도록 1 ~ 7시간 동안 유지시켜주며, 냉각기(441')를 상기 흙 혼합물(58)의 온도가 0.5 ~ 10℃ 정도가 되도록 1 ~ 5시간 동안 가동한 후 상기 공간부(778)에 삽입되어 있는 물 또는 흙 혼합물(58)을 배출해주고, 상기와 동일한 흙 혼합물(58)을 공간부(778)에 다시 투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수분은 배출되고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채워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의 침전물이 상기 공간부(778)에 완전히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19.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6), 기둥, 천장 또는 바닥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부와 통하는 다수의 유통구(60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 액체, 흙 혼합물 또는 수증기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도록 금속이나 비닐 계통의 용기, 사각형 또는 장방형의 상자형태로 구성되는 용적감소용 블록(558)을 투입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는 합성수지나 석유류 제품으로 구성되는 천막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밀폐 용기(222')를 덧댄 후 고정부재(223)를 이용하여 결합시켜주고, 상기 밀폐 용기(222')의 상단부에는 상기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수증기배출구(557)를 구성하며, 건축물의 일단부에는 물의 순환을 강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발생기구(600)를 연 결하고, 상기 열발생기구(600)와 상기 밀폐 용기(222')의 사이에는 도관(559)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 용기(222')와 상기 열발생기구(600) 사이를 연결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단부 하단에는 물 또는 수증기 또는 액체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228)를 갖는 배출관(225)을 연결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와 상기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물을 1차로 투입하고, 상기 열발생기구(600)를 물의 온도가 100℃가 되도록 2 ~ 8시간 순환 가동시켜주며,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상기 밀폐 용기(222')의 상부에 구성되는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해 2 ~ 8시간 동안 배출해주게 되고,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배출밸브(228)를 열어 남아 있는 물을 배출관(225)을 통해 배출해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물을 2차로 채워주고, 상기 열발생기구(600)를 물의 온도가 100℃ 이상이 되도록 3 ~ 6시간 구동한 후 상기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하여 수증기를 3 ~ 6시간 배출하여 주며,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밀폐 용기(222')에 남아있는 물을 다시 배출구(225)를 통해 배출해주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밀폐 용기(222')의 내부에 식물성 물질 또는 광물성 물질 또는 유기 물질 0.5 ~ 20wt%, 흙 10 ~ 30wt%, 물 70 ~ 95wt%를 혼합하여 만든 흙 혼합물(227)을 투입하며, 상기 열발생기구(600)를 상기 흙 혼합물(227)의 온도가 100℃ 정도가 되도록 2 ~ 8시간 가동해주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상기 수증기배출구(557)를 통해 2 ~ 8시간 배출해주고, 상기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밀폐 용기(222')에 남아 있는 흙 혼합물(227)을 상기 배출구(225)를 이용하여 배출하여준 후 상기 밀폐 용기(222'), 상기 수증기배출구(557), 상기 용 적 감소용 블록(558), 상기 열발생기구(600), 상기 배출관(225)을 순차 제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0. 제 2 항, 제 13 항,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내부나, 상기 패널 또는 주머니와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공간부나,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물, 액체, 또는 용액을 주입할 때에는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해주면서 독성성분을 포함한 물, 액체, 또는 용액은 연속적으로 배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1. 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건축물 구성 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 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공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777)의 내부에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 용적률이 감소되도록 용적 감소용 블록(558)을 적재하고,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용기(771)를 설치한 후 상기 용기(771) 속에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 석유류 또는 상기 물질을 조합하거나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추출한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향기발생물질 을 건축물(777)의 내부에 삽입하며, 상기 건축물(777)과 상기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과 상기 건축물(777)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과 수분 또는 향기발생부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해 작용되는 삼투작용에 의해 침투되어 있는 그 재료의 물질 속에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도록 알콜을 연료로 하는 히터 또는 전기를 에너지로 하는 히터 또는 석유를 원료로 하는 버너 또는 가스를 원료로 하는 버너(772)를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777)의 상부에는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를 설치하며, 상기 건축물(777)의 하부에는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또는 버너(772)를 1 ~ 5시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상기 건축물(777)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상기 건축물(777)과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건축물재료들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과, 상기 건축물(777) 내부에 삽입된 용기(771)에 담겨지는 식물성 또는 광물성 또는 석유류를 이용하여 제조 또는 조합하여 만든 향기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향기 발산성 수분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면서 자연적으로 상기 건축물(777)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의 상부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도록 건축물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과, 이 과정을 마친 후 상기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상기 건축물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 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상기 배출관(557)을 통해 상기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줌과 함께;
    이러한 과정과 동시에 상기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상기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3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하여주는 과정과;
    이 과정을 거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들을 모두 개방한 후 건축물(777)의 내부에 선풍기 또는 환풍기(미도시)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물질들을 건축물의 외부로 강제 환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777)의 외부 상부에는 순수한 물이나,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광물성재료,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 물질들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재조합한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서 된 액체(8)를 담아주는 액체 공급통(98)을 설치하며, 상기 액체 공급통(98)과 상기 건축물(777)의 표면 사이에는 상기 액체 공급통(98)에 담긴 물 또는 액체(8)를 이송해주도록 유출밸브(601)를 갖는 다수의 유출관(600)을 연결하고;
    상기의 건축물(777) 내부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유출밸브(601)를 개방하여 상기 액체 공급통(98)에 담긴 물 또는 액체를 상기 유출관(600)을 통해 상기 건축물(777)의 표면에 1 ~ 10시간 분사 또는 페인팅하거나 분무기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들을 건축물(777)의 외부에 분사하며 줌과 함께;
    상기 분사 또는 페인팅된 물 또는 액체(8)가 흡수 작용 또는 삼투작용에 의해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벽체를 통과하여 상기 건축물(777)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들의 독성성분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3. 목재로 된 건축물(777)의 상부에는 상기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배출밸브(556)를 갖는 배출관(557)을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777)의 하부에는 상기 건축물(777)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유입밸브(774)를 갖는 유입관(773)을 설치하며, 상기 건축물(777)을 구성하는 목재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과 유해 물질 또는 유해물질들을 함유한 수분들이 높은 온도에 의해 증발되는 증발작용과 삼투작용에 의해 침투되어 있거나 함유되어 있는 그 재료들의 내부에서 강제 이탈되어 나오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또는 버너(772)를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와 외부가 연 통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버너 또는 히터(772)를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과, 목재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면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와 상기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재료들의 상부측 방향으로 이탈되어 나오도록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는 과정과;
    이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777)에 구성되는 창문들과 출입문(미도시)과 배출밸브(556)를 개방하여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와 상기 건축물(777)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에서 이탈되어 상승하는 수분 또는 무기 또는 유기성 독성물질들을 배출관(557)을 통해 상기 건축물(777)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과정과;
    상기 유입밸브(774)를 개방하여 상기 유입관(773)을 통해 외부공기를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로 유입하여 주는 방법을 적어도 2 ~ 7 차례 반복하여 깨끗한 공기를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로 유입하여주는 과정과;
    순수한 물이나, 인간에게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식물성 물질, 광물성 물질, 석유류 중에서 선택하여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조합하거나 혼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추출한 물질 또는 상기 물질을 가공하여 만든 물질들로 이루어지는 재료 또는 상기 부재들과 물을 혼합하여서 된 것을 용기(771)에 담아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1 ~ 3 시간 동안 가열·증발시켜 그 증기성분이 상기 건축물(777)을 이루는 목재에 침투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4.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777) 또는 목조 건축물(777)의 내부에 다수의 분사기(778)를 설치하여 상기 분사기(778)를 통해 인간에게 이로운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광물성재료,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 물질들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재조합한 물질로 된 액체를 50 ~ 300℃의 조건으로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777)의 외부에는 배출구를 갖는 패널(222)을 덧대고, 상기 분사기(778)의 노즐이 상기 건축물(777)의 내부와 상기 건축물(777)과 패널(222)의 사이공간 모두와 통하도록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간에게 이로운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광물성재료, 석유류를 이용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 물질들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재조합한 물질로 된 액체를 50 ~ 300℃의 조건으로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6.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양한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물질을 중화 또는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역사(800)의 양측 지하철통로(810)와 상기 지하철 역사(800)의 출입구(801)를 패널(222)을 통해 봉쇄하고, 상기 지하철 역사(800)의 내측에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기(778)를 안치한 상태에서 상기 버너 또는 히터(772)를 50 ~ 300℃의 온도조건하에서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상기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과, 다양한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들과, 콘크리트 구조물과 다양한 구성재료에 함유된 유독성 수분들의 온도를 높여주어 상기 독성물질과 수분의 분자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다양한 구성재료들로부터 이탈되어 나오게 하며;
    상기의 과정을 마친 후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지하철 역사(800)의 내부에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가 상기 지하철 역사(80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의 속으로 침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각종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역사(800)의 내부에 용적감소용 블록(558)을 적재한 상태에서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기(778)를 순차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8. 각종 건축물, 지하철 시설물과 같은 시설물을 지탱하기 위해 콘크리트, 목재, 금속재, 돌과 같은 재료 중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기준(820)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을 중화 또는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기둥(820)의 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널(222)을 감싸고, 상기 기둥(820)과 상기 패널(222)의 사이 공간에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772)와 분사 기(778)를 군데군데 안치한 상태에서 상기 버너 또는 히터(772)를 50 ~ 300℃의 온도조건 하에서 1 ~ 5시간 정도 가동하여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상기 기둥(820)을 이루는 구성재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들의 온도를 높여주어 독성물질들이 삼투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창되어 자연적으로 상기 기둥(820)으로부터 이탈되어 나오게 하며;
    상기의 과정을 마친 후 인간에게 이로운 식물성 재료, 동물성 재료, 광물성 재료, 석유류 등을 이용한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재조합한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액체를 다수의 분사기(778)를 통해 1 ~ 10시간 동안 분사하여 이러한 액체 또는 이로부터 증발된 기체가 상기 기둥(820)의 속으로 침투하여 상기 기둥 속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29. 건축물의 벽체(6)의 외측면에 목재로 된 고임목(446)를 끼워 목재, 석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 선택된 재료로 된 내장용 또는 외장용 패널(222)을 덧대어 고정하고, 상기 패널(222)과 상기 벽체(6)의 사이 공간에 물 30 ~ 60wt%와, 흙 40 ~ 70wt%를 혼합하여서 된 흙 혼합물(58)을 서서히 투입하여 상기 흙 혼합물(58)에 함유된 수분과 상기 벽체(6)를 이루는 구조물 사이의 밀도차이에 의한 삼투작용에 의해 상기 벽체(6) 속으로 스며들어가 상기 벽체(6)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자연적으로 중화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흙 혼합물(58)에 포함된 흙 성분은 상기 벽체(6)와 상기 패널(222) 사이의 공간에서 침전되면서 상기 벽체(6)와 상기 패널(222)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메워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30.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5 항, 제 16 항, 제 18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24 항, 제 26 항, 제 28 항,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또는 독성들이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서 이탈되어 나오도록 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마친 후 건축물에 구성되는 창문, 출입문, 또는 배출밸브를 개방하여 외부에서 밀려 들어오는 공기들이 건축물 또는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건축물 구성재의 내부에 충전되었을 때 버너 또는 히터와 결합된 용기를 건축물의 내외부와 연통되도록 건축물의 내부에 안치하는 과정과;
    고체 또는 유체 또는 식물성재료 또는 동물성재료 또는 광물성재료 또는 석유류 중에서 선택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을 조합하거나 추출하여 만든 물질 또는 이들 물질들에서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재조합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 20 ~ 80wt%와 물 20 ~ 80wt%를 혼합하여 상기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과;
    전기 또는 알콜과 같은 청정에너지 또는 광물성 또는 식물성으로 구성되는 연료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로 구성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 또는 히터를 2 ~ 8시간 가열하고, 그 열에 의해 상기 용기 속의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축물의 내부에 수증기를 채워주어 이 수증기가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 재료들 속에 침투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한 차례 또는 2 ~ 5차례 반복 실시하여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 또는 완화시켜 주는 과정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31.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6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5 항, 제 16 항, 제 18 항, 제 19 항, 제 22 항, 제 23 항, 제 24 항, 제 26 항, 제 28 항, 제 29 항,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액체, 용액, 흙혼합물, 식물성 혼합물, 광물성 혼합물, 석유류성 혼합물 중 선택된 물질의 온도를 높여주도록 그 주입 전에 미리 가열하여 높은 온도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통공 또는 파이프의 내부나, 상기 패널 또는 주머니와 콘크리트 패널 사이의 공간부나,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나, 상기 액체용기의 내부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과 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 재료들 속에 함유된 독성을 제거 또는 완화시켜 주는 과정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1020060116083A 2006-03-06 2006-11-22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10069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1120 WO2007111420A1 (en) 2006-03-18 2007-03-07 Method to construct buildings using method to counteract or remove virlence in concrete structures or buildings and that structing mater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23 2006-03-06
KR1020060020980 2006-03-06
KR1020060025096 2006-03-18
KR1020060026291 2006-03-22
KR1020060031061 2006-04-05
KR1020060034313 2006-04-14
KR1020060076689 2006-08-14
KR1020060096387 2006-09-29
KR1020060096658 2006-09-30
KR1020060096987 2006-10-02
KR1020060099206 2006-10-12
KR1020060109182A KR20060120551A (ko) 2006-10-12 2006-11-06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1020060109182 2006-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86A KR20060128786A (ko) 2006-12-14
KR100699171B1 true KR100699171B1 (ko) 2007-03-28

Family

ID=3773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083A KR100699171B1 (ko) 2006-03-06 2006-11-22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119A (ko) 2016-07-30 2016-08-18 한상관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KR20160098122A (ko) 2016-07-31 2016-08-18 한상관 주거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KR20160144938A (ko) 2015-08-13 2016-12-19 한상관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포함된 독성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893A (ko) * 2005-07-01 2006-09-04 한상관 단열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콘크리트에 함유된 시멘트의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의구성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893A (ko) * 2005-07-01 2006-09-04 한상관 단열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콘크리트에 함유된 시멘트의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의구성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938A (ko) 2015-08-13 2016-12-19 한상관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물에 포함된 독성을 중화시켜주거나 제거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공법
KR20160098119A (ko) 2016-07-30 2016-08-18 한상관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KR20160098122A (ko) 2016-07-31 2016-08-18 한상관 주거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86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860B1 (ko) 자재, 재료, 장비, 장치, 드론,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및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방법
KR10069917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20070108421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 제거방법 및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20060120551A (ko)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무기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200601094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시멘트의 독성 제거방법 및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건축물 구성재료 속에함유된 무기 또는 유기물질성 독성들을 제거하는 방법을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공법
KR100697978B1 (ko) 단열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의 독성을 제거시켜주는 건축물의 구성 공법
KR20210025880A (ko)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60038414A (ko) 블록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면서 동시에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구비되는 블록을이용하여 건축물을 신축하는 공법
KR20060035697A (ko) 단열성을 향상 시켜주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의 신축공법
KR20060054237A (ko) 단열성을 향상시켜 주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의 독성을 제거시켜주는 건축물의 구성 공법
WO2007111420A1 (en) Method to construct buildings using method to counteract or remove virlence in concrete structures or buildings and that structing materls
KR101414819B1 (ko) 친환경 황토 단열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US20040040227A1 (en) Material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and building material, laying material and spraying agent using the same
KR100557007B1 (ko)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건축물 신축공법
KR20060030884A (ko) 단열성을 향상 시켜주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의 신축공법
KR20110006002A (ko) 황토침대
KR100732407B1 (ko) 흙 혼합물을 이용한 건축물 신축공법
KR100918179B1 (ko) 건축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히팅용기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을 중화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방법
KR20060026942A (ko) 단열성을 향상 시켜주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의 신축공법
KR20060015765A (ko) 단열성을 향상 시켜주는 건축물의 신축공법과 시멘트의독성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물리적인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 시켜주는 건축물신축공법
KR20050080011A (ko) 건축물의 주요 구성 재료인 시멘트의 독성을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도록 작용하는 화학적인 방법을이용하여 건축물의 독성을 제거시켜주는 공법
JP2005029472A (ja) 住環境改善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建材、敷設材並びに散布剤
KR100760832B1 (ko)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과 건축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모든건축물 구성재료 속에 함유된 독성들을 중화시키거나제거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쾌적한 실내를 조성하는방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히팅용기의 구성방법
JP2005029951A (ja) 住環境改善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建材、散布剤並びに散布剤
JP3307901B2 (ja) 建材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