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16B1 -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16B1
KR100698216B1 KR1020050050365A KR20050050365A KR100698216B1 KR 100698216 B1 KR100698216 B1 KR 100698216B1 KR 1020050050365 A KR1020050050365 A KR 1020050050365A KR 20050050365 A KR20050050365 A KR 20050050365A KR 100698216 B1 KR100698216 B1 KR 10069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lash
camera
light emiss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736A (ko
Inventor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1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있어서, 특히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Flash)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사용하여 초점 조정을 위한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에 따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절하는데 적당한 발명이다.
카메라, 플래시, 피사체, 발광량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nsity of camera fla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 조정을 위한 제어 펄스를 나타낸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Flash)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나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최근에 개발된 디지털 카메라들은 자동초점(auto focusing)이나 줌(zooming)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들은 저조도 촬영시에 보조광으로써 플래시 엘이디(Flash LED) 등을 사용한다.
그런데 카메라가 지원하는 화소가 점점 커지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좀더 밝은 보조광이 요구되었다. 그에 따라 일반 스틸 카메라(still camera)에 쓰이던 크세논 플래시(Xenon Flash)가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크세논 플래시는 기존 플래시 엘이디(Flash LED)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강한 빛 세기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야간 촬영시나 어두운 실내 촬영시에 보다 밝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나 크세논 플래시의 강한 빛 세기는 피사체가 가까이 있을 때 피사체를 하얗게 세츄레이션(saturation)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촬영 상황에 따라 플래시의 빛 세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사체가 가까이 있을 때와 아닐 때를 구분하여 플래시의 빛 세기를 조절해주는 기술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절하는데 적당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사용하여 초점 조정을 위한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 대비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와 함께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을 참조하여 해당 발광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발광량 대비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출된 발광시간만큼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에 대비되는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찾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비되면서 상기 노광 조건에 대비되는 상기 발광량을 찾고, 상기 발광량에 대비되는 상기 발광시간을 찾고,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도록, 상기 발광시간만큼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의 폭에 비례하게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이 조정된다.
한편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의 조정을 위한 상기 렌즈의 구동 시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이거나, 상기 렌즈의 조정을 위한 상기 렌즈의 구동 시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Auto Focusing)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렌즈의 위치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렌즈의 위치 값을 사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출된 거리와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에 상응하도록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된 거리와 상기 노광 조건에 상응한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발광시간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비례한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의 조정을 위한 상기 렌즈의 구동 시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이거나, 상기 렌즈의 조정을 위한 상기 렌즈의 구동 시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을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정 값을 산출한 후에 상기 산출된 조정 값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노광 조건에 상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량 조정 값을 상기 플래시로 출력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량 조정 값은 상기 플래시의 발광시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스트로보 플래시(strobo flash)와 같은 일렉트로닉 플래시(electronic flash)(60)를 구비하며, 그 밖에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합니다. 즉, 카메라는 렌즈(lens)(11)와 카메라 센서(12)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10)과, 아날로그 프론트 엔트(Analog Front End ; 이하, AFE)(20)와, 브이드라이버(VDriver)(30)와,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 렌즈구동부(40)와, 디지털신호처리부(DSP)(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이드라이버(VDriver)(30)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영상신호를 읽어오기 위한 신호를 카메라 모듈(10)의 센서(12)로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영상신호를 AFE(20)로 출력하며, AFE(20)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이득을 보정하면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처리부(50)로 전달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이어서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렌즈(11) 구동을 위한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50)가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하는 예들은,
첫 째,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렌즈(11)의 위치 조정을 위해 렌즈구동부(40)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한다.
둘 째,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렌즈(1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렌즈구동부(40)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상기 산출된 조정 값에 상응한 제어신호(구동 펄스)를 생성하여 렌즈구동부(40)로 출력한다. 렌즈구동부(40)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렌즈(11)의 위치를 조정한다.
렌즈구동부(40)는 상기한 렌즈(11)의 위치 조정을 위해 렌즈(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한 렌즈구동부(40)에 적용되는 구동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스텝 모터(step motor) 구동 방식이나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SIDM(Smooth Impact Drive Mechanism)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렌즈구동부(40)는 SIDM(Smooth Impact Drive Mechanism)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한다.
그런데 디지털신호처리부(50)에서 산출되는 렌즈 조정 값은 렌즈(11)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값으로써, 그 조정 값으로부터 렌즈(11)가 조정된 후의 위치 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상기한 렌즈 위치 값도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이나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값은 렌즈 조정 값 또는 렌즈 위치 값이 사용된다. 그러나 설명의 편이상 이하에서는 렌즈 조정 값을 사용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만약 카메라에 구비된 일렉트로닉 플래시(electronic flash)(60)의 동작이 인에이블(Enable) 상태이면,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상기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결과로부터 산출된 렌즈 조정 값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더 산출한다.
그리고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발광량으로 플래시(60)의 발광량을 조정한다. 즉,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동안 플래시(60)가 발광하도록 발광량 조정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발광량 조정 값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일렉트로닉 플래시(60)로 출력한다.
상기한 발광량 조정 값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는 플래시(60)의 발광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펄스이다.
일렉트로닉 플래시(60)는 충전을 위한 캐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며, 디지털신호처리부(50)로부터 입력된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비례한 시간동안 발광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산출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가까우면 일렉트로닉 플래시(60)의 발광량(즉, 발광시간)을 줄이기 위한 제어 펄스를 생성하고, 산출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멀면 일렉트로닉 플래시(60)의 발광량(즉, 발광시간)을 늘리기 위한 제어 펄스를 생성한다.
별도의 예로써, 디지털신호처리부(50)는 발광량 조정 값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조리개수치, 셔터속도, ISO 감도 등)을 더 참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신호처리부(50)의 처리 부하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설정된 여러 렌즈 조정 값들(또는 렌즈 위치 값들) 대비 피사체까지의 거리들을 포함하는 테이블(표 1 참조)과, 여러 피사체까지의 거리들 대비 발광량들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여러 발광량들 대비 발광시간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미리 구 비한다. 그에 따라 디지털신호처리부(50)가 렌즈 조정 값(또는 위치 값)만 산출하면 상기한 여러 테이블들로부터 상호 대비되는 값들을 찾아서 최종 플래시(60)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를 플래시(60)로 출력하는 구조를 더 고려한다.
물론 디지털신호처리부(50)가 현재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해당한 발광량을 테이블에서 찾은 후에 그 발광량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고, 그를 플래시(60)로 출력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는 플래시(60)에 발광량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가 입력될 때, 그 플래시(60)가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발광하는 구조이다. 결국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해당하는 시간이 발광시간이기 때문에 여러 발광량들 대비 발광시간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은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렌즈(11)가 카메라 센서(1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를 홈 위치(Home position)이라 명칭하고, 렌즈(11)의 조정 범위 내에서 그 렌즈(11)가 카메라 센서(1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때를 매크로 위치(Macro position)이라 명칭한다.
그리고 렌즈(11)의 최대로 가능한 이동거리(홈 위치에서 매크로 위치까지 거리)가 0.98mm이고, 홈 위치에서 매크로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렌즈구동부(40)에 구동 펄스가 인가되는 시간이 200ms인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기반하여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을 제어하는 절차를 이 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디지털신호처리부(DSP)는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수행한다(S10). 자동초점 알고리즘은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사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디지털신호처리부(DSP)는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한다(S11). 여기서 렌즈 조정 값은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 값이다.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에 따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한다.
그런데 상기 렌즈 조정 값에 따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먼저 디지털신호처리부(DSP)는 상기에서 산출된 렌즈 조정 값 대비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12).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미리 설정된 여러 렌즈 조정 값들 대비 피사체까지의 거리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구비하여, 산출된 렌즈 조정 값에 해당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그 테이블에서 찾는다.
물론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 위치 값을 산출하고 그 렌즈 위치 값에 따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표 1은 렌즈 위치 값을 사용하여 발광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비한 테이블의 예이다. 즉, 다음 표 1은 여러 렌즈 위치 값들 대비 피사체까지의 거리들을 나타낸 일 예이다.
피사체까지의 거리 렌즈 위치(홈 위치=0)
1.6미터 이상 0.02밀리미터 이하
60센티미터 0.04밀리미터
30센티미터 0.1밀리미터
10센티미터 0.34밀리미터
5센티미터 이하 0.74밀리미터 이상
그런데 일반적으로 렌즈의 위치 값으로부터 정확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산출이 어렵다고 볼 때, 상기한 표 1에서 렌즈 위치 값들 대비 피사체까지의 거리들는 유추된 값들이다. 즉, 렌즈의 위치 값으로부터 피사체의 위치가 예측되고, 그 예측된 피사체의 위치에 근거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한편 렌즈 조정 값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으로부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 값(렌즈 조정 값)을 산출한다.
또는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한 값(렌즈 조정 값)을 산출한다.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산출되면, 디지털신호처리부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대비 플래시의 발광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발광량으로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한다(S13).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미리 설정된 여러 피사체까지의 거리들 대비 발광량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구비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발광량을 그 테이블에서 찾는다.
한편 상기 발광량에 의해 플래시가 얼마나 오랫 동안 빛을 발산하는지가 결정된다.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발광량으로부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산출한다.
이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 요구되면(S14),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에서 산출된 발광시간만큼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신호처리부는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플래시로 출력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플래시는 그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량을 조정하여 빛을 발산한다. 이 때 제어신호는 플래시의 발광시간 조정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디지털신호처리부가 발광시간을 별도로 산출하지 않고 발광량에 상응하는 제어 펄스를 플래시로 출력한 경우라면, 플래시는 수신된 제어 펄스의 폭에 따라 발광량을 조정한다. 즉, 플래시는 수신된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빛을 발산함으로써, 조정된 발광량의 세기로 빛을 발산한다(S15).
다음의 표 2는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따른 발광량들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플래시는 입력되는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비례한 시간동안 빛을 발산한다.
펄스 폭 발광량
5μ초 10%
43μ초 50%
1m초 100%
상기한 표 2의 발광량은 미리 설정된 플래시의 최대 발광시간 대비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해당하는 시간을 %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 조정을 위한 제어 펄스를 나타낸 타이밍도로써, 일반적인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방식의 일렉트로닉 플래시의 발광량 조정을 위한 제어 펄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충전전압은 플래시의 충전 시에 그 플래시에 구비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전압 변화를 나타낸다. CHR은 플래시의 충전 시작 신호이고, RDY는 캐패시터 용량 만큼 충전이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이다. STR은 충전 완료 시에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제어하여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STR이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제어 펄스이다. 따라서,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해당하는 tSTR이 플래시가 빛을 발산하는 발광시간이다. 결국 플래시는 tSTR에 비례한 시간동안 발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자동초점 동작으로 인한 렌즈의 위치 값을 사용하는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Auto Focusing)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카메라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유추한다(S20).
상기한 피사체의 위치를 유추하기 위해,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렌즈 위치 값을 산출한다. 자동초점 조정에 따른 초점 거리로부터 렌즈 위치 값이 산출되며, 그 산출된 렌즈 위치 값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예측한다.
일 예로써,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으로부터 렌즈 위치 값을 산출한다.
또다른 예로써,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렌즈 위치 값을 산출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에서 유추된 피사체의 위치를 사용하여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21).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산출되면, 디지털신호처리부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대비 플래시의 발광량을 결정한다(S22). 선택사항으로써,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발광량을 결정할 때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함께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들(노리개 수치나 셔터속도나 ISO 감도 등)을 더 참조한다.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 요구되면(S23),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에서 결정된 발광량에 해당하는 발광 제어신호를 플래시로 출력한다(S24).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한 플래시는 그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량을 조정하여 빛을 발산한다(S25).
보다 바람직하게,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 요구가 있을 때, 상기에서 결정된 발광량에 해당하는 발광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된 발광시간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여 카메라 플래시로 출력한다. 그러면 플래시는 수신된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비례한 시간동안 빛을 발산한다.
다음 표 3은 상기 렌즈 조정 값과 동일한 성격을 갖는 자동초점 조정에 따른 초점 거리들 대비 발광량들을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동초점 조정에 따른 초점 거리를 직접적으로 발광량 조정에 사용하는 것도 고려한다.
초점 거리(AF 시에) 노광 조건 발광량
20센티미터 이하 -4 EV 10%
60센티미터 미만 -2 EV 50%
60센티미터 이상 보정 없음 100%
상기한 표 3에서는 발광량을 결정하는데 노광 조건에 의해 정해지는 노출치를 더 고려한 예이다.
또한 표 3에서 발광량은 미리 설정된 플래시의 최대 발광시간 대비 조정된 발광시간을 %로 나타낸 것이거나, 플래시에 구비된 캐패시터의 최대 충전량 대비 빛 발산에 따른 방전량을 %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절한다. 즉, 피사체가 카메라에 가까이 있을 때와 멀리 있을 때를 구분하여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를 조정해 준다. 그에 따라 플래시의 강한 빛으로 인하여 피사체가 하얗게 세츄레이션(saturation)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촬영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된다.

Claims (17)

  1. 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사용하여 초점 조정을 위한 렌즈 조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 대비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와 함께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을 참조하여 해당 발광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발광량 대비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출된 발광시간만큼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조건은 조리개수치와 셔터속도와 ISO 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렌즈 조정 값에 대비되는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찾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비되면서 상기 노광 조건에 대비되는 상기 발광량을 찾고,
    상기 발광량에 대비되는 상기 발광시간을 찾고,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도록, 상기 발광시간만큼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폭에 비례하게 상기 플래시의 발광량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8. 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Auto Focusing)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초점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렌즈의 위치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렌즈의 위치 값을 사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출된 거리와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에 상응하도록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와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에 상응한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발광시간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상기 카메라 플래시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 플래시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펄스의 펄스 폭에 비례한 시간동안 상기 카메라 플래시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정 값은 상기 렌즈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영상신호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
  14. 카메라에 구비된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을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정 값을 산출한 후에 상기 산출된 조정 값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카메라에 설정된 노광 조건에 상응하는 상기 플래시의 발광량 조정 값을 상기 플래시로 출력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량 조정 값은 상기 플래시의 발광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의 인가 시간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상기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를 누적한 카운트 값으로부터 상기 조정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KR1020050050365A 2005-06-13 2005-06-13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9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65A KR100698216B1 (ko) 2005-06-13 2005-06-13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65A KR100698216B1 (ko) 2005-06-13 2005-06-13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736A KR20060129736A (ko) 2006-12-18
KR100698216B1 true KR100698216B1 (ko) 2007-03-22

Family

ID=3781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365A KR100698216B1 (ko) 2005-06-13 2005-06-13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88B1 (ko) 2008-01-30 2014-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징 기기의 플래시 강도 조절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509B1 (ko) * 2010-06-28 2011-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1112292A1 (ko)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522A (ko)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카메라의 발광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522A (ko)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카메라의 발광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88B1 (ko) 2008-01-30 2014-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징 기기의 플래시 강도 조절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736A (ko) 200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8438B2 (ja) ストロボ装置、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183902B2 (ja) 自動焦点装置
US8866962B2 (en) Imag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JP4222213B2 (ja) カメラ装置、撮影感度設定プログラム及び撮影感度設定方法
JP2001177763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03304B2 (ja) カメラ
JP2006098771A (ja) 焦点検出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レンズユニット
US10721416B2 (en) Imaging device
JP2005128145A (ja) 撮影用照明装置
US7697835B2 (en) Imaging apparatus
KR100698216B1 (ko) 카메라 플래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98900B1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US6714734B2 (en) Camera
KR101342970B1 (ko) 촬상장치, 카메라 시스템 및 조명장치
JP5163498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5221641A (ja) 撮像装置
JP2006267880A (ja) 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90467A (ja) 撮像装置
JP5183188B2 (ja) 撮像装置およびストロボ装置
JP201913903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10768B2 (ja) カメラ
JP2009290510A (ja) 撮像装置
JP2004325588A (ja) ストロボ発光制御方法
JP2012063600A (ja) 撮像装置、発光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3335702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