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919B1 -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 Google Patents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919B1
KR100697919B1 KR1020050003047A KR20050003047A KR100697919B1 KR 100697919 B1 KR100697919 B1 KR 100697919B1 KR 1020050003047 A KR1020050003047 A KR 1020050003047A KR 20050003047 A KR20050003047 A KR 20050003047A KR 100697919 B1 KR100697919 B1 KR 10069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c
insulator
current
ptc elem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363A (ko
Inventor
이방욱
강종성
최원준
이영준
한준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919B1/ko
Priority to US11/329,731 priority patent/US20060152330A1/en
Priority to EP06000532A priority patent/EP1681686A1/en
Priority to CNB2006100005956A priority patent/CN100538922C/zh
Priority to JP2006004682A priority patent/JP2006196902A/ja
Publication of KR2006008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TC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를 한류시키는 PTC 한류기에 있어서, PTC 소자; 상기 PTC 소자를 개재시키도록 PTC 소자 양면에 배치된 전극부; 상기 PTC 소자를 감싸도록 그 주변에 마련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제1 절연체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는 유동성 절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가 개시된다. 이로써 저압계통에서 뿐 아니라 고압계통에서도 과전류나 단락전류 제한 시 PTC 소자와 전극 사이의 계면에서 생성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간의 섬락을 방지하여 PTC 소자의 마모를 방지하고 PTC 한류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PTC, 한류기, 아크, 섬락

Description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PTC current limiting device having multi insula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PTC 특성을 갖는 한류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절연 한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절연 한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PTC 소자 20...전극부
21a, 21b...접촉전극 22a, 22b...전류리드
30...제1 절연체 40...제2 절연체
50...코팅층
본 발명은 PTC 특성을 갖는 한류기(限流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최소화하며 소호(消弧)하고, 전극간 섬락(flashover)을 방지하는 PTC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고압 계통의 단락전류에 대한 대비책으로써, 차단기가 널리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전기의 주파수는 60Hz 이고, 이의 한 위상을 초단위로 환산하면 16.7ms이 된다. 이를 한 사이클이라 정의할 때, 종래의 차단기는 차단 시간이 수 사이클 이상으로 오래 걸리고 예상 사고 전류치에 대한 한류기능이 없어 사고 파급효과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또한 단락전류 차단 실패 시에는 주변 전력기기 및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계통 단락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한류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한류 기술 중에는 대표적으로 한류기가 있는데, 한류기란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과전류 및 단락전류를 제한하고 차단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PTC 특성을 갖는 물질은 상온에서는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아 전류를 잘 통과시킨다. 그러나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어 자체적으로 발열될 경우 저항이 수백 배 혹은 그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게 되므로 전류 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회로소자를 구성할 경우 온도 상승 시 각종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특허공개 평10-321413호에는 PTC를 이용한 한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TC를 이용한 한류기는 도전성 입자가 혼입되어 PTC 특성을 갖는 PTC 폴리머 소자(1), PTC 폴리머 소자(1)의 양쪽 표면에 용착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2) 및 제1 전극(2)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전극(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PTC 폴리머 소자(1)의 표면적은 제1 전극(2)의 표면적보다 크고, 제1 전극의 표면적(2)은 제2 전극(3)의 표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이러한 구조로 제1 전극(2) 양단에서 발생하는 내부 단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한류기의 동작 전후에서의 한류기 저항의 변화를 작게 하며 큰 부하 전류를 통전할 수 있다. 또한 PTC 폴리머 소자(1) 주위에 절연부재로 이루어진 틀(4)을 설치하여 절연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제1 전극(2)과 제2 전극(3)간 섬락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한류기를 실제 100V 이상, 10kA 이상의 단락전류의 제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PTC 폴리머 소자(1)와 접촉되어 있는 제1 전극(2)의 열용량 차이로 인한 발생 저항의 시간차와 비선형성으로 인해 PTC 폴리머 소자(1) 와 제1 전극(2)의 접촉계면에서 상당한 저항이 PTC 폴리머 소자(1)의 발열에 따른 저항 보다 먼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열 스트레스가 집중하게 되어 아크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상당한 소음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아크는 PTC 폴리머 소자(1)를 분해시키고 탄화시켜 결국 절연파괴가 일어난다. 또한 이러한 아크와 PTC 폴 리머 소자 자체의 발열에 의해 PTC 물질이 용융 및 기화되어 PTC 폴리머 소자의 두께는 지속적으로 얇아지고 제1 전극이 PTC 폴리머 소자 내부에 함침되어 버린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한류기는 제1 및 제2 전극(2, 3)의 표면적을 조절하는 가압구조를 이용하여 접압력을 증가시키려 하지만, 실제 PTC 폴리머 소자(1)와 계면에서 발생하는 저항의 비선형성과 전자반발력에 의한 아크 발생은 불가피하며 발생한 아크로 인한 한류특성 저하 및 전극간의 섬락을 회피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이 제시하고 있는 PTC 폴리머 소자(1) 주변 양단에 설치되는 절연부재(4)는 절연거리 확보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PTC 폴리머 소자(1)와 제1 전극(2)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차단 시 발생하는 소음 완화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한류기는 저전류 영역에서는 무소음, 무아크의 전류 제한이 가능하지만, 고전류 대용량의 구조에서는 아크발생이 불가피하며 아크로 인해 PTC 소자의 열화 및 수명 감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저압계통에서 뿐 아니라 고압계통에서도 과전류나 단락전류 제한 시 생성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제거하며, 전극간의 섬락을 방지할 수 있는 PTC 한류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TC 한류기는, PTC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를 한류시키는 PTC 한류기에 있어서, PTC 소자; 상기 PTC 소자를 개재시키도록 PTC 소자 양면에 배치된 전극부; 상기 PTC 소자를 감싸도록 그 주변에 마련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제1 절연체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는 유동성 절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PTC 소자는 PTC 특성을 갖는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극부는 상기 PTC 소자에 직접 접촉하도록 마련된 접촉전극; 및 상기 접촉전극과 연결되어 접촉전극을 회로와 통전시키는 전류리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동성 절연물은 진공, 가스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은 10-3torr 이상의 진공도를 갖고, 상기 가스는 1bar 이상의 SF6 , N2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로 하며, 상기 오일은 냉각 성능을 갖는 절연유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PTC 소자 또는 전극부와 제1 절연체 사이에 개재되는 코팅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TC 한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TC 한류기는 PTC 소자(10), PTC 소자에 접촉하는 전극부(20), PTC 소자(10)와 전극부(20)를 감싸도록 설치된 절연체를 포함한다.
PTC 소자(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 온도 상승에 따라 특정온도 값에서 전기저항이 급격히 상승하여 전력계통에서 과전류를 억제하는 소자이다.
PTC 소자(10)는 제한하고자 하는 전류값에 따라 그 물성이 다르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5℃에서 비저항이 100Ωm 이하이며, 전류공급으로 인한 줄(Joule)열이 발생되는 스위칭 온도에서는 비저항이 25℃에서의 비저항의 105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적 및 열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교류 100V 이상의 전압에 견딜 수 있고, 1cm당 30kV 이상의 과전압 인가 시 섬락(flashover)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PTC 소자(10)는 회로에 투입되었을 때 상시 전류, 예컨데 1A 전후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1A 전후의 전류 통전시 트립이 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정상 운전전류의 10배 이상의 과전류가 통전 시에 1/2 사이클 이내에 저항의 상승이 일어나서 과전류를 제한하며 단락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빨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상기 과전류의 제한 동작 이후 수분 이내에 이전 상태로 환원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C 소자(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면적과 두께는 PTC 소자(10)의 사용조건 즉, 상시전류와 제한하고자 하는 과전류, 동작시간 등의 요인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TC 소자(10)는 PTC 특성을 갖는 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C 폴리머는 아모퍼스 영역(armophous area)과 결정 영역(crystalline area)이 존재하는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중합체에 전도성 입자가 함침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PTC 폴리머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어 줄열이 발생하면 PTC 폴리머는 상온상태에서 고온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온도상승으로 상기 중합체는 결정 영역이 아모퍼스 상태가 되면서 부피팽창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때 전도성 입자의 위치가 이동되어 연결상태가 산발적으로 끊어지면서 소자의 전체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PTC 폴리머에는 무기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상온에서의 저저항 특성 및 고온에서의 고저항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PTC 폴리머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TC 한류기는 PTC 소자(10)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전극부 (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극부(20)는 PTC 소자(10)에 접촉하는 접촉전극(21a, 21b) 및 접촉전극(21a, 21b)를 회로에 통전시키는 전류리드(22a, 22b)를 포함한다.
접촉전극(21a, 21b)은 동박 또는 기타 금속계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전극(21a, 21b)은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또는 프리 컨택(free contact)방식 등 최대한 접촉저항을 줄이는 형태로 설치하되, PTC 소자(10)의 1면 이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접촉전극(21a, 21b)의 접촉면적은 PTC 소자(10)의 면적 및 두께를 고려하여 PTC 소자(10)의 동작 시 접촉전극(21a, 21b)간 섬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정한다.
전류리드(22a, 22b)는 접촉전극(21a, 21b)과 연결되어 접촉전극(21a, 21b)을 전력계통과 통전시킨다. 전류리드(22a, 22b)는 금속계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계통 전류 통전시 허용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통전 용량을 계산하여 사이즈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한류기는 접촉전극(21a, 21b) 과 전류리드(22a, 22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전극(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은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금, 은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전력계통에서 한류기로의 통전이 더욱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TC 소자(10)를 감싸도록 그 주변에 마련된 절연체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체는 유동성 절연물로 구성된 제1 절연체(30) 및 제1 절 연체(30)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2 절연체(40)를 포함한다.
제1 절연체(30)는 PTC 소자(10), 접촉전극(21a, 21b)의 전부 및 전류리드(22a, 22b)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절연체(3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크발생 및 섬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제1 절연체(30)는 PTC 소자(10)를 직접 감싸도록 구성되어 PTC 소자(10)와 접촉전극(21a, 21b) 간에 발생하는 아크 및 소음을 제거한다. 과전류로 인해 PTC 소자(10)가 동작하면 접촉전극(21a, 21b)과의 계면사이에서는 아크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아크로 인해 PTC 소자(10)는 소손되기 쉽다. 따라서 PTC 소자(10)의 본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 그 성능은 더더욱 저하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 제1 절연체(30)는 PTC 소자(10)의 동작시 PTC 소자(10)와 접촉전극(21a, 21b) 계면에서 발생하는 순간충격에너지와 초기 아크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이를 소멸시킨다. 따라서 아크와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유동성 절연물로 구성되기에 PTC 소자(10)와 접촉전극(21a, 21b) 사이에 완전히 접촉하지 못하는 공간을 기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아크의 발생을 저하시킨다.
또한, 제1 절연체(30)는 양단 접촉전극(21a, 21b)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TC 소자(10)의 전류 제한 동작시 양단 접촉전극(21a, 21b)과 PTC 소자(10)와 계면사이에는 아크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데 상기 아크를 억제하지 못하면 PTC 소자(10)를 건너뛰어 양단 접촉전극(21a, 21b)사이에서 섬락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섬락이 일어나지 않는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 1 절연체(30)는 PTC 소자(10), 접촉전극(21a, 21b)의 전부 및 전류리드(22a, 22b)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PTC 소자(10) 양단에 절연거리를 확보한다. 즉, 접촉전극(21a, 21b) 주변에 상당한 절연내력을 확보할 수 있어 섬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체(30)에 의해 PTC 소자(10)는 전류를 제한하는 동작 후 과열된 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정상온도 상태로 냉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절연체(30)를 구성하는 유동성 절연물은 진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은 10-3torr 이상의 진공도를 갖는 진공층으로 한다. 진공은 일반 공기에 비해 10배 이상의 절연내력을 갖고 있으며, 진공상태에서는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가 없으므로 절연파괴가 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체(30)를 진공으로 구성하면 진공에서의 높은 절연 내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크가 진공 중으로 급속히 소멸되는 것을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할 수 있고 절연체를 보다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1 절연체(30)를 구성하는 유동성 절연물은 가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는 1bar이상의 SF6가스 또는 N2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F6가스는 불활성 가스로서 무취, 무해, 무독, 불연, 비폭발성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유전체손실과 누설손실이 적으며 열적으로 안정된 가스이다. 절연내력은 89kV/cm로서 30kV/cm의 절연 내력을 갖는 대기압공기에 비해 상당히 높다. 또한 액체, 고체 절연물에 비해 유전율이 적어 충전전류가 적으며, 고체 절연물에 비해 자유로운 절연체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N2가스는 공기의 주성분으로 SF6가스와 유사하게 비가연성 가스이며,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는 1bar 이상의 SF6-N2 혼합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의 주성분으로 비점이 낮고 저렴하며 무독성 및 비가연성 등의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N2가스를 SF6에 혼합한 가스는 이물질의 존재나 전극표면 거칠기 등에 의한 절연내력의 저하가 덜 하며, 보다 낮은 비점과 저렴한 비용 등의 측면에서 경제적인 절연가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제1 절연체(30)를 구성하는 유동성 절연물은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고, 냉각성능을 갖는 절연유로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납텐계, 파라핀계, 방향족계의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성능이라 함은, 상기 절연유가 PTC 소자(10)의 동작 후 3분 이내에 정상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상기 유동성 절연물의 구체적인 예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채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TC 한류기는 상기 제1 절연체(30)를 감싸도록 마련된 제2 절연체(40)를 포함한다. 제2 절연체(40)는 한류동작시 팽창할 수 있는 제1 절연체(30)의 형태를 유지하고 지지하도록 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또한 빛, 습도, 오염물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제1 절연체(30)를 보호한다. 따라서 제1 절연체(30)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기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절연체(4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베이크라이트(bakelite) 등의 절연성을 가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절연 한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르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TC 한류기는 PTC 소자(10)및 전극부(20)와 제1 절연체(30) 사이에 개재되는 코팅층(50)을 더 포함한다.
제1 절연체(30)로 PTC 소자(10)를 몰딩할 때 그 접촉 계면에는 기포가 생길 수 있다. 그러면 PTC 소자(10)의 동작 시 절연파괴가 상기 기포를 따라 진행될 수 있어 제1 절연체(30)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 때 상기 계면에 코팅층(50)을 마련하면 PTC 소자(10)의 표면에 제1 절연체(30)가 보다 잘 밀착할 수 있어 PTC 한류기의 작용이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코팅층(50)은 에폭시 또는 실리콘 고무를 도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채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는 저압계통에서 뿐 아니라 고압계통에서도 과전류나 단락전류 제한 시 PTC 소자와 전극 사이의 계면에서 생성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전극간의 섬락을 방지하여 PTC 소자의 마모를 방지하고 PTC 한류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Claims (8)

  1. PTC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를 한류시키는 PTC 한류기에 있어서,
    PTC 소자;
    상기 PTC 소자를 개재시키도록 PTC 소자 양면에 배치된 전극부;
    상기 PTC 소자를 감싸도록 그 주변에 마련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제1 절연체를 외부대기로부터 밀봉하면서 감싸도록 마련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는 유동성 절연물로서 진공, 가스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는 PTC 특성을 갖는 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PTC 소자에 직접 접촉하도록 마련된 접촉전극; 및
    상기 접촉전극과 연결되어 접촉전극을 회로와 통전시키는 전류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은 10-3torr 이상의 진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1bar 이상의 SF6 , N2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냉각 성능을 갖는 절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8. 제1항 내지 제3항에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 또는 전극부와 제1 절연체 사이에 개재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C 한류기.
KR1020050003047A 2005-01-12 2005-01-12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KR10069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047A KR100697919B1 (ko) 2005-01-12 2005-01-12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US11/329,731 US20060152330A1 (en) 2005-01-12 2006-01-10 PTC current limiting device having molding part made of insulating material
EP06000532A EP1681686A1 (en) 2005-01-12 2006-01-11 PTC current limiting device having molding part made of insulating material
CNB2006100005956A CN100538922C (zh) 2005-01-12 2006-01-11 具有由绝缘材料制成的模制部分的ptc限流装置
JP2006004682A JP2006196902A (ja) 2005-01-12 2006-01-12 Ptc限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047A KR100697919B1 (ko) 2005-01-12 2005-01-12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363A KR20060082363A (ko) 2006-07-18
KR100697919B1 true KR100697919B1 (ko) 2007-03-20

Family

ID=3686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047A KR100697919B1 (ko) 2005-01-12 2005-01-12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7919B1 (ko)
CN (1) CN10053892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6633B2 (en) 2009-10-13 2014-05-06 Uniplatek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TC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planar heater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9903B1 (de) * 2012-05-30 2018-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kapselter überspannungsableiter mit zentraldurchführung
TWI480900B (zh) * 2013-11-29 2015-04-11 Polytronics Technology Corp 插件式過電流保護元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286A1 (en) * 2005-01-17 2006-07-20 Us Synthetic Superabrasive inserts including an arcuate peripheral su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286A1 (en) * 2005-01-17 2006-07-20 Us Synthetic Superabrasive inserts including an arcuate peripheral su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6633B2 (en) 2009-10-13 2014-05-06 Uniplatek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TC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planar heater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8922C (zh) 2009-09-09
KR20060082363A (ko) 2006-07-18
CN1805070A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1686A1 (en) PTC current limiting device having molding part made of insulating material
US874352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including wafer of varistor material
KR101798730B1 (ko) 고전압 전기 시스템용 스위칭 및 보호 장치
KR100697919B1 (ko) 다중 절연체를 구비한 ptc 한류기
US11710613B2 (en) Melting conductor and fuse
WO2020237771A1 (zh) 一种两段式耐受雷电流的熔断结构及采用该结构的熔断器
KR100697918B1 (ko) 섬락 방지 구조를 갖는 ptc 한류기
KR100697917B1 (ko) Ptc 한류기
US8817445B1 (en) Voltage surge protection device and high voltage circuit breakers
US6144540A (en) Current suppressing circuit breaker unit for inductive motor protection
Rieder Circuit breakers Physical and engineering problems III-Arc-medium considerations
US20230326701A1 (en) Fuse assemblies and protective circu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JP2020508557A (ja) 低電圧アプリケーション用安全ヒューズ
EP2677524B1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including a varistor member and an electrical conductive fusing member
US20170084387A1 (en) Electrical component
KR100764297B1 (ko) Ptc 소자를 구비하는 전류 차단기
Agarwal Vacuum interrupter applications in electrical power systems
KR200268235Y1 (ko) 열발산 기능을 가진 가스차단기용 극간 절연 지지물
KR20220136706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726040B1 (ko) 가압수단을 구비한 ptc 한류기
US1212746A (en) Lightning-arrester.
JPS61224401A (ja) 避雷器
JPH10312905A (ja) 電流制限装置
JPH0417283A (ja) 避雷装置の切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