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866B1 -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866B1
KR100697866B1 KR1020050036098A KR20050036098A KR100697866B1 KR 100697866 B1 KR100697866 B1 KR 100697866B1 KR 1020050036098 A KR1020050036098 A KR 1020050036098A KR 20050036098 A KR20050036098 A KR 20050036098A KR 100697866 B1 KR100697866 B1 KR 10069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ork
time information
job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178A (ko
Inventor
이영주
이지수
김중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8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Abstract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정확한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함으로써 큐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한정된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관리 시스템의 작업대기영역인 파이프 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리될 작업을 수신한다. 작업실행영역인 배치큐는 작업대기영역으로부터 작업을 전송받아 해당 작업을 실행하고, 작업시간 추출모듈은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계산된 시간정보를 저장한다.
작업관리, 배치 큐, 파이프 큐, 대기시간, 최적화

Description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Job Management System with Job Waiting Time Detecting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Job Waiting Time and Medium for Storing for Program Carrying out Method of Computing Job Waiti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분석한 데이터.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작업관리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큐에서의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2n: 사용자 단말기 6: 작업관리 시스템
8, 14, 20: 노드 10, 16, 22: 파이프 큐
12, 18, 24: 배치 큐 26: 작업시간 추출모듈
28: 데이터베이스 30: 분석모듈
44: 시간측정부 46: 단위환산부
48: 연산부
본 발명은 작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기시간을 검출할 수 있는 작업관리 시스템 및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작업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때 한정된 시스템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작업관리 시스템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에 가장 알맞은 작업관리 시스템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작업관리 시스템으로는 미국 NASA의 위탁을 받아 개발된 네트워크 큐잉 시스템(NQS: Network Queuing System)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큐잉 시스템에서는 여러개의 배치잡(Batch Job)을 자신 혹은 다른 컴퓨터에서 분산 처리하기 위해 배치 잡을 대기하고 실행하게 하는 큐(Queue)를 관리하고 그 운용을 지원하게 된다.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큐란 사용자가 보낸 작업을 작업처리 조건에 명시한대로 작업을 처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큐에서 작업을 처리하는 순서는 선입 선출(FIFO: First In First Out)방식에 따라 먼저 들어온 작업을 먼저 처리하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입 선출(LIFO: Last In First Out)방식에 따라 나중에 들어온 작업을 먼저 처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큐에는 작업이 실행되는 영역인 배치 큐(Batch Queue)와 배치 큐에 작업을 분배하기 위해 작업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영역인 파이크 큐(Pipe Queue)가 있다.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큐란 사용자가 보낸 작업을 작업처리 조건에 명시한대로 작업을 처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큐에서 작업을 처리하는 순서는 선입 선출(FIFO: First In First Out)방식에 따라 먼저 들어온 작업을 먼저 처리하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입 선출(LIFO: Last In First Out)방식에 따라 나중에 들어온 작업을 먼저 처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큐에는 작업이 실행되는 영역인 배치 큐(Batch Queue)와 배치 큐에 작업을 분배하기 위해 작업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영역인 파이프 큐(Pipe Queue)가 있다.
배치 방식이란 시스템 전체의 자원을 CPU 시간, 메모리, 작업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몇 개의 큐(Queue)로 나누어 배분하여 놓고 각각의 큐마다 처리 조건을 부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큐를 이용하여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배치방식에서는 큐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자원을 할당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에게 시스템 전체의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 방식을 이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인 자원의 배분을 위하여 큐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며 큐의 설계를 위해서 큐와 작업의 통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큐와 작업의 통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데이터가 필요한데 그 중 작업이 큐에서 대기한 시간에 대한 데이터가 특히 중요하다. 작업관리 시스템에 대한 통계는 작업관리 시스템 자체의 큐로그(Log)에 저장된 기록을 추출하여 작성된다. 해당 큐로그에는 작업이 큐에 입력되어 종료될 때까지 시간대별로 큐에서 진행된 과정과 처리된 결과값이 기록되어 있다. 해당 큐로그에는 배치큐에서의 처리된 내용만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배치큐로만 구성되어 있어 처음 작업이 입력되어 대기할 때에 작업이 배치큐에서 대기하게 되는 경우 작업 대기시간이 큐로그에 기록되나, 배치큐만을 사용하지 않고 파이프 큐와 병행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 구성에서는 작업이 파이프큐에서 대기하다가 실행가능한 배치큐에 작업이 할당되므로 배치큐에서의 작업 대기시간은 0으로 기록되어 정확한 작업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정확한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함으로써 큐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한정된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정확한 작업대기산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정확한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정확한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작업대기영역과 상기 작업실행영역은 작업 처리 등급에 따라 리얼타임(realtime), 익스프레스(express), 라지(large), 스몰(small), 노말(nomal) 및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시간 추출모듈은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와 작업대기영역으로부터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연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부는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관리 시스템에는 복수개의 작업실행영역이 구비되어 있어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을 전송할 때 상기 복수개의 작업실행영역 중 현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작업실행영역에 작업을 우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를 초단위로 환산하하는 단위환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초단위로 환산된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연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은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대기시간을 독출하고, 독출된 작업대기시간을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거나 상기 작업대기시간 뿐만 아니라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도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관리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 계산방법은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리될 작업 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작업을 작업실행영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작업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대기한 시간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작업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작업실행영역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될 때 상기 복수개의 작업실행영역 중 현재 작업이 실행 가능한 작업실행영역에 작업을 우선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기영역과 상기 작업실행영역은 작업 처리 등급에 따라 리얼타임(realtime), 익스프레스(express), 라지(large), 스몰(small), 노말(nomal) 및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작업대기영영으로부터 상기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계산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상기(c)단계는, (c1)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시간정보 및 제2 시간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2)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3) 상기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4)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5)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및 (c6) 상기 (c2)단계 내지 (c5)단계에서 계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결과를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기시간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c2)단계 내지 상기(c5)단계의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를 각각 초단위로 환산하여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이나 상기 작업대기시간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를 모두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관 리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b) 상기 작업대기영영으로부터 상기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및 (c)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계산함에 의해 작업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대기한 시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을 포함한다.
상기(c)기능은 (c1)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시간정보 및 제2 시간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c2)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3) 상기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4)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5)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및 (c6) 상기 (c1)기능 내지 (c5)기능에서 계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결과를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c2)기능 내지 상기(c5)기 능의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를 각각 초단위로 환산하여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b)기능은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이나, 상기 작업대기시간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 모두를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고하면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6a~6n)가 네트워크(4)를 통해 작업관리 시스템(6)에 접속된다. 작업관리 시스템(6)은 사용자 단말기(2a~2n)로부터 각 사용자가 처리하기 원하는 작업을 전송받아 작업을 처리함에 있어서, 시스템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시스템의 전체 자원이 균등히 분배 되도록 작업을 관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여준 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관리 시스템(6)은 복수개의 노드(8, 14, 20), 작업시간 추출모듈(26), 데이터베이스(28) 및 분석모듈(3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노드(8, 14, 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a~2n)를 통해 작업관리 시스템(6)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8, 14, 20)중 어느 하나의 노드만을 통해서 작업관리 시스템(6)에 로그인 할 수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각각의 노드(8, 14, 20)를 통하여 작업관리 시스템(6)에 로그인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개의 노드(8, 14, 20)는 NEC사 의 SX-5, SX-6a 및 SX-6b로 구현될 수 있으며, SX-6a와 SX-6b는 서로 고속의 IXS 내부 채널로 연결되어 있고, SX-5와 SX-6a 및 SX-6b는 일반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서버역할을 하는 SX-6a를 통해 작업관리 시스템에 로그인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노드(8, 14, 20)에는 각각 작업대기영역인 파이프 큐(10, 16, 22)(이하 '파이프 큐'라함)와 작업실행영역인 배치 큐(12, 18, 24)(이하 '배치 큐'라 함)가 구비되어 있다. 파이프 큐(10, 16, 22)는 작업관리 시스템(6)으로 로그인한 사용자로부터 처리할 작업을 수신하고, 배치 큐(12, 18, 24)는 파이프 큐(10, 16, 22)로부터 처리될 작업을 전송받아 작업을 처리한다. 파이프 큐(10, 16, 22)로부터 배치 큐(12, 18, 24)로 작업을 전송함에 있어서, 현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배치 큐(12, 18, 24)에 작업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큐(10, 16, 22)와 배치 큐(12, 18, 24)는 작업 처리 등급에 따라 리얼타임(realtime), 익스프레스(express), 라지(large), 스몰(small), 노말(nomal) 및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되어 있고, 파이프 큐(10, 16, 22)의 각 등급은 배치 큐(12, 18, 24)의 각 등급에 매칭되어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리얼타임 파이프 큐(10, 16, 22)로 작업을 지정하여 전송하면 작업은 각각의 배치 큐(12, 18, 24)중 현재 작업이 처리 가능한 리얼타임 배치 큐로 전송되어 처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얼타임 큐는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할 작업을 위한 것이며 4개의 CPU를 전용으로 할당하되, 리얼타임에 작업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큐의 작업들이 이 CPU를 사용하게 된다. 실시간으로 작업이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얼타임에서는 작업이 대기할 수 없다. 익스프레스 큐는 긴급처리를 요하는 작업을 위한 것이고, 스몰 큐와 노멀 큐는 라지 큐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스몰 큐는 CPU 타임이 180분 이하의 작업인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코노미 큐는 CPU 가 아이들(idle)인 경우에만 처리되는 작업을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큐가 작업의 처리 성능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므로 각 큐의 사용 요금은 서비스 차징 팩터(Service Chargung Factor)에 따라서 다르게 부과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이프 큐(10, 16, 22)로 작업을 요청하는 정보가 기록되는 형식을 표 1을 통해 살펴보면, 제1행에 기재된 내용은 2004년 11월 26일 18시 21분 46초에 31517이라는 ID를 가진 사용자가 NEC사의 SCX-6a를 통해 Express로 작업을 요청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제2행에 기재된 내용은 2004년 11월 26일 18시 23분 38초에 31518이라는 ID를 가진 사용자가 NEC사의 SCX-6a를 통해 Normal로 작업을 요청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제3행에 기재된 내용은 2004년 11월 26일 18시 29분 21초에 31519이라는 ID를 가진 사용자가 NEC사의 SCX-6a를 통해 Express로 작업을 요청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2004:11:26 18:21:46 Request 31517.necsx6a submitted to queue: Express
2004:11:26 18:23:38 Request 31518.necsx6a submitted to queue: Normal
2004:11:26 18:29:21 Request 31519.necsx6a submitted to queue: Express
작업시간 추출모듈(26)은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28)에 기록한다.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파이프 큐(10, 16, 22)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와 상기 파이프 큐(10, 16, 22)로부터 배치 큐(12, 18, 24)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와 배치 큐(12, 18, 24)로 들어온 작업이 배치 큐(12, 18, 24)에서 처리되어 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 및 배치 큐(12, 18, 24)에서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작업시간추출모듈(26)은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파이프 큐(10, 16, 22)에서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산출하게 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8)에 기록한다.
분석모듈(30)은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된 작업처리에 관련된 상기 각 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시간정보들을 이용하여 통계작업을 수행하여 소정의 결과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작업관리시스템(6)에 적용함으로써 작업관리 시스템(6)을 재설계하여 사용자 단말기(2a~2n)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한다.
분석모듈(30)이 상술한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분석한 데이터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Queue"는 Queue를 등급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Jobs"는 처리요구된 작업의 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로 4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었고 익스프레스로 5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었으며 라지로 51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었고 노말로 47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었으며 스몰로 85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어 총 192개의 작업처리가 요청되었음을 알 수 있다.
"Waiting"은 파이프 큐(10, 16, 22)에서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나타내고 "Elapsed"는 작업이 배치 큐(12, 18, 24)에 들어와서 처리되어 배치 큐(12, 18, 24)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며 "CPUs"는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린 시간을 나타내고, "CPU_Ave"는 요청된 총 작업을 처리하는데 걸린 평균시간을 나타낸다. "MEM"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는데 할당된 메모리 수를 나타내고 "MEM_Ave"는 요청된 총 작업을 처리하는데 할당된 메모리 수를 나타낸다. "E/CPU"는 작업이 배치 큐(12, 18, 24))에 들어와서 배치 큐(12, 18, 24)를 빠져나가는데 시간을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을 나타내고, "(W+E)/C"는 파이프 큐(10, 16, 22)에서 작업이 대기한 시간과 작업이 배치 큐(12, 18, 24)에 들어와서 배치 큐(12, 18, 24)를 빠져나가는데 걸린 시간을 합한 값을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분석모듈(3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의 대기시간(Waiting), 경과시간(Elapsed), 처리시간(CPUs) 및 메모리 사용량(MEM)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를 산출해서 각각의 큐에서 작업이 잘 분배되어 처리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큐의 값을 조정하면서 최상의 큐가 유지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최적화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작업시간추출모듈(26), 각 노드들(8, 14, 20) 및 데이터베이스(28)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각 노드(8, 14, 20)중 어느 하나로 로그인 할 수 있고 로그인된 노드의 파이프 큐(10, 16, 22)는 배치 큐(14, 20, 24)중 현재 작업이 실행 가능한 배치 큐로 작업을 우선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작업관리 시스템(6)의 각 노드(8, 14, 20)중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노드(14)의 파이프 큐(16)가 작업을 전송받고 상기 노드의 배치 큐(18)로 작업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28)는 작업처리를 요청한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기록되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31), 사용자 단말기(2a~2n)로부터 파이프 큐(16)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가 기록되는 제1 시간정보 테이블(32)과, 파이프 큐(16)로부터 배치 큐(18)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가 기록되는 제2 시간정보 테이블(34)과,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배치 큐(18)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가 기록되는 제3 시간정보 테이블(36)과,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와 상기 각 제4 시간정보를 합산하여 모든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정보를 함께 기록하는 제4 시간정보 테이블(38)과,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로 산출된 파이프 큐(16)에서의 작업 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과, 상기 각 시간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모듈(30)이 산출한 분석결과가 기록되는 분석결과정보 테이블(42)을 포함한다.
작업시간추출모듈(26)은 시간측정부(44)와 연산부(46)를 포함하는데, 시간측정부(32)는 사용자 단말기(2a~2n)로부터 파이프 큐(16)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시간정보 테이블(32)에 기록하고, 파이프 큐(16)로부터 배치 큐(18)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제2 시간정보 테이블(34)에 기록하며,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배치 큐(18)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제3 시간정보 테이블(36)에 기록하고, 하나의 작업이 배치 큐(18)에서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제4 시간정보 테이블(38)에 기록한다.
연산부(46)는 상기 제2 시간정보 테이블(34)과 제1 시간정보 테이블(32)로부터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그 차를 계산하고 파이프 큐(16)에서의 작업대기시간을 추출하여 그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각 제4 시간정보 테이블(38)로부터 제4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합산하고 모든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정보를 합산하여 제4 시간정보 테이블(38)에 기록한다.
본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시간추출모듈(26)은 단위환산부(46)를 더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시간측정부(44)에 의해 측정된 시간정보의 분, 시간, 일, 월, 년의 단위를 초단위로 환산하여 상기 각각의 테이블(32 내지 38)에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작업대기시간과 작업처리시간 등도 초단위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작업관리 시스템(6)의 파이프 큐(16)가 사용자 단말기(2a~2n)로부터 작업을 수신하고(S100), 시간측정부(44)는 작업이 수신된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8)의 제1 시간정보 테이블(32)에 기록한다(S110). 다음으로 파이프 큐(16)는 수신된 작업을 복수개의 배치 큐 가운데 현재 작업이 실행가능한 배치 큐(18)로 작업을 우선적으로 전송하고(S120), 시간측정부(44)는 파이프 큐(16)로부터 배치 큐(18)로 작업이 전송된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8)의 제2 시간정보 테이블(34)에 기록한다(S130).
파이프 큐(16)로부터 전송된 작업은 배치 큐(18)에서 처리되어 배치 큐를 빠져 나가게 되는데 이때 시간측정부(44)는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배치 큐(18)에서 빠져나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3 시간정보 테이블(36)에 기록하고(S140), 하나의 작업이 배치 큐(18)에서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제4 시간정보 테이블(38)에 기록한다(S150).
상기 시간정보들이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28)에 기록되면 연산부(48)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작업이 파이프 큐(16)에서 대기한 시간, 경과시간과 처리시간의 비율, 대기시간과 경과시간의 합과 처리시간의 비율 등을 포함하는 작업처리효율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28)에 기록한다(S160). 마지막으로 분석모듈(30)은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된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통계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28)의 분석결과정보 테이블(42)에 저장하고 상기 통계정보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스템을 재설계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재분배하여 시스템의 최적화를 수행하게 된다.(S170)
여기서 파이프 큐에서의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a와 도 6b는 하나의 도면이나 도면작성의 편의를 위해 이를 구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6a와 도 6b를 하나의 도면인 도 6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연산부(48)가 제2 시간정보 테이블(34)에 기록된 초단위까지의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 테이블(34)에 기록된 초단위까지의 제1 시간정보를 독출한다(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독출된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초단위의 차를 먼저 계산하는데, 연산부(48)는 제2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값의 크기를 비교하여(S210),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20). 그러나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값에 60을 가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값의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30).
다음으로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과 상기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차를 계산하는데, 연산부(48)는 제2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크기를 비교하여(S240),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50). 그러나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에 60을 가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60).
다음으로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과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차를 계산하는데, 연산부(48)는 제2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크기를 비교하여(S270),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80). 그러나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에 24를 가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290).
다음으로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과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의 차를 계산하는데, 연산부(48)는 제2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의 크기를 비교하여(S300),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310). 그러나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이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월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에 30을 가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의 차를 산출하여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320).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에 가산되는 30은 한달의 일수를 나타내므로 각 달의 일수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된다. 예컨대 2005년 2월의 경우에는 28이 가산되고, 2005년 5월의 경우에는 31이 가산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S240 내지 S320에서 산출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8)의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되어 있는 각각의 작업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초단위 까지의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8)의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한다(S33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대기시간을 일, 시간, 분, 초 단위로 각각 산출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단계에서 대기시간 산출시 모든 단위를 초단위로 환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도 있다. 예컨대 S250에서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과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차에 60을 곱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시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하고, 제260단계에서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에 60을 가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차를 산출한 뒤 산출된 값에 60을 곱하여 초단위로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S280에서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과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차에 3600을 곱하여 산출된 결과를 작업대기사간이 기록되는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하고, S290에서는 먼저,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값에서 1을 감산하고,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에서 60을 감산한 값과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차를 산출한 뒤 산출된 값에 3600을 곱하여 초단위로 산출된 결과를 대기시간정보 테이블(40)에 기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계에서 각각의 단위에 해당하는 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최종단계에서 그 값을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계에서 각 단위에 해당되는 대기시간이 산출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도 있다. 예컨대 S220 또는 S230에서 초단위에 해당되는 작업대기시간이 산출되면, S250 또는 S260에서의 대기시간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값과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값의 차에 S220 또는 S230에서 산출된 대기시간을 합산한 값이 되는 것이고, S280 또는 S290에서의 대기시간은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과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값의 차에 S250 또는 S260에서 산출된 대기시간값을 합산한 값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작업관리 시스템이 파이프 큐로부터 전송된 작업이 배치 큐에서 처리되어 배치 큐를 빠져 나가게 되는 시간과 하나의 작업이 배치 큐에서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각각 제3 시간정보 테이블과 제4 시간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3 시간정보와 제4 시간정보의 측정 및 기록 없이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만을 산출하고 그 차를 계산해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시스템을 분석하여 큐를 재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일단위값까지만 산출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는데, 작업대기시간이 상당히 길어서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월단위 또는 년단위까지 산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큐와 배치큐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작업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이 파이프 큐에서의 대기한 정확한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큐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한정된 시스템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리될 작업을 수신하는 작업대기영역;
    상기 작업대기영역으로부터 작업을 전송받아 해당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실행영역;
    상기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연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이 대기한 시간을 포함하여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계산하는 작업시간 추출모듈;
    상기 작업시간 추출모듈에 추출된 작업처리에 관련된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을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행영역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될 때 상기 복수개의 작업실행영역 중 현재 작업이 실행 가능한 작업실행영역에 작업을 우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기영역과 상기 작업실행영역은 작업 처리 등급에 따라 리얼타임(realtime), 익스프레스(express), 라지(large), 스몰(small), 노말(nomal) 및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부는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간측정부에 의해 검출된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를 초단위로 환산하는 단위환산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산부는 초단위로 환산된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차를 연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
  8. 삭제
  9.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되는 시간인 제1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처리될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작업대기영역으로부터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되는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작업을 작업실행영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계산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작업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대기한 시간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을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행영역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될 때 상기 복수개의 작업실행영역 중 현재 작업이 실행 가능한 작업실행영역에 작업을 우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기영역과 상기 작업실행영역은 작업 처리 등급에 따라 리얼타임(realtime), 익스프레스(express), 라지(large), 스몰(small), 노말(nomal) 및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12. 삭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c)단계는
    (c1)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시간정보 및 제2 시간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2)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3) 상기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4)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c5)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및
    (c6) 상기 (c2)단계 내지 (c5)단계에서 계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결과를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c2)단계 내지 상기(c5)단계의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를 각각 초단위로 환산하여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계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계산방법.
  17. 삭제
  18.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 작업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대기영역에 작업이 수신된 시간인 제1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b) 상기 작업대기영영으로부터 상기 작업실행영역으로 작업이 전송된 시간인 제2 시간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 상기 제2 시간정보와 상기 제1 시간정보와의 차를 계산함에 의해 작업이 상기 작업대기영역에서 대기한 시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및
    (d)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을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c)기능은
    (c1)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시간정보 및 제2 시간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c2)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초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초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3) 상기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4)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시간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c5) 상기 제2 시간정보의 일단위와 상기 제1 시간정보의 일단위의 차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및
    (c6) 상기 (c1)기능 내지 (c5)기능에서 계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결과를 합산하여 작업대기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c2)기능 내지 상기(c5)기능의 제1 시간정보와 제2 시간정보의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를 각각 초단위로 환산하여 제2 시간정보와 제1 시간정보의 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기능에 있어서
    작업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이 상기 작업실행영역에서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3 시간정보와 하나의 작업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제4 시간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계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d)기능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작업대기시간, 제3 시간정보 및 제4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업관리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작업관리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작업관리 시스템의 자원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에서의 작업대기시간 계산방법.
  23. 삭제
KR1020050036098A 2005-04-29 2005-04-29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9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098A KR100697866B1 (ko) 2005-04-29 2005-04-29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098A KR100697866B1 (ko) 2005-04-29 2005-04-29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178A KR20060113178A (ko) 2006-11-02
KR100697866B1 true KR100697866B1 (ko) 2007-03-22

Family

ID=376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098A KR100697866B1 (ko) 2005-04-29 2005-04-29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99B1 (ko) 2012-12-18 2019-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스템-온 칩,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596A (ko) * 1997-05-22 1998-12-05 제프리 엘. 포맨 컴퓨터 자원에 대한 비례적인 사용 및 응답 시간의 스케쥴링
KR20010056752A (ko) * 1999-12-16 2001-07-04 이계철 지능적 작업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67298A (ko) * 1999-10-08 2001-07-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타깃 완성 시간에 의해 조종되는 작업 흐름 스케줄링최적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596A (ko) * 1997-05-22 1998-12-05 제프리 엘. 포맨 컴퓨터 자원에 대한 비례적인 사용 및 응답 시간의 스케쥴링
KR20010067298A (ko) * 1999-10-08 2001-07-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타깃 완성 시간에 의해 조종되는 작업 흐름 스케줄링최적화 방법
KR20010056752A (ko) * 1999-12-16 2001-07-04 이계철 지능적 작업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178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2639B2 (en) Job managing device, job managing method and job managing program
CN101346696B (zh) 负荷分散型客户机服务器系统及负荷分散方法
CN105487930A (zh) 一种基于Hadoop的任务优化调度方法
KR101694310B1 (ko) 멀티코어 프로세서 기반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GB2475897A (en) Resource allocation using estimated time to complete jobs in a grid or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2667724A (zh) 利用加速器的、目标指向的工作负载性能管理
CN114816721B (zh) 一种基于边缘计算的多任务优化调度方法及系统
CN103995735A (zh) 用于调度工作流作业的设备和方法
Wang et al. Delay asymptotics and bounds for multi-task parallel jobs
CN107193652A (zh) 容器云环境中流数据处理系统的弹性资源调度方法及系统
CN110119876B (zh) 工单处理方法及装置
Wierman et al. Scheduling despite inexact job-size information
US11294736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sitsiklis et al. On the power of (even a little) centralization in distributed processing
CN110147470B (zh) 一种跨机房数据比对系统及方法
JP4905120B2 (ja) 負荷集約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負荷集約装置および負荷集約方法
CN116700920A (zh) 云原生混合部署集群资源调度方法及装置
CN117573373B (zh) 一种基于云计算的cpu虚拟化调度方法及系统
Lu et al. VM scaling based on Hurst exponent and Markov transition with empirical cloud data
KR100697866B1 (ko) 작업대기시간 검출기능을 구비한 작업관리 시스템과작업대기시간 검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09769031A (zh) 一种动态自适应负载均衡方法及系统
US8973007B1 (en) Adaptive lock list searching of waiting threads
CN115994029A (zh) 容器资源调度方法及装置
CN115357651A (zh) 一种基于调度中心的etl系统
JP2013196174A (ja) 処理分担制御装置、演算装置、演算システム、処理分担制御方法、及び処理分担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