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659B1 -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659B1
KR100697659B1 KR1020060021881A KR20060021881A KR100697659B1 KR 100697659 B1 KR100697659 B1 KR 100697659B1 KR 1020060021881 A KR1020060021881 A KR 1020060021881A KR 20060021881 A KR20060021881 A KR 20060021881A KR 100697659 B1 KR100697659 B1 KR 10069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foreign matter
air
sc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762A (ko
Inventor
황유성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명캠프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명캠프랜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6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가스상의 이물질 미립자를 포집시에 그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관(62)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도록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단자(68)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상기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이동로(64)와 상기 급수이동로(64)의 단부를 향해 공기압축기(96)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공기이동로(65)가 분사공(69a)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적분사부(67)가 상기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를 구성하는 액적분사부(67)를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전 액적을 분사시키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분사시켜 줌으로서 균일하고 미세한 크기의 하전 액적으로 분무되어 이물질 미립자의 포집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스크러버, 액적, 가스, 이물질 미립자, 공기

Description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Electric charged liquid droplet spray apparatus of scrub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가 구비된 스크러버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세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주위의 집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입부 20: 충전탑부
30: 수적제거부 40: 이온화부
50: 이물질포집부 60: 하전 액적 분사장치
62: 급수관 63: 공기관
63a: 공기유입구 64: 급수이동로
65: 공기이동로 67: 액적분사부
68: 전극단자 69a: 분사공
70: 액적수집부 80: 배출부
90: 전원공급부 96: 공기압축기
100,100' : 이물질 미립자 200: 하전 액적
본 발명은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가스상의 이물질 미립자를 포집시에 그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러버는 반도체 제조 공장이나 화학공장 또는 도금공장 등과 같은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발생사업장에 설치되어 유해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와같은 스크러버는 통상적으로 인위적으로 방전전극에 고전압 정전원장치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아 코로나(CORONA)방전을 통해 입자를 하전(이온화)시키고, 하전된 입자들을 상대극성을 띤 집진전극에서 전기적인 힘으로 집진하는 것으로, 그 방전전극으로는 와이어전극이 방전효율이 높아 많이 사용되며, 그 와이어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오염된 가스 중의 이물질 미립자들을 일정한 극성을 가지도록 이온화시키고, 이와 같이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들을 하전 액적 분사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상대극성을 가지는 이온화된 액적을 분사시켜 상기 이물질 미립자들과 인력(引力)이 작용하여 결합시킨 후 액적포집부를 통과하며 액적을 포집하여 배출되는 가스를 중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43968호의 "집진장치용 정전분사장치"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입자하전부를 통과한 (+)극성을 가지는 이물질 미립자들과 수액적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극성을 가지는 수액적을 상기 이물질 미립자가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하게 직하(直下)방향으로 분사시켜 상호 인력을 작용하게 하여 이물질 미립자가 수액적에 포집된다.
그런데 상기 정전분사장치는 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방사상으로 배출되어 자유낙하하게 구성되어 자유낙하(自由落下)하는 동안에만 이물질 미립자를 포집하게 되어 그 포집효율이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포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의 수액적분사노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액적분사노즐을 통과하는 급수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실제로 배출되는 수액적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포집효율이 떨어지고, 전원장치로 부터 링전극을 이용하여 수액적의 극성을 순간변환함으로 인해 수액적이 (-)극성으로 하전(荷電)되더라도 그 극성이 약하여 상기 이물질 미립자와의 인력이 약하게 작용하여 그 역시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하전 액적을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 으로 수평방향으로 분사시켜주어 이물질 미립자의 포집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전기 포집기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극성을 띄는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는 하전 액적의 극성을 극대화하여 이물질 미립자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키는 하전 액적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포집기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온화부(40)를 거쳐 일정한 극성을 가지도록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가 유입되면 상기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는 액적을 분사하여 상기 이물질 미립자와 인력이 작용하여 포집하도록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는 중앙부에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관(62)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도록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단자(68)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상기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이동로(64)와 상기 급수이동로(64)의 단부를 향해 공기압축기(96)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공기이동로(65)가 분사공(69a)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적분사부(67)가 상기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액적분사부(67)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외부에는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형상이고 일측에 상기 공기압축기(96)로 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63a)가 형성되는 공기관(63)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은 내부를 이동하는 급수의 양이온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단자(68)와 통전되도록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플(62a)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2)을 상기 공기관(63)의 내부에 위치시에 상기 니플(62a)이 상기 연결공(63b)과 동일한 위치에 맞추어지도록 조정한 후, 중앙부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이동로(64)와 연결되는 급수이동공(58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공기이동로(65)와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이동공(58b)이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결합홈(58c)이 형성되는 소켓(58)을 상기 연결공(63b)에 끼워 상기 니플(62a)에 결합고정하고, 상기 소켓(58)에 상기 액적분사부(67)를 상기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가 구비된 스크러버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세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주위의 집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스크러버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스크러버는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이 섞여있는 오염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0)와, 상기 유입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가스와 가스 중에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충전탑부(20)와, 상기 충전탑부(20)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가스의 습도를 일정하게 비율 이하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수적제거부(30)와, 상기 수적제거부(30)를 거친 오염된 가스 중의 이물질 미립자를 음(-)극성을 가지도록 하전시키는 이온화부(40)와, 상기 이온화부(40)를 통해 배출되는 음극화된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양(+)극성을 가지는 균일한 크기의 하전 액적을 상기 이물질 미립자와 동일한 진행방향으로 수평 분사시켜주는 하전 액적 분사장치(60)가 구비되어 이물질 미립자를 2차적으로 포집하는 이물질포집부(50)와, 상기 이물질포집부(50)에서 이물질 미립자를 포집한 상태의 액적을 중성화시켜 수집하는 액적수집부(70)와, 상기 액적수집부(70)로 부터 중화된 가스를 송풍팬(82)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전탑부(20)는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가스 중에 오염가스와 비교적 큰 이물질을 상부 또는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는 분사노즐(22)을 통해 물을 분사시킴과 동시에 충전재(24)를 통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재(24)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은 순환펌프(26)를 이용하여 다시 이송관(28)과 분사노즐(22)을 통해 충전탑부(20)의 내부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상기 충전탑부(20)를 거친 오염된 가스는 필요이상의 수적을 포함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수적제거부(30)의 와이어 메쉬 패드(미도시됨)를 통해 5㎛이상 크기의 수적을 제거하여 일정 기준치 이하로 액적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적제거부(30)를 거쳐 배출되는 가스는 이온화부(40)와 이물질포집부(50)와 액적수집부(70)를 거치게 되는데 그 작동원리는 도 2를 참고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온화부(40)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극(42)에 높은 음(-)전압을 인가했을 때 방전극(42) 주위에 있는 자유전자(e-)는 전기적 척력(斥力)에 의해 방전극(42)으로 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튕겨져 나가던 자유전자(e-)는 중성상태인 내부의 가스분자(미도시됨)와 충돌하게 되어 전자를 잃고 양(+)극화된다. 한편, 양(+)극화된 가스분자는 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방전극(42)으로 끌려가게 되고, 결국 양극화된 가스분자는 방전극(42) 표면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방전극(42)은 수많은 전자(e-)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극(42)과 수전극(44) 사이에는 수많은 전자(e-)가 존재하게 되어 이곳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이물질 미립자(100)에 흡착되어 이물질 미립자(100)를 전기적으로 음(-)극을 띄도록 하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방전극(42)에 인가되는 전압은 정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약 -40㎸의 고전압(92)을 걸어주어 전자(e-)를 방출시켜주게 된다. 이는 하나의 일예로서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전압을 공급하도록 변형 실시함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온화부(40)를 통해 음극화된 이물질 미립자(100')는 이물질포집부(50)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중앙부에 하나이상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60)가 상기 이온화부(40)를 거쳐 배출되어 이동하는 음극화된 이물질 미립자(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61)가 이동하는 급수관(62)이 수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급수관(62)의 외부에는 상기 급수관(62)을 에워싸며 공기(air)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관(6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공기관(63)의 일측에는 공기압축기(96)로 부터 압축된 상태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기유입구(63a)가 형성되고, 수평하는 방향의 다수의 연결공(6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플(62a)이 형성되어 있어 급수(61)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급수관(62)은 상기 공기관(63)의 내부에 위치시에 상기 니플(62a)이 상기 연결공(63b)과 동일한 위치에 맞추어지도록 조정한 후 소켓(58)을 상기 연결공(63b)에 끼운 상태에서 돌려주어 상기 니플(62a)에 결합시켜주고, 상기 공기관(63)과 소켓(58)의 이음매 부분에 용접(59)을 하여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켓(58)은 중앙부에 관통되는 급수이동공(58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이동공(58b)이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결합홈(58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58c)에는 상기 급수이동공(58a)과 연결되는 급수이동로(64)와 그 급수이동로(64)의 주변에 상기 공기이동공(58b)과 연결되어 공기관(63)의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공기이동로(65)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디(67a)와, 그 바디(67a)의 전면에 분사공(69a)이 형성되는 분사캡(69)이 결합되는 액적분사부(67)가 결합되어 하전 액적(200)을 분사하는 경우 압축공기에 의해 더욱더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의 하전 액적(200)을 일정각도(θ°) 범위로 분사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적분사부(67)는 상기 급수관(62)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는 이물질포집부(5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를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구비함도 동일한 기술원리를 채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62)의 외측부에는 전극단자(68)가 외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약 +40㎸의 고전압(94)을 인가받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62)은 상기 전극단자(68)와 통전되도록 전기전도성이 높은 스텐레스스틸이나 니켈강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전압을 인가받아 양(+)극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급수관(62)의 내부를 지나게 되는 급수(61)의 전자(e-)는 분리되어 양(+)극화 상태의 급수관(62)과 인력이 작용하여 급수(61)로 부터 분리되어 급수관(62)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62)을 이동하는 급수(61)가 양전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 급수이동로(64)와 분사 공(69a)를 통해 양(+)극 상태의 하전 액적(200)을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수관(62)과 공기관(63)은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수관(62) 전체가 양전하를 띄게 되어 급수(61)가 이동하는 과정중에 급수관(62)과 접촉면적이 넓어져 급수(61)가 양전하를 많이 띄게 되어 급수이동로(64)를 통해 하전 액적(200)으로 분무되는 경우 음(-)극화된 이물질 미립자(100')와 더욱더 큰 인력이 작용하여 이물질 미립자(100')의 포집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포집부(50)를 거쳐 이물질 미립자(100')를 포집한 상태의 액적(200)은 전기적으로 극성을 띄고 있어 이를 그대로 배출부(80)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경우 인체(人體)에 해로운 정전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액적수집부(70)를 통해 이물질 미립자(100')를 포집한 상태의 상기 액적(200)을 중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적수집부(70)는 이물질 미립자를 포집한 상태의 액적(Liquid Droplet)을 수집할 수 있도록 접지(ground)되는 카본(carbon) 재질이고 갈매기형상인 다수의 쉐브론(Chevron)층(72)을 통과시에 액적(200)은 관성력에 의해 쉐브론층(72)에 부딪히게 되고 뒤따른 액적(200)의 충돌로 점점 사이즈가 커져 액적(200)이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침강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후단에 구비되는 배출부(8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전기적으로 중성화시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온화부(40)의 방전극(42)에는 음(-)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급 수관(62)의 외측부를 감싸는 전극단자(68)는 양(+)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그와는 반대로 상기 이온화부(40)의 방전극(42)에는 양(+)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급수관(62)의 일단부 외측을 감싸는 전극단자(68)는 음(-)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취함도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하전 액적 분사장치가 구비된 스크러버의 작동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이 섞여있는 오염된 가스가 유입부(10)를 통해 충전탑부(20)에서 1차적으로 직경이 5 내지 500㎛ 정도로 입자가 큰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이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 5㎛ 미만의 미세한 입자인 이물질 미립자(100)는 제거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그대로 통과되고 이는 수적제거부(30)를 통해 일정습도이하를 유지하도록 건조되어 이온화부(40)로 공급된다.
상기 이온화부(40)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극(42)에 전원공급부(90)를 통해 공급되는 약 -40㎸의 고전압(92)을 인가하여 수많은 자유전자(e-)를 발생시켜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 미립자(100')를 음극으로 하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음전하된 이물질 미립자(100')는 이물질포집부(5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물질포집부(50)의 내측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액적분사부(67)가 액적수집부(72)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하전 액적 분사장치(60)가 작동하여 이물질 미립자(100')와 하전 액적(200)이 상호간에 상대적인 극성을 띄고 있어 인력이 작용하여 끌어당겨 결과적으로 이물질 미립자(100')를 하전 액적(200)이 포집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는 급수관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전극단자(68)에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약 +40㎸의 고전압(94)을 인가받아 양전하상태로 하전되어 급수(61)의 전자(e-)를 끌어당겨 전자가 분리된 상태의 양전하 상태의 급수(61)를 급수이동로(64)와 분사공(69a)을 통해 이물질포집부(50)의 내부 공간에서 수평방향으로 즉, 이물질 미립자(1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압축기(96)의 작동에 의해 더욱더 균일하고 미세한 크기의 양전하를 띄는 하전 액적(200)을 수평방향으로 분무시켜 주어 이물질 미립자와의 접촉면적으로 증대시켜 음전하를 띄는 이물질 미립자(100')의 포집효율을 증대하고 급수 소비량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질 미립자(100')가 포집된 상태의 하전 액적(200)은 액적수집부(70)의 쉐브론(Chevron)층(72)을 통과하면서 쉐브론층(72)에 충돌 및 증립되어 액적(200)을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시키고 배출구를 통해 유해가스 및 분진등을 제거한 상태의 가스를 중성화시켜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전 액적 분사장치(60)를 구성하는 액적분사부(67)를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액적을 분사시켜 이물질 미립자의 포집효율을 증대시키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분사시켜 줌으로서 균일하고 미세한 크기의 하전 액적으로 분무되어 이물질 미립자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물질 미립자의 포집효율을 증대시키고 급수의 소비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급수관(62)을 전극단자(68)와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급수(61)가 이동하는 과정중에 급수관(62)과 접촉면적이 넓어져 급수(61)가 양전하를 많이 띄게 되어 분사공(69a)을 통해 하전 액적(200)으로 분무되는 경우 이물질 미립자(100')와 더욱더 큰 인력이 작용하여 이물질 미립자(100')의 포집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Claims (5)

  1. 이온화부(40)를 거쳐 일정한 극성을 가지도록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가 유입되면 상기 이온화된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는 액적을 분사하여 상기 이물질 미립자와 인력이 작용하여 포집하도록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전 액적 분사장치는;
    중앙부에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관(62)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미립자에 대해 상대극성을 가지도록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단자(68)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상기 급수가 이동하는 급수이동로(64)와 상기 급수이동로(64)의 단부를 향해 공기압축기(96)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공기이동로(65)가 수평방향의 분사공(69a)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적분사부(67)가 상기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분사부(67)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의 외부에는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중공형상이고 일측에 상기 공기압축기(96)로 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63a)가 형성되는 공기관(6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은 내부를 이동하는 급수의 양이온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단자(68)와 통전되도록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외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플(62a)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2)을 상기 공기관(63)의 내부에 위치시에 상기 니플(62a)이 상기 연결공(63b)과 동일한 위치에 맞추어지도록 조정한 후, 중앙부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이동로(64)와 연결되는 급수이동공(58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공기이동로(65)와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이동공(58b)이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결합홈(58c)이 형성되는 소켓(58)을 상기 연결공(63b)에 끼워 상기 니플(62a)에 결합고정하고, 상기 소켓(58)에 상기 액적분사부(67)를 상기 이물질 미립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KR1020060021881A 2006-03-08 2006-03-08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KR10069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81A KR100697659B1 (ko) 2006-03-08 2006-03-08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81A KR100697659B1 (ko) 2006-03-08 2006-03-08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064U Division KR200379320Y1 (ko) 2005-01-03 2005-01-03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62A KR20060079762A (ko) 2006-07-06
KR100697659B1 true KR100697659B1 (ko) 2007-03-20

Family

ID=3717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81A KR100697659B1 (ko) 2006-03-08 2006-03-08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43B1 (ko) * 2009-12-14 2012-02-15 한국기계연구원 배출가스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62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139B1 (ko) 양극성 정전분무식 복합응집 집진 장치
JP3362030B2 (ja) 超微細粒子を用いる粉塵捕集装置及びその方法
US5902380A (en) Dust collector
KR20180053850A (ko)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CN110496704B (zh) 一种双极雾化预荷电的细颗粒物团聚装置
EP1159074A1 (en) Charged droplet gas scrubber apparatus and method
KR102257548B1 (ko) 정전분무 사이클론 내 초미세입자 추가 제거를 위한 링전극 구조
KR101927473B1 (ko) 미세 먼지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EP2868384B1 (en) Wet electric dust-collecting device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KR101965189B1 (ko)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CN105032611A (zh) 一种预荷电强化的湿式静电多种污染物深度控制系统
KR101951185B1 (ko)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20160068116A (ko) 미세먼지 응집장치
KR101864480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1971917B1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KR100793376B1 (ko)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시스템
KR101995733B1 (ko) 액체분사부와 액체흐름판을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KR20200068867A (ko)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KR100922339B1 (ko) 전기집진방식을 이용한 미세입자 포집장치용 미세 분무장치
KR100697659B1 (ko)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KR200379320Y1 (ko) 스크러버의 하전 액적 분사장치
KR101603223B1 (ko) 하전 초미세 액적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 집진기
CN109174456B (zh) 一种用于雾化湿式静电除尘的装置及方法
CN112108269A (zh) 一种脉冲荷电湿式电除尘除雾器、处理方法及其应用
KR100394371B1 (ko) 초미세입자를 이용한 정전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