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531B1 -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 Google Patents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531B1
KR100697531B1 KR1020040080804A KR20040080804A KR100697531B1 KR 100697531 B1 KR100697531 B1 KR 100697531B1 KR 1020040080804 A KR1020040080804 A KR 1020040080804A KR 20040080804 A KR20040080804 A KR 20040080804A KR 100697531 B1 KR100697531 B1 KR 10069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ent
yoke
permanent magne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635A (ko
Inventor
양호준
Original Assignee
양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호준 filed Critical 양호준
Priority to KR102004008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53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35A/ko
Priority to US11/245,676 priority patent/US200600781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5/00Magnet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종래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의 진동판(1)에 통기구(2)를 설치하고 요크(4)와 영구자석의 중앙에 공명통(9)를 설치하여 공명용으로 이용하면 몸체(3)의 공명통(16)과 더불어 두 개의 공명통을 갖게 되므로서 보다 좋은 음을 청추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4045940178-pat00001
진동판(1), 몸체(3), 통기공(2), 통기구(8), 영구자석(6), 요크(4)

Description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HEAD PHONE AND EAR PHONE HAVE TOW CONSONANCE BOX}
도1은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종래의 이어폰 유니트의 측 단면도
도2는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종래의 헤드폰 유니트의 측 단면도
도3은 공명통이 설치된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헤드폰, 이어폰의 유니트의 측 단면도
도4는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하고 케이스에 조립된 헤드폰을 두부에 장착한 헤드폰 유니트와 케이스의 측 단면도
도5는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이어폰을 두부에 장착한 이어폰 유니트와 케이스의 측 단면도
종래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은 진동판이 진동을 원할히 할 수 없어 좋은 소리를 재생할 수 없어 진동펀의 재질을 바꾸는 등 여러가지 노력은 하고 있으나 보이스코일 진동방식이 갖는 근본적인 분제를 해결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보이스코일의 진동방식이 좋은 소리를 재생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소 시켜 보다 쉽게 좋은 소리를 재생시키는 헤드폰과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의 근본 원리는 같으나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모든 것을 다 설명할 수 없으므로 표준형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전체적으로는 조립체이지만 편의상 유니트와 조립체를 각각 설명한다.
도1은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종래의 이어폰 유니트의 측 단면도로서 몸체(3)의 내부에 요크(4)와 영구자석(6)을 몸체(3)의 밑면에 장착하고 중공리베트(5)로 몸체에 고정시키고 보이스코일(7)이 설치된 진동판(1)을 통기공(8)이 설치된 몸체(3)상부에 조립한 형태가 일반적인데 진동판(1)에 통기구(2)를 설치하고 도3처럼 몸체(3)밑면을 막아주면 중공리베트(5)의 밑면이 막혀 도3처럼 공명통(9)가 형성되게 된다.
도2는 통기구가 있는 평면 진동판을 장착한 종래의 헤드폰 유니트의 측 단면도로서 몸체(3)의 내부에 요크(4)와 영구자석(6)을 몸체(3)의 밑면에 장착하고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보이스코일(7)이 설치된 진동판(1)을 통기공(8)이 설치된 몸체(3)상부에 조립한 형태가 일반적인데 진동판(1)에 통기구(2)를 설치하고 도3처럼 요크(4)와 영구자석(6)의 중앙부에 구멍을 설치해 주면 몸체(3)의 밑면이 요크(4) 와 영구자석(6)의 증앙부의 구멍을 막아 도3처럼 공명통(9)가 형성되게 된다.
도3은 공명통이 설치된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장착한 헤드폰, 이어폰의 유니트의 측 단면도로서 몸체(3)의 내부에 요크(4)와 영구자석(6)을 몸체(3)의 밑면에 장착하고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보이스코일(7)이 설치된 진동판(1)을 통기공(8)이 설치된 몸체(3)상부에 조립한 형태가 일반적인데 진동판(1)에 통기구(2)를 설치하고 요크(4)와 영구자석(6)의 중앙부에 관통하는 구멍을 설치해 주면 몸체(3)의 밑면이 요크(4)와 영구자석(6)의 중앙부의 구멍을 막아 상부가 뚫린 공명통(9)가 형성되게 된다.
도4는 통기구가 있는 진동판을 설치하고 케이스에 조립된 헤드폰을 두부에 장착한 헤드폰 유니트와 케이스의 측 단면도로서 전체를 보면 하나의 조립체로서(1)은 진동판,(2)는 통기구,(3)은 몸체,(4)는 요크,(6)은영구자석,(7)은 보이스코일,(8)은 통기공,(9)는 공명통,(10)은 앞커버,(11)은 밀착구,(12)는 두부,(13)은 고막,(14)는 귀구멍,(15)는 뒤커버,(16)은 공명통,(17)은 연결선으로서 헤드폰을 두부(12)에 장착하면 앞커버를 기준으로 밀착구(11)와 두부(12)가 밀착되어 귀구멍(14)이 밀폐공간이 되어 진동판(1)이 진동하여 앞으로 밀리면 귀구멍(14)의 공기가 압력을 받아 진동판(1)을 뒤로 밀게되고 뒤커버(15)의 내부 공기는 진공압을 받아 진동판(1)을 당기는 작용이 일어나 진동이 자유롭게 이루어 지지않으며 반대의 경우도 같은 결과가 발생하게 되는데 진동판(1)의 중앙부에 통기구(2)를 설치하면 압력은 통기구(2)를 통하여 뒤로 빠지고 진공압도 역시 통기구(2)를 통하여 앞 부분의 공기를 빨아 들여 항상 공기의 압력이 상압을 유지하므로 진동판(1)의 진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헤드폰 유니트내에 구성된 공명통(9)와 케이스내에 형성된 공명통(16)의 두개의 공명통을 가지게 되므로 다이나막한 임체음향의 좋은 소리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통기구가 있는 평면 진동판을 장착한 이어폰을 두부에 장착한 이어폰 유니트와 케이스의 측 단면도로서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조립체로서 헤드폰과 구성이 같으며 이어폰을 귀구멍(14)에 끼우면 도4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서 도4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통기구(2)가 설치된 진동판(1)과 두 개의 공명통(9),(16)이 진동판(1)의 진동을 자유롭게 하고 공명작용을 왼벽하게 구현하므로 다이나믹한 임체음향을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체(3)의 내부에 요크(4)와 영구자석(6)을 몸체(3)의 밑면에 장착하고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보이스코일(7)이 설치된 진동판(1)을 통기공(8)이 설치된 몸체(3)상부에 조립한 이어폰과 헤드폰으로서 요크(4)와 영구자석(6)의 중앙부에 관통하는 구멍을 설치하여 몸체(3)의 밑면에 요크(4)와 영구자석(6)을 접착제 등으로 밀탁 고정시키면 몸체(3)의 밑면이 요크(4)와 영구자석(6)의 중앙부의 관통하는 구멍을 막아 상부가 뚫린 공명통(9)를 형성시키고 케이스에 조립하면 자동으로 케이스의 공명통(16)이 형성되어 두개의 공명통을 가지고 진동판(1)의 중앙부에 통기구(2)를 가진 진동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과 이어폰 조립체,
KR1020040080804A 2004-10-11 2004-10-11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KR10069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04A KR100697531B1 (ko) 2004-10-11 2004-10-11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US11/245,676 US20060078154A1 (en) 2004-10-11 2005-10-07 Electricalacoustic ransdu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04A KR100697531B1 (ko) 2004-10-11 2004-10-11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35A KR20040105635A (ko) 2004-12-16
KR100697531B1 true KR100697531B1 (ko) 2007-03-20

Family

ID=3738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804A KR100697531B1 (ko) 2004-10-11 2004-10-11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5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172A (ja) * 1999-04-19 2000-11-02 Tw Denki Kk イヤホーン
KR20020003169A (ko) * 2001-11-30 2002-01-10 황상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172A (ja) * 1999-04-19 2000-11-02 Tw Denki Kk イヤホーン
KR20020003169A (ko) * 2001-11-30 2002-01-10 황상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03169
123081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35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2508B1 (ja) イヤホン
KR100586140B1 (ko) 골도스피커
CN102196330B (zh) 耳机
EP1487235A3 (en) Loudspeaker device
EP1819193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ing device
JP2007013730A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KR102287938B1 (ko) 헤드셋의 마이크 장착 구조
US20060254852A1 (en) Integral audio module
JP2002171596A (ja) スピーカ装置
JPH07170591A (ja) ヘッドホン
US8416979B2 (en) Earphone
JP2009515389A (ja) アクティブ騒音補正装置用の変換器システム
JP2019115039A (ja) 複数の振動板を備えた音響器機
JP3063297U (ja) スピ―カの取付構造
KR101539064B1 (ko) 다수개의 울림공간을 구비한 이어폰
KR100697531B1 (ko) 두개의 공명통을 가진 헤드폰과 이어폰
US20060078154A1 (en) Electricalacoustic ransducer
CN111356051A (zh) 声学装置
US11330365B2 (en) Speaker module
US9736573B2 (en) Sound system
JP2008167130A (ja) 無線機用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KR20050103116A (ko) 이어폰용 통기공
CN217643688U (zh) 一种具有气传导功能的骨传导装置及骨传导耳机
KR20040014645A (ko) 진동력을 증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JPH07170590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825

Effective date: 20070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