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771B1 -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771B1
KR100696771B1 KR1020010038024A KR20010038024A KR100696771B1 KR 100696771 B1 KR100696771 B1 KR 100696771B1 KR 1020010038024 A KR1020010038024 A KR 1020010038024A KR 20010038024 A KR20010038024 A KR 20010038024A KR 100696771 B1 KR100696771 B1 KR 10069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error pulse
duty error
puls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425A (ko
Inventor
유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7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4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 H03K5/05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by the use of clock signals or other time reference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조합해서 발생된 듀티 에러 펄스를 이용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를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는,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이용해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부;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를 분리시켜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분리부;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 및 상기 펄스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에 응답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들로 복원시키는 듀티 복원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Duty cycle corrector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의 회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주요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펄스 분리기의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주요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6은 도 1의 듀티 복원회로의 회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주요신호들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 20 : 펄스 분리기
30 : 듀티 복원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 게는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의 듀티 사이클을 보정하도록 구성된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에 응용할 수 있는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는 동작속도가 점점 빨라짐에 따라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유지해야 하는 클럭신호들의 듀티 사이클이 달라지면서, 칩 전체의 동작에 상당히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칩이 오동작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듀티 사이클을 보정하는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duty cycle corrector)회로들이 많이 고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는 로직회로가 복잡하고, 동작조건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조합해서 발생된 듀티 에러 펄스를 이용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를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는,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이용해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부;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를 분리시켜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분리부;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 및 상기 펄스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에 응답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들로 복원시키는 듀티 복원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의 블록도로서,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 펄스 분리기(20), 및 듀티 복원회로(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는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와 이 클럭신호의 반전신호(CKb*)를 입력받아,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와 클럭신호(CK*, CKb*)의 듀티 에러만큼 펄스(ERRP)를 생성한다. 즉, 듀티 사이클이 길어졌을 경우 또는 듀티 사이클이 짧아졌을 경우를 검출해서 그에 해당하는 듀티 에러 펄스(ERRP)를 한 주기당 2개씩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클럭신호(CK*)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CK) 또는 내부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의 듀티 사이클이 변형된 클럭신호이고, 클럭신호(CKb*)는 클럭신호(CK*)를 180°위상 시프트시킨 클럭신호이다. 여기서, 클럭신호(CK)의 듀티 사이클이 달라지면 클럭신호의 반전신호(CKb)의 듀티도 같은 비율로 변하게 된다.
다음에, 펄스 분리기(20)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에서 한 주기당 2개씩 생성된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주기가 듀티 에러 펄스(ERRP)의 2배인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A, ERRP_B)로 분리한다.
그러면, 듀티 복원회로(30)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로부터 발생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에 응답하여 듀티 에러 펄스 ERRP의 2배의 주기를 갖는 듀티 에러 펄스(ERRP_A, ERRP_B)와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논리 조합한 후에,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로 복원시킨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각 구성부(10, 20, 30)의 상세 회로와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의 회로도로서,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3), 펄스 검출기(16), 및 전달부(18)로 구성된다.
여기서,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는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논리 조합하여 긴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고,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는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논리 조합하여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킨다.
펄스 검출기(16)는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로부터 발생된 긴 듀티 에 러 펄스가 입력되는 것을 검출하여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발생시킨다.
전달부(18)는, 상기 펄스 검출기(16)에서 발생된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에 응답해서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로부터 발생된 긴 듀티 에러 펄스와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로부터 발생된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조합해서 발생된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전달한다. 즉 듀티 사이클이 길어졌을 경우 또는 짧아졌을 경우에 대해 발생한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전달한다.
그리고,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는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낸드 조합하는 낸드 게이트(ND1)와, 낸드 게이트(ND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긴 듀티 에러 펄스를 출력하는 인버터(IV1)로 구성된다.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는 듀티 에러만큼의 펄스 폭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노어 조합하여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출력하는 노어 게이트(NR1)로 구성된다.
펄스 검출기(14)는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로부터의 긴 듀티 에러 펄스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2)와,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1, P2) 및 NMOS 트랜지스터(N1, N2)와,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P2, N1)의 공통 접점에 입력단자가 접속된 래치회로(IV3, IV4)와, 래치회로(IV3, IV4)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출력하는 인버터(IV5)로 구성된다.
그리고,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에는 인버터(IV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고,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P2, N1)의 게이트에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며,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에는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에서 발생된 긴 듀티 에러 펄스가 인가된다.
다음에, 전달부(18)는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6)와, 인버터(IV6)의 출력신호,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 및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에서 발생된 긴 듀티 에러 펄스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1)와, 인버터(IV6)의 출력신호,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 및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에서 발생된 짧은 듀티 에러 펄스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2)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 2에 나타낸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단, 듀티 사이클이 달아진 클럭신호((CK*, CKb*)가 입력되면,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 또는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는 듀티 에러만큼의 긴 듀티 에러 펄스 또는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킨다.
다음에,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2) 또는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14)로부터 발생된 이들 긴 듀티 에러 펄스 또는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에 응답해서 듀티 사이클이 길어졌을 경우에는 전달 게이트(T1)를 통해서 통과시키고, 듀티 사이클이 짧아졌을 경우에는 전달 게이트(T2)를 통해서 통과시킨다.
여기서, 듀티 사이클이 길어진 경우나 듀티 사이클이 짧아진 경우에 대해서 긴 듀티 에러 펄스 또는 짧은 에러 펄스가 발생되면, 펄스 검출기(16)는 긴 듀티 에러 펄스를 검출해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발생시킨다. 즉, 듀티 에 러 펄스 제어신호(CTRL)가 하이레벨이면 긴 듀티 에러 펄스가 발생했음을 나타내고,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가 로우레벨이면 짧은 듀티 에러 펄스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한편, 도 3a는 듀티가 잘 맞는 경우의 클럭신호(CK, CKb)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도 3b는 듀티가 길어진 경우의 클럭신호(CK*, CKb*) 및 듀티 에러 펄스(ERRP)의 타이밍을 나타내며, 도 3c는 듀티가 짧아진 경우의 클럭신호(CK*, CKb*) 및 듀티 에러 펄스(ERRP)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3b를 보면, 듀티 사이클이 길어졌을 때 클럭신호(CK*)와 클럭신호(CKb*)를 앤드 조합함으로써 듀티 에러 펄스(ERRP)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3c를 보면 듀티 사이클이 짧아졌을 때 클럭신호(CK*)와 클럭신호(CKb*)를 노어 조합함으로써 듀티 에러 펄스(ERRP)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펄스 분리기(20)의 회로도로서,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입력받아 듀티 에러 펄스(ERRP)의 2배의 주기를 갖는 Q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플립플롭(22; trigger flip-flop)과, 듀티 에러 펄스(ERRP)와 Q 신호를 낸드 조합하는 낸드 게이트(ND2)와, 낸드 게이트(ND2)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듀티 에러 펄스(ERRP_A)를 출력하는 인버터(IV8)와, 듀티 에러 펄스(ERRP)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7)와, 인버터(IV7)의 출력신호 및 듀티 에러 펄스(ERRP)를 노어 조합하여 분리된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B)를 출력하는 노어 게이트(NR2)로 구성된다.
이러한 펄스 분리기(20)는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이용해서 Q 신호를 발생시킨 후에, 발생된 Q 신호와 듀티 에러 펄스(ERRP)를 조합해서 두 개의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A, ERRP_B)를 출력한다.
도 5는 펄스 분리기(20)로부터 발생된 주요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보면, 듀티 에러 펄스(ERRP)를 통해서 듀티 에러 펄스(ERRP)의 2배의 주기를 갖는 Q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듀티 에러 펄스(ERRP)가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A, ERRP_B)로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은 듀티 복원회로(30)의 회로도로서, 듀티 에러 펄스(ERRP)가 분리된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A, ERRP_B),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 및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 CKb)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달부(32)와, 전달부(32)로부터 전달된 긴 듀티 사이클을 갖는 출력신호들을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하는 긴 듀티 복원회로(34)와, 전달부(32)로부터 전달된 짧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출력신호를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하는 짧은 듀티 복원회로(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달부(32)는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9)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B),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3)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제1 듀티 에러 펄스(ERRP_A),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4)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제1 듀티 에러 펄스(ERRP_A),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5)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제2 듀티 에러 펄스(ERRP_B),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6)를 포함한다.
또한, 전달부(32)는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b*),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7)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8)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b*),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9)와, 인버터(IV9)의 출력신호,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CK*), 및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를 전달하는 전달 게이트(T10)로 구성된다.
그리고, 긴 듀티 복원회로(34)는 전달 게이트(T8)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10)와, 인버터(IV10) 및 전달 게이트(T3)의 출력신호들을 노어 조합하여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를 출력하는 노어 게이트(NR3)와, 전달 게이트(T7)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11)와, 인버터(IV11) 및 전달 게이트(T4)의 출력신호들을 노어 조합하여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b)를 출력하는 노어 게이트(NR4)로 구성된다.
다음에, 짧은 주기 듀티 복원회로(36)는 전달 게이트(T5, T9)의 출력신호들을 노어 조합하는 노어 게이트(NR5)와, 노어 게이트(NR5)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b)를 출력시키는 인버터(IV12)와, 전달 게이트(T6, T10)의 출력신호를 노어 조합하는 노어 게이트(NR6)와, 노어 게이트(NR6)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를 발생시키는 인 버터(IV13)로 구성된다.
이하, 듀티 에러 복원회로(3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가 하이레벨일 때, 즉 듀티 사이클이 길어졌을 때에는 긴 주기 듀티 복원회로(34)가 동작하고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CTRL)가 로우레벨일 때, 즉 듀티 사이클이 짧아졌을 때에는 짧은 주기 듀티 복원회로(36)가 동작하여,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를 출력시킨다.
한편, 도 7a는 듀티가 길어진 경우의 복원된 클럭신호(CK, CKb)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도 7b는 듀티가 짧아진 경우의 복원된 클럭신호(CK, CKb)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를 보면, 듀티 사이클이 길어진 클럭신호(CK*, CKb*)가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로 복원되었음 알 수 있고, 도 7b를 보면, 듀티 사이클이 짧아진 클럭신호(CK*, CKb*)가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CK, CKb)로 복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는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를 조합해서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를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시킬 수 있다.
종래보다 간단한 로직회로로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이용해서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듀티 에러 펄스 발생수단;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를 분리시켜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분리수단;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상기 펄스 분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에 응답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들로 복원시키는 듀티 복원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수단은,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입력받아 긴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입력받아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가 입력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 검출기;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와 상기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조합해서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를 전달하는 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는,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논리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는,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논리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검출기는,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긴 듀티 에러 펄스를 입력받아 풀-업 및 풀-다운시키는 풀-업 및 풀-다운부;
    상기 풀-업 및 풀-다운부의 출력신호를 래치시키는 래치회로; 및
    상기 래치회로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를 출력 하는 반전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그것의 반전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긴 듀티 에러 펄스를 전달하는 제1 전달수단;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와 그것의 반전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짧은 듀티 에러 펄스를 전달하는 제2 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분리기는,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듀티 에러 펄스의 2배의 주기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
    상기 듀티 에러 펄스와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제1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 논리 조합수단;
    상기 듀티 에러 펄스의 반전신호와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상기 제2 듀티 에러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2 논리 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복원회로는,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에 응답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출력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를 상기 본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클럭신호로 복원하는 긴 듀티 복원회로 및 짧은 듀티 복원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의 반전신호,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 듀티 에러 펄스를 전달하는 제1 내지 제4 전달 게이트; 및
    상기 듀티 에러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의 반전신호, 상기 듀티 에러 펄스 제어신호, 및 상기 듀티 사이클이 달라진 클럭신호들을 전달하는 제5 및 제8 전달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긴 듀티 복원회로는,
    상기 제5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 반전소자;
    상기 반전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는 제1 논리소자;
    상기 제6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2 반전소자; 및
    상기 제2 반전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는 제2 논리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듀티 복원회로는,
    상기 제3 전달 게이트 및 상기 제7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들을 논리 조합하는 제1 논리소자;
    상기 제1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 반전소자;
    상기 제4 전달 게이트 및 상기 제8 전달 게이트의 출력신호들을 논리 조합하는 제2 논리소자;
    상기 제2 논리소자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2 반전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KR1020010038024A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KR10069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024A KR100696771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024A KR100696771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425A KR20030002425A (ko) 2003-01-09
KR100696771B1 true KR100696771B1 (ko) 2007-03-19

Family

ID=2771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024A KR100696771B1 (ko) 2001-06-29 2001-06-29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27B1 (ko) * 2007-06-28 2012-01-20 (주)신화퍼리스트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부재
KR100915820B1 (ko) * 2007-11-12 2009-09-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펄스 발생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 보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4250B2 (ja) * 2011-06-08 2015-07-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方法及びモータ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4250B2 (ja) * 2011-06-08 2015-07-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方法及びモータ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7542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425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720B2 (en) Delay locked loop having a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US874928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6529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0174597A (ja) パルス発生装置
KR100821577B1 (ko) 듀티 싸이클 보정 장치
US658031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table high voltage signal
KR100696771B1 (ko) 반도체 장치의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US920340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tate of input signal of semiconductor device
US10921846B1 (en) Clock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US6346823B1 (en) Pulse generator for providing pulse signal with constant pulse width
JP5707964B2 (ja) ラッチ回路およびデータ保持回路
US6519189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 data output circuit in a semiconductor memory
US7557632B2 (en) Internal clock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nal clock
US670424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303921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dll회로
JPH10208475A (ja) ローアドレスストローブ信号用入力バッファ
JP5369764B2 (ja) 半導体装置
KR100808581B1 (ko)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US7719342B2 (en) Input latch circuit having fuses for adjusting a setup and hold time
US11276468B2 (en) High-speed efficient level shifter
US771933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457331B1 (ko) 펄스발생회로
KR2006005954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셋신호 발생회로
KR100365940B1 (ko) 반도체소자의클럭버퍼회로
KR1004277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