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67B1 -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67B1
KR100696367B1 KR1020060056764A KR20060056764A KR100696367B1 KR 100696367 B1 KR100696367 B1 KR 100696367B1 KR 1020060056764 A KR1020060056764 A KR 1020060056764A KR 20060056764 A KR20060056764 A KR 20060056764A KR 100696367 B1 KR100696367 B1 KR 10069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elliptical
plate
yoke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06005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07/001329 priority patent/WO2007148869A1/en
Publication of KR10069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7Electrical or mechanical reduction of yoke v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외자형 마그네트를 함께 사용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한편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정밀도를 높이는 한편 플레이트 저면과 요크 위에 본드 흐름 방지홈과 본드 수용홈을 각각 형성하여 요크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본딩하는 과정에서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그리고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온 본드가 보이스 코일의 진동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의 안정적인 진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스피커, 마그네트, 플레이트, 보이스 코일, 진동판.

Description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athod of slim type micro-speak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a, 도4b, 4c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5a, 도5b, 도5c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요크의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7a, 도7b, 도7c는 본 발명에서 원형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을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로 성형하기 위한 타원형 코일 성형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8은 타원형 보이스 코일을 권선하는 타원형 코일 권선기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타원형으로 권선된 타원형 코일을 가격하여 직선부분을 보정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10은 진동판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기 위해 진동판에 본드를 도포하는 본드 도포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11은 종래의 원형 마이크로스피커와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에서 얻어지는 출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리드 선
12, 12a : 부직포 13 : 통공
14 : 캡 15 : 접속 패드
16 : 요크 17, 23 : 에어 홀
18a :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18b :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19a, 19b : 플레이트 20 : 걸림 턱
21 : 보이스 코일 22 : 진동판
24 : 이동판 25 : 고정판
26 : 가동 가이드 27 : 고정 가이드
28 : 작동 스위치 29 : 실린더
30 : 작동로드 31 : 프레임
32 : 가이드 33 : 가이드 홈
34 : 본드 흐름 방지홈 35 : 본드 수용홈
36a, 36b, 36c : 본드 37 : 타원형 코일 성형기
38 : 타원형 코일 권선기 39 : 타원형 코일 척
40 : 코일 41 : 직선부분
42 : 곡선부분 43 : 타격체
44 : 본드 도포기 45 : 고정 틀
46 : 홀더 47 : 본드 공급기
48 : 토출 제어박스 49 : 버튼
본 발명은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외자형 마그네트를 함께 사용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한편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정밀도를 높이는 한편 요크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본딩하는 과정에서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그리고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온 본드가 보이스 코일의 진동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의 안정적인 진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청각으로 들을 수 있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되며, 이 파동형태의 소리는 공기분자를 움직여 사람의 고막을 진동시킴에 따라 소리를 들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스피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된 스피커는 전기 및 전자적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벨 또는 멜로디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출력시키게 되는 발성기로서 스피커는 통상 오디오 또는 앰프에 연결되어 음량을 대폭 증폭시키게 되는 대형을 발성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크기와 용량이 대폭 축소된 소형 발성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위와 같이 소형으로 제조된 스피커는 휴대전화나 PDA, 노트북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는데, 무선시대의 도래로 실시간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때와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휴대의 간편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변화에 발맞추기 위해 스피커가 더욱더 소형화되고 복잡해지는 전자제품에 폭넓게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스피커 즉, 마이크로스피커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20353호에는 '소형 스피커 구조'로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32615호에는 '타원형 스피커'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및 등록특허에 개시된 마이크로스피커는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고정자기회로와 원형으로 감겨진 코일을 포함하는 가동자기회로를 갖는다.
그러나 하나의 마그네트와 이와 한 쌍을 이루는 코일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각종 소형 전자제품에 장착하기 위해 더 작은 부피의 마이크로스피커를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스피커를 더 이상 일정크기 이하로 줄이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요크 위에 배치하여 보이스 코일의 구동 자기회로에 대응하는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제조과정에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진동판에 본드를 도포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마이크로스피커의 조립공정을 단축하는 한편 정확한 위치에 필요한 양의 본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위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저면 외곽에 본드 흐름 방지홈을 형성하는 한편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요크 위에 본드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온 본드가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 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또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는, 마그네트 소재를 사각봉 형상으로 절단하는 제1단계;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의 길이방향 외주면을 타원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타원봉 형상의 마그네트를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절단하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를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상면과 저면을 연마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얻어진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모서리의 각진 부분을 바렐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표면에 동과 아연을 순차적으로 도금한 후 건조시키는 제6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는 와이어 컷팅에 의해 외주면과 구멍이 타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표면을 아연 도금하여 평탄화한 후 동과 아연을 순차적으로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제조를 완료한 후 절단, 연마, 도금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모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에 대해 치수를 재고 외형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상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로서, 상기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 코일 권선기의 타원형 코일 척에 코일을 권선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코일 권선기의 타원형 코일 척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을 가격체의 평탄면으로 가격하여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을 평탄화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 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상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로서, 상기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은, 원형 코일 권선기의 원형 코일 척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을 코일 성형기의 한 쌍의 가이드에 끼운 후 가동 가이드의 이동으로 두 곳의 직선부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코일 성형기는 원형으로 권선된 다수의 보이스 코일을 동시에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은 본딩과정을 통해 부착하되, 상기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본딩과정은, 고정 틀에 다수의 진동판을 올려놓고 본드 도포기의 홀더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본드 도포기의 홀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본드 도포기의 본드 공급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가면서 보이스 코일이 접착될 진동판 면에 본드를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본드가 도포된 진동판 면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제3단계;를 통해 진동판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드 도포기의 고정 틀과 상기 본드 도포기의 본드 공급기는, 다수의 진동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본드 도포기의 고정틀에 고정된 다수의 진동판에 동시에 본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및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와 함께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의 중앙부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저면 외곽에 본드 흐름 방지홈이 형성되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위에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도포된 본드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드 흐름 방지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안쪽 단면적이 플레이트의 전체 단면적의 75~9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은,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및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와 함께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의 중앙부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의 외주면과 만나는 부분의 요크 위에 본드 수용 홈이 형성되어 요크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에 도포된 본드가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와 본드 수용홈에 채워지도록 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드 수용홈이 형성된 요크의 안쪽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75~95%가 맞닿고, 상기 본드 수용홈의 일부가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의 외주면 하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타원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내부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캡(14)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캡(14)에는 공기 흐름을 위한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14)의 상 부에는 통공(13)을 통해 공기와 함께 각종 이물질들이 마이크로스피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해 주는 부직포(12) 등과 같은 필터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밑면의 일측에는 다수의 접속 패드(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접속 패드(15)에는 보이스 코일의 양단과 보이스 코일에 음성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두 개의 리드 선(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10)에는 마이크로스피커 내부와 외부간에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한 다수의 에이 홀(2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0)의 저면에는 에어 홀(23)을 덮을 수 있는 부직포(12a)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캡(14) 상단의 부직포(12)와 마찬가지로 공기와 함께 각종 이물질들이 마이크로스피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해 준다.
또한 프레임(10)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요크(16)에도 다수의 에어 홀(17)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에어 홀(23)과는 달리 요크(16)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를 부착할 때 요크(16)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와 과도하게 도포된 본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과 이를 구성하는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 플레이트(19b)(19a), 보이스 코일(21), 진동판(22) 등의 구성과 제조방법에 대해 도3 및 도4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성형이 자유로운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프레임(10)은 타원형상의 요크(16)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 및 플레이트(19a)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데, 특히 요크(16)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 및 플레이트(19a) 등이 금형 내에 내재된 상태에서 이들과 일체형으로 프레임(10)이 성형되므로 마이크로스피커의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뿐더러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5a에서와 같이 마그네트 소재(18c)를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8d)로 절단한다. 그리고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8d)를 도5b에서와 같이 와이어 커터를 이용하여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8d)의 길이방향 외주면을 타원형상으로 절단하는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타원봉 형상의 마그네트(18e)를 만든다.
이때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8d)의 중앙부분에 타원 형상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드릴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9d)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8f)을 천공한 후 이에 와이어 커터를 넣어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18d)의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타원봉 형상의 마그네트(18e)를 만든 후에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도5에서와 같이 타원봉 형상의 마그네트(18e)를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절단하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g)를 만든다.
위에서와 같이 각종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g)는 표면이 고르지 못하므로 평면 연마기를 이용하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9g)의 상면과 저면을 연마한다. 더 나아가서는 바렐을 이용하여 타원형상의 외 자형 마그네트(19g)의 각진 모서리 부분을 제거한다.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를 제조하는 마지막 공정으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g)의 표면에 동과 아연(또는 니켈)을 순차적으로 도금한 후 건조시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를 제조하는데, 동과 아연을 도금하기에 앞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g) 표면에 아연이나 니켈을 얇게 도금하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g)의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해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를 제조한 후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이를 장착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불량을 낮추기 위해 위에서와 같이 절단, 연마, 도금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모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에 대해 치수를 재고 외형을 검사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외자형 마그네트(18a)가 최초 설계된 치수를 가지는 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로 제조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위에서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를 제조공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에 동일하게 적용되나, 다만 그 형태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로 성형된다는 차이를 갖는다.
상기 타원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10)의 상단 외곽에는 진동판(22)과 캡(14)의 결합을 위한 결합 턱(20)이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 턱(20)의 내측에는 마이크로스피커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 주는 에어 홀(2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에어 홀(23)은 마이크로스피커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원활한 공기 흐름이 일어나도록 하는 구멍이다.
상기 프레임(10)의 밑면에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각종 이물질들이 에어 홀(23)을 통해 마이크로스피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하기 위한 부직포(12a) 등과 같은 필터가 부착되어 있고, 프레임(10)의 밑면 일측에는 접속 패드(15)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접속 패드(13)에는 보이스 코일(21)의 양단과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리드 선(11)이 전기적으로 접속(납땜)되어 있다.
이렇게 프레임(10)과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 및 플레이트(19a)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요크(16) 위에는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가 본드(36a)(36b)에 의해 부착되게 되는 데, 이때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가 완료되었을 때 유지되어야 하는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내자형 마그네트(18b) 사이의 간극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가이드(25)를 프레임(10)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플레이트(19a)의 내면에 넣고 도6에서와 같이 가이드(25)의 내부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넣고 가압봉(24)으로 눌러 요크(16)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가 부착되게 된다.
즉, 도6에서와 같이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부착하기에 앞서 통상의 방식 즉 붓으로 본드를 칠하는 방식이나 가스압으로 본드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요크(16) 위에 본드(36b)와 같은 접착제가 도포된다. 본드(36b)가 도포된 요크(16) 위 즉,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플레이트(19a)의 내측 면에 닿도록 요크(15) 위에 가이드(25)가 내입된다. 이 가이드(25) 내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본드(36a)로 부착하여 넣은 후 가압 봉(24)으로 눌러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가 요크(16) 위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수월할 뿐더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부착한 상태로 요크(16) 위에 부착하지 않고 요크(16) 위에 가이드(25)를 세운 후 본드(36a)(36b)를 도포하면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순차적으로 부 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가이드(25)를 사용하지 않고도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의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25)의 내부 폭이 하부에 비해 상부가 조금 넓게 형성되므로 일체형으로 접착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를 가이드(25) 내에 내입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는 하나의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착자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하나의 내자형 마그네트나 외자형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비해 두께는 얇으면서도 센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 자기회로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와 플레이트(19a), 플레이트(19b),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요크(16) 그리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18a) 등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위에 부착되는 플레이트(19b)의 밑면 외곽에 언더컷, 즉 본드 흐름 방지턱(34)을 형성함으로써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위에 플레이트(19b)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에 플레이트(19b)를 부착하기 위해 가하는 압력에 의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 사이에 도포된 본드(36a)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 사이로 공간으로 퍼지게 된다.
이때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 사이에 본드(36a)가 과도하게 도포된 경우 종래에는 과도하게 도포된 본드(36a)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 사이로부터 흘러나와 보이스 코일(21)이 위치한 공간을 침범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드 흐름 방지홈(34)으로 유입되므로 보이스 코일(21)이 위치한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드 흐름 방지홈(34)의 위치는 본드 흐름 방지홈(34)이 형성된 플레이트(19b)의 안쪽 단면적이 플레이트(19b)의 전체 단면적의 75~95%가 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는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에 플레이트(19b)를 접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본드(36a)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플레이트(19b)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드 흐름 방지홈(34)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9b)의 외주면과 만나는 부분의 요크(16) 위에 언더컷, 즉 본드 수용 홈(35)을 형성함으로써 요크(16)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요크(16)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사이에 도포된 본드(36b) 중 일부(36c)가 요크(16)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사이로부터 흘러나와 본드 수용홈(35)에 채워져 경화되면서 요크(16)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의 하단 모서리부분을 결속하게 되므로 요크(16)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드 흐름 방지홈(34)과 마찬가지로, 본드 수용홈(35)이 형성된 요크(16)의 안쪽의 면적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와 75~95%가 맞닿도록 하는 한편 본드 수용홈(35)의 일부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18b)의 외주면 하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의 외곽에 위치한 걸림 턱(20)에는 타원형상의 진동판(22)이 부착되고, 이 진동판(22)의 밑면에는 타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21)이 부착되는 데, 이 보이스 코일(21)은 원형 코일 권선기에 의해 원형으로 권선된 후 도7a, 도7b, 도7c와 같은 타원형 코일 성형기에 의해 타원형상의 성형되거나 도8과 같은 타원형 코일 권선기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성형된다.
도7a, 도7b, 도7c는 원형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을 타원형 보이스 코일로 성형하기 위한 타원형 코일 성형기(37)를 보인 것으로서, 먼저 프레임(31) 위에 설치된 작동 스위치(28)의 조작으로 실린더(29)와 이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로드(30)를 작동시켜 이동판(24)의 가이드(32)가 고정판(25)의 가이드 홈(33)을 타고 이동되어 가동 가이드(26)와 고정 가이드(27)가 서로 맞닿도록 한다.
그리고 원형으로 권선된 원형 보이스 코일을 가동 가이드(26)와 고정 가이드(27)에 끼운 후에 다시 작동 스위치(28)의 조작으로 실린더(29)와 이에 의해 연동되는 작동로드(30)를 작동시켜 이동판(24)의 가이드(32)가 고정판(25)의 가이드 홈(33)을 타고 위와는 달리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 가이드(26)와 고정 가이드(27)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원형 보이스 코일을 타원형 보이스 코일로 성형할 수 있다.
즉, 타원형 코일 성형기(37)에 의하면, 가동 가이드(26)와 고정 가이드(27)의 원형부분에 닿은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 보이스 코일의 곡선(원형)부분으로 성형 되고, 가동 가이드(26)와 고정가이드(27)의 측면 그리고 가동 가이드(26)와 고정 가이드(27)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으로 성형된다.
위에서는 작업자에 의한 작동 스위치(28)의 조작으로 실린더(29)와 이에 연동되는 이동판(24) 및 가동 가이드(26)가 이동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판(24)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 등과 함께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8 및 도9는 코일(40)을 타원형으로 권선하는 타원형 코일 권선기(38)와 이 타원형 코일 권선기에 의해 권선된 타원형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타원형 코일 권선기(38)의 타원형 코일 척(39)에 코일(40)을 권선한 후 타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41), 배부름 현상(점선부분)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을 가격체(43)의 평탄면으로 가격함으로써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41)을 평탄화시키고 곡선부분(42)은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타원형 코일 권선기(38)의 타원형 코일 척(39)에 권선된 타원형 보이스 코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위에서와 같이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의 평탄도를 높이는 것이다.
도10은 진동판(22)에 보이스 코일(21)을 부착하기 위해 진동판(22)에 본드를 도포하는 본드 도포기(44)를 보인 것이다.
도10의 본드 도포기(44)를 이용하여 진동판(22)에 보이스 코일(21)을 부착하 기 위해 진동판(22)에 본드를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드 도포기(44)에 분리 결합이 자유로운 고정 틀(44)에 다수의 진동판(22)을 올려놓고 본드 도포기(44)의 홀더(46)에 안착시킨 후 본드 도포기(44)의 도시되지 않은 서보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의 구동으로 홀더(4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편 본드 도포기(44)의 본드 공급기(47)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가면서 보이스 코일이 접착될 진동판(22) 면에 본드를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본드가 도포된 진동판(22) 면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본드 도포기(44)의 상부에 위치한 토출 제어박스(48)는 각 본드 공급기(47)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진동판(22)에 도포되는 본드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본드 도포기(44)의 하단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버튼(49)들은 본드 도포기(44)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프레임(10) 위에 보이스 코일(21)을 구비한 진동판(22)을 부착한 후 그 위에 캡(14)을 씌워 내부 구성을 보호한다. 특히, 캡(14)의 상단에 부직포(12)를 부착함으로써 캡(14)의 통공(13)을 통해 각종 이물질들이 마이크로스피커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11은 종래의 원형 마이크로스피커와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에서 얻어지는 출력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는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종래의 원형 마이크로스피커에 비해 두께를 대폭 줄일 수 있을뿐더러 종래의 원형 마이크로스피커에 비해 가청주파수 대역인 1KHz~5KHz에 서의 출력특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요크 위에 배치하여 보이스 코일의 구동 자기회로에 대응하는 고정 자기회를 형성함으로써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제조과정에서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진동판에 본드를 도포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마이크로스피커의 조립공정을 단축하는 한편 정확한 위치에 필요한 양의 본드를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위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저면 외곽에 본드 흐름 방지홈을 형성하는 한편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가 부착되는 요크 위에 본드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온 본드가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4)

  1.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또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는,
    마그네트 소재를 사각봉 형상으로 절단하는 제1단계;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의 길이방향 외주면을 타원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길이방향 외주면이 타원형상으로 절단된 마그네트를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절단하여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를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상면과 저면을 연마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얻어진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모서리의 각진 부분을 바렐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5단계; 및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표면에 동과 아연을 순차적으로 도금한 후 건조시키는 제6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봉 형상의 마그네트는 와이어 컷팅에 의해 외주면과 구멍이 타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 표면을 아연 도금하여 평탄화한 후 동과 아연을 순차적으로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의 제조를 완료한 후 작업자가 절단, 연마, 도금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모든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에 대해 치수를 재고 외형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5.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 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상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로서,
    상기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 코일 권선기의 타원형 코일 척에 코일을 권선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코일 권선기의 타원형 코일 척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을 가격체의 평탄면으로 가격하여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의 직선부분을 평탄화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7.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 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타원형상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로서,
    상기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은, 원형 코일 권선기의 원형 코일 척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원형상으로 권선된 보이스 코일을 타원형 코일 성형기의 한 쌍의 가이드에 끼운 후 가동 가이드의 이동으로 두 곳의 직선부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코일 성형기는 원형으로 권선된 다수의 보이스 코일을 동시에 타원형상의 보이스 코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9.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은 본딩과정을 통해 부착하되,
    상기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본딩과정은, 고정 틀에 다수의 진동판을 올려 놓고 본드 도포기의 홀더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본드 도포기의 홀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본드 도포기의 본드 공급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가면서 보이스 코일이 접착될 진동판 면에 본드를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본드가 도포된 진동판 면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제3단계;를 통해 진동판에 보이스 코일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도포기의 고정 틀과 상기 본드 도포기의 본드 공급기는, 다수의 진동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상기 본드 도포기의 고정틀에 고정된 다수의 진동판에 동시에 본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11.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및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와 함께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의 중앙부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저면 외곽에 본드 흐름 방지홈이 형성되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위에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도포된 본드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흐름 방지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안쪽 단면적이 플레이트의 전체 단면적의 75~95%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13. 요크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고정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위에 진동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진동판 하부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을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근접되게 배치하여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자계회로에 대 응되게 가동 자기회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및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외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와 함께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는 요크의 중앙부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되,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의 외주면과 만나는 부분의 요크 위에 본드 수용 홈이 형성되어 요크 위에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에 도포된 본드가 요크와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 사이로부터 흘러나와 본드 수용홈에 채워지도록 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 수용홈이 형성된 요크의 안쪽이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와 75~95%가 맞닿고, 상기 본드 수용홈의 일부가 상기 타원형상의 내자형 마그네트의 외주면 하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KR1020060056764A 2006-06-23 2006-06-23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KR10069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64A KR100696367B1 (ko) 2006-06-23 2006-06-23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PCT/KR2007/001329 WO2007148869A1 (en) 2006-06-23 2007-03-19 Manufacturing method of slim type micro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64A KR100696367B1 (ko) 2006-06-23 2006-06-23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367B1 true KR100696367B1 (ko) 2007-03-19

Family

ID=3883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764A KR100696367B1 (ko) 2006-06-23 2006-06-23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6367B1 (ko)
WO (1) WO20071488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20B1 (ko) 2008-10-17 2010-12-22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
KR102442959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로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1252B2 (en) * 2011-12-23 2013-10-29 Ggec America, Inc. Driver assembly for loudspeakers
CN102611970A (zh) * 2012-03-27 2012-07-25 楼氏电子(北京)有限公司 微型扬声器
CN105721746B (zh) * 2014-12-17 2020-10-3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CN109362022B (zh) * 2018-11-02 2020-12-1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发声装置及其加工方法以及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485A (ja) * 1995-08-29 1997-03-07 Foster Electric Co Ltd 小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298386Y1 (ko) 2002-09-17 2002-12-2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스피커와 리시버 기능을 구비한 타원 형상의 신호변환장치
KR200302581Y1 (ko) 2002-10-04 2003-01-3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프레임 내에 외자형 마그네트와 요크가 인서트 사출성형된 스피커
KR20050025840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공간 활용이 용이한 타원형 콘덴서 마이크로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15B1 (ko) * 2001-11-06 2004-05-22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타원형 스피커
KR20050097216A (ko) * 2004-03-31 2005-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장방형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장방형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485A (ja) * 1995-08-29 1997-03-07 Foster Electric Co Ltd 小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298386Y1 (ko) 2002-09-17 2002-12-2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스피커와 리시버 기능을 구비한 타원 형상의 신호변환장치
KR200302581Y1 (ko) 2002-10-04 2003-01-30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프레임 내에 외자형 마그네트와 요크가 인서트 사출성형된 스피커
KR20050025840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공간 활용이 용이한 타원형 콘덴서 마이크로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20B1 (ko) 2008-10-17 2010-12-22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
KR102442959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8869A1 (en)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67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제조방법
US7336798B2 (en)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57161B1 (en) Dual diaphragm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4611051B2 (ja) マイクロスピーカの製造方法
CN209787376U (zh) 磁感应耳机喇叭及耳机
EP1802167A2 (en) Speaker device
US10827242B2 (en) Speaker assembly
CN101022680A (zh) 电子声音转换装置
KR101927961B1 (ko) 스피커 및 스피커의 제조방법
CN1579110B (zh) 扬声器
CN1976540B (zh) 骨传导扬声器
TWI322626B (ko)
KR100691150B1 (ko) 진동 엑츄에이터
CN107809715B (zh) 一种受话器
JP201508006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1407490B1 (ko) 음향변환장치의 진동판 모듈
JP2002152896A (ja) マイクロスピーカ
JPH07222284A (ja) ホーン型圧電セラミックスピーカ
KR101952916B1 (ko) 음향 성능이 향상된 음향기기
KR101330112B1 (ko) 다이나믹 리시버
KR101468630B1 (ko) 진동판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CN102754454A (zh) 电动换能器结构及其制造方法
US20070223769A1 (en) Speaker and method making the same
JP3158850B2 (ja) マイクロフォン
JP4450088B2 (ja) ボイスコイル組立体を用いた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