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63B1 -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63B1
KR100695763B1 KR1020060046922A KR20060046922A KR100695763B1 KR 100695763 B1 KR100695763 B1 KR 100695763B1 KR 1020060046922 A KR1020060046922 A KR 1020060046922A KR 20060046922 A KR20060046922 A KR 20060046922A KR 100695763 B1 KR100695763 B1 KR 10069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headset
body part
present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234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957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앤블루 filed Critical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to KR102006004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63B1/ko
Priority to MX2008003167A priority patent/MX2008003167A/es
Priority to PCT/KR2006/003494 priority patent/WO2007029946A1/en
Priority to JP2006239628A priority patent/JP2007074728A/ja
Priority to US11/515,744 priority patent/US20070053543A1/en
Priority to DE200660015749 priority patent/DE602006015749D1/de
Priority to EP06018656A priority patent/EP1761001B1/en
Priority to AT06018656T priority patent/ATE476052T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에폰에 특징이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및 접힘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외장의 일측부에 힌지 방식에 의하여 회전 이동 가능한 이어폰이 설치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Headset having a movable earphone}
도 1은 일반적인 헤드셋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셋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셋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셋의 제 3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에폰에 특징이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 및 접힘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란 무선 통신 기기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 예를 들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헤드셋, 개인 휴대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인쇄기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표준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기기중에서, 본 출원인은 특히 헤드셋에 관하 여 관심이 있는 바,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헤드셋(이하, 헤드셋이라고도 한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셋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셋의 외형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과, 이어폰이 고정(부착)된 바디부(body: 몸체)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스피커가 내장된 상기 이어폰으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블루투스 칩) 등을 기본적으로 내장한다(이들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헤드셋의 이어폰은 바디부에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어폰이 이렇게 돌출되어 바디부에 고정되어 있는 이유는 헤드셋이 귀 구멍에 착용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귀 구멍으로 이어폰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헤드셋은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가방이나 옷주머니(와이셔츠 주머니 또는 바지 주머니 등) 속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보통인데, 옷 주머니 속에 보관하는 경우 돌출된 이어폰 부분이 신체의 일부(예컨대, 가슴 또는 허벅지 등)를 꾹꾹 누르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가방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돌출된 이어폰이 다른 물건들과 부딪혀 이어폰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어폰을 바디부내에 넣어 놓고, 헤드셋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헤드셋이 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어폰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을 바디부내에 장착한 후, 사용시에만 귀 구멍에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접을 수 있는 이어폰을 갖춘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단부에 부착된 승강부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가 상기 바디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이어폰의 상부가 인접하여 있는 상기 바디부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승강부는 하향 이동되어 상기 공간 속으로 들어가고, 상기 승강부가 상기 바디부의 공간 속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는 상향 이동되어 상기 바디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푸쉬 스위칭 수단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푸쉬 스위칭 수단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상기 푸쉬 스위칭 수단의 상부는 상기 푸쉬 스위 칭 수단의 내부를 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이어폰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은 회전식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외장의 일측부에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이어폰이 설치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내포하는 헤드셋의 일 실시예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헤드셋은 크게 스피커(22)가 내장된 이어폰(21)과, 이어폰(21)이 탑재된 푸쉬 스위치(20)와, 푸쉬 스위치(20)를 내포하기 위한 공간(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25)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어폰의 기능은 일반적인 헤드셋에 부착된 이어폰의 기능과 그 구조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바디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무선 신호를 수신, 증폭, 변조하여 음성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는 회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부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다 만, 한가지 차이점은 푸쉬 스위치를 배치하기 위한 홈이 바디부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특징-승강 기능 이어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이어폰(21)은 푸쉬 스위치(20)의 승강부(24)의 단부(23)상에 부착 또는 고정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는 아래 방향으로 한 번 누르면 눌러져 있고, 다시 한 번 더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뛰오 오르는 방식의 스위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푸쉬 스위치의 승강부 단부에 이어폰을 고정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푸쉬 스위치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든 구성 요소로 대체 가능하며, 푸쉬 스위치는 일예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이어폰이 승강부(24)의 단부(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푸시 스위치의 버튼 기능은 이어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이어폰을 누르면 승강부(24)가 아래로 향하거나, 위로 다시 튀어 나오는 푸쉬 스위치의 기능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고로, 승강부(24)를 아래 방향으로 눌렀을 경우, 승강부(24)는 푸쉬 스위치(20)의 바디부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삽입 깊이는 이어폰(21)의 상부가 인접하여 있는 바디부(25)의 표면과 일치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부는 본 발명의 특징부로서 이어폰과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 버튼 방식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즉, 헤드셋을 사용하려는 경우, 이어폰 영역을 아래쪽 방향으로 한 번 꾹 누르면 승강부가 위쪽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승강부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어 폰은 바디부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헤드셋을 사용한 후에는 이어폰을 다시 한 번 아래 방향으로 한 번 꾹 누른다. 이 경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도 동일한 힘을 받게되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다. 아래 방향으로 눌러진 승강부는 푸쉬 스위치의 바디 내부로 삽입되고, 이로 인하여 승강부 상단에 부착된 이어폰도 푸쉬 스위치의 바디부 내에 인착되는 상태로 된다.
이처럼, 이어폰을 바디부내에 넣어 놓는 경우, 옷 주머니에 헤드셋을 넣어 두더라도 종래와 같은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이 상당히 감소하며 가방 속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다른 물건과의 충돌로 이어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어폰내의 스피커는 바디부의 내부회로와 프렉서블한 구리 전선 등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지되어 있는 푸쉬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승강(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푸쉬 스위치이외에 전술한 푸쉬-업 기능을 갖는 모든 소자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어폰이 안착된 승강부를 한 번의 하방성 터치 압력으로 바디부내에 집어 넣고, 또 한 번의 하방성 터치 압력으로 바디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이므로, 이러한 특징으로 승강부는 그 구성의 일부 변경 등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이 동일하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스위치가 안착된 승강부 를 구비하는 모든 형태의 헤드셋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이어링형 헤드셋, 텔레마케터형 헤드셋, 컴퓨터용 헤드셋 등 모든 형태의 헤드셋이 적용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3a는 헤드셋(300)의 평면도로서, 바디부(31)의 중앙에 이어폰(32)이 안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이어폰(32)은 바디부(31)의 중앙에 형성된 홈내에 위치한다.
도 3b는 도 3a의 이어폰의 접힐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의 측면에서 이어폰이 어떻게 이동(접힘)가능하게 되는 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어폰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디부내에 집어 넣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폰은 바디부내에 힌지 방식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3b와 같은 이동이 가능하다.
도 3c는 이어폰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4는 헤드셋(400)의 측면도만을 도시한 것으로, 바디부(41)의 외장 일측부(측면)에 힌지 방식에 의하여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이어폰(42)이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어폰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귀에 꽂기 용이하도록 이어폰을 돌출시키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헤드셋의 길이 방향의 상부에 안착시켜 놓으므로써 이어폰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또는 회전식 이어폰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어폰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사용하는 모든 헤드셋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가능 또는 접힘 기능 있는 이어폰을 갖춘 헤드셋을 제공함으로써, 헤드셋이 불필요하게 바디부에서 돌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불편함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단부에 부착된 승강부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가 상기 바디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이어폰의 상부가 인접하여 있는 상기 바디부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승강부는 하향 이동되어 상기 공간 속으로 들어가고, 상기 승강부가 상기 바디부의 공간 속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는 상향 이동되어 상기 바디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외장의 일측부에 소정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이어폰이 설치되어 있는 바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060046922A 2005-09-06 2006-05-25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9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922A KR100695763B1 (ko) 2006-05-25 2006-05-25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MX2008003167A MX2008003167A (es) 2005-09-06 2006-09-04 Auriculares inalambricos bluetooth para tener un audifono.
PCT/KR2006/003494 WO2007029946A1 (en) 2005-09-06 2006-09-04 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having earphone
JP2006239628A JP2007074728A (ja) 2005-09-06 2006-09-04 イヤホンを備えたブルートゥース無線ヘッドセット
US11/515,744 US20070053543A1 (en) 2005-09-06 2006-09-05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DE200660015749 DE602006015749D1 (de) 2005-09-06 2006-09-06 Drahtloser Bluetooth-Kopfhörer mit Kopfhörer
EP06018656A EP1761001B1 (en) 2005-09-06 2006-09-06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AT06018656T ATE476052T1 (de) 2005-09-06 2006-09-06 Drahtloser bluetooth-kopfhörer mit kopfhör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922A KR100695763B1 (ko) 2006-05-25 2006-05-25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929U Division KR200406206Y1 (ko) 2005-09-06 2005-10-19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763B1 true KR100695763B1 (ko) 2007-03-19

Family

ID=4162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922A KR100695763B1 (ko) 2005-09-06 2006-05-25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65B1 (ko) * 2007-03-29 2013-08-23 크루셜텍 (주) 무선 헤드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26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200413191Y1 (ko) * 2006-01-19 2006-04-04 크루셜텍 (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용 초소형 무선 헤드셋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26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200413191Y1 (ko) * 2006-01-19 2006-04-04 크루셜텍 (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용 초소형 무선 헤드셋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65B1 (ko) * 2007-03-29 2013-08-23 크루셜텍 (주) 무선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206Y1 (ko)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KR100800103B1 (ko) 헤드셋
CN102577431B (zh) 具有可转动耳钩且具有两个断开位置的耳机
US8467563B2 (en) Headset with foldable microphone arm
KR20060032593A (ko) 헤드셋 와이어
JP2007074728A (ja) イヤホンを備えたブルートゥース無線ヘッドセット
KR20090075828A (ko) 헤드셋
KR100767435B1 (ko)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KR100695763B1 (ko)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EP2165563B1 (en) Headset with switching earbud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KR200700303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CA2426860A1 (en) Cellular phone that exposes the user's brain to much less microwave radiation than ordinary cellular phones with the help of a proxy (intermediary) device
JP7100754B1 (ja) 音声入力装置、無線通信装置セット及び電子機器セット
KR100619090B1 (ko) 활 타입 이어 후크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0551698B1 (ko) 스피커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EP130101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istance keeping means for hands free operation mode
KR200423251Y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US20120189133A1 (en) Headset With Configuration Switch
KR200416082Y1 (ko)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JP2005136722A (ja) 携帯電話機
KR200184591Y1 (ko) 헤드폰형 휴대폰
KR970004102Y1 (ko) 청각 장애자용 송수화기
KR20010048552A (ko) 이어폰
KR20080004238U (ko) 블루투스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269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269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872;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889;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02

Effective date: 2009021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402

Effective date: 200902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88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402

Effective date: 200902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8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02

Effective date: 200902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