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435B1 -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435B1
KR100767435B1 KR1020060068640A KR20060068640A KR100767435B1 KR 100767435 B1 KR100767435 B1 KR 100767435B1 KR 1020060068640 A KR1020060068640 A KR 1020060068640A KR 20060068640 A KR20060068640 A KR 20060068640A KR 100767435 B1 KR100767435 B1 KR 10076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jaw
lifting
wireless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435A (ko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앤블루 filed Critical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to MX200800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MX2008003167A/es
Priority to PCT/KR2006/003494 priority patent/WO2007029946A1/en
Priority to JP2006239628A priority patent/JP2007074728A/ja
Priority to US11/515,744 priority patent/US20070053543A1/en
Priority to DE200660015749 priority patent/DE602006015749D1/de
Priority to EP06018656A priority patent/EP1761001B1/en
Priority to AT06018656T priority patent/ATE476052T1/de
Publication of KR2007002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부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공간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안착홈; 및 상기 본체의 공간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어폰의 승강부를 고정시키는 록킹 타입의 푸쉬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어폰을 본체 내에 넣어 놓고, 헤드셋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헤드셋이 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어폰을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 이어폰, 블루투스, 승강, 하강, 푸쉬

Description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for having earphone of push button type}
도 1은 종래의 무선 헤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어폰 120, 120'; 승강부
130 : 본체 140 : 이어폰 안착홈
150 : 푸쉬 스위치 모듈 150' : 록킹부
160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푸쉬 버튼 타입으로 1회 조작하면 하강하고, 1회 더 조작하면 승강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서 휴대폰이나 MP3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더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기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러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무선 헤드셋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상기 무선 헤드셋의 일반적인 형태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과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 형태로 귓 바퀴와 유사한 구조의 틀이 제공된 상태에서, 그 틀이 귓바퀴에 지지 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상기 틀을 자신의 귀에 걸어서 돌리거나 변형시키는 복잡한 동작을 통하여 이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올바른 위치에 착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틀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전체 부피가 커지고, 상기 틀의 갈고리 모양의 형상에 의해서 주머니 등 외부 물체에 걸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헤드셋이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의 외형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과, 이어폰이 고정(부착)된 본체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를 증폭 및 변조하여 스피커가 내장된 상기 이어폰으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블루투스 칩) 등을 기본적으로 내장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헤드셋의 이어폰은 본체에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어폰이 이렇게 돌출되어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이유는 헤드셋이 귀 구멍에 착용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귀 구멍으로 이어폰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헤드셋은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가방이나 호주머니(와이셔츠 주머니 또는 바지 주머니 등) 속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보통인데, 옷 주머니 속에 보관하는 경우 돌출된 이어폰 부분이 신체의 일부(예컨대, 가슴 또는 허벅지 등)를 꾹꾹 누르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가방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돌출된 이어폰이 다른 물건들과 부딪혀 이어폰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어폰을 본체 내에 넣어 놓고, 헤드셋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헤드셋이 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어폰을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을 가지고,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공간부를 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부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공간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안착홈; 및 상기 본체의 공간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어폰의 승강부를 고정시키는 록킹 타입의 푸쉬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부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공간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안착홈; 및 상기 본체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의 승강부를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 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은, 이어폰(110)과, 승강부(120)와, 본체(130)와, 이어폰 안착홈(140)과, 푸쉬 스위치 모듈(150)과, 코일 스프링(1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이어폰(110)은 내부에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이어폰(110)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이 귀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귓 바퀴와 유사한 모양 및 형식의 어떠한 틀이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12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21)와,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121)의 저면 끝단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턱(123)과, 하강시 하기에서 설명할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푸쉬 스위치 모듈(150)에 의해 고정되고, 승강시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와 결합이 해제되도록 가이드 턱(12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승강부(120)의 높이는 걸림턱(125)이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를 록킹/언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부(120)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131)에 의해 공간부(133)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격벽(131)은 승강부(120)의 가이드 턱(123)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 홀(131-1)과,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격벽(131)의 측면으로 인출시키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 홀(131-3)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본체(13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정부와, 무선 헤드셋(100)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하는 클립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무선 헤드셋(1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는 형성되는 온/오프 버튼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 본체(130)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각 회로들은 상기 본체(130)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기판(135)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어폰 안착홈(140)은 이어폰(110)이 본체(130)로 하강시 이어폰(110)이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30) 공간부(13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반구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한편, 푸쉬 스위치 모듈(150)은 V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승하강하면서 펴지고, 접히는 록킹 부재(151)를 구비하는 록킹 타입(1회 하강시 록킹, 1회 하강시 언록킹)으로 이어폰(110)의 승강부(120)를 고정시키도록 본체(130)의 공간부(133) 의 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측면에는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이 승하강하는 제 3가이드 홀(153)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푸쉬 스위치 모듈(150)은 아래 방향으로 한번 누르면 눌려져 있고, 다시 아래 방향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돌출되는 공지된 푸쉬 스위치 모듈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0)은 승강부(120)의 내측과 공간부(133)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부(120)의 걸림턱(125)과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의 결합 해제시 승강부(120)를 탄발력으로 승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승강부(120)가 이어폰 안착홈(14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110)에 힘을 가하여 하방향으로 누르면, 승강부(120)가 코일 스프링(160)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승강부(120)는 격벽(131)에 의해 공간부(133)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승강부(120)가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이의 가이드 턱(123)이 격벽(131)의 제 1가이드 홀(131-1)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반대측에 위치한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이 격벽(131)의 제 2가이드 홀(131-3)을 따라 이 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 2가이드 홀(131-3)을 통해 인출된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이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이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제 3가이드 홀(153)을 따라 하강을 하게 되면, 록킹 부재(151)가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접혀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을 고정시킨다.
푸쉬 스위치 모듈(150)의 록킹 부재(151)가 일정 지점까지 하강되어 록킹, 즉 록킹 부재(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는 이어폰(110)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승강부(120)의 걸림턱(125)이 록킹 부재(151)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승강부(120)와 결합된 이어폰(110)도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어폰 안착홈(1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푸쉬 스위치 모듈(150)은 하방향으로 이동된 후 약간 상승하게 되면서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어폰(110)에 힘을 가하여 하방향으로 누르면, 푸쉬 스위치 모듈(150)이 언록킹되어 록킹 부재(151)가 상승을 하게 된다.
록킹 부재(151)가 상승을 하게 되면, 이와 결합된 승강부(120)의 걸림턱(125)도 상승을 하다가 록킹 부재(151)가 완전 상승하여 펼쳐지면 걸림턱(125)이 이와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승강부(120)를 고정하고 있던 힘이 사라지면서 승강부(120)의 하단 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이 승강부(120)를 상승시키면, 이어폰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어폰 안착홈(140)에서 노출된다.
<제 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승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은, 이어폰(110)과, 승강부(120')와, 본체(130)와, 이어폰 안착홈(140)과, 록킹부(150')와, 코일 스프링(1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이어폰(110)은 내부에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이어폰(110)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이 귀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귓 바퀴와 유사한 모양 및 형식의 어떠한 틀이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12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21')와,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121')의 저면 끝단에 수평하게 돌출 형 성되는 가이드 턱(123')과, 일끝단이 좌우로 회동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록킹부(150')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몸체(121')의 가이드 턱(12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그 끝단에 경사를 가지며 돌출되고, 하단에 경사면(128')이 형성된 걸림턱(127')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1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승강부(120')의 높이는 걸림핀(125')이 록킹부(150')와의 록킹/언록킹을 해제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부(120')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131)에 의해 공간부(133)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격벽(131)은 승강부(120')의 가이드 턱(123')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131-1)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본체(13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정부와, 무선 헤드셋(100)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하는 클립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무선 헤드셋(1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도록 형성된 온/오프 버튼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 본체(130)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각 회로들은 본체(130)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기판(135)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어폰 안착홈(140)은 이어폰(110)이 본체(130)로 하강시 이어폰(110)이 본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30) 공간부(13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반구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한편, 록킹부(150')는 격벽(131)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직사각형태의 홀(150'-1)과, 걸림핀(125')의 걸림턱(127')이 하강후 상승시 걸림턱(127')이 경사를 따라 결합되도록 홀(150'-1)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데, 하향 경사를 갖는 결합턱(150'-3)과, 걸림핀(125')의 걸림턱(127')의 경사면(128')이 안내되어 함몰되도록 결합턱(150'-3)의 하단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안내턱(150'-5)과, 걸림턱(127')이 안내턱(150'-5)에 의해 함몰후 상승시 결합턱(150'-3)에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턱(150'-3)과 안내턱(150'-5)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면(150'-7)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록킹부(150')는 아래 방향으로 한번 누르면 눌려져 있고, 다시 아래 방향으로 한 번 더 누르면 튀어 나오는 공지된 노크식 필기구의 구조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0)은 승강부(120')의 내측과 공간부(133)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부(120')의 걸림턱(127')과 록킹부(150')의 결합 해제시 승강부(120')를 탄발력으로 승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승강부(120')가 이어폰 안착홈(14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0a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폰(110)에 힘을 가하여 하방향으로 누르면, 승강부(120')가 코일 스프링(160)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승강부(120')는 격벽(131)에 의해 공간부(133)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승강부(120')가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이의 가이드 턱(123')이 격벽(131)의 가이드 홀(131-1)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반대측에 위치한 승강부(120')의 걸림핀의 걸림턱(127')이 록킹부(150')의 홀(150'-1)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승강부(120')의 걸림핀(125')의 걸림턱(127')이 록킹부(150')의 결합턱(150'-3)의 경사를 만나면 도 10b와 같이 걸림핀(125')이 회동을 하고, 걸림턱(127')의 경사로 인해 결합턱(150'-3)의 경사를 따라 이동을 하고, 결합턱(150'-3)의 끝단, 즉 경사가 끝나는 부분에서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다가 걸림핀(125')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턱(127')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을 하고, 이의 경사에 의해 결합턱(150'-3)의 하단과 결합을 하게 된다.
걸림핀(125')의 걸림턱(127')이 결합턱에 고정되면, 승강부(120')와 결합된 이어폰(110)도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어폰 안착홈(1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0c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폰(110)에 힘을 가하여 하방향으로 누르 면, 걸림핀(125')의 걸림턱(127')이 하강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걸림턱(127')의 경사면(128')이 안내턱(150'-5)에 의해 안내되어 함몰된다.
그리고, 함몰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6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는 데, 상승시 록킹부(150')의 안내면(150'-7)에 의해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상승을 하게 되어 걸림턱(127')이 결합턱(150'-3)에 재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승강부(120')는 계속해서 상승을 하게 되어 결국 이어폰(11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어폰 안착홈(140)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 이어폰이 외부로 돌출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신체 접촉, 타물건과의 접촉으로 인한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어폰이 안착된 승강부를 한 번의 하방성 터치 압력으로 본체 내의 공간부에 수납시키고, 또 한 번의 하방성 터치 압력으로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므로, 이러한 특징으로 갖는 승강부는 그 구성의 일부 변경 등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이 동일하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승강부를 구비하는 모든 형태의 헤드셋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이어링형 헤드셋, 텔레마케터형 헤드셋, 컴퓨터용 헤드셋 등 모든 형태의 헤드셋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승강 기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따르면,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어폰을 본체 내에 넣어 놓고, 헤드셋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헤드셋이 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어폰을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는 긴 막대형상 본체를 쥔 상태에서, 이어폰 만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을 가지고,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공간부를 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본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공간부 속으로 들어가고,
    상기 승강부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 속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3.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부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공간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안착홈; 및
    록킹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공간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어폰의 승강부를 고정시키는 록킹 타입의 푸쉬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내측과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를 탄발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코일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이어폰 안착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공간부 속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과 결합 고정되어 상기 이어폰 안착홈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승강부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 속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가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과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이어폰 안착홈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 끝단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턱; 및
    하강시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의 록킹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되어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에 의해 고정되고, 승강시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의 록킹 부재와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이드 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승강부의 가이드 턱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 홀과;
    상기 승강부의 걸림턱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과 동시에 상기 격벽의 측면으로 인출시키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 모듈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승하강하는 제 3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9.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부착된 승강부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부가 승하강하도록 원형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공간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안착홈; 및
    상기 본체의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의 승강부를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내측과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를 탄발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코일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이어폰 안착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공간부 속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록킹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이어폰 안착홈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승강부가 상기 본체의 공간부 속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본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가 상기 록킹부와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상기 이어폰 안착홈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 끝단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턱; 및
    일끝단이 좌우로 회동되어 상기 록킹부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가이드 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그 끝단에 경사를 가지며 돌출되고,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13.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승강부의 가이드 턱의 승하강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14.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격벽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직사각형태의 홀과;
    상기 걸림핀의 걸림턱이 하강후 상승시 상기 걸림턱이 경사를 따라 결합되도록 상기 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데, 하향 경사를 갖는 결합턱과;
    상기 걸림핀의 걸림턱의 경사면이 안내되어 함몰되도록 상기 결합턱의 하단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안내턱과;
    상기 걸림턱이 상기 안내턱에 의해 함몰후 상승시 상기 결합턱에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턱과 안내턱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KR1020060068640A 2005-09-06 2006-07-21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KR10076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08003167A MX2008003167A (es) 2005-09-06 2006-09-04 Auriculares inalambricos bluetooth para tener un audifono.
PCT/KR2006/003494 WO2007029946A1 (en) 2005-09-06 2006-09-04 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having earphone
JP2006239628A JP2007074728A (ja) 2005-09-06 2006-09-04 イヤホンを備えたブルートゥース無線ヘッドセット
US11/515,744 US20070053543A1 (en) 2005-09-06 2006-09-05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DE200660015749 DE602006015749D1 (de) 2005-09-06 2006-09-06 Drahtloser Bluetooth-Kopfhörer mit Kopfhörer
EP06018656A EP1761001B1 (en) 2005-09-06 2006-09-06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AT06018656T ATE476052T1 (de) 2005-09-06 2006-09-06 Drahtloser bluetooth-kopfhörer mit kopfhör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33 2005-09-06
KR20050082933 200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435A KR20070027435A (ko) 2007-03-09
KR100767435B1 true KR100767435B1 (ko) 2007-10-17

Family

ID=3787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640A KR100767435B1 (ko) 2005-09-06 2006-07-21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7435B1 (ko)
CN (1) CN19336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65B1 (ko) * 2007-03-29 2013-08-23 크루셜텍 (주) 무선 헤드셋
JP3163189U (ja) * 2007-04-16 2010-10-07 玉▲華▼ 汪 ブルートゥースイヤーセット
KR100775525B1 (ko) * 2007-08-09 2007-11-09 주식회사 블루콤 이어폰을 갖춘 음향통신기기
KR100775526B1 (ko) * 2007-08-09 2007-11-09 주식회사 블루콤 이어폰을 갖춘 음향통신기기
KR101050024B1 (ko) * 2007-11-05 2011-07-19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헤드셋
CN103354627A (zh) * 2013-07-30 2013-10-16 深圳市秦通科技有限公司 具有可活动听筒的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08Y1 (ko) * 1994-11-07 1999-03-30 전성원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오디오스피커
KR2000004426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08Y1 (ko) * 1994-11-07 1999-03-30 전성원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오디오스피커
KR2000004426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출몰식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3674A (zh) 2007-03-21
KR20070027435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4728A (ja) イヤホンを備えたブルートゥース無線ヘッドセット
KR100767435B1 (ko) 푸쉬 버튼 타입의 이어폰을 구비한 무선 헤드셋
KR200406206Y1 (ko)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100800103B1 (ko) 헤드셋
KR100760278B1 (ko) 무선 헤드셋
EP1791335A2 (en)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530194A1 (en) Acoustic apparatus using bone-conduction speaker
US20080070651A1 (en) Headset Slider Mechanism
US20060128430A1 (en) Accessory with speaker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725628B1 (ko) 무선 헤드셋
CN211152143U (zh) 一种具有防尘密封结构的蓝牙设备
CN102293014A (zh) 头戴式套件
KR100806940B1 (ko) 크래들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케이스
KR200700303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100695763B1 (ko)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
KR20200025202A (ko) 무선 이어폰용 보관케이스
KR100775526B1 (ko) 이어폰을 갖춘 음향통신기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JP3789039B2 (ja) 電話装置及び送受信ユニット
KR10056625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KR101055369B1 (ko) 하울링 방지 구조를 갖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
KR100914509B1 (ko) 무선 헤드셋
KR100963289B1 (ko) 마이크 돌출 설치형 무선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