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82Y1 -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82Y1
KR200416082Y1 KR2020060005001U KR20060005001U KR200416082Y1 KR 200416082 Y1 KR200416082 Y1 KR 200416082Y1 KR 2020060005001 U KR2020060005001 U KR 2020060005001U KR 20060005001 U KR20060005001 U KR 20060005001U KR 200416082 Y1 KR200416082 Y1 KR 200416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crophone
main unit
bluetoo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동경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경텔레콤 filed Critical (주)동경텔레콤
Priority to KR2020060005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블루투스모듈 등이 내장된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의 일측에 구성된 클램프(24)로 이루어지는 메인유닛(20);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 마이크하우징(32)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유닛(2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유닛(30); 상기 마이크유닛(30)을 거쳐 메인유닛(20)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이어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유닛(20)에는 통화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업/볼륨다운버튼(221)(222) 및, 착신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엘이디(LED)(223) 등의 신호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유닛(30)에는 통화연결기능, 통화차단기능, 메인유닛 온오프기능 등의 조작을 위한 멀티기능버튼(36)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에 의하면, 메인유닛과, 마이크유닛 및 이어폰이 분리구성된 특성상, 부피가 크고 무거운 메인유닛은 의복에 지지시키고, 이어폰만을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됨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되고, 마이크유닛과, 이어폰의 간격이 충분하여 마이크유닛을 통한 명확한 음성전달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방식 헤드셋{bluetooth type headse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의 다른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메인유닛 22: 하우징
24: 클램프 30: 마이크유닛
32: 마이크하우징 34: 연통홀
36: 멀티기능버튼 40: 이어폰
본 고안은 핸드폰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트스방식의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먼저, 핸드폰 등의 주변기기로 사용되는 헤드셋은 핸드폰본체와 쌍방향으로 신호를 서로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핸드폰본체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토록 하여 핸드폰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기이다.
헤드셋은 본체와의 신호데이터 소통방식에 따라 크게 무선식 및 유선식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무선식의 일종으로서 근거리 통신망의 대표적인 형식인 블루투스(Bluetooth)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10m 내지 100m 이내의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 이동단말기 및 기타 전자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무선통신규격이다.
일반적인 블루투스방식의 헤드셋은, 음성신호를 핸드폰본체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와, 제어회로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축전지와 같은 전원공급부 등이 하우징(101)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된 헤드셋본체(10)와, 상기 헤드셋본체(10)로부터 약간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제어회로부에 사용자의 음성을 신호화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부(12)와, 상기 헤드셋본체(10)가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하는 이어후크(ear hook)(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에 의하면, 핸드폰본체로부터 전달되는 무선신호를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일정거리 내에서는 깨끗한 통화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종래의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블루투스모듈 및 스피커 등의 구성요소가 모두 헤드셋본체(10)에 통합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후크(14)를 귀에 거는 형태로 착용하여 헤드셋본체(10)를 귀에 밀착시키고, 마이크부(12)가 입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어후크(14)를 귀에 거는 조작만으로 헤드셋본체(10)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착용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앞서 말한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헤드셋본체(10)에 통합된 구조상, 헤드셋본체(10)의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어후크(14)가 걸린 귀 부분에 강한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등 착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헤드셋이 경량화면서 헤드셋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어후크 없이 사용자의 귀에 보다 깊이삽입되어 헤드셋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연질삽입부(16)가 구비된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이 소개되었다.
상기 연질삽입부(16)는 인체와 접촉시에도 별다른 자극을 주지 않도록 부드 러운 재질로 형성되고, 헤드셋본체(10')가 유동 없이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연질삽입부(16)를 채용한 헤드셋은 연질삽입부(16)에 의해서만 헤드셋본체(10')가 지지되는 착용구조상, 헤드셋본체(10')의 크기가 최소화 되는 것이 착용감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헤드셋본체(10')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 통화음을 듣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마이크부(12')가 입과 지나치게 이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말하는 내용이 명확하게 입력되지 않음으로써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조적인 특성상 착용감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블루투스방식 무선헤드셋은, 메인유닛과, 상기 메인유닛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유닛과, 상기 마이크유닛을 거쳐 메인유닛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이어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유닛은, 음성신호를 핸드폰본체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주파수 변조하는 RF회로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회로부로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등의 전원공급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회로부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의복에 클램핑되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유닛은,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 마이크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유닛에는 통화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업/볼륨다운 버튼 및, 착신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엘이디(LED) 등의 신호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에서 도 4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핸드폰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모듈 등이 구비된 메인유닛(20)과, 상기 메인유닛(2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유닛(30), 상기 마이크유닛(30)을 거쳐 메인유닛(20)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이어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유닛(20)은 블루투스모듈을 비롯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주파수변조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제어회로부로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등의 전원공급부 등이 하우징(22)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하우징(22)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의복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클램프(24)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4)는 하우징(2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하우징(22)과의 사이에 구비된 토션스프링(241)에 의해 그 일단이 하우징(22)측으로 압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유닛(20)에는 통화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업/볼륨다운버튼(221)(222) 및 착신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수단 또한 구비되는데, 상기 신호수단은 하우징(22)에 부착되어 제어회로부에 의해 발광작동되는 엘이디(LED)(223)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이크유닛(30)은, 마이크하우징(32)과, 이에 내장되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데, 마이크하우징(32)의 일측면에는 마이크로폰으로 통하는 연통홀(34)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34)의 반대쪽에는 통화연결기능, 통화차단기능, 메인유닛 온오프기능 등의 조작을 위한 멀티기능버튼(36)이 구비된다.
상기 이어폰(40)은 그 부피 및 무게가 최소화되도록, 유선을 통해 전달된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하여 소리로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클램프(24)를 이용하여 옷깃에 클램핑하거나,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메인유닛(20)을 의복의 윗주머니에 넣은 상태에서 이어폰(40)을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된다.
즉, 구성요소중에서 비교적 부피가 크고 무거운 메인유닛(20)은 의복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하중이 극히 작은 이어폰(40)만을 귀에 꼽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헤드셋 전체가 귀에 걸리는 방식에 비해 그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감소된다.
또한, 착용상태에서 마이크유닛(30)이 이어폰(40)과 충분히 이격되어 사용자의 입 근처에 위치되기 때문에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이 명확하게 입력 전달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유닛(20)에 구비된 볼륨업/볼륨다운버튼(221)(222)을 이용하여 통화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마이크유닛(30)에 구비된 멀티기능버튼(36)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직접조작하지 않고도 핸드폰으로 걸려온 착신통화를 연결하거나, 통화를 끊을 수 있으며, 메인유닛(20)의 온오프 조작 또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방식 헤드셋은, 메인유닛과, 마이크유닛 및 이어폰이 분리구성된 특성상, 부피가 크고 무거운 메인유닛은 의복에 고정하고, 이어폰만을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됨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되고, 마이크유닛과, 이어폰의 간격이 충분하여 마이크유닛을 통한 명확한 음성전달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음성신호를 핸드폰본체와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주파수변조하는 RF회로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회로부로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등의 전원공급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 및 회로부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복에 클램핑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메인유닛;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 마이크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유닛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유닛;
    상기 마이크유닛을 거쳐 메인유닛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귀에 꼽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이어폰;
    을 포함하는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에는
    통화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업/볼륨다운 버튼 및,
    착신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엘이디(LED) 등의 신호수단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유닛에는
    통화연결기능, 통화차단기능, 메인유닛 온오프기능 등의 조작을 위한 멀티기능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KR2020060005001U 2006-02-23 2006-02-23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KR200416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01U KR200416082Y1 (ko) 2006-02-23 2006-02-23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01U KR200416082Y1 (ko) 2006-02-23 2006-02-23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82Y1 true KR200416082Y1 (ko) 2006-05-10

Family

ID=4176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001U KR200416082Y1 (ko) 2006-02-23 2006-02-23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06B1 (ko) 2006-09-18 2007-08-07 주식회사 이어메카 무선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06B1 (ko) 2006-09-18 2007-08-07 주식회사 이어메카 무선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2281A1 (en) Wireless phone headset
KR101686205B1 (ko) 넥밴드형 휴대폰용 블루투스 이어셋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CA25773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20040008855A1 (en) Ear clasp headset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KR20100041386A (ko) 무선 헤드 셋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KR20060113603A (ko) 헤드셋
US20050008147A1 (en) Two-purpose wireless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in driving
US20050100185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KR200416082Y1 (ko) 블루투스방식 헤드셋
KR101109018B1 (ko)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KR1011442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101800618B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
US10911857B2 (en) Sound output apparatus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EP3576424B1 (en) System comprising a pair of sound output devices
JP2001156900A (ja) マイク付きイヤフォン
KR100882020B1 (ko) 견착식 헤드셋
KR200184608Y1 (ko)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장치
KR200326419Y1 (ko) 휴대폰용 무선이어폰
CN217011152U (zh) 头戴式蓝牙耳机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