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748B1 -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748B1
KR100694748B1 KR1020057003041A KR20057003041A KR100694748B1 KR 100694748 B1 KR100694748 B1 KR 100694748B1 KR 1020057003041 A KR1020057003041 A KR 1020057003041A KR 20057003041 A KR20057003041 A KR 20057003041A KR 100694748 B1 KR100694748 B1 KR 10069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tching
latching portion
separ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0130A (en
Inventor
유따까 도모오까
고오지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72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combined with security means, e.g. for preventing use, e.g. in case of absence of the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21)가 장전되는 하우징을, 분리 하우징(31)과 분리 하우징(41)으로 구성한다. 분리 하우징(31)에는 피래칭부(35)를 설치하고, 분리 하우징(41)에는 피래칭부(47)를 설치한다. 피래칭부(35)는 필터 장치(12)가 수용되는 청소기 본체의 래칭부(51)로 래칭되는 것이고, 피래칭부(47)는 청소기 본체의 다른 래칭부(52)로 래칭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래칭부(52)에 상기 다른 래칭부(52)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의 비래칭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청소기 본체의 덮개부(54) 내면의 압박부(55)와 접촉하여 덮개부(54)를 개방 상태로 하게 하는 돌기부(56)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필터(21)가 장전되는 하우징이 청소기 본체 내에서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이 청소기 본체에 적절하게 래칭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청소기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in which the filter 21 is loaded is constituted by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The latching part 35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latching part 47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housing 41. The latching part 35 is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1 of the cleaner main body in which the filter apparatus 12 is accommodated, and the latching part 47 is latched by the other latching part 52 of the cleaner main body. In addition, when the other latching portion 52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atching state of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ng housing 41,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54 of the cleaner body is disposed on the other latching portion 52. A projection 56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55 to bring the lid portion 54 open. As a result, the housing in which the filter 21 is load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 the cleaner body.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vacuum cleaner from being used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is not properly latched to the cleaner body.

래칭부, 하우징, 압박부, 필터, 덮개부Latching, Housing, Pressing, Filter, Cover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Dust collecto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it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집진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equipp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종래부터, 흡인한 공기 중의 먼지를 종이팩으로 제거하는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사용에 수반되는 흡인력의 저하나 종이팩의 사용량(먼지 소비량) 등을 우려하여, 싸이클론 집진 방식을 채용한 전기 청소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전기 청소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일본 특허 공개 평10-85159호 공보(1998년 4월 7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electric vacuum cleaner for removing dust in sucked air with a carton is known. In recent years, various vacuum cleaners employ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method have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a decrease in suction force associated with use and the amount (dust consumption) of a paper pack. Such a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85159 (published on April 7, 1998).

이 싸이클론 집진 방식에서는,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고, 남은 공기를 그대로 배기하기 때문에 사용 개시시의 공기의 흡인력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더스트컵에 먼지로서 모이고, 마지막에는 먼지만을 버릴 수 있으므로 종이팩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method, the air sucked by the electric blower is rotated,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turning, and the remaining air is exhausted as it is. I can keep it. In addition,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collects as dust in the dust cup, and at the end, only dust can be discarded so that no paper pack is required.

그런데, 이러한 싸이클론 집진 방식을 채용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술한 원심 분리에 의해서도 또한 공기 중에 남은 먼지(특히,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 해, 싸이클론 집진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공기를 청정화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에 대해 도12 내지 도1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By the way, in the vacuum cleaner employing the cyclone dust collecting metho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is passed again to the filter to remove dust (especially fine dust) remaining in the air by the centrifugal separation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which purifies air by making it known is known. This type of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도12는 필터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1)와, 호스(102)와, 싸이클론 집진기(103)와, 접속 파이프(104)와, 흡입구 부재(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13은 청소기 본체(101)의 내부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지만, 청소기 본체(101)는 전동 송풍기(111)와 필터 장치(112)를 갖고 있다. Fig. 1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a filter mechanism. This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101, the hose 102, the cyclone dust collector 103, the connection pipe 104, and the suction port member 105. In addition, although FIG. 13 shows the outlin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101, the cleaner main body 101 has the electric blower 111 and the filter apparatus 112. As shown in FIG.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111)가 구동되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구 부재(105)로부터 흡인되고, 접속 파이프(104)를 거쳐서 싸이클론 집진기(103)로 공급된다. 싸이클론 집진기(103)에서는, 기류의 고속 선회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의 대부분이 원심 분리되는 동시에, 먼지 분리 후의 공기가 호스(102)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101)의 필터 장치(112)에 공급된다. 필터 장치(112)에서는 공급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가 다시 여과되어, 거의 완전하게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ic blower 111 is driven,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from the inlet member 105 and supplied 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103 via the connecting pipe 104.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103, most of the dust in the air is centrifuged by the high-speed turning of the airflow, and the air after the dust separation is supplied to the filter device 112 of the cleaner body 101 via the hose 102. . In the filter device 112,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is filtered again,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is almost completely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다음에, 상기한 필터 장치(112)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lter device 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14a 및 도14b는 필터 장치(112)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필터 장치(112)는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121)와, 필터(121)가 장전되는 하우징(122)을 갖고 있다. 하우징(122)은 동일한 회전축(123)으로 저어널되는 2개의 분리 하우징(122a, 122b)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 쪽 분리 하우징이 다른 쪽의 분리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22)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도15는 분리 하우징(122b)이 분리 하우징(122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하우징(122)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14A and 14B show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evice 112. The filter device 112 has a filter 121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and a housing 122 in which the filter 121 is loaded. The housing 122 is composed of two separate housings 122a and 122b journaled to the same rotating shaft 123. The housing 122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one of the separating housings relative to the other of the separating housings. It is supposed to be. FIG. 15 shows an appearance of the housing 122 in which the separating housing 122b is opened by rotating relative to the separating housing 122a.

분리 하우징(122a)에는 공기 유입구(124)가 설치되어 있고, 싸이클론 집진기(103)로부터의 공기는 호스(102) 및 공기 유입구(124)를 거쳐서 하우징(122) 내로 유도된다. 한편, 분리 하우징(122b)에는 공기 유출구(125)가 설치되어 있어, 필터 장치(112) 내로 공급된 공기가 필터(121) 및 공기 유출구(125)를 통해 하우징(122) 외부로 배출된다. An air inlet 124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housing 122a, and air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103 is guided into the housing 122 through the hose 102 and the air inlet 124. On the other hand, the air outlet 125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housing 122b, and the air supplied into the filter device 1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2 through the filter 121 and the air outlet 125.

또한, 분리 하우징(122a)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122b)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상기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형상의 평판부(126)가 접합되어 있다. 이 평판부(126)의 상측의 단부(126a)는 청소기 본체(101) 내부에 설치된 래칭부(113a)(도13 참조)에 의해 래칭되고, 하측의 단부(126b)는 상기 청소기 본체(101) 내부에 설치된 래칭부(113b)(도13 참조)에 의해 래칭된다. 또한, 평판부(126)는 분리 하우징(122a)의 공기 유입구(124)에 대응하는 구멍(126c)을 갖고 있다. Moreover, the flat part 126 of the shape which protrudes in the up-down direction from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is joined to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urfac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122b in the separation housing 122a. The upper end portion 126a of the flat plate portion 126 is latched by a latching portion 113a (see FIG. 13)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101, and the lower end portion 126b is the cleaner body 101. It is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113b (refer FIG. 13) provided inside. In addition, the flat plate portion 126 has a hole 126c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124 of the separation housing 122a.

한편, 분리 하우징(122b)에는 분리 하우징(122a)에 대한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고정 해제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해제부(127)는 분리 하우징(122a)측에 설치된 볼록부(128)가 끼워 넣어지는 고정 구멍(129)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리 하우징(122b)을 분리 하우징(122a)에 접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볼록부(128)를 고정 구멍(129)에 끼워 넣음으로써, 하우징(122)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구멍(129)을 약간 끌어 올리거나 혹은 볼록부(128)를 압입함으로써 볼록부(128)와 고정 구멍(129)과의 끼워 넣음을 해제하고, 손잡이(130)를 잡고 분리 하우징(122b)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22)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paration housing 122b, the fixing | releasing release part 127 which fixes and releases the separation housing 122a is formed. The fixing release part 127 has a fixing hole 129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128 provided on the separation housing 122a side is fitted. Therefore, the housing 122 can be made into the closed state by rotating the separation housing 122b in the direction joining the separation housing 122a and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128 into the fixing hole 129. On the other hand, by slightly pulling up the fixing hole 129 or press-fitting the convex portion 128, the fitting between the convex portion 128 and the fixing hole 129 is released, and the handle 130 is held to hold the separation housing 122b. ), The housing 122 can be opened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그런데, 상기한 필터 장치(112)의 구성에서는 청소기 본체(101)의 래칭부(113a, 113b)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단부(126a,126b)]가 양방 모두 분리 하우징(122a)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101) 내에서는 한 쪽 분리 하우징(122a)만이 청소기 본체(1O1)에 래칭되고, 다른 쪽 분리 하우징(122b)은 청소기 본체(101)에 래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By the way, in the structure of the filter apparatus 112 mentioned above, the latching part (end part 126a, 126b)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113a, 113b of the cleaner main body 101 is formed by the separation housing 122a in both. Therefore, in the cleaner main body 101, only one separating housing 122a is latched by the cleaner main body 101, and the other separating housing 122b is in the state which is not latched by the cleaner main body 101. FIG.

이로 인해, 다른 쪽 분리 하우징(122b)이 청소기 본체(101) 내로의 수용시에는 고정 해제부(127)에 의해 분리 하우징(122a)에 고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사용에 의한 전동 송풍기(111)의 진동 등에 의해 그 고정이 해제되어 버려, 청소기 본체(101) 내부에서 하우징(122)이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필터 장치(112)에 공급된 공기가, 개방 상태가 된 하우징(122)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필터(121)로 제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other separation housing 122b was fixed to the separation housing 122a by the fixing release part 127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into the cleaner main body 101,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11 by use is used. The fixing may be released by, for example, the housing 122 inside the cleaner body 101 in an open state. In this case, since the air supplied to the filter device 112 leaks to the outside from the gap of the housing 122 which is in the ope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not be removed by the filter 121. Is generated.

또한, 필터 장치(112)를 이용하는 상기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하우징(122)이 완전하게 폐쇄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그와 같은 상태에서 필터 장치(112)를 청소기 본체(101)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전기 청소기를 사용하면 필터 장치(112) 에 공급된 공기가, 역시 개방 상태가 된 하우징(122)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필터(121)로 제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using the filter device 112, even when the housing 122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filter device 11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01 in such a state. It is structure that we can do. Therefore,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is and uses the vacuum cleaner, the air supplied to the filter device 112 leaks to the outside from the gap of the housing 122 which is also in the open state, and thus is contained in the air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hat dust cannot be removed with the filter 121 aris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된 후에는 필터가 장전되는 하우징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개방 상태가 되는 일이 없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상기 필터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hat the housing in which the filter is loaded does not open in the main body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so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surely used as the filter. It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that can be removed easi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장전되는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그 상태로 하우징을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하면 사용자에게 조금은 주의를 촉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전기 청소기의 오사용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상기 필터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using in which the filter is loaded is in the open state, if the housing is accommodat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in that state, a little attention can be urged to the user, whereby the user of the electric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o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misuse in advance and reliably remove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with the filter.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가 장전되는 하우징이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분리 하우징과 제2 분리 분리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분리 하우징 및 제2 분리 하우징은, 예를 들어 동일한 회전축으로 저어널되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서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ousing in which the filter is loaded is composed of a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a second separation separation housing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may be journalized with the same rotation axis to rotate with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parallel movement.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제1 분리 하우징 및 제2 분리 하우징의 양방이 수용체에 래칭되는 피래칭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 본체)에 하우징을 수용하였을 때에는, 제1 분리 하우징 및 제2 분리 하우징의 양방이 상기한 각 피래칭부를 거쳐서 수용체에 래칭된다. 이에 의해, 수용체 내에서는 제1 분리 하우징 및 제2 분리 하우징의 양방이 이동할 수 없는 상태(회전 혹은 평행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of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have a latching portion latched to the container, when the housing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at accommodates the device, Both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latched to the container via each of the aforementioned latching portions. As a result, in the container, both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in a state in which they cannot move (a state in which rotation or parallel movement cannot be performed).

따라서, 가령 수용체가 어떠한 원인으로 진동해도, 그에 의해 제1 분리 하우징과 제2 분리 하우징이 하우징 수용시의 상태로부터 이격되는 일이 없고, 그로 인해 하우징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하우징 수용체로의 수용 후에는 확실하게 하우징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하우징 내의 필터로 제거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even if the receptor vibrates for any reason,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not separated from the state at the time of housing accommodation, whereby air supplied to the housing leaks out of the housing. none. As a result, after the accommodation in the housing container, dust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can be reliably removed by a filter in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와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구성하면, 수용체 내에서의 집진 누설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Moreover, i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the dust collec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nd an electric blower can be provided, the highly reliable vacuum cleaner which does not collect dust in a container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된 공기를 고속 선회시킴으로써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의 후단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를 이용하지 않고 전동 송풍기에 의해 직접 상기 집진 장치를 거쳐서 공기를 흡인하는 방식의 전기 청소기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rear end of a cyclone dust collector for centrifuging dust by, for example, turning the air sucked by the electric blower at a high speed, and to the electric blower without us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 It is, of course, also applicable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of a method of sucking air directly through the dus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체의 덮개부 내면에는 수용체의 래칭부(회전 가능한 제2 래칭부)가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래칭을 해제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래칭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수용체에 대한 덮개부의 폐쇄 상태로 상기 래칭부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의 폐쇄 상태에서는 압박부의 압박에 의해 상기 래칭부가 래칭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일단 집진 장치를 수용체에 수용하고 덮개부를 폐쇄해 버리면, 그 후에는 수용체 내에서 하우징이 개방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청소기의 사용 중에는 집진 장치의 하우징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하우징 내의 필터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tching portion (rotabl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container is in the rotational position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the cover portion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release the latching.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latching portion in a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latching portion is formed. Therefore, 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part, the latching part cannot be rotated in the latching release direction due to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art. Therefore, once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nd the lid part is closed, the housing is then opened in the container. There is no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of the dust collector from leaking out of the housing during the use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reliably removed by the filter in the housing.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래칭부에는 상기 래칭부가 수용체에 대한 집진 장치의 비래칭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와 접촉함으로써 덮개부를 개방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칭부가 상기 회전 위치에 있을 때라 함은, 예를 들어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집진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서 수용체 내에 수용할 수 없어, 상기 래칭부가 상기 피래칭부를 래칭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때에는, 상기 압박부와 상기 돌기부가 접촉함으로써 덮개부가 개방 상태로 되기 때문에,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청소기의 오사용을 경고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오사용을 미연에 방지하여 집진 장치에 공급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ortion for opening the lid portion by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when the latching portion is in a rotation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atching state of the dust collector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Here, when the latching portion is in the rotational position, for example, the housing is in an open state, and thus the dust collecting device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 latching portion cannot latch the latching portion. You can assume when you are. In such a case, since the lid is brought into an open state by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projection, the user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warned of misuse of the cleaner, and air to be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by preventing such misuse can be prevented. Dust contained in can be removed reliably.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필터 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필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ilter device when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도2는 상기 필터 장치가 적용되는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 도이다.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to which the filter device is applied.

도3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of the vacuum cleaner.

도4는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필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device with the housing open;

도5는 도1a 및 도1b의 필터 장치를 수용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of FIGS. 1A and 1B.

도6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 장치의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덮개부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body in which the lid part is in an open state due to the housing of the filter device being in an open state inside the cleaner body.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필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필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device with the housing open;

도9는 도7의 필터 장치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of FIG.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기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필터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체 내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side a container which is connected to a cyclon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to accommodate the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Fi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or.

도13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of the vacuum cleaner.

도14a 및 도14b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수용되는 필터 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상기 필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4A and 1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ilter device when the filter device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i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도15는 하우징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필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device with the housing open;

[제1 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a 및 도1b 내지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1A and FIG. 1B-6.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와, 호스(2)와, 싸이클론 집진기(3)와, 접속 파이프(4)와, 흡입구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1, the hose 2,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e connection pipe 4, and the suction port member 5. As shown in FIG.

청소기 본체(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11)와 필터 장치(12)(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이다. 전동 송풍기(11)는 싸이클론 집진기(3) 및 필터 장치(12)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다. 필터 장치(12)는 싸이클론 집진기(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필터 장치(12)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s a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the electric blower 11 and the filter apparatus 12 (dust collector) as shown in FIG. The electric blower 11 sucks air containing dust via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filter device 12. The filter device 12 removes dust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n addition, the filter apparatus 12 is the most characteristic part of this invention, The detail is mentioned later.

호스(2)는 싸이클론 집진기(3)로부터 청소기 본체(1)의 필터 장치(1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연통로가 되는 것으로, 모든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 즈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hose 2 serves as a communication path for supplying air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o the filter device 12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is composed of a bellows cylinder that can be bent in all directions.

싸이클론 집진기(3)는 전동 송풍기(11)에 의해 흡인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한다. 상기 공기 중으로부터 원심 분리된 먼지는 집진기 본체에 대해 제거 가능한 더스트컵(도시하지 않음)에 모이고, 마지막에는 모인 먼지만 먼지로서 버려진다.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urns the air sucked by the electric blower 11 to separat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turning. The dust centrifuged from the air is collected in a dust cup (not shown) that is removable to the dust collector body, and only the collected dust is discarded as dust at the end.

접속 파이프(4)는 흡입구 부재(5)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싸이클론 집진기(3)에 공급하기 위한 원통형의 파이프이다. 흡입구 부재(5)는 바닥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를 갖고 있고, 이 흡입구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The connecting pipe 4 is a cylindrical pipe for supply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with air drawn in from the inlet member 5. The suction port member 5 has a suction port at a posi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and air is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11)가 구동되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구 부재(5)로부터 흡인되고, 접속 파이프(4)를 거쳐서 싸이클론 집진기(3)에 공급된다. 싸이클론 집진기(3)에서는, 기류의 고속 선회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 대부분이 원심 분리되는 동시에, 먼지 분리 후의 공기가 호스(2)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1)의 필터 장치(12)에 공급된다. 필터 장치(12)에서는 공급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더욱 미세한 먼지가 여과되어, 거의 완전하게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ic blower 11 is driven,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from the inlet member 5 and supplied 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via the connecting pipe 4.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most of the dust in the air is centrifuged by the high-speed revolution of the airflow, and the air after the dust separation is supplied to the filter device 12 of the cleaner main body 1 via the hose 2. In the filter device 12, finer dust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is filtered,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has been almost completely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음에, 필터 장치(12)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detail of the filter apparatus 12 is demonstrated.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필터 장치(12)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필터 장치(12)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필터 장치(12)는, 필터(21)와 하우징(22)을 갖고 있다. 필터(21)는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것으로, 스폰지나 여과지로 구성되어 있다. 1A and 1B show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evice 12 when the filter devic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The filter device 12 has a filter 21 and a housing 22. The filter 21 filters dust in the air and is composed of a sponge or filter paper.

하우징(22)은 필터(21)가 장전되는 것으로, 동일한 회전축(23)으로 저어널되는 2개의 분리 하우징(31)(제1 분리 하우징) 및 분리 하우징(41)(제2 분리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2)은 분리 하우징(31) 및 분리 하우징(41)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도4는 분리 하우징(41)이 분리 하우징(31)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하우징(22)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분리 하우징(31, 4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housing 22 is loaded with a filter 21 and is composed of two separation housings 31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separation housing 41 (second separation housing) journaled to the same rotation shaft 23. It is. Thus, the housing 22 is opened and closed by relative rotation about the rotation housing 23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4 shows the case where the housing 22 is in an open state by rotating the separation housing 41 relative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housings 31 and 41 is demonstrated.

분리 하우징(31)은 하우징 본체(3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32)는 서로 대향하는 상면(32a) 및 하면(32b)과, 이들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서로 대향하는 측면(32c, 32d)과, 이들 면으로 둘러싸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폐색하도록 형성되는 면(32e)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32e)은 분리 하우징(41)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32b)이라 함은 회전축(23)으로 저어널되는 면을 가리키며, 그 하면(32b)에 대향하는 면이 상면(32a)으로 되어 있다. The separation housing 31 has a housing body 32. The housing main body 32 is formed so as to close the upper surface 32a and the lower surface 32b which oppose each other, the side surfaces 32c and 32d which oppose each other by connecting these ends, and the rectangular area | region enclosed by these surfaces. It consists of the surface 32e. The surface 32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onding surfac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41.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32b refers to the surface journaled by the rotating shaft 23, and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32b becomes the upper surface 32a.

면(32e)에는 공기 유입구(33)가 설치되어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3)로부터의 공기는, 호스(2) 및 공기 유입구(33)를 거쳐서 필터 장치(12) 내로 유도된다. 또한, 상면(32a)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분리 하우징(41)의 후술하는 고정 구멍(45)이 끼워지는 볼록부(34)가 설치되어 있다. The air inlet 33 is provided on the surface 32e. The air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s led into the filter device 12 via the hose 2 and the air inlet 33. Moreover, the convex part 34 in which the fixing hole 45 mentioned later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fitted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32a.

한편, 분리 하우징(41)은 하우징 본체(4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42)는 필터(21)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42a) 및 하면(42b)과, 이들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필터(21)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42c, 42d)과, 이들 면으로 둘러싸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폐색하도록 형성되는 면(42e)으로 되어 있다. 면 (42e)은 분리 하우징(31)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42b)이라 함은 회전축(23)으로 저어널되는 면을 가리키며, 그 하면(42b)에 대향하는 면이 상면(42a)으로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has a housing main body 42. The housing main body 42 has an upper surface 42a and a lower surface 42b facing each other via the filter 21, and side surfaces 42c and 42d facing each other via the filter 21 by connecting these end portions, It is the surface 42e formed so that the rectangular area | region enclosed by these surfaces may be closed. The surface 42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urfac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31.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42b refers to the surface journaled by the rotating shaft 23, and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42b is the upper surface 42a.

면(42e)에는 공기 유출구(43)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장치(12) 내에 공급된 공기는, 필터(21) 및 공기 유출구(43)를 거쳐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outlet 43 is provided in the surface 42e. The air supplied into the filter device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via the filter 21 and the air outlet 43.

또한, 분리 하우징(41)에는 분리 하우징(31)에 대한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고정 해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해제부(44)는, 하우징 본체(42)의 상면(42a)에 있어서의 회전축(23)의 축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분리 하우징(31)의 하우징 본체(32)의 벽면[상면(32a)]에 따르도록 평판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해제부(44)는 대략 중앙 위치에 분리 하우징(31)에 설치된 상기한 볼록부(34)가 끼워 넣어지는 고정 구멍(45)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provided with a fixing release portion 44 for fixing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releasing it. The fixing release part 44 is a wal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32 of the housing 31 (upper surface 32a) from the central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23 on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housing main body 42. )] Is extend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In addition, the fixing release portion 44 has a fixing hole 45 into which the above-described convex portion 34 provided in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fitt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sition.

따라서, 분리 하우징(41)을 분리 하우징(31)에 접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볼록부(34)를 고정 구멍(45)에 끼워 넣음으로써, 도1a 및 도1b와 같이 하우징(22)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구멍(45)을 약간 끌어 올리거나 혹은 볼록부(34)를 내측으로 압입함으로써, 볼록부(34)와 고정 구멍(45)과의 끼워 넣음을 해제하여 분리 하우징(41)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4와 같이 하우징(22)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using 22 is closed as shown in FIGS. 1A and 1B by rotating the separating housing 41 in the direction of joining the separating housing 31 and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34 into the fixing hole 45. You can do On the other hand, by slightly pulling up the fixing hole 45 or press-fitting the convex portion 34 inwardly, the insertion of the convex portion 34 and the fixing hole 45 is released to release the separation housing 41 from the above. By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22 can be opened.

또한 예를 들어, 고정 해제부(44)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분리 하우징(31)에 상기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고정 해제부(44)가 분리 하우징(31)에 대한 분리 하우징(41)의 고정 또는 해제를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Further,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 is provided in the disengagement portion 44 and the concave portion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 is fitted is provided in the disengagement housing 31 so that the disengagement portion 44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housing 31. ) May be fixed or released.

또한, 분리 하우징(41)의 고정 해제부(44) 혹은 상면(42a)에는 조작자의 사용 편의를 고려하여 손잡이(4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자는 손잡이(46)를 잡고 분리 하우징(41)을 분리 하우징(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22)을 개방하는 경우에 이 손잡이(46)를 잡고 분리 하우징(41)을 회전시키면 그 조작이 하기 쉽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46 is provided on the fixing release portion 44 or the upper surface 42a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or's ease of use. That is,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rotation operation by holding the handle 46 and rotating the separation housing 41 relative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In particular, when the housing 22 is opened, the handle 46 is rotated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rotat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다음에, 필터 장치(12)의 하우징(22)에 설치되는 피래칭부에 대해, 계속해서 도1a, 도1b 및 도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Next, the latch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22 of the filter apparatus 12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A, FIG. 1B, and FIG.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12)에서는, 분리 하우징(31) 및 분리 하우징(41)의 양방이 필터 장치(12)를 수용하는 수용체인 청소기 본체(1)에 래칭되는 피래칭부[35(제1 피래칭부), 47(제2 피래칭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In the filter devic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oth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are latched by the latching unit 35 (first (not shown) that is latched b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which is a container housing the filter device 12. And a second (etched portion)].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하우징(31)은 면(32e)에 접착되는 평판부(36)를 갖고 있다. 이 평판부(36)는 면(32e)으로부터 상하 방향[상면(32a) 및 하면(32b)에 수직 방향]을 향해 하우징 본체(32) 외부로 돌출하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의 돌출부가 상기한 피래칭부(35)로 되어 있다. 한편, 평판부(36)에 있어서의 상측의 돌출부에는,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의 형상에 따른 절입부(37)(도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36)는 분리 하우징(31)의 공기 유입구(33)에 대응하는 구멍(38)을 갖고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paration housing 31 has a flat plate portion 36 bonded to the surface 32e. The flat plate portion 36 is formed of a flat plate projecting out of the housing main body 32 from the surface 32e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32a and the lower surface 32b). The above-described latching portion 35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cutout part 37 (refer FIG. 4)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atching part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formed in the upper protrusion part of the flat plate part 3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flat plate portion 36 has a hole 38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33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또한, 상기한 평판부(36)를 설치하지 않고 분리 하우징(31)의 하우징 본체(32)의 하면(32b)에, 상기 하면(32b)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를 피래칭부(35)로 하도록 해도 좋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래칭부(35)는 분리 하우징(31)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41)과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32e)에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Moreover, without providing the said flat plate part 36,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said lower surface 32b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32b of the housing main body 32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is protrusion part is provided. It is good also as a latching part 35.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35 may be formed in flat form along the surface 32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ide with the separating housing 41 in the separating housing 31.

또한, 하우징(22)을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그와 같은 형상의 하우징(22)에 평판부(36)를 접합하는 것만으로 피래칭부(35)를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평판부(36)를 설치하는 구성은 하우징(22)이 어떠한 형상이라도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housing 22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latching portion 35 can be easily realized by simply joining the flat plate portion 36 to the housing 22 having such a shape. It is possible to do That i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at plate portion 36 is provided has an advantage that the housing 22 can cope with any shape.

한편,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는 고정 해제부(44)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래칭부(47)는 하우징(22)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 해제부(44)의 단부[하우징 본체(42)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분리 하우징(31)의 평판부(3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래칭부(47)의 형상에 따른 절입부(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2)의 폐쇄 상태에서는 피래칭부(47)가 절입부(37)에 수납됨으로써 피래칭부(35)와 피래칭부(47)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atching part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provided in the fixing release part 44. Specifically, the latching portion 47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unlocking portion 44 such that the latching portion 47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on which the latching portion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locat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22. [An end opposite to the housing main body 42 side]. Since the cutout part 37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atching part 47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art 36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the latching part 47 is cut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22.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mouth 37, the latching portion 35 and the latching portion 47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다음에, 상기 구성의 필터 장치(12)를 수용하는 청소기 본체(1)의 내부 구조의 상세에 대해 도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5는 청소기 본체(1) 내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동시에, 필터 장치(12)를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Next, the detail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1 which accommodates the filter apparatus 12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FIG. 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lter device 12 is accommodated.

청소기 본체(1)는 필터 장치(12)의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를 래칭하는 래칭부(51)(제1 래칭부)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하는 래칭부(52)(제2 래칭부)를 갖고 있다. The vacuum cleaner body 1 includes a latching portion 51 (first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of the filter device 12, and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t has the latching part 52 (2nd latching part) which latches.

래칭부(51)는 수용되는 필터 장치(12)의 회전축(23)의 축 방향에 따라 형성된 단면 대략 V자형 혹은 오목형의 홈이며,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가 이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피래칭부(3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분리 하우징(31)이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래칭된다. The latching portion 51 is a groove having a substantially V-shaped or concave cross section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3 of the filter device 12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latching portion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formed in this groove. By being fitted, the separating housing 31,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atching portion 35, is latched in the cleaner body 1.

래칭부(52)는, 자신의 회전에 의해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의 래칭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압박 수단에 의해 피래칭부(47)를 래칭하는 회전 방향(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되는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래칭부(52)는 청소기 본체(1) 내에서 지지부(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The latching portion 52 latches and releases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by its own rotation. For example, the latching portion 52 latches the latching portion 47 by pressing means such as a spring. It consists of a clamp press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row direction in the drawing). This latching part 5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53 in the cleaner main body 1.

또한, 청소기 본체(1)는 청소기 본체(1)에 대한 필터 장치(12)의 착탈시에 개폐되는 덮개부(54)를 더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부(54)의 내면에는 압박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55)는 상기 도면과 같이 래칭부(52)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래칭을 해제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래칭부(52)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청소기 본체(1)에 대한 덮개부(54)의 폐쇄 상태로 래칭부(52)를 압박하는 것이다. Moreover, the cleaner main body 1 further has the cover part 54 which opens and closes at the tim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apparatus 12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pressing part 55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4.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sing portion 55 latches 52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release the latching when the latching portion 52 is in the rotational position to latch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The latching part 52 is press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part 54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to prevent rotation of the vacuum clean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래칭부(52)에는 돌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6)는 래칭부(52)가 청소기 본체(1)에 대한 필터 장치(12)의 비래칭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압박부(55)와 접촉함으로써 덮개부(54)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래칭부(52)가 상기 회전 위치에 있을 때라 함은, 예를 들어 도6과 같이 하우징(22)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필터 장치(12)를 적절한 위치에서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할 수 없어, 래칭부(52)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나,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처음부터 수용하지 않은 상태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때에는, 돌기부(56)가 압박부(55)와 접촉함으로써 덮개부(54)가 청소기 본체(1)에 대해 개방 상태가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ching portion 52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56. The protruding portion 56 contacts the pressing portion 55 by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55 when the latching portion 52 is in a rotation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atching state of the filter device 12 with respect to the cleaner body 1. Open it. Here, when the latching portion 52 is in the rotational pos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since the housing 22 is in an open state, the filter device 1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at an appropriate position. It is not possible to assume that the latching portion 52 is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not latched, or the filter device 12 is not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from the beginning. can do. At this time, the lid part 54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by the protrusion part 56 contacting the press part 55. As shown in FIG.

또한, 청소기 본체(1)에는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분리 하우징(31)을 분리 하우징(41) 방향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호스(2)의 선단부가 필터 장치(12)의 공기 유입구(33)에 삽입되었을 때에 호스(2)와 필터 장치(1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57)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스(2)로부터 필터 장치(12)에 공급되는 공기의 필터 장치(12)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57)에 의해 분리 하우징(31)이 분리 하우징(41)에 압박되므로, 청소기 본체(1) 내에서는 이 패킹(57)과 래칭부(51, 52)에 의해 하우징(22)을 폐쇄 상태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body 1 presses the separation housing 31 in the vacuum cleaner body 1 in the direction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and at the tip of the hose 2, the air inlet 33 of the filter device 12. A packing 57 is provid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hose 2 and the filter device 12 when inserted into the. Thereby, the leakage of the air supplied to the filter apparatus 12 from the hose 2 to the filter apparatus 12 exterio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pressed against the separation housing 41 by the packing 57, the housing 22 is opened by the packing 57 and the latching portions 51 and 52 in the cleaner body 1. It can be firmly supported in the closed state.

다음에, 본 발명의 필터 장치(12)의 청소기 본체(1)에 대한 착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attachment / detachment operation |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of the filter apparatus 12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우선, 분리 하우징(31)에 대해 분리 하우징(41)을 회전시켜 하우징(22)을 개방 상태로 하고(도4 참조), 하우징(22) 내부에 필터(21)를 장전한 후 분리 하우징(41)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22)을 폐쇄 상태로 한다(도1a 및 도1b 참조). 이 때, 분리 하우징(41)의 고정 해제부(44)의 고정 구멍(45)을 분리 하우징(31)의 볼록부(34)에 끼워 넣어, 분리 하우징(31)과 분리 하우징(41)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First,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to open the housing 22 (see FIG. 4), load the filter 21 inside the housing 22, and then separate the housing 41. )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and the housing 22 is closed (see FIGS. 1A and 1B). At this time, the fixing hole 45 of the fixing release portion 44 of the separating housing 41 is inserted into the convex portion 34 of the separating housing 31 so that the separating housing 31 and the separating housing 41 do not fall. Do not.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할 때에는, 청소기 본체(1)의 덮개부(54)를 개방하여 래칭부(51)의 홈에 필터 장치(12)의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를 끼워 넣고, 래칭부(51)로 피래칭부(35)를 래칭시키는 한편, 래칭부(52)를 회전시켜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부(52)로 래칭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2)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덮개부(54) 내면의 압박부(55)와 래칭부(52)의 돌기부(56)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덮개부(54)는 청소기 본체(1)에 대해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When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12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lid part 54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opened, and the separation housing 31 of the filter device 1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atching part 51. The latching portion 35 is inserted and the latching portion 51 latches the latching portion 35, while the latching portion 52 is rotated to latch the latching portion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Latch to.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22 is kept in a closed state, and the pressing part 5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54 and the protruding part 56 of the latching part 52 do not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the lid part 54 is in a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한편,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취출할 때는, 덮개부(54)를 개방하고 래칭부(52)를 회전시켜 래칭부(52)와 피래칭부(47)와의 래칭을 해제하고, 래칭부(51)의 홈으로부터 피래칭부(35)를 빼내면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out the filter device 12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the lid part 54 is opened, the latching part 52 is rotated, and the latching part 52 and the latching part 47 are canceled, The filter device 12 can be taken out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by pulling out the latching part 35 from the groove of the latching part 51.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31) 및 분리 하우징(41)의 양방이 필터 장치(12)를 수용하는 청소기 본체(1)에 래칭되는 피래칭부(35, 47)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즉, 분리 하우징(31)이 청소기 본체(1) 내의 래칭부(51)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35)를 갖고 있고, 분리 하우징(41)이 청소기 본체(1) 내의 래칭부(52)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47)를 갖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are provided with the latching portions 35 and 47 latched on the cleaner main body 1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12, respectively. . That is, the separation housing 31 has a latching portion 35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 51 in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has a latching portion 52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t has the latching part 47 latched by it.

이에 의해, 필터 장치(12)를 수용하였을 때에는 피래칭부(35)가 래칭부(51)에 의해 래칭되고, 피래칭부(47)가 래칭부(52)에 의해 래칭됨으로써 하우징(22) 전체가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래칭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 내에서는 분리 하우징(31) 및 분리 하우징(41)이 양방 모두 이동(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령 전동 송풍기(11)의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청소기 본체(1)가 진동해도, 그에 의해 분리 하우징(31)과 분리 하우징(41)이 하우징(22) 수용시의 상태로부터 이격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하우징(22)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22) 외부로 누설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하우징(22)의 청소기 본체(1)로의 수용 후에는, 하우징(22)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하우징(22) 내의 필터(21)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ereby, when the filter apparatus 12 is accommodated, the latching part 35 is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1, and the latching part 47 is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2, and the whole housing 22 is vacuum-cleaned. Since it latches in the main body 1,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will be in the state which cannot both move (rotate). Therefore, even i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vibrates by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1, the external shock, etc.,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are separated from the state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the housing 22 by this. It doesn't happen. Therefore,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22 does not leak outside the housing 22. As a result, after the housing 2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22 can be reliably removed by the filter 21 in the housing 22.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회전축(23)으로 저어널되는 분리 하우징(31, 41)의 각 피래칭부(35, 47)가 필터 장치(12)의 청소기 본체(1)로의 수용시에, 하우징(22)의 폐쇄 상태로 청소기 본체(1)에 래칭된다. 이는, 환언하면 하우징(22)이 폐쇄 상태가 아니면,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필터 장치(12)의 수용 당초부터 하우징(22)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22)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35, 47 of the separation housings 31, 41, journaled by the same rotation shaft 23, is accommodat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of the filter device 12. It is lat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in the closed state of 22.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filter device 12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unless the housing 22 is closed. This configuration can reliably prevent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22 from leaking out from the beginning of receiving the filter device 12 to leak out of the housing 22.

또한, 분리 하우징(41)과 분리 하우징(31)의 고정은 분리 하우징(41)의 고정 해제부(44)에 의해 행해진다. 즉, 고정 해제부(44)의 고정 구멍(45)이 분리 하우징(31)의 볼록부(34)에 끼워짐으로써, 분리 하우징(41)이 분리 하우징(31)에 고정된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가 상기한 고정 해제부(44)에 설치되어 있다. 즉, 분리 하우징(31, 41)이 폐쇄되었을 때에 분리 하우징(31)과 고정되는 분리 하우징(41)의 고정부[고정 해제부(44)]에 피래칭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래칭부(47)가 청소기 본체(1)의 래칭부(52)에 의해 래칭되었을 때에, 동시에 고정 구멍(45)이 볼록부(34)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고정 해제부(44)에 의한 분리 하우징(41)의 분리 하우징(31)에 대한 고정이 보다 확실해진다. 그 결과, 피래칭부(47)가 래칭부(52)로 래칭된 후에는, 하우징(22)이 청소기 본체(1) 내에서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and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performed by the fixing release part 44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That is,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fixed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by inserting the fixing hole 45 of the fixing release part 44 into the convex part 34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47 of the separating housing 41 i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fixing release part 44. That is, the latching part 47 is provided in the fixing part (fixed release part 44)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which is fixed with the separation housing 31 when the separation housings 31 and 41 are closed. As a result, when the latching portion 47 is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 52 of the cleaner main body 1, the fixing holes 45 are difficult to be pulled out of the convex portion 34 at the same time. The fixing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to the separation housing 31 becomes more secure. As a result, after the latching portion 47 is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 52, the housing 22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 the cleaner body 1.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41)은 회전축(23)으로 저어널되는 하면(42b)(제1면)과 필터(21)를 거쳐서 하면(42b)에 대향하는 상면(42a)(제2면)을 갖고 있고, 상기한 고정 해제부(44)가 상면(42a)으로부터 분리 하우징(31)의 벽면[상면(32a)]에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분리 하우징(41)에 있어서 회전축(23)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면[상면(42a)]으로부터 분리 하우징(31)의 상면(32a)을 덮도록 상기한 고정 해제부(44)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ng housing 41 faces the lower surface 42b (first surface) journaled to the rotating shaft 23 and the upper surface 42a (second surface) which opposes the lower surface 42b via the filter 21. Surface), and the above-mentioned fixing release part 44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42a along the wall surface (upper surface 32a) of the separating housing 31. That is, the above-mentioned fixing release part 44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rface 32a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may be covered from the surface (upper surface 42a) which is farthest from the rotation shaft 23 in the separation housing 41. It is.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반경이 큰 위치일수록 미소한 회전 각도에 대한 이동 거리가 커지므로, 미소한 회전 각도라도 분리 하우징(31)과 분리 하우징(4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반경이 가장 커지는 면[상면(42a)]에 고정 해제부(44)를 설치하고, 분리 하우징(31)과 분리 하우징(41)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간극의 형성을 확실하게 저지하여, 하우징(22) 외부로의 공기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larger the rotation radius around the rotating shaft 23 is, the larger the mov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minute rotation angle becomes, so that a gap is easily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even at the minute rotation angle. .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release portion 44 is provided on the surface (upper surface 42a) having the largest radius of rotation, and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separation housing 41 are fixed to ensure the formation of the gap. This can prevent the leakage of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2 without fail.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는 분리 하우징(31)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41)과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32e)에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는 피래칭부(35)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is formed in flat form along the surface 32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id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41 in the separation housing 31. And the latching part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is formed in flat form so that it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where the latching part 35 is located.

기존의 전기 청소기에 이용되고 있는 종이팩이나 필터 장치는, 그 흡인구에 부착된 평판을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피래칭부(35, 47)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기존의 전기 청소기에도 본 발명의 필터 장치(12)를 적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피래칭부(35, 47)의 크기나 두께 등은 현재의 전기 청소기에 적용되어 있는 규격을 기초로 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Since the cartons and the filter device used in the existing vacuum cleaner are mounted on the vacuum cleaner body by sandwiching the flat plate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from above and below, the latching portions 35 and 47 are on the same plan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it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located 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devic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vacuum cleaner. At this time, the size, thickness, etc. of the latching parts 35 and 47 may be suitably set based on the standard applied to the present vacuum cleaner.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상술한 필터 장치(12)와, 필터 장치(12)를 수용하는 청소기 본체(1)와, 청소기 본체(1)에 설치되고 필터 장치(12)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있고, 청소기 본체(1)가 필터 장치(12)의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를 래칭하는 래칭부(51)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하는 래칭부(5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청소기 본체(1)로의 필터 장치(12)의 수용시에는 필터 장치(12)의 분리 하우징(31, 41)이 양방 모두 래칭부(51, 52)에 의해 래칭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 내에서는 하우징(22)이 개방 상태가 되는 일이 없어, 필터 장치(12)에서 공기 누설이 발생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Moreover,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ilter apparatus 12 mentioned abov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which accommodates the filter apparatus 12,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removes dust through the filter apparatus 12. It is provided with the electric blower 11 which draws in the air which it contains,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solates the latching part 51 which latches the latching part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of the filter apparatus 12, and The latching part 52 latches the latching part 47 of the housing 41. Thereby, when the filter housing 1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since the separating housings 31 and 41 of the filter apparatus 12 are both latched by the latching parts 51 and 52, the cleaner main body ( In 1), the housing 22 does not become an open stat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electric cleaner in which no air leakage occurs in the filter device 12.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에 대한 필터 장치(12)의 착탈시에 개폐되는 덮개부(54)를 구비하고 있고, 이 덮개부(54)의 내면에는 상술한 압박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덮개부(54)의 폐쇄 상태에서는 압박부(55)의 압박에 의해 래칭부(52)가 래칭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단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하고 덮개부(54)를 폐쇄해 버리면, 그 후에는 청소기 본체(1) 내에서 하우징(22)이 개방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 사용 중에는 필터 장치(12)의 하우징(22)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22)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하우징(22) 내의 필터(21)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Moreover,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over part 54 opened and closed at the tim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apparatus 12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The press part mentioned above is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is cover part 54. As shown in FIG. 55 is formed. Thereby, 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part 54, the latching part 52 cannot be rotated in the latching release direction by the press of the press part 55. As shown in FIG. Therefore, once the filter apparatus 1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cover part 54 is closed, the housing 22 will not be open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after that. Therefore, during use of the vacuum clean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22 of the filter device 12 from leaking out of the housing 22, so that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from the filter (in the housing 22). 21) can be removed with certainty.

그리고, 또한 래칭부(52)에는 상술한 돌기부(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래칭부(52)가 필터 장치(12)의 비래칭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예를 들어, 도6과 같이 하우징(22)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을 때의 회전 위치]에 있을 때는, 덮개부(54)의 내면의 압박부(55)와 래칭부(52)에 설치된 돌기부(56)가 접촉함으로써, 덮개부(54)가 청소기 본체(1)에 대해 개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하우징(22)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등, 이 상태로 전기 청소기를 사용하면 오사용이 되는 것을 경고할 수 있어, 그와 같은 오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portion 56 is formed in the latching portion 52, the latching portion 52 has a rotation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atching state of the filter device 12 (for example, a housing as shown in FIG. 6). In the rotational position when the opening portion 22 is in the open state], the pressing portion 5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54 and the protrusion 56 provided on the latching portion 52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54 is opened to the cleaner body 1. Therefore,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in this state, such as when the housing 22 is in an open state, the user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warned of misuse, and such misus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①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 내의 적절한 위치[하우징(22)이 래칭부(51, 52)로 래칭되는 위치]에 수용하지 않으면 덮개부(54)를 폐쇄할 수 없고, ② 필터 장치(12)의 하우징(22)이 개방 상태이면 필터 장치(12)를 청소기 본체(1)에 수용할 수 없어, 덮개부(54)를 폐쇄할 수도 없고, ③ 청소기 본체(1)에 필터 장치(12)를 수용한 후에는 청소기 본체(1) 내부에서 하우징(22)이 개방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고 하는 3요소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In view of the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1) the lid part is not accommodated at the proper position (position where the housing 22 is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s 51 and 52) in the cleaner main body 1. (54) cannot be closed, and (2) when the housing 22 of the filter device 12 is in an open state, the filter device 12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and the lid part 54 may be closed. No. 3) After the filter device 12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ree elements that the housing 22 does not open in the cleaner main body 1. can do.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싸이클론 집진기(3)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송풍기(11)가 싸이클론 집진기(3) 및 필터 장치(12)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기 때문에, 이들 양자의 먼지 제거 수단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3)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흡인력의 저하 방지 등의 효과도 물론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electric blower 11 sucks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filter apparatus 12, Both of these dust removing means can almost eliminate dust in the air. In addition, by us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effects such as prevention of a decrease in suction force can be obtained, of cours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12)는 싸이클론 집진기(3)를 이용하지 않고, 흡인한 공기를 직접 필터 장치(12)에 공급하여 필터 장치(12)로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도 물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lter device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use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directly supplies the sucked air to the filter device 12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the filter device 12.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pply to the type of vacuum cleaner.

[제2 실시 형태]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도7 내지 도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the same member number is add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1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전기 청소기에 적용되는 필터 장치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필터 장치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 및 도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필터 장치(6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9는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filter device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a filter apparatus,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7 and 8 show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evice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9 shows a state where the filter device 61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필터 장치(61)는 필터(62)와 하우징(63)을 갖고 있다. 필터(62)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21)와 마찬가지로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것으로, 스폰지나 여과지로 구성되어 있다. The filter device 61 has a filter 62 and a housing 63. The filter 62 filters dust in air similarly to the filter 21 of 1st Embodiment, and is comprised from a sponge and filter paper.

하우징(63)은 필터(62)가 장전되는 것으로, 서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한 분리 하우징(71)(제1 분리 하우징) 및 분리 하우징(81)(제2 분리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63)은 분리 하우징(71) 및 분리 하우징(81)의 상대적인 평행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이하, 분리 하우징(71, 81)의 구성에 대해 주로 도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The housing 63 is loaded with a filter 62 and is composed of a separation housing 71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a separation housing 81 (second separation housing) that can be separated by parallel movement with each other. Thus, the housing 63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elative parallel movement of the separating housing 71 and the separating housing 81.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and 81 is mainly demonstrated based on FIG.

분리 하우징(71)은 하우징 본체(7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72)는 서로 대향하는 상면(72a) 및 하면(72b)과, 이들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서로 대향하는 측면(72c, 72d)과, 이들 면으로 둘러싸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폐색하도록 형성되는 면(72e)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72e)은 분리 하우징(81)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The separation housing 71 has a housing main body 72. The housing main body 72 is formed so as to close the upper surface 72a and the lower surface 72b facing each other, the side surfaces 72c and 72d facing each other by connecting these ends, and the rectangular area surrounded by these surfaces. It consists of faces 72e. The surface 72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bonding surfac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81.

면(72e)에는 공기 유입구(73)가 설치되어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3)로부터의 공기는, 호스(2) 및 공기 유입구(73)를 거쳐서 필터 장치(61) 내로 유도된다. 또한, 상면(72a)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분리 하우징(81)의 후술하는 고정 구멍(85)이 끼워지는 볼록부(74)가 설치되어 있고, 하면(72b)에는 분리 하우징(81)의 후술하는 각 고정 구멍(86)이 끼워지는 각 볼록부(75)가 병설되어 있다. The air inlet 73 is provided in the surface 72e. Air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s guided into the filter device 61 via the hose 2 and the air inlet 73. Moreover, the convex part 74 in which the fixing hole 85 mentioned later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fitted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72a, and it is mentioned later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the lower surface 72b. Each convex part 75 into which each fixing hole 86 is fitted is provided in parallel.

한편, 분리 하우징(81)은 하우징 본체(8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82)는 필터(62)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82a) 및 하면(82b)과, 이들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필터(62)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82c, 82d)과, 이들 면에서 둘러싸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폐색하도록 형성되는 면(82e)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82e)은 분리 하우징(71)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has a housing main body 82. The housing main body 82 has an upper surface 82a and a lower surface 82b facing each other via the filter 62, and side surfaces 82c and 82d facing each other via the filter 62 by connecting these ends with each other. It consists of the surface 82e formed so that the rectangular area | region enclosed by these surfaces may be closed. The surface 82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urface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면(82e)에는 공기 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장치(61) 내에 공급된 공기는 필터(62) 및 공기 유출구를 거쳐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An air outle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urface 82e. Air supplied into the filter device 6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via the filter 62 and the air outlet.

또한, 분리 하우징(81)에는 분리 하우징(71)에 대한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고정 해제부(83, 8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해제부(83)는 분리 하우징(81)의 하우징 본체(82)의 상면(82a)으로부터 분리 하우징(71)의 벽면[상면(72a)]에 따라 평판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해제부(8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병설되어 있고, 그 각각은 분리 하우징(81)의 하우징 본체(82)의 하면(82b)으로부터 분리 하우징(71)의 벽면[하면(72a)]에 따라 평판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해제부(83, 84)는 분리 하우징(71)을 하우징 본체(72)의 상면(72a) 및 하면(72b)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provided with fixing release portions 83 and 84 that fix and release the separation housing 71. The fixing release part 83 extends in a flat form along the wall surface (upper surface 72a) of the separating housing 71 from the upper surface 82a of the housing main body 82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xing release portions 84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of which is a wall surface of the separating housing 71 from the lower surface 82b of the housing main body 82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It extends in flat form according to [lower surface 72a]. As a result, the fixing release portions 83 and 84 sandwich the separating housing 71 from the upper surface 72a and the lower surface 72b of the housing main body 72.

또한, 고정 해제부(83)는 분리 하우징(71)의 상면(72a)에 설치된 볼록부(74)가 끼워 넣어지는 고정 구멍(85)을 갖고 있다. 한편, 2개의 고정 해제부(84)는 분리 하우징(71)의 하면(72b)에 설치된 볼록부(75)가 끼워 넣어지는 고정 구멍(86)을 각각 갖고 있다. Moreover, the fixation release part 83 has the fixing hole 85 into which the convex part 74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72a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s inserted. On the other hand, the two fixing release parts 84 each have the fixing hole 86 into which the convex part 75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72b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s inserted.

따라서, 분리 하우징(81)을 분리 하우징(71)에 접합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볼록부(74)를 고정 구멍(85)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각 볼록부(75)를 각 고정 구멍(86)에 끼워 넣음으로써 도7과 같이 하우징(63)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구멍(85, 86)을 약간 끌어 올리거나 혹은 볼록부(74, 75)를 내측으로 압입함으로써 볼록부(74)와 고정 구멍(85)과의 끼워 넣음을 해제하는 동시에, 각 볼록부(75)와 각 고정 구멍(86)과의 끼워 넣음을 해제하여 분리 하우징(81)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면, 도8과 같이 하우징(63)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mov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bonding to the separation housing 71 so that the convex portions 74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85 while the convex portions 75 are fixed to the respective fixing holes 86. The housing 63 can be put in the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by slightly pulling up the fixing holes 85 and 86 or press-fitting the convex portions 74 and 75 inward, the fitting between the convex portion 74 and the fixing hole 85 is released, and each convex portion is formed. When the insertion between the 75 and the fixing holes 86 is released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the housing 63 can be opened as shown in FIG.

또한 예를 들어, 고정 해제부(83, 84)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분리 하우징(71)에 상기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고정 해제부(83, 84)가 분리 하우징(71)에 대한 분리 하우징(81)의 고정 또는 해제를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Further, for example, by providing a convex portion in the fixing release portions 83 and 84 and a recess in which the convex portion is fitted in the separation housing 71, the fixing release portions 83 and 84 ar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housing 71.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fixed or released may be performed.

또한, 분리 하우징(81)의 고정 해제부(83) 혹은 상면(82a)에는 조작자의 사용상 편의를 고려하여 손잡이(87)가 설치되어 있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In addition, the handle 87 is provided in the fixing | releasing part 83 or the upper surface 82a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or's convenience, and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다음에, 필터 장치(61)의 하우징(63)에 설치되는 피래칭부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atch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63 of the filter apparatus 61 is demonstrated.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61)에서는, 분리 하우징(71)가 청소기 본체(1)에 래칭되는 피래칭부(76)(제1 피래칭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분리 하우징(81)이 청소기 본체(1)에 래칭되는 피래칭부[88(제2 피래칭부), 89(제2 피래칭부)]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filter device 6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housing 71 includes a latching portion 76 (first latching portion) latched to the cleaner body 1,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a cleaner body. The latching part 88 (2nd latching part) and 89 (2nd latching part) latched by (1) is provided.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하우징(71)은 상기 분리 하우징(71)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81)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면(72e)에 접착되는 평판부(77)를 갖고 있다. 이 평판부(77)는 면(72e)으로부터 상하 방향[상면(72a) 및 하면(72b)에 수직 방향]을 향해, 하우징 본체(72) 외부로 돌출하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의 돌출부가 상기한 피래칭부(76)로 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paration housing 71 has a flat plate portion 77 bonded to the surface 72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joining surface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the separation housing 71. The flat plate portion 77 is formed of a flat plate projecting out of the housing main body 72 from the surface 72e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72a and the lower surface 72b). Is the above-described latching portion 76.

또한, 평판부(77)에 있어서의 피래칭부(76)의 양단부는 분리 하우징(81)의 2개의 피래칭부(89)의 형상에 따른 절결부(78, 78)로 되어 있다. 한편, 평판부(77)에 있어서의 상측의 돌출부에는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의 형상에 따른 절입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77)는 분리 하우징(71)의 공기 유입구(73)에 대응하는 구멍(80)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atched portion 76 in the flat plate portion 77 are cutouts 78 and 78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wo latched portions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On the other hand, the cutout part 79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atching part 88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formed in the upper protrusion part of the flat plate part 77. As shown in FIG. Further, the flat plate portion 77 has a hole 80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73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또한, 상기한 평판부(77)를 설치하지 않고 분리 하우징(71)의 하면(72b)에 상기 하면(72b)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를 피래칭부(76)로 하도록 해도 좋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래칭부(76)는 분리 하우징(71)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81)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72e)에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In addition, a projection proje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surface 72b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72b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without providing the flat plate portion 77, so that the projection is the latching portion 76. You may also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76 should just be formed in flat form along the surface 72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ide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the separation housing 71.

한편,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는 고정 해제부(83)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래칭부(88)는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 해제부(83) 단부[하우징 본체(82)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분리 하우징(71)의 평판부(7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래칭부(88)의 형상에 따른 절입부(7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는 피래칭부(88)가 절입부(79)에 수납됨으로써 피래칭부(76)와 피래칭부(88)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atching portion 88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provided in the fixing release portion 83. Specifically, the latching portion 88 is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so that the end of the fixing release portion 83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where the latching portion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s located. [An end opposite to the housing main body 82 side]. Since the cutout part 79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atching part 88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art 77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the latching part 88 will be made.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cutout portion 79, the latching portion 76 and the latching portion 88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또한, 분리 하우징(81)의 각 피래칭부(89)는 각 고정 해제부(8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피래칭부(89)는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각 고정 해제부(84)의 각 단부[하우징 본체(82)측과는 반대측의 각 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분리 하우징(71)의 평판부(7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피래칭부(89)의 형상에 따른 2개의 절결부(7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는 각 피래칭부(89)가 각각 각 절결부(78)에 들어감으로써 피래칭부(76)와 각 피래칭부(89)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는 피래칭부(76)의 양측에 각 피래칭부(89)가 위치하게 되어, 피래칭부(76)와 각 피래칭부(89)가 인접한 위치 관계가 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xing release portions 84. Specifically, each latching portion 89 is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so that each fixing release portion 84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where the latching portion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s located. It is provided in each end of each end (each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housing main body 82 side). Since the two cutouts 78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89 are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77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As the 89 enters the cutouts 78, the latched portion 76 and the respective latched portion 89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at is,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89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atching portion 76,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76 and the respective latching portions 89 are adjacent to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는 피래칭부(76), 피래칭부(88, 89)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76 and the latching parts 88 and 89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다음에, 본 발명의 필터 장치(61)의 청소기 본체(1)에 대한 착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attachment / detachment operation |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 of the filter apparatus 6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우선, 분리 하우징(71)에 대해 분리 하우징(81)을 평행 이동시켜 하우징(63)을 개방 상태로 하고(도8 참조), 내부에 필터(62)를 장전한 후 분리 하우징(81)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하우징(63)을 폐쇄 상태로 한다(도7 참조). 이 때, 분리 하우징(81)의 고정 해제부(83)의 고정 구멍(85)을 분리 하우징(71)의 볼록부(74)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각 고정 해제부(84)의 각 고정 구멍(86)을 각 볼록부(75)에 끼워 넣음으로써 분리 하우징(71)과 분리 하우징(81)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First,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separation housing 71 so that the housing 63 is opened (see FIG. 8), the filter 62 is loaded therein,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then opened. The housing 63 is brought into the closed state by moving in parallel to the reverse direction (see Fig. 7). At this time, the fixing hole 85 of the fixing release portion 83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is inserted into the convex portion 74 of the separating housing 71 and at the same time, each fixing hole of each fixing release portion 84 ( 86 is inserted into each convex portion 75 so that the separation housing 71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do not fall off.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할 때는, 청소기 본체(1)의 덮개부(54)를 개방하여 래칭부(51)의 홈에 필터 장치(61)의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와 분리 하우징(81)의 각 피래칭부(89)를 끼워 넣어, 래칭부(51)로 피래칭부(76)와 2개의 래칭부(89)를 래칭시키는 한편, 래칭부(52)를 회전시켜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를 래칭부(52)로 래칭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하우징(71, 81)이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덮개부(54) 내면의 압박부(55)와 래칭부(52)의 돌기부(56)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덮개부(54)는 청소기 본체(1)에 대해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When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61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cover part 54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opened, and the separation | separation housing 71 of the filter device 61 of the filter unit 61 is opened in the groove | channel of the latching part 51.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89 and the latching portions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sandwiched, and the latching portions 51 latch the latching portions 76 and the two latching portions 89 while the latching portions 52 are latched. ), The latching portion 88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 52.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 the separation housings 71 and 81 are kept in a bonded state, and the protrusions 56 of the pressing portion 55 and the latching portion 5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54 are held. ), The lid portion 54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cleaner body 1.

한편,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취출할 때는, 덮개부(54)를 개방하고 래칭부(52)를 회전시켜 래칭부(52)와 피래칭부(88)와의 래칭을 해제하고, 래칭부(51)의 홈으로부터 피래칭부(76) 및 2개의 피래칭부(89)를 빼내면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out the filter device 61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the cover part 54 is opened, the latching part 52 is rotated, and the latching part 52 and the latching part 88 are canceled, The filter unit 61 can be taken out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by pulling out the latching part 76 and the two latching parts 89 from the groove of the latching part 51.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71)이 청소기 본체(1) 내의 래칭부(51)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76)를 갖고 있고, 분리 하우징(81)이 청소기 본체(1) 내의 래칭부(51)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89)를 갖고 있는 동시에, 래칭부(52)에 의해 래칭되는 피래칭부(88)를 갖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housing 71 has the latching part 76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1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s carried out. It has the latching part 89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1, and has the latching part 88 latched by the latching part 5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분리 하우징(71, 81)의 양방이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래칭되는 피래칭부(76, 88, 89)를 갖고 있으므로, 필터 장치(61)를 수용하였을 때에는 하우징(72) 전체가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래칭된다. 이에 의해, 청소기 본체(1) 내에서는 분리 하우징(71) 및 분리 하우징(81)이 양방 모두 평행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Thus, since both of the separation housings 71 and 81 have the latching parts 76, 88, and 89 latch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when the filter apparatus 61 is accommodated, the whole housing 72 is closed. It is latched in the cleaner body 1. Thereby,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paration housing 71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will be in the state which cannot move in parallel in both.

따라서, 가령 전동 송풍기(11)의 진동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청소기 본체(1)가 진동해도, 그에 의해 분리 하우징(71)와 분리 하우징(81)이 하우징(22)의 수용시의 상태로부터 이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하우징(63)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63) 외부로 누설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평행 분리 타입의 하우징(63)을 이용하여 필터 장치(61)를 구성한 경우라도, 필터 장치(61)의 청소기 본체(1)로의 수용 후에는, 확실하게 하우징(63)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하우징(63) 내의 필터(62)로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vibrates due to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1, the impact from the outside, etc., the separation housing 71 and the separation housing 81 are prevented from the state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the housing 22 by this. Do not space apart. Therefore,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63 does not leak outside the housing 63. As a result, even when the filter device 61 is configured by using the housing 63 of the parallel separation ty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63 is reliably received after the filter device 61 is housed in the cleaner body 1. Dust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can be removed by the filter 62 in the housing 63.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접촉 분리 가능한 분리 하우징(71, 81)의 각 피래칭부(76, 88, 89)가 필터 장치(61)의 청소기 본체(1)로의 수용시에, 분리 하우징(71, 81)을 접합한 상태로 청소기 본체(1) 내에서 래칭된다. 환언하면, 하우징(63)이 폐쇄 상태가 아니면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필터 장치(61)의 수용 당초부터 하우징(63)에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63)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76, 88, 89 of the separation housings 71, 81 that can be contacted and separated by parallel movement with each other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of the filter device 61, The vacuum cleaner body 1 is latched in the cleaner body 1 in a state where the separation housings 71 and 81 are bond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lter device 61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unless the housing 63 is clo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air supplied to the housing 63 from leaking out of the housing 63 from the beginning of the accommodation of the filter device 61.

또한, 분리 하우징(81)과 분리 하우징(71)의 고정은 분리 하우징(81)의 고정 해제부(83)와 각 고정 해제부(84)에 의해 행해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 89)가 이에 대응하는 고정 해제부(83, 8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분리 하우징(71, 81)이 폐쇄되었을 때에 분리 하우징(71)과 고정되는 분리 하우징(81)의 고정부[고정 해제부(83, 84)]에 각 피래칭부(88, 8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피래칭부(88, 89)가 청소기 본체(1)의 래칭부(52, 51)에 의해 각각 래칭되었을 때에, 동시에 고정 해제부(83, 84)의 각 고정 구멍(85, 86)이 대응하는 각 볼록부(74, 75)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정 해제부(83)와 각 고정 해제부(84)에 의한 분리 하우징(81)의 분리 하우징(71)에 대한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필터 장치(61)가 청소기 본체(1) 내에 수용된 후에는 하우징(63)이 청소기 본체(1) 내에서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housing 81 and the separation housing 71 are fixed by the release release 83 and the release release 84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housing 81 is fixed. Etched portions 88, 89 ar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unlocking portions 83, 84, respectively. That is, each of the latching portions 88 and 89 is provided in the fixing portions (fixing release portions 83 and 84)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that are fixed to the separating housing 71 when the separating housings 71 and 81 are closed. It is. Thereby, when each latching part 88, 89 is latched by the latching parts 52, 51 of the cleaner main body 1, respectively, each fixing hole 85, 86 of the fixation release part 83, 84 is simultaneously. It becomes difficult to fall out from each corresponding convex part 74,75. Therefore, fixing to the separating housing 71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by the fixing release part 83 and each fixing release part 84 becomes more reliably, and the filter device 61 enters into the cleaner main body 1. After the housing 63 is accommodated, the housing 63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 the cleaner body 1.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81)은 필터(62)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인 상면(82a) 및 하면(82b)을 갖고 있고, 고정 해제부(83)가 상면(82a)으로부터 분리 하우징(71)의 벽면[상면(72a)]에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는 동 시에, 각 고정 해제부(84)가 상면(82a)으로부터 분리 하우징(71)의 벽면[하면(72b)]에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는 분리 하우징(71)이 고정 해제부(83, 84)에 의해 협지되는 상태가 되어, 그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housing 81 has the upper surface 82a and the lower surface 82b which are two surfaces which mutually oppose each other via the filter 62, and the fixation release part 83 isolate | separates from the upper surface 82a. At the same time, the fixing release portion 84 extends along the wall surface (upper surface 72a) of the housing 71 along the wall surface (lower surface 72b)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from the upper surface 82a. It is extended. Thereby,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the separation housing 71 will be in the state clamped by the fixation release part 83, 84, and the closed state can be reliably and easily maintain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는 분리 하우징(71)에 있어서의 분리 하우징(81)과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72e)에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 89)는 하우징(63)의 폐쇄 상태로 피래칭부(76)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기 청소기에도 본 발명의 필터 장치(61)를 적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피래칭부(76, 88, 89)의 크기나 두께 등은 현재의 전기 청소기에 적용되어 있는 규격을 기초로 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면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art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is formed in flat form along the surface 72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joining side with the separation housing 81 in the separation housing 71. In addition, the latching parts 88 and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where the latching part 76 is locat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Therefore,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device 6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vacuum cleaner. At this time, the siz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latching parts 76, 88, and 89 may be appropriately set based on the standard applied to the current vacuum cleaner.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상술한 필터 장치(61)와, 필터 장치(61)를 수용하는 청소기 본체(1)와, 청소기 본체(1)에 설치되고 필터 장치(61)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있고, 청소기 본체(1)가 필터 장치(61)의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와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피래칭부(89)]를 래칭하는 래칭부(51)와, 분리 하우징(81)의 다른 피래칭부[피래칭부(88)]를 래칭하는 래칭부(5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청소기 본체(1)로의 필터 장치(61)의 수용시에는 필터 장치(61)의 분리 하우징(71, 81)이 양방 모두 래칭부(51, 52)에 의해 래칭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 내에서는 하우징(63)이 개방 상태가 되는 일이 없어, 필터 장치(61)에서 공기 누설이 발생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Moreover,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ilter apparatus 61 mentioned abov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which accommodates the filter apparatus 61,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removes dust through the filter apparatus 61. It is provided with the electric blower 11 which draws in the air which it contains, The cleaner main body 1 has the latching part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of the filter device 61, and the latching part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And a latching portion 51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89, and a latching portion 52 for latching another latching portion (the latching portion 88)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As a result, when the filter unit 61 is accommodat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paration housings 71 and 81 of the filter unit 61 are both latched by the latching portions 51 and 52. In 1), the housing 63 does not become an open stat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no air leakage occurs in the filter device 61.

이 때, 래칭부(51)는 하우징(63)의 폐쇄 상태에서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와 이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분리 하우징(81)의 각 피래칭부(89)를 양방 모두 래칭하기 때문에, 이 1개의 래칭부(51)뿐이라도 분리 하우징(71, 81)의 상호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atching portion 51 both closes the latching portion 76 of the separating housing 71 and the respective latching portions 89 of the separating housing 81 in a position adjacent thereto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63. In order to latch, only this one latching part 51 can prevent mutual separation of the separating housings 71 and 81 from each other.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61)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1), 즉 덮개부(54)에 압박부(55)가 형성되어 래칭부(52)에 돌기부(56)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1)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1)에 압박부(55) 및 돌기부(56)를 설치함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ilter device 61 of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art 55 is form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e, the cover part 54 of the vacuum cleaner of 1st Embodiment, and the projection part 56 in the latching part 52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in which? Is formed, and thus the same effect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providing the pressing part 55 and the protrusion 56 to the cleaner main body 1.

따라서,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도 ①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 내의 적절한 위치[하우징(63)이 래칭부(51, 52)로 래칭되는 위치]에 수용하지 않으면 덮개부(54)를 폐쇄할 수 없고, ② 필터 장치(61)의 하우징(63)이 개방 상태이면, 필터 장치(61)를 청소기 본체(1)에 수용할 수 없어 덮개부(54)를 폐쇄할 수도 없고, ③ 청소기 본체(1)에 필터 장치(61)를 수용한 후에는, 청소기 본체(1) 내부에서 하우징(63)이 개방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고 하는 3요소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also in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from the above point, when (1) the filter apparatus 61 is not accommodated in the appropriate position (position in which the housing 63 latches by the latching parts 51 and 52)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 cover If the part 54 cannot be closed and (2) the housing 63 of the filter device 61 is in an open state, the filter device 61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1 and the lid part 54 can be closed. (3) After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61 in the cleaner main body 1,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ree elements in which the housing 63 is not opened in the cleaner main body 1. It can be sai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싸이클론 집진기(3)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송풍기(11)가 싸이클론 집진기(3) 및 필터 장치(61)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기 때문에, 이들 양자의 먼지 제거 수단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3)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흡인력의 저하 방지 등의 효과도 물론 얻을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electric blower 11 sucks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filter apparatus 61, Both of these dust removing means can almost eliminate dust in the air. In addition, by us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effects such as prevention of a decrease in suction force can also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61)는 싸이클론 집진기기(3)를 이용하지 않고 흡인한 공기를 직접 필터 장치(61)에 공급하여, 필터 장치(61)로 상기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도 물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lter device 61 of the present embodiment directly supplies the air sucked without us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o the filter device 61, and filters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the filter device 61. It is, of course, also applicable to the type of vacuum cleaner to be rem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하우징(81)의 하면에 2개의 고정 해제부(84)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에 2개의 피래칭부(8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상기한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래칭부(89)의 형상에 대응하는 절결부 혹은 절입부를 평판부(77)에 형성하고, 피래칭부(76)와 피래칭부(89)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구성이면 고정 해제부(84) 및 피래칭부(89)의 개수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의 래칭부(51)는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9) 중, 적어도 1개를 래칭해도 좋다고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xing release portions 84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and two latching portions 89 are provided there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wo. no. If the cutout portion or cuto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atching portion 89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77, and the latching portion 76 and the latching portion 89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the fixing release portion 84 And the number of the latching portions 89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one or three or more,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atching part 51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may latch at least 1 among the latching parts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제3 실시 형태]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도10 및 도11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same as the 1st and 2nd embodiment, or the structure which has the same function, the same member number is add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싸이클론 집진기(3)에 연결되는 수용체(95)(제1 수용체)를 구비하고 있고, 이 수용체(95)에 제1 실시 형태 의 필터 장치(12)[또는, 제2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61)]가 수용되어 있다. 한편, 수용체(95)와는 다른 수용체로, 수용체(95)와 호스(2)를 거쳐서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1)(제2 수용체)에 전동 송풍기(1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11)는 싸이클론 집진기(3), 수용체(95) 내의 필터 장치(12)[또는 필터 장치(61)] 및 호스(2)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게 된다. 10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ontainer 95 (1st container) connected 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shown by 1st Embodiment, and this filter 95 of the filter apparatus of 1st Embodiment is provided. (12) (or the filter device 61 of 2nd Embodiment) is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blower 11 is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2nd container) connected with the container 95 and the hose 2 by the container different from the container 9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electric blower 11 sucks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e filter device 12 (or the filter device 61) in the container 95, and the hose 2.

여기서, 도11은 수용체(95) 내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동시에, 필터 장치(12)를 수용체(95) 내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필터 장치(61)를 수용하였을 때도 동일한 상태가 된다. 수용체(95)는 제1 실시 형태의 청소기 본체(1) 내에 설치되는 래칭부(51, 52), 지지부(53), 덮개부(54), 압박부(55), 돌기부(56) 및 패킹(57)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Here, FIG. 1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inside the container 95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lter device 12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95, but the same state is obtained even when the filter device 61 is accommodated. do. The container 95 includes the latching portions 51 and 52, the supporting portion 53, the lid portion 54, the pressing portion 55, the protrusion portion 56 and the packing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1 of the first embodiment). A member having the same function as 57) is provided.

또한, 수용체(95) 내부의 각 부재의 배치는,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것과 상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 이는, 전기 청소기의 손잡이부(96)와 덮개부(54)가 대향하면, 손잡이부(96)가 덮개부(54)의 개폐를 방해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손잡이부(96)와는 반대측에 덮개부(54)를 형성한 것에 의한다. 따라서, 그러한 덮개부(54)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남은 각 부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11에서의 각 부재의 배치는 도5와는 상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arrangement | positioning of each member inside the container 95 is reversed up and down as shown, for example in FIG. This is because when the handle portion 96 and the lid portion 54 of the vacuum cleaner face each other, the handle portion 96 preven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portion 54, and thus, the handle portion 96 is used to avoid such a problem. The cover part 54 is formed in the opposite side. Therefore, since the remaining member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at which the lid portion 54 is formed, the arrangement of the members in FIG. 11 is reversed up and down from FIG.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동 송풍기(11)가 수용되는 수용체[청소기 본체(1)]와는 다른 수용체(95)를 싸이클론 집진기(3)에 연결하고, 이 수용체(95)에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12) 또는 제2 실시 형태의 필터 장치(61)를 수용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에 필터 장치(12, 61)를 설치하지 않는만큼만 청소기 본체(1)를 소형 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청소기 본체(1)의 이동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취급하기 쉬운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tainer 95 different from the container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n which the electric blower 11 is accommodated is connected 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container 95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nected. By accommodating the filter apparatus 12 or the filter apparatus 61 of 2nd Embodiment, the cleaner main body 1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only as long as the filter apparatus 12 and 61 are not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have. Thereby, the mobility of the cleaner main body 1 can be improved very much, and the electric cleaner which a user can handle easily can be provided.

또한, 청소기 본체(1)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의해, 예를 들어 숄더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어 상품 전개의 범위를 대폭 확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miniaturizing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cleaner main body 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shoulder type vacuum cleaner, and the scope of product development can be greatly expanded.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rom the above point, the vacuum cleaner of this embodimen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즉,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필터 장치(12)(집진 장치)와, 필터 장치(12)를 수용하는 수용체(95)(제1 수용체)와, 수용체(95)와 연결되고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3)와, 수용체(95)와는 다른 수용체인 청소기 본체(1)(제2 수용체)에 설치되고 싸이클론 집진기(3) 및 수용체(95)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수용체(95)는 필터 장치(12)의 분리 하우징(31)의 피래칭부(35)를 래칭하는 래칭부(51)와, 분리 하우징(41)의 피래칭부(47)를 래칭하는 래칭부(52)를 갖고 있는 구성이다. That is,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filter device 12 (dust collecting device), the container 95 (the first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12, and the air connected to and sucked into the container 95.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which rotates and separates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turning, and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which is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second receptor) which is a different receptor from the receptor 95, An electric blower 11 which sucks air containing dust via the dust collector 3 and the container 95 is provided, and the container 95 is the latching portion 35 of the separation housing 31 of the filter device 12. It has the structure which has the latching part 51 which latches, and the latching part 52 which latches the latching part 47 of the separation housing 41.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필터 장치(61)(집진 장치)와, 필터 장치(61)를 수용하는 수용체(95)(제1 수용체)와, 수용체(95)와 연결되고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3)와, 수용체(95)와는 다른 수용체인 청소기 본체(1)(제2 수용체)에 설치되고, 싸이클론 집진기(3) 및 수용체(95)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수용체(95)는 필터 장치(61)의 분리 하우징(71)의 피래칭부(76) 및 분리 하우징(81) 중 적어도 1개의 피래칭부(89)를 래칭하는 래칭부(51)와, 분리 하우징(81)의 피래칭부(88)를 래칭하는 래칭부(52)를 갖고 있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lter device 61 (dust collecting device), the container 95 (the fir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filter device 61, and the air sucked in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95. It is provid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which turns and isolate | separates the dust contained in the said ai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 | occur | produced at the time of turning,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2nd receptor) which is a receptor different from the receptor 95, An electric blower 11 which sucks air containing dust via the 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receptor 95 is provided, and the receptor 95 is a latching portion 76 of the separation housing 71 of the filter device 61. ) And a latching portion 51 for latching at least one of the latching portions 89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and a latching portion 52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88 of the separation housing 81. .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나 필터 방식의 전기 청소기에 이용 가능하다.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cyclone dust collector or a vacuum cleaner of a filter system.

Claims (17)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가 장전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집진 장치이며,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filter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and a housing in which the filter is loaded,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분리 하우징과 제2 분리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a second separation housing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양방이 상기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에 래칭되는 피래칭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Both of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each have a latching portion latched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device,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동일한 회전축으로 저어널되어 있고,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journaled with the same axis of rotation,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각 피래칭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수용체로의 수용시에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로 상기 수용체에 래칭되고, Each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s in a closed state of the housing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upon receipt of the device to the container. Into the receptor,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에 대한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고정 해제부를 갖고 있고,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has a fixing release portion for fixing to and disengaging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는 상기 고정 해제부에 설치되어 있고,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is provided in the fixing release portion,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제1 피래칭부라 하고,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제2 피래칭부라 하면, If the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is called a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s called a second latching portion, 상기 제1 피래칭부는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을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long a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joining side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n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상기 제2 피래칭부는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피래칭부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And said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hape such that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where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으로 저어널되는 제1면과, 상기 필터를 거쳐서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갖고 있고, The said 2nd separating housing has a 1st surface journaled to the said rotating shaft, and a 2nd surface facing a said 1st surface via the said filter, 상기 고정 해제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의 벽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And said fixing release portion extends from said second surface along the wall surface of said first separating housing. 삭제delete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가 장전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집진 장치이며,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filter for filtering dust in the air and a housing in which the filter is loaded, 상기 하우징은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분리 하우징과 제2 분리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a second separation housing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양방이 상기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에 래칭되는 피래칭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Both of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each have a latching portion latched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device,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서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접촉 분리 가능하고, The first separation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in contact separation by parallel movement with each other,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각 피래칭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수용체로의 수용시에, 상기 제1 분리 하우징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을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체에 래칭되고, Each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s latch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are joined when the device is received into the container,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에 대한 고정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고정 해제부를 복수개 갖고 있고,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has a plurality of fixing release portions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 해제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The latching portions of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fixing release portions,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에 있어서의 피래칭부를 제1 피래칭부라 하고,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에 있어서의 피래칭부를 제2 피래칭부라 하면, If the latching portion in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is called a first latching portion, and the latching portion in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s called a second latching portion, 상기 제1 피래칭부는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접합측과는 반대측의 면을 따라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long a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joining side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n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상기 각 고정 해제부에 설치된 각 제2 피래칭부는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로, 상기 제1 피래칭부가 위치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And each second latching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fixing release portions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on which the first latching portion is located in a closed state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은 상기 필터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을 갖고 있고,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has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via the filter, 상기 각 고정 해제부는 상기 2개의 면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의 벽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And said respective unlocking portions extend along a wall surface of said first separating housing from each of said two surfaces. 삭제delete 제1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와, The dust collector of claim 1, 상기 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와, A container for receiv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수용체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 장치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An electric blow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and sucking air containing dust via the dust collector; 상기 수용체는 상기 집진 장치의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1 래칭부와,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2 래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nd said container has a first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of the dust collector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제6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와, The dust collector of Claim 6, 상기 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체와, A container for receiv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수용체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 장치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An electric blow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and sucking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수용체는 상기 집진 장치의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 및 제2 분리 하우징 중 적어도 1개의 피래칭부를 동시에 래칭하는 제1 래칭부와,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다른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2 래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container includes a first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at least one of the latching portions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another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weal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부는 상기 하우징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와, 이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2. The electric vacuum cleaner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latching part latches the latching part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latching part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atching part in a closed state of the housing.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수용체에 대한 상기 집진 장치의 착탈시에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고, The said container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cover part which opens and closes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said dust collector with respect to the said container, 상기 제2 래칭부는 자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의 래칭 및 그 해제를 행하고, The second latching portion latches and releases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housing by its rotation. 상기 덮개부 내면에는 상기 제2 래칭부가 상기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래칭을 해제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제2 래칭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수용체에 대한 상기 덮개부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2 래칭부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wh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in a rotational position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detachable housing, the second latching portion prevents rotation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release the latching. An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n a closed state of the lid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부에는 상기 제2 래칭부가 상기 수용체에 대한 상기 집진 장치의 비래칭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압박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projection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for opening the lid by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wh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in a rotation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atch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An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더 구비하고, 12. The cyclon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10 or 11, further comprising a cyclone dust collector for turning the sucked air to separat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turning, 상기 전동 송풍기는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집진 장치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electric blower sucks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the dust collector. 제1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와, The dust collector of claim 1, 상기 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체와, A fir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제1 수용체와 연결되고,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와, A cyclone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first receptor and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air is sucked by turning the sucked air; 상기 제1 수용체와는 다른 제2 수용체에 설치되고,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 및 제1 수용체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It is provided in the 2nd container different from a said 1st container, Comprising: It is equipped with the electric blower which sucks the air containing dust via the said cyclone dust collector and a 1st container,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집진 장치의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1 래칭부와, 제2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2 래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nd said first container has a first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for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제6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와, The dust collector of Claim 6, 상기 집진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체와, A first container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제1 수용체와 연결되고, 흡인한 공기를 선회시켜 선회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와, A cyclone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first receptor and separat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air is sucked by turning the sucked air; 상기 제1 수용체와는 다른 제2 수용체에 설치되고,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 및 제1 수용체를 거쳐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It is provided in the 2nd container different from a said 1st container, Comprising: It is equipped with the electric blower which sucks the air containing dust via the said cyclone dust collector and a 1st container,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집진 장치의 제1 분리 하우징의 피래칭부 및 상기 제2 분리 하우징 중 적어도 1개의 피래칭부를 동시에 래칭하는 제1 래칭부와, 제2 분리 하우징의 다른 피래칭부를 래칭하는 제2 래칭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first container may include: a first latching portion latching at least one latching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ng housing and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housing. The vacuum cleaner which has 2 latching parts.
KR1020057003041A 2002-11-19 2003-11-10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KR1006947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5223A JP3810362B2 (en) 2002-11-19 2002-11-19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JP-P-2002-00335223 2002-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130A KR20050040130A (en) 2005-05-03
KR100694748B1 true KR100694748B1 (en) 2007-03-14

Family

ID=3232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041A KR100694748B1 (en) 2002-11-19 2003-11-10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10362B2 (en)
KR (1) KR100694748B1 (en)
CN (1) CN100341454C (en)
WO (1) WO200404535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627B1 (en) * 2005-01-04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4661335B2 (en) * 2005-05-10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4738064B2 (en) * 2005-06-03 2011-08-03 株式会社東芝 Vacuum cleaner
US7794516B2 (en) * 2008-04-09 2010-09-14 The Scott Fetzer Company Filter bag mounting assembly
JP5525963B2 (en) * 2010-08-20 2014-06-18 株式会社マキタ Electric tool with dust collector
CN112568784B (en) * 2016-02-29 2022-05-13 Lg电子株式会社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head
JP2019122659A (en) * 2018-01-18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7286506B2 (en) * 2019-10-01 2023-06-05 株式会社マキタ dust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0945U (en) * 1971-08-16 1973-04-16
JPS5830954U (en) * 1981-08-20 1983-02-28 三洋電機株式会社 Guide cylinder mechanism
JPS5829055U (en) * 1981-08-21 1983-02-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H062116B2 (en) * 1985-02-25 1994-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S6266822A (en) * 1985-09-19 1987-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Electric cleaner
JPS6447357U (en) * 1987-09-17 1989-03-23
CA2160289C (en) * 1994-10-31 1999-09-28 Yutaka Tomooka An electric vacuum cleaner
FR2770762B1 (en) * 1997-11-13 2000-01-28 Seb Sa DEVICE FOR CONNECTING A VACUUM DUST BAG
EP1136028B1 (en) * 2000-03-24 2006-07-2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0362B2 (en) 2006-08-16
WO2004045358A1 (en) 2004-06-03
CN1713847A (en) 2005-12-28
JP2004166892A (en) 2004-06-17
CN100341454C (en) 2007-10-10
KR20050040130A (en)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52627A1 (en) Station
JP2023084151A (en) vacuum cleaner system
JP2010508883A (en) Vacuum cleaner
KR100694748B1 (en) Dust collector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WO2011010787A1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ed dust removal function, and vacuum cleaner
KR20040087186A (en) bagless vacuum cleaner
JP7036684B2 (en) Vacuum cleaner
JP2011152240A (en) Vacuum cleaner
JP643011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4868811B2 (en) Vacuum cleaner
CN116867410A (en) Electric dust collector
JP627121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2135514A (en) Vacuum cleaner
JP583658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7085425B2 (en) Vacuum cleaner
KR100617628B1 (en) Locking device for 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vacuum cleaner
JP7085424B2 (en) Vacuum cleaner
CN217907592U (en) Dirt cup subassembly and dust catcher
JP2012135511A (en) Vacuum cleaner
JP466474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24033910A (en) work equipment
KR20050064940A (en) Filter alignmnet check device for cyclone type vacuum cleaner
CN115067799A (en) Filter device and electrical equipment
KR100617629B1 (en) Vacuum cleaner with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KR970000472Y1 (en) Filter paper of a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