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259B1 -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259B1
KR100694259B1 KR1020040082807A KR20040082807A KR100694259B1 KR 100694259 B1 KR100694259 B1 KR 100694259B1 KR 1020040082807 A KR1020040082807 A KR 1020040082807A KR 20040082807 A KR20040082807 A KR 20040082807A KR 100694259 B1 KR100694259 B1 KR 10069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ook
seating
refrigerato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617A (ko
Inventor
김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2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80/00Moun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heat exchang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챔버(21)에 설치되는 증발기(50)의 채널(55) 상단에는 후크(5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후크(57)는 상기 채널(55)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8)와, 상기 연장부(58)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5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챔버(21)의 후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60)의 양측에는 안착공간(6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61)은 상기 이너케이스(60)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61)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57)가 삽입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입구부(6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착공간(61)의 타측에는 상기 입구부(63)와 연통되는 안착부(65)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65)의 바닥면에는 상기 후크(57)의 걸림부(59)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6)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63)와 안착부(65)는 입구부(63)의 천장과 바닥면에서 안착부(65)의 상면과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67)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챔버에 증발기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냉장고, 이너케이스, 증발기, 후크, 장착공간

Description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Evaporator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도 1은 증발기가 장착된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발기 장착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홈을 보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증발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증발기 51: 튜브
53: 방열핀 55: 채널
57: 후크 58: 연장부
59: 걸림부 60: 이너케이스
61: 안착공간 63: 입구부
65: 안착부 66: 삽입홈
67: 안내면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냉장고의 저장공간 후면에 증발기를 장착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증발기가 장착된 일반적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발기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내외부를 아웃케이스(11)와 이너케이스(13)가 형성하고, 양자 사이에는 단열층(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13)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저장공간은 베리어(16)에 의하여 냉동실(17)과 냉장실(19)로 상하 구획된다. 상기 냉동실(17)과 냉장실(19)은 각각 냉동실도어(17a)와 냉장실도어(19a)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8)의 후방에는 열교환챔버(21)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챔버(21)에는, 상기 냉동실(17) 내부의 공기를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23)와, 상기 증발기(23)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17) 및 냉장실(19)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어셈블리(27)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23a)와, 상기 튜브(23a)를 유동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냉각핀(미도시)과, 상기 튜브(23a)를 지지하는 한쌍의 채널(23c)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23c)은 상기 튜브(23a)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채널(23c)의 상 단에는 각각 후크(25)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25)는 상기 증발기(23)를 상기 열교환챔버(21)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채널(23c)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a)와, 상기 연장부(25a)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2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2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25a)는 그 하단부 일측이 아래에서 설명할 장착슬롯(21b)의 하단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증발기(2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25b)는 그 일측이 장착슬롯(21b)을 관통하여 장착슬롯(21b)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챔버(21)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일측에는 한쌍의 장착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1a)은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2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2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21a)은 그 하면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짐으로써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장착홈(21a)의 내면 및 하면이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로 절개됨으로써 장착슬롯(21b)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슬롯(21b)은 상기 후크(25), 즉 상기 연장부(25a)의 선단부 및 상기 걸림부(25b)가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장착슬롯(21b)의 좌우폭은 상기 후크(25)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슬롯(21b)의 상하길이는 적어도 상기 걸림부(25b)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슬롯(21b)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에는 실링테이프(T)가 부착된다. 상기 실링테이프(T)는 상기 단열층(15)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포되는 발포액이 상기 장착슬롯(21b)을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테이프(T)는 상기 장착슬롯(21b)을 관통하는 상기 걸림부(25b)에 의하여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29와 31은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부품이 구비되는 기계실과,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W는 리드와이어이다. 상기 리드와이어(W)는 상기 제어부(31)와 증발기(23) 등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증발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걸림부(25b)가 상기 장착슬롯(21b)에 대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23)를 후방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5a)의 선단 일부와 상기 걸림부(25b)가 상기 장착슬롯(21b)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실링테이프(T)는 상기 걸림부(25b)에 의하여 찢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증발기(23)를 잡고 있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자중에 의하여 증발기(23)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25)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장부(25a)는 상기 장착슬롯(21b)의 하단에 해당하는 상기 장착홈(21a)의 하면 일측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5b)가 상기 장착슬롯(21b)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 일 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증발기(23)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슬롯(21b)을 통한 발포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슬롯(21b)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에 상기 실링테이프(T)를 부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슬롯(21b)의 상하높이 및 좌우폭은 상기 후크(25)의 그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이동시 상기 후크(25)가 상기 장착슬롯(21b)을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장착슬롯(21b)의 상하단 또는 좌우측에 부딪힐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13)의 이면에는 상기 증발기(23) 또는 송풍팬(27)과 같이 냉장고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에 연결되는 리드와이어(W)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와이어(W)가 상기 장착슬롯(21b)을 관통하는 상기 후크(25)에 의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이동시 증발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드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증발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후크와,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열교환챔버의 일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안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안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입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타측에는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후크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후크의 선단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상기 후크의 높이에 대응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입구부와 안착부의 천장 및 바닥면을 연결하는 안내면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 의하면, 증발기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증발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리드와이어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홈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동실(17)의 후단에 구비되는 열교환챔버(21)의 후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60)에는 증발기(50)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50)의 튜브(51)는 냉매가 유동하는 곳으로, 소정의 길이로 다수회 벤딩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50)에는 상기 튜브(51)의 방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방열핀(53)이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50)의 양측에는 각각 채널(5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채널(55)의 상단에는 상기 증발기(50)를 상기 이너케이스(60)에 설치하기 위한 후크(5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후크(57)는 상기 채널(55)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8)와, 상기 연장부(58)의 선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5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60)의 양측에는 각각 안착공간(6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61)은 상기 증발기(50)를 상기 열교환챔버(21)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57)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이너케이스(60)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61)의 일측에는 입구부(63)가 구비된다. 상기 입구부(63)는 상기 안착공간(61)에 안착되는 상기 후크(57)가 삽입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입구부(63)의 높이(H1)는 적어도 상기 걸림부(59)의 높이(h)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결정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63)의 폭도 상기 걸림부(59)의 그 것보다 작지않은 범위에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안착공간(61)의 타측에는 상기 입구부(63)와 연통되는 안착부(65)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65)는 상기 입구부(63)를 통하여 상기 안착공간(61)에 삽입된 상기 후크(57)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입구부(6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65)의 높이(H2)는 상기 걸림부(59)의 높이(h)에 대응하여 결정되는데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65)의 바닥면에는 삽입홈(6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66)은 상기 안착부(65)의 바닥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66)에는 상기 안착부(65)로 이동한 상기 후크(57)의 걸림부(59) 선단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61)에 안착된 상기 후크(57)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입구부(63)와 안착부(65)는 안내면(67)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상기 안내면(67)은 상기 입구부(63)와 안착부(65)의 천장 및 바닥면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입구부(63)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후크(57)를 상기 안착부(6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면(67)은 상기 입구부(63)에서 상기 안착부(65)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 의하여 증발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50)의 후크(57)를 이너케이스(60)의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공간(61)의 입구부(63)를 통하여 삽입한다. 이때 상기 후크(57)의 연장부(58)는 상기 입구부(63)의 내외부에 걸쳐서 위치되고, 상기 후크(57)의 걸림부(59)는 그 선단이 상기 입구부(63)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5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크(57)가 상기 입구부(63)에서 안착부(65)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59)는 그 선단이 상기 입구부(63)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내면(67)을 따라서 미끄러져 상기 안착부(65)로 안내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65)로 안내된 상기 걸림부(59)의 선단 일부는 상기 증발기(5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65)의 삽입홈(66)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57)가 상기 안착공간(61)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증발기(5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5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크(57)가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공간(61)에 간단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57)의 걸림부(59) 선단 일부가 상기 삽입홈(66)에 삽입되므로, 상기 증발기(50)가 보다 견고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57)가 상기 안착공간(61)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60)를 관통하여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57)에 의하여 상기 이너케이스(60)의 이면에 부착되는 리드와이어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증발기의 후크가 안착공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이 삭제되어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제품의 운반과정에서 상기 증발기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제품이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후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후크에 의한 리드와이어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와이어의 손상에 의한 냉장고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증발기의 양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후크와,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열교환챔버의 일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안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안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입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타측에는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후크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후크의 선단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상기 후크의 높이에 대응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입구부와 안착부의 천장 및 바닥면을 연결하는 안내면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KR1020040082807A 2004-10-15 2004-10-15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KR10069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07A KR100694259B1 (ko) 2004-10-15 2004-10-15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07A KR100694259B1 (ko) 2004-10-15 2004-10-15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17A KR20060033617A (ko) 2006-04-19
KR100694259B1 true KR100694259B1 (ko) 2007-03-14

Family

ID=3714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07A KR100694259B1 (ko) 2004-10-15 2004-10-15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17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19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73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73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17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19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86521B2 (en) 2016-09-29 2023-06-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632586B1 (ko) * 2016-09-29 2024-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32585B1 (ko) * 2016-09-29 2024-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17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US8033130B2 (en) Refrigerator
JP2006336946A (ja) スターリング冷却庫
EP2899481A1 (en) Refrigerator
KR100694259B1 (ko)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JP6741912B2 (ja) 冷蔵庫
JP6695022B2 (ja) 冷蔵庫
JP2007093108A (ja) 冷蔵庫
WO2015025477A1 (ja) 冷蔵庫
JP2006234220A (ja) 冷蔵庫
JP2006078053A (ja) 冷蔵庫
CN112074699A (zh) 冰箱
KR20110085590A (ko) 냉장고
JP2008095986A (ja) 冷蔵庫
JP4086737B2 (ja) 冷蔵庫
KR100594420B1 (ko) 냉장고의 롤본드 증발기
JPWO2019175965A1 (ja) 冷蔵庫
EP3015800A1 (en) Refrigerator
KR100556392B1 (ko) 양문형 냉장고
KR101203993B1 (ko) 냉장고
CN114518000A (zh) 冰箱
JP6402352B2 (ja) 冷蔵庫
KR20060062056A (ko) 냉장고 방열파이프 고정구조
JP2016090073A (ja) 冷蔵庫
KR200173972Y1 (ko) 냉장고의 쉬라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