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823B1 -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 Google Patents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823B1
KR100693823B1 KR1020050093866A KR20050093866A KR100693823B1 KR 100693823 B1 KR100693823 B1 KR 100693823B1 KR 1020050093866 A KR1020050093866 A KR 1020050093866A KR 20050093866 A KR20050093866 A KR 20050093866A KR 100693823 B1 KR100693823 B1 KR 10069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ransformer
secondary winding
primary winding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공 찬
젱송 왕
Original Assignee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5009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high-pressure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채택한다.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은 램프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타단은 인접하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을 통해 AC 전원에 접속된다. 상기의 연결 방법에 의해, 상기 전원이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램프에 운전 전류를 공급 및 평형시켜 종래 기술의 코일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와 홀수량의 램프에는 적용될 수 없고 짝수량의 램프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A CURRENT-BALANCING CIRCUIT FOR LAMPS}
도 1은 종래의 2개의 램프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디퍼런셜 밸러스터(Differential Ballaster)를 사용하는 회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트랜스포머의 등가 마그네틱 루프의 개략도;
도 3은 램프와 접속된 도 1의 등가 마그네틱 루프의 개략도;
도 4는 종래기술의 복수의 램프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퍼런셜 밸러스터의 개략적 블럭 회로도;
도 5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램프들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퍼런셜 밸러스터의 개략적 블럭 회로도;
도 6은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복수의 램프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퍼런셜 밸러스터의 개략적 블럭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2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3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2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3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sec : 전원 T1 : 제1트랜스포머
L1p :제1 1차 권선 L1s : 제1 2차 권선
T2 : 제2트랜스포머 L2p : 제2 1차 권선
L2s : 제2 2차 권선 L1 : 제1 램프
L2 : 제2 램프 i1, i2 : 운전 전류
본 발명은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램프 사이의 전류를 평형하기 위해 복수의 트랜스포머와 복수의 램프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활용한다.
기술 발달 및 소비자 요구에 따라, LCD 패널의 크기가 점점 켜졌다. 그러나, 하나의 램프를 구비한 LCD 패널은 조명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LCD 패널에 2개 이상의 램프가 필요하다. LCD 패널의 밝기를 평형시키기 위해서는, 각 램프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적시에 조정되어 각 램프의 전류를 같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냉음극형광램프(CCFL)는 매우 불안정하고 음성 저항이라는 특성을 가지므로, CCFL의 저항을 유지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각 램프의 저항이 변환되어 각 램프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다르다. 램프들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같지 않으므로, 밝기를 불평형하게 만든다. 또한, 램프의 노화율도 큰 전류가 램프를 빨리 손상시킨다는 사실에 의해 달라진다.
종래의 2개의 램프를 조정하기 위해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사용하는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한다. 상기 회로는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갖는 트랜스포머(12)를 포함한다. 제1코일(121)의 일단은 AC 전원(10)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1램프(141)에 접속된다. 제1램프(141)의 타단은 기준 전압(G)에 접속된다. 또한, 제2코일(122)의 일단은 AC 전원(10)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2램프(142)에 접속된다. 제2램프(142)의 타단은 기준전압(G)과 접속된다. AC 전원(10)은 트랜스포머(12)의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이용하여 제1램프(141)와 제2램프(142)에 안정한 전류(I1, I2)를 각각 공급하는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램프(141)과 제2램프(14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평형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한다. 도 2는 도 1의 트랜스포머(12)의 등가 마그네틱 루프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코어(120)는 2개의 측기둥(side column)(A1, A2)과, 2개의 숄더 기둥(shoulder column)(A3, A4)을 포함한다. 전류(I1, I2)는 같고,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통해 흐르는 전류도 같다. 전류(I1)에 의해 생성되는 제1코일(121)의 자력은 전류(I2)에 의해 생성되는 제2코일(122)의 자력과 동일하다. 측기둥(A1)의 자력은 측기둥(A2)의 자력에 의해 상쇄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숄더 기둥(A3, A4) 사이의 자속은 없다. 동시에, 측기둥(A1, A2)에서의 자속(Φ1, Φ2)은 외측 공극(air gap)을 통해 루프를 각각 형성한다. 공극의 자기 저항이 매우 높으므로, 루프에 의해 유도된 인덕턴스는 무시된다.
도 1 및 3을 참조한다. 도 3은 램프에 접속된 도 1의 등가 마그네틱 루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1 램프(141)의 전류(I1)가 제2램프(142)의 전류(I2)와 다르면, 전류(I1)에 의해 생성되는 제1코일(121)의 자력도 전류(I2)에 의해 생성되는 제2코일(122)의 자력과 다르다. 이는 측기둥(A1)의 자력이 측기둥(A2)의 자력과 같지 않음을 의미한다. 측기둥(A1)과 측기둥(A2) 사이의 차이는 측기둥(A1), 측기둥(A2), 숄더 기둥(A3) 및 숄더 기둥(A4)에 의해 구성되는 저 저항 루프상에 대량의 자속(Φ)을 생성한다. 자속(Φ)은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분할하여 코일의 끝단 사이에 보정된 전압(△V)을 반응 및 생성한다. 보정된 전압(△V)은 제1램프(141)의 전류(I1)와 제2램프(142)의 전류(I2)를 복원 및 평형시킨다.
종래의 복수의 램프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사용하는 개략적 블럭 회로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한다. 도 4의 회로는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12)를 포함한다. 제1코일(121)의 일단은 기준전압(G)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1램프(141)에 접속된다. 제1램프(141)의 타단은 AC 전원(10)에 접속된다. 또한 제2코일(122)의 일단은 기준전압(G)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2램프(142)에 접속된다. 제2램프(142)의 타단은 AC 전원(10)에 접속된다. AC 전원(10)은 트랜스포머(12)의 제1코일(121)과 제2코일(122)을 이용하여 제1램프(141)와 제2램프(142)에 안정한 전류(I1, I2)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램프(141)와 제2램프(14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평형이다. 그러나, 이는 2개의 램프 사이에만 작용하며, 다른 램프들에 대해서는 작용할 수 없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램프들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이용하는 개략적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2개의 램프를 사용한다. 2개의 램프(31, 32)은 평행으로 접속된다. 2개의 램프(31, 31)의 고전압단은 디퍼런셜 밸러스터(39)를 통해 AC 전원(10)과 접속된다. 디퍼런셜 밸러스터(39)는 보정된 전압을 생성한다. 보정된 전압은 램프(I31, I32)의 전류 사이의 언밸런스와 비례하고 서로 더하여 공통 구동 전압을 형성한다. 따라서, 보정된 구동전압은 램프(I31, I32)의 전류를 조정하여 전류를 평형시킨다. 비록 상기 회로는 2개의 램프의 전류가 평형함을 확보할 수 있지만, 상기 회로는 특정된 형상의 마그네틱 코어 및 코일 프레임을 포함한다. 마그네틱 코어와 코일 프레임은 표준 생산품이 아니므로, 원재료를 준비하고 제조비용을 조절하는데 불편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복수의 램프 사이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해 디퍼런셜 밸러스터를 이용한 개략적 블럭 회로도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퍼런셜 밸러스터(T1, T2, T3, T4, T5, T6, T7)이 3가지 타입을 사용하여 AC 전원(10)에 접속된다. 이는 분할층(dividing layer)과 분할 전류 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복수의 램프(L1, L2, L3, L4, L5, L6, L7, L8)로 분할하여 램프들 사이의 전류를 평형시킨다. 동작 원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종래 기술의 램프들의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회로는 공통적인 결점이 있다. 상기 회로가 복수의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 2개의 램프에 대해서만 운전하고 홀수량의 램프에는 적용될 수 없다. 종래 기술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인덕턴스가 달라서 2차수(2's order)의 짝수량을 갖는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 다.
본 발명은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류 평형 회로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한다.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은 램프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타단은 인접하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을 통해 AC 전원에 접속된다. 상기 연결 방법에 의해, 전원이 트랜스포머를 통해 공급되어 램프의 운전 전류를 평형시킨다.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의 일실시예는 제1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을 갖는 제1트랜스포머를 제2 1차 권선과 제2 2차 권선을 갖는 제2 트랜스포머에 접속시킨다. 제2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고 제2 1차 권선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을 통해 제1 램프에 접속된다. 제2 2차 권선의 일단은 제2 램프에 접속되고 제2 2차 권선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그래서, 전원이 램프들에 동일하게 운전 전류를 공급한다.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을 갖는 제1트랜스포머를 제2 1차 권선과 제2 2차 권선을 갖는 제2 트랜스포머에 접속시킨다. 제2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고 제2 1차 권선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을 통해 제1램프에 접속된다. 또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는 제3 1차 권선과 제3 2차 권선을 갖는 제3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제3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고 제3 1차 권선의 타단은 제2 2차 권선을 통해 제2 램프에 접속된다. 제3 2차 권선의 일단은 제3램프에 접속되고 제3 2차 권선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그래서, 전원이 램프들에 대해 동일한 운전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전자기 작용의 특성과 트랜스포머의 권선으로 구성된 루프를 이용하여 그들을 서로 직렬로 접속시켜서 트랜스포머의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같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권선에 접속된 각 램프에 동일한 운전 전류를 공급한다. 동시에, 본 발명은 또한 짝수 또는 홀수량의 램프에도 적용되어 운전 전류를 평형시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와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될 수 없고 2차수의 짝수량을 갖는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종래 회로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예들을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이 설명은 단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2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한다. 상기 회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2개의 램프를 사용한다. 상기 전류 평형 회로는 제1 1차 권선(L1p)과 제1 2차 권선(L1s)을 갖는 제1트랜스포머(T1)와, 제2 1차 권선(L2p)과 제2 2차 권선(L2s)을 갖는 제2트랜스포머(T2)를 포함한다. 제2 1차 권선(L2p)의 일단은 전원(Vsec)에 접속되고 제2 1차 권선(L2p)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L1s)을 통해 제1램프(L1)에 접속된다. 제2 2차 권선(L2s)의 일단은 제2램프(L2)에 접속되고 제2 2차 권선(L2s)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L1p)을 통해 전원(Vsec)에 접속된다. 그래서, 전원(Vsec)은 램프( L1, L2)에 동일한 운전 전류(i1, i2)를 공급한다.
본 발명은 제1트랜스포머(T1)의 제1 2차 권선(L1s)을 제2트랜스포머(T2)의 제2 1차 권선(L2p)에 직렬로 접속시키고 제1트랜스포머(T1)의 제1 1차 권선(L1p)을 제2트랜스포머(T2)의 제2 2차 권선(L2s)에 직렬로 접속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트랜스포머(T1)와 제2트랜스포머(T2)의 전자기 작용 특성을 활용한다. 그래서, 전원(Vsec)은 서로 직렬로 접속된 권선들을 통해 제1램프(L1)와 제2램프(L2)에 전류를 공급한다. 식(1)을 사용하여, 제1램프(L1)와 제2램프(L2)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게 구해져 만들어진다.
제1트랜스포머(T1)는 제2트랜스포머(T2)와 등가이므로,
Ls1=Ls2, Lp1=Lp2,
Figure 112005056521299-pat00001
Vsec = (2ㆍπㆍfㆍLs1)ㆍi1 + (2ㆍπㆍfㆍLp2)ㆍi1 - 2ㆍ(2ㆍπㆍfㆍLm)ㆍi2 + i1ㆍRL2 = (2ㆍπㆍfㆍLs2)ㆍi2 + (2ㆍπㆍfㆍLp1)ㆍi2 - 2ㆍ(2ㆍπㆍfㆍLm)ㆍi1 + i2ㆍRL1
(식 1)
Figure 112005056731203-pat00002
f 또는 (Ls1+Lp1+Lm)이 RL1 및 RL2 보다 크고, i1=i2 이면,
식(1)에서, Rp1, Lp2, Ls1 및 Ls2는 제1트랜스포머(T1)와 제2트랜스포머(T2)의 권선의 인덕턴스; Lm은 작용 인덕턴스; RL1 및 RL2는 램프의 저항; Vsec는 전원; f는 전원의 운전 주파수; k는 결합계수; 그리고 i1 및 i2는 전류이다.
제1트랜스포머(T1)와 제2트래스포머(T2)의 양측에 위치된 권선의 권회수가 동일하여 평형 트래스포머를 형성한다. 또한, 제1 1차 권선은 극성가산법(polar-adding method)에 의해 제2 2차 권선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2 1차 권선은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제1 2차 권선에 접속된다. 제1램프(L1)와 제2램프(L2)는 CCFL 또는 EEFL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3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한다. 상기 회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3개의 램프를 사용한다. 전류 평형 회로는 제1 1차 권선(L1p)과 제1 2차 권선(L1s)을 갖는 제1트랜스포머(T1), 제2 1차 권선(L2p)과 제2 2차 권선(L2s)를 갖는 제2트랜스포머(T2) 및 제3 1차 권선(L3p)과 제3 2차 권선(L3s)을 갖는 제3트랜스포머(T3)를 포함한다. 제2 1차 권선(L2p)의 일단은 전원(Vsec)에 접속되고 제2 1차 권선(L2p)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L1s)을 통해 제1램프(L1)에 접속된다. 제3 1차 권선(L3p)의 일단은 전원(Vsec)에 접속되고 제3 1차 권선(L3p)의 타단은 제2 2차 권선(L2s)을 통해 제2램프(L2)에 접속된다. 제3 제2 권선(L3s)의 일단은 제3램프(L3)에 접속되고 제3 2차 권선(L3s)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L1p)을 통해 전원(Vsec)에 접속된다. 그래서, 전원(Vsec)은 램프(L1, L2 및 L3)에 대해 동일한 운전 전류(il, i2 및 i3)를 공급한다.
도 8의 회로의 동작 원리 및 식은 도 7의 회로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짝수량 또는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되어 운전 전류를 평형시킬 수 있어, 코일의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 및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될 수 없고 짝수량의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제1램프(L1), 제2램프(L2) 및 제3램프(L3)는 CCFL 또는 EEFL이다. 제1트랜스포머(T1), 제2트랜스포머(T2) 및 제3트랜스포머(T3)은 권선의 동일한 권회수를 갖는다. 또한, 제1 1차 권선(L1p)는 제3 2차 권선(L3s)에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제2 1차 권선(L2p)은 제1 2차 권선(L1s)에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3 1차 권선(L3p)는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제2 2차 권선(L2s)에 접속된다.
도 7 및 9를 참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2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트랜스포머의 권선 접속 방법은 도 7 및 도 8에 사용된 권선의 극성이 다르다는 사실에 의해 도 7의 것과 다르다. 트랜스포머의 권선이 직렬로 접속되면, 접속 방법은 극성 가산 원리에 기초하여야만 한다. 도 9 및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3개의 램프에 대한 전류 평형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의 회로의 동작 원리 및 식은 도 9의 회로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코일의 짝수량 또는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되어 운전 전류를 평형시켜 코일의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와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될 수 없고 짝수량의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종래 회로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류 평형 회로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채택한다.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은 램프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타단은 인접하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을 통해 AC 전원에 접속된다. 상기 연결 방법에 의해, 전원이 트랜스포머를 통해 공급되어 램프의 운전 전류를 평형시켜서, 코일의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와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될 수 없고 짝수량의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 및 예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이루어진 다양한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고, 다음에 부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류 평형 회로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채택한다.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은 램프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타단은 인접하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을 통해 AC 전원에 접속된다. 상기 연결 방법에 의해, 전원이 트랜스포머를 통해 공급되어 램프의 운전 전류를 평형시켜서, 코일의 인덕턴스가 다른 경우와 홀수량의 램프에 적용될 수 없고 짝수량의 램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6)

  1. 복수의 트랜스포머로서, 각각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2차 권선의 일단은 복수의 램프 중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2차 권선의 타단은 인접하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되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트랜스포머들을 통해 램프들에 동일한 운전 전류를 공급하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수는 짝수 또는 홀수인,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권선은 동일한 권회수를 갖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CCFL 또는 EEFL인,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polar-adding method)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6. 제1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및
    제2 1차 권선 및 제2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제2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1차 권선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을 통해 제1램프에 접속되고, 제2 2차 권선의 일단은 제2램프에 접속되고 제2 2차 권선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되는 제2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이 램프에 동일한 운전 전류를 공급하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와 제2램프는 CCFL 또는 EEFL인,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포머와 제2트랜스포머의 권선은 동일한 권회수를 갖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차 권선과 제2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1. 제1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을 갖는 제1 트랜스포머;
    제2 1차 권선 및 제2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제2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 에 접속되고 상기 제2 1차 권선의 타단은 제1 2차 권선을 통해 제1램프에 접속된 제2트랜스포머; 및
    제3 1차 권선 및 제3 2차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제3 1차 권선의 일단은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제3 1차 권선의 타단은 제2 2차 권선을 통해 제2램프에 접속되고, 제3 2차 권선의 일단은 제3램프에 접속되고 제3 2차 권선의 타단은 제1 1차 권선을 통해 전원에 접속된 제3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이 램프에 동일한 운전 전류를 공급하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램프, 제2램프 및 제3램프는 CCFL 또는 EEFL인,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포머, 제2트랜스포머, 제3트랜스포머의 권선은 동일한 권회수를 갖는,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제1 1차 권선 및 제3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5. 제11항에 있어서, 제2 1차 권선과 제1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1차 권선과 제2 2차 권선이 극성가산법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KR1020050093866A 2005-10-06 2005-10-06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KR10069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66A KR100693823B1 (ko) 2005-10-06 2005-10-06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66A KR100693823B1 (ko) 2005-10-06 2005-10-06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823B1 true KR100693823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866A KR100693823B1 (ko) 2005-10-06 2005-10-06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045A (ja) 2002-12-25 2004-07-2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点灯装置
US6781325B2 (en) 2002-04-12 2004-08-24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Circuit structure for driving a plurality of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325B2 (en) 2002-04-12 2004-08-24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Circuit structure for driving a plurality of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JP2004207045A (ja) 2002-12-25 2004-07-2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点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7372B2 (en) Multi-lamp driving system
US7294971B2 (en) Balancing transformers for ring balancer
US7365501B2 (en) Inverter transformer
US7075248B2 (en) Lamp driving system
US7528552B2 (en) Power transformer combined with balance windings and application circuits thereof
KR100693823B1 (ko) 램프용 전류 평형 회로
KR200398663Y1 (ko) 다중 램프 평형 변압기 및 구동 회로
KR100492388B1 (ko) 다중 램프 구동 시스템
US20060119293A1 (en) Lamp load-sharing circuit
US20080116823A1 (en) Current-balancing apparatus for lamps
KR200397640Y1 (ko) 밸런스 트랜스포머
KR200378024Y1 (ko) 램프 로드 공유 회로
KR100782665B1 (ko) 램프용 전류 밸런싱 장치
US20070069662A1 (en) Current-balancing circuit for lamps
KR100896630B1 (ko) 멀티 램프 구동 장치
KR100749837B1 (ko) 밸런스용 트랜스포머
KR100878420B1 (ko) 멀티 램프 구동 장치
US7919930B2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6049470A (ja) コイル部品
JP4999152B2 (ja) 放電灯駆動回路
JP2008066071A (ja) ランプ駆動装置
TWM282278U (en) Circuit applied to uniform the current in light tubes
JP2009194202A (ja) 電流平衡トランス及びそれを用いる放電管電流均等分配回路
KR20070055837A (ko) 엘시디 백라이트 인버터 회로
KR20070074264A (ko) 밸런스 권선이 결합된 전력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용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