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527B1 -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 Google Patents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527B1
KR100693527B1 KR1020050002751A KR20050002751A KR100693527B1 KR 100693527 B1 KR100693527 B1 KR 100693527B1 KR 1020050002751 A KR1020050002751 A KR 1020050002751A KR 20050002751 A KR20050002751 A KR 20050002751A KR 100693527 B1 KR100693527 B1 KR 10069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oven
groove
oven rack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2251A (en
Inventor
조해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527B1/en
Publication of KR2006008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에 돌출되어 오븐랙의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조리실을 건조 가능하게 하는 강제용그루브가 구비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chamber of an electric oven provided with a forcing groove that protrud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interferes with one side of the oven rack to enable drying of the cooking chamber.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된 사각관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110) 내부에는, 전원 인가시에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컨벡션히터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컨벡션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대류되도록 하는 컨벡션팬(150)과, 상기 조리실(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면에 음식물이 지지되도록 하는 오븐랙(200)과, 상기 조리실(110)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성형되어 상기 오븐랙(200)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안착용그루브(160)와,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상측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오븐랙(200)의 상부를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랙(200)의 일단부가 조리실(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강제용그루브(1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실(110)의 건조 작업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with one side open to accommodate food therein, the cooking chamber 110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0 by dissipating heat when power is applied to cook food Convection heater to rotate, the convection fan 150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nvection heater to convection by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so that foo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hamber 110 Oven rack 200,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60 for supporting the oven rack 200 to be seated by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160 to interfer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oven rack 200 to force one end of the oven rack 200 to protrude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lob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part for the drying operation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unnecessar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전기오븐, 오븐랙, 강제용그루브, 돌출, 건조 Electric oven, oven rack, forced groove, protrusion, drying

Description

전기오븐의 조리실{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에서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oven door in a typical electric oven.

도 2 는 일반적인 전기오븐에서 조리실을 건조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drying the cooking chamber in a typical electric ove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에서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n door is opened in the electric oven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 조리실의 요부구성인 강제용그루브가 조리실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측면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forc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of the main portion of the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시의 오븐랙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oven rack mounted state when cooking food in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 조리실을 건조시의 오븐랙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oven rack mounting state when the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전기오븐 110. 조리실100. Electric oven 110. Cooking chamber

112. 캐비티플레이트 120. 전면플레이트112. Cavity Plate 120. Front Plate

122. 사이드트림 124. 래치슬롯122. Side trim 124. Latch slot

126. 배기구 130. 오븐도어126. Vent port 130. Oven door

132. 래치 140. 조작판넬132.Latch 140.Operator Panel

142. 조작다이얼 150. 컨벡션팬142. Operation dial 150. Convection fan

152. 보호커버 160. 안착용그루브152. Protective cover 160. Seating groove

162. 그루브돌기 170. 강제용그루브162. Groove projections 170. Forced grooves

172. 규제돌기 200. 오븐랙172. Regulating protrusion 200. Oven rack

210. 걸림돌기 H . 공기출입공210. Jamming H. Air inlet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지지부재없이 오븐랙이 조리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강제하여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이 건조 가능하도록 하는 강제용그루브가 구비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oven, and more particularly, an electric oven provided with a forced groove for allowing the cooking chamber to be dried by forcing the oven rack to protrude out of the cooking chamber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member to maintain the open cooking chamber. It relates to a cooking chamber of an ove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기오븐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열원의 종류 또는 오븐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오븐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oven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eat source or the type of the oven.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수납하여 밀폐한 후,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electric ovens contain and seal cooking materials, and then use various heaters and high frequency generators such as ceramic heaters, sheath heaters, and halogen heaters. It is a cooking apparatus that heats the cooking material by dry heat, and heats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ood at the same time, and the cooking speed is high, the thermal efficiency is high, and safety is increased by using electricity, and its use is increasing.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ctric ov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일반적인 전기오븐에서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전기오븐에서 조리실을 건조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n oven door in a general electric oven, and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drying a cooking chamber in a general electric ove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1)에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조리실(10)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lectric oven 1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10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food is cooked therein.

상기 조리실(10)은 사각판 형상의 다수개 캐비티플레이트(12)를 절곡 및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진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전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전방으로 음식물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The cooking chamber 10 refers to a space formed by bending and joining a plurality of cavity plates 1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do.

상기 조리실(10)의 전면, 즉, 개구부에는 상기 조리실(10)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오븐도어(20)는 조리실(10) 전면의 하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인출/입시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An oven door 20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 is installed at the front surface, that is, the opening of the cooking chamber 10. That is, the oven door 20 is mounted to be rotatable bas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ood at the time of withdrawing or entering the food.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20)의 상측에는 다수의 조작다이얼(42)이 구비되는 조작판넬(40)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an operation panel 40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dials 42 is generally installed above the oven door 20.

한편, 상기 캐비티플레이트(12)의 후면 즉, 상기 조리실(10)의 후면에는 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소정의 풍력을 발생하는 컨벡션팬(50)이 장착된다. 상기 컨벡션팬(50)은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컨벡션히 터(미도시)로부터 발산된 열이 음식물의 전면(全面)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cavity plate 12, that is, the rear of the cooking chamber 1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a motor (not shown), the convection fan 5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wind is mounted. The convection fan 50 serves to circulate the air in the cooking chamber 10 to uniformly transfer the heat emitted from the convection heater (not shown)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ood.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50)의 전방에는 컨벡션팬(50)의 지름보다 조금 큰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컨벡션팬(50)과 이격 설치되고, 전면(全面)에 걸쳐서 소정 크기의 공기출입공(H)이 천공 성형된 보호커버(52)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커버(52)는 컨벡션팬(50)이 회전시에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컨벡션팬(50)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onvection fan 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vection fan 5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vection fan 50, the air entry hole (H) of a predetermined size over the entire surface (H)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52 perforated. The protective cover 52 protects the user from injuries when the convection fan 50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smoothly flows the air generated from the convection fan 50.

상기 조리실(10)의 양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성형된 그루브(Groove,14)가 구비된다. 상기 그루브(14)는 평행한 수평선상에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14)의 상단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랙(Oven Rack,60)의 양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오븐랙(60)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Grooves 14 protruding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ward direction are provid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10. The grooves 14 are formed in plural in the same shape on a parallel horizontal line, the top surface of the grooves 14 b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oven rack (60) to be described below the oven rack 60 ) Will not flow and maintain a stable state.

그리고, 상기 그루브(14)의 전반부 하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그루브돌기(14')가 구비된다. 상기 그루브돌기(14')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랙(60)이 상기 그루브(14)의 상면에 올려져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장착될 때 오븐랙(60)의 전반부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랙(60)의 인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In addition, a groove protrusion 14 ′ protruded downwar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lf of the groove 14. The groove protrusion 14 ′ interferes with the front side of the oven rack 60 when the oven rack 6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ove 14 and slides backward. ) Is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amount of incoming.

또한, 상기 그루브돌기(14')는 상기 오븐랙(60)의 상면에 얹혀진 음식물을 조리실(1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오븐랙(6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때 상기 오븐랙(60)의 후단부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오븐랙(60)이 조리실(10)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roove protrusion 14 ′ of the oven rack 60 when the oven rack 60 is slid forward to withdraw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rack 60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 By interfering with one side of the rear end portion, the oven rack 60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 by the load of food.

상기 오븐랙(60)은 평평한 사각 철망(鐵網)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븐랙(60)은 좌우측단이 상기 그루브(14)에 삽입되어 유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조리할 음식물이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음식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상기 컨벡션팬(50)에 의해서 대류된 뜨거운 열이 음식물의 전면(全面)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한다.The oven rack 60 is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wire mesh shape. The oven rack 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ven rack 6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14 so that the food to be cooke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while the flow is constrained, thereby minimiz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food to the convection pan 50. The hot heat condensed by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ood so that the food is cooked evenly.

한편, 상기 전기오븐(1)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자기력(磁氣力)을 발산하는 스페이서(도 2의 도면부호 70)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70)는 조리실(10)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전면 일측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액세서리의 일종이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oven 1 is provided with a spacer (reference numeral 70 in FIG. 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emitting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The spacer 70 is a kind of accessory used to attach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when drying the moisture in the cooking chamber 10.

즉, 상기 조리실(10)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상기 조리실(10) 내부는 상기한 히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되어 습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기오븐(1)의 전면 일측에 상기 스페이서(70)를 부착하여 상기 오븐도어(20)의 시계방향(도 2에서 볼 때)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오븐도어(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food is cooked using the cooking chamber 10, the moisture of the food is evapora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not shown)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 to increase the humidity. Attaching the spacer 70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1) to regulate the clockwise (see FIG. 2) rotation of the oven door 20 to maintain the oven door 20 in an open state.

따라서,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수분은 상기 오븐도어(20)와 조리실(10) 사이의 틈을 통해서 증발되어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습도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moisture in the cooking chamber 10 is evaporat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ven door 20 and the cooking chamber 10 so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 is lower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조리실(10) 내부를 건조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스페이서(70)는 별도의 보관장소를 마련하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spacer 70 that is selectively used only when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10 is dried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ore a separate storage place and is easily lost.

또한, 스페이서(70)가 분실되면 조리실(10)의 건조가 불가능하게 되고 조리실(10)의 건조를 위해서 스페이서(70)를 추가로 구입해야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when the spacer 70 is lost, drying of the cooking chamber 10 becomes impossible and an additional purchase of the spacer 70 for drying the cooking chamber 10 is not preferable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뿐만 아니라, 조리실(10)을 건조할 때마다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스페이서(70)를 찾아서 부착한 후에 사용해야만 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chamber 10 should be used after finding and attaching the spacer 70 stored in a separate place every time, the convenience of use is lowe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지지부재없이 오븐랙을 조리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규제하여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강제용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restricting the oven rack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mber to form a forcing groove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cooking chamber electrical ease of use is increased It is to provide cooking chamber of ove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된 사각관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with one surface open to accommodate food therein,

상기 조리실에는, 전원 인가시에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컨벡션히터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컨벡션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대류되도록 하는 컨벡션팬과, 상기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면에 음식물이 지지되도록 하는 오븐랙과, 상기 조리실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성형되어 상기 오븐랙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안착 용그루브와, 상기 안착용그루브의 상측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오븐랙의 상부를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랙의 일단부가 조리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강제용그루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chamber may include a convection heater that dissip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to allow food to be cooked, a convection fan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to convection heat generated from the convection heater, and inside the cooking chamber. Oven rack to support foo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accommodated state,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support the oven rack is sea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t is formed spaced apar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oven ra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ing is provided for forcing one end of the oven rack to protrude out of the cooking chamber.

상기 강제용그루브는 상기 안착용그루브의 일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fo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상기 강제용그루브는 최상측의 안착용그루브보다 상측에 이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fo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an the mounting groove of the uppermost side.

상기 강제용그루브에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오븐랙의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랙의 조리실 인입량을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groove is formed to be rounded downward to interfere with one side of the oven 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projection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draw chamber input of the oven rack.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븐랙의 삽입위치를 변경하여 조리실이 건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오븐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electric oven is increased by allowing the cooking chamber to be dried by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oven rack.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에서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 조리실의 요부구성인 강제용그루브가 조리실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측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oven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n oven door in an electric oven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eel groove formed in the cooking chambe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schematic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오븐(100)은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10)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110)은 사각판 형상의 다수개 캐비티플레이트(112)를 절곡 및 접합하여 이루어진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전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전방으로 음식물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electric oven 100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110 in which food is cooked. The cooking chamber 110 refers to a space formed by bending and joining a plurality of cavity plates 11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cooking chamber 110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allows food to be taken out or inserted into the opened front. do.

상기 조리실(110)의 전면, 즉, 개구부에는 상기 조리실(110)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1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오븐도어(130)는 조리실(110) 전면의 하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인출/입시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An oven door 130 that selectively shields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installed at the front surface, that is, the opening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at is, the oven door 130 is mounted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enable the us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ood at the time of withdrawal / entrance.

상기 오븐도어(130) 배면 양측에는 오븐도어(130)의 개방을 제어하는 래치(132)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13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슬롯(124)의 하단면과 간섭됨으로써 상기 오븐도어(130)가 조리실(110)을 차폐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하게 된다.Latches 132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oven door 130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oven door 130. The latch 132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atch slot 12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110 is regulated so as not to open when shielding.

상기 조리실(110)의 전면에는 조리실(1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전면플레이트(120)의 좌우측에는 사이드트림(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사이드트림(122)은 전면플레이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단차지게 되며 상기 오븐도어(130)가 차폐시에 오븐도어(130) 후면의 테두리와 면접촉하게 되어 공기 누설을 차단하게 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provided with a front plate 120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side trim 122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late 120. That is, the side trim 122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120 to be stepped with the front plate 120, and the oven door 13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rear of the oven door 130 when shielded. This prevents air leakage.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상기 래치(132)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 래치슬롯(124)이 구비된다. 즉, 상기 래치슬롯(124)은 오븐도어(130)가 상기 조리실(110)을 차폐시에 래치(132)를 내부에 수용하게 되며, 상기 래치(132)의 하단면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도어(130)의 개방을 규제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latch slot 124 perfora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atch 132. That is, the latch slot 124 accommodates the latch 132 therein when the oven door 130 shields the cooking chamber 110, and interfer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atch 132 so that the oven door ( 130 will be regulated.

상기 래치슬롯(124)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일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미도시)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126)가 천공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126)의 상측에는 다수의 조작다이얼(142)이 구비되는 조작판넬(140)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latch slot 12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xhaust port 126 is formed to be perforated so that air of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upper side of the exhaust port 126 is formed. In general, the operation panel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dial 142 is installed.

상기 캐비티플레이트(112)의 후면 즉, 상기 조리실(110)의 후방에는 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소정의 풍력을 발생하는 컨벡션팬(150)이 장착된다. 상기 컨벡션팬(150)은 조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컨벡션히터(미도시)로부터 발산된 열이 음식물의 전면(全面)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rear of the cavity plate 112, that is, the rear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a motor (not shown), the convection fan 15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wind is mounted. The convection fan 150 serves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0 so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convection heater (not shown)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ood.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150)의 전방에는 컨벡션팬(150)의 지름보다 조금 큰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컨벡션팬(150)과 이격 설치되고, 전면(全面)에 걸쳐서 소정 크기의 공기출입공(H)이 천공 성형된 보호커버(152)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커버(152)는 컨벡션팬(150)이 회전시에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컨벡션팬(150)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onvection fan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vection fan 1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vection fan 150, the air entry hole (H) of a predetermined size over the entire surface (H) )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152 is perforated. The protective cover 152 prevents injuries of the user when the convection fan 150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s the flow of air generated from the convection fan 150.

상기 조리실(110)의 양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성형된 안착용그루브(16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용그루브(160)는 평행한 수평선상에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상단면에는 사각 철망(鐵網)모양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을 지지하는 오븐랙(Oven Rack,200)의 양측단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오븐랙(200)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오븐랙(200)은 조리실(110)의 바닥면 크기와 대응되는 외곽 크기를 가지며, 좌/우측단 전반부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걸림돌기(2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10)는 오븐랙(200)이 안착용그루브(160)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조리실(110) 내부에서 인출/입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그루브돌기(162) 및 규제돌기(17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상기 걸림돌기(210)는 오븐랙(200)의 바닥면에서 상단부까지 돌출된 높이가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이격 거리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랙(200)은 안착용그루브(160)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랙(200)의 우측단부(도 5에서 볼 때)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이것은, 상기 오븐랙(200)을 조리실(110) 외부로 잡아당겼을 때 안착용그루브(16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오븐랙(200)의 우측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그루브돌기(162) 및 걸림돌기(172)의 하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오븐랙(200)을 조리실(110)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오븐랙(200)의 상면 우측단부(도 5 및 도 6에서 볼 때)는 그루브돌기(162) 및 걸림돌기(172)의 하면 우측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오븐랙(200)은 조리실(110) 내부에서 탈거되지 않게 된다.
Both side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110 ar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160 protru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inward direction. The seating grooves 16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on a parallel horizontal line,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s 16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wire mesh shape (Oven Rack) to support food Both ends of the 200 are seated.
Here, briefly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oven rack 200, the oven rack 200 has an outer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first half of the left / right end convexly rounded obstacles in the upward direction. Group 210 is formed.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provided with a groove protrusion 162 and a restriction protrusion 172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oven rack 200 is pulled out /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0 while slid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16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see FIGS. 5 and 6).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ven rack 200 to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ating groove 160. Thus, the oven rack 200 is able to slide between the mounting groove 160.
The right end of the oven rack 200 (as shown in FIG. 5) is bent upwardly. This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oven rack 200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60 when the oven rack 200 is pulled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right end of the oven rack 200 will be described below. The groove protrusion 162 and the locking protrusion 172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end.
That is, when the oven rack 20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upper right end of the oven rack 200 (as shown in FIGS. 5 and 6) has a groove protrusion 162 and a locking protrusion 172.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so that the oven rack 200 is not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따라서, 상기 안착용그루브(160)가 오븐랙(200)을 상면에 지지하게 되면 상기 오븐랙(200)은 조리실(11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음식물이 적당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용그루브(160)는 조리실(110)의 양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seating groove 160 supports the oven rack 200 on the upper surface, the oven rack 200 can maintain a stable state without flowing in the cooking chamber 110, and has various sizes and types. The seating grooves 160 may be formed in plural at equal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ooking chamber 110 so that the food may be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height.

그리고,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전반부 하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그루브돌기(162)가 구비된다. 상기 그루브돌기(162)는 오븐랙(200)이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상면에 올려져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장착될 때 오븐랙(200)의 걸림돌기(210)를 간섭함으로써 상기 오븐랙(200)의 인입량을 제한하게 된다. In addition, a groove protrusion 162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lf of the seating groove 160. The groove protrusion 162 interfer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10 of the oven rack 200 when the oven rack 2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60 and slid backward. ) Will limit the amount of incoming.

또한, 상기 그루브돌기(162)는 상기 오븐랙(200)의 상면에 얹혀진 음식물을 조리실(11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오븐랙(20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때, 상기 오븐랙(200)의 상면 후반부(도 6에서 볼 때 상면 우측부분)을 간섭함으로써 음식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오븐랙(200)이 조리실(110)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roove protrusion 162 of the oven rack 200 when sliding the oven rack 200 in order to withdraw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rack 200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6, the oven rack 200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by the load of the food by interfering with the upper half of the upper portion (upper right side when viewed in FIG. 6).

한편,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전방 상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강제용그루브(170)가 형성된다. 상기 강제용그루브(170)는 조리실(110) 내부에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증발시키는 건조작업 수행시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오븐랙(200)의 걸림돌기(210)를 간섭하여 상기 오븐랙(200)의 일단부가 조리실(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groove of the seating groove 160 is formed a steel groove 170 for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groove 170 is a configuration used when performing a drying operation to evaporate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outside, and interferes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10 of the oven rack 200, the oven rack One end of the 200 serves to force the cooking chamber 110 to protrude to the outside.

이하에서는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강제용그루브(170)의 형성위치 및 구성 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시의 오븐랙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 조리실을 건조시의 오븐랙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formation 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steel groove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oven rack mounting state when cooking food in a cooking chamber of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chematically shows an oven rack mounting state when drying an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chematic shown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제용그루브(170)는 안착용그루브(160)의 일부 형상, 즉 상기 그루브돌기(162)를 포함하여 안착용그루브(160) 일부를 떼어낸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제용그루브(170)는 다수개의 안착용그루브(160)가 서로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높이만큼 이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강제용그루브(170)는 다수개의 안착용그루브(160) 중에서 가장 최상측에 형성된 안착용그루브(16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강제용그루브(170)의 좌측단부와 안착용그루브(160)의 좌측단부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제용그루브(170)와 최상측의 안착용그루브(160) 사이에는 도 6과 같이 오븐랙(200)의 삽입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teel groove 170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part of the mounting groove 160, that is, a shape of removing the part of the mounting groove 160 including the groove protrusion 162. Is formed.
In addition, the steel groove 170 is spaced apart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6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more detail, the steel groove 170 is spaced up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160 form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60, and the left end of the steel groove 170 and The left end of the mounting groove 160 is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Therefore, between the steel groove 170 and the seating groove 160 on the uppermost side, the oven rack 200 can be inserted and slid as shown in FIG. 6.

그리고, 상기 강제용그루브(170)의 중앙부에는 하방향으로 함몰 성형된 규제돌기(172)가 구비된다. 상기 규제돌기(172)는 상기 그루브돌기(16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루브돌기(162)보다 좌측에 위치한다.(도 3에서 볼 때는 그루브돌기(162)보다 전방에 형성됨). 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steel groove 170 is provided with a restriction projection 172 rec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regulating protrusion 17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groove protrusion 162 an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groove protrusion 162. (It is formed in front of the groove protrusion 162 in FIG. 3).

따라서, 상기 강제용그루브(170)와 안착용그루브(160) 사이에 상기 오븐랙(20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210)의 우측 상면은 규제돌기(172)의 좌측 하면과 접촉하여 간섭됨으로써 상기 오븐랙(200)은 더 이상 조리실(110)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좌측단부가 조리실(110)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oven rack 200 is inserted between the steel groove 170 and the seating groove 160, the upper right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2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left side of the restricting protrusion 172 and interferes with it. As a result, the oven rack 200 is no longer insert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left end of the oven rack 200 protrudes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그리고, 상기 조리실(110) 외부로 돌출된 오븐랙(200)의 좌단부는 상기 오븐도어(130)의 우측면과 접촉하여 오븐도어(130)의 회동을 규제하게 되며, 상기 오븐도어(130)는 도 6과 같이 조리실(110)을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조리실(110)의 건조작업은 수행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eft end of the oven rack 200 protruding outside the cooking chamber 110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urface of the oven door 130 to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oven door 130, the oven door 130 is As shown in FIG. 6, the cooking chamber 110 may not be completely shielded, and the cooking chamber 110 may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pen state) from the front plate 120, and thus the drying operation of the cooking chamber 110 may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100)의 작용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oven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전기오븐(100)의 작동에 앞서 사용자는 조리할 음식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오븐랙(20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oven 100 for cooking food, the user should determin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ven rack 20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ood to be cooked.

부피가 작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오븐랙(200)을 도 5와 같이 조리실(11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용그루브(160)에 안착시키게 된다. For example, a process of cooking a small food item may be used. The user may mount the oven rack 200 on the seating groove 16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110 as shown in FIG. 5.

상기 오븐랙(200)을 조리실(110) 내부에 장착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오븐도어(130)를 개방시킨 후에 상기 오븐랙(200)의 좌측단부를 들어올려 우측단부가 안착용그루브(160)와 평행하게 한 다음 상기 안착용그루브(160) 사이에 삽입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오븐랙(200)의 후단부가 그루브돌기(162)의 하면 좌측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오븐랙(200)의 절곡된 후단부가 그루브돌기(162)를 지나 우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오븐랙(20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바닥면을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와 평행하게 한 다음 조리실(110) 내부로 밀어넣게 된다.
Mounting the oven rack 200 in the cooking chamber 110, first, after opening the oven door 130, lift the left end of the oven rack 200, the right end mounting groove 160 Parallel to and then inserted between the mounting groove 160. This is to prevent the rear end of the oven rack 200 from interfering with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groove protrusion 162.
When the bent rear end of the oven rack 200 is inserted to the right after the groove protrusion 162, the oven rack 2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make the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seating groove 160. It is push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상기 오븐랙(200)이 안착용그루브(160)에 삽입되면 상기 오븐랙(200)에 우측(도 5에서 볼 때)방향의 힘을 가해서 상기 오븐랙(200)을 조리실(110)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이때, 오븐랙(200)의 저면은 상기 안착용그루브(160)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다.When the oven rack 2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0, the oven rack 200 is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by applying a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o the oven rack 200. Done.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oven rack 200 is inserted while sliding with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160.

상기 오븐랙(200)을 우측으로 더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면 우측부분과 그루브돌기(162)의 하면 좌측부분은 도 5와 같이 간섭되어 상기 오븐랙(200)은 조리실(110) 내부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오븐랙(200)의 상면은 음식물의 지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oven rack 200 is further slid to the right side, the upper right side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210 and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protrusion 162 interfer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and the oven rack 200 is the cooking chamber 110. Sliding from the inside to the right is restricted. In this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rack 200 is in a state capable of supporting food.

조리할 음식물이 상기 오븐랙(200)에 의해서 안전하게 지지되면 상기 오븐도어(130)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110)을 차폐한 후에 상기 조작다이얼(142)을 조작 하여 컨벡션히터(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When food to be cooked is safely supported by the oven rack 200, the oven door 130 is rotated to shield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n the operation dial 142 is operated to supply power to a convection heater (not shown). Will be applied.

그리고, 전원의 인가에 의해서 상기 컨벡션히터(미도시)에 열이 발생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컨벡션팬(150)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컨벡션히터(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상기 조리실(110) 내부로 대류시키게 되며, 이로써 상기 조리실(110) 내부의 음식물은 조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heat is generated in the convection heater (not shown) by the application of power, the convection fan 15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to heat the heat generated by the convection heater (not shown) inside the cooking chamber 110. Convection to, whereby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110 is capable of being cooked.

한편,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어 상기 조리실(110)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오븐랙(200)을 사용하게 된다. 즉, 도 5 와 같은 상태에 있는 오븐랙(200)을 조리실(110)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강제용그루브(170)와 최상단의 안착용그루브(16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조리실(110) 내부를 건조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of the food is completed to dry the cooking chamber 110 is to use the oven rack 200. That is, the oven rack 20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inserted between the steel groove 170 and the seating groove 160 at the uppermost end, there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be inserted. It is dried.

이렇게 상기 오븐랙(200)이 강제용그루브(170) 하측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210)의 우측 상면은 상기 규제돌기(172)의 하면 좌측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오븐랙(200)은 더 이상 조리실(110)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정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규제돌기(172)는 그루브돌기(162)보다 좌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오븐랙(200)의 좌단부는 조리실(110)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규제돌기(172)가 그루브돌기(162)에서 좌측(도 6에서 볼 때)으로 이격된 거리만큼 조리실(1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When the oven rack 200 is inserted below the forced groove 170,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gulating protrusion 172 so that the oven rack 200 is further provided. Abnormally stopped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gulating protrusion 172 is located on the left side than the groove protrusion 162, the left end of the oven rack 20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17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by a distance spaced from the groove protrusion 162 to the left side (see FIG. 6).

상기 오븐랙(200)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오븐도어(13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오븐도어(130)의 내면은 상기 오븐랙(200)의 좌단부에 간섭되어 상기 오븐도어(130)는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조리실(110)을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oven door 130 is rotated clockwise while the oven rack 200 protrudes, the inner surface of the oven door 130 interferes with the left end of the oven rack 200, and thus the oven door 130 is rotated. The rotation is regulated to mainta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lat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completely shielding the cooking chamber 110.

따라서, 상기 오븐랙(200)과 강제용그루브(170)를 이용한 조리실(110)의 건조는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0)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오븐랙(200)을 다시 조리실(110) 외부로 인출하여 안착용그루브(16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조리실(110)은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Therefore, the cooking chamber 110 may be dried using the oven rack 200 and the steel groove 170. When the drying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completed, the oven rack 200 is again taken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0 so that the cooking chamber 110 can prepare food. Is switch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조리실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 성형된 강제용그루브를 구비하여 별도의 지지부재없이 오븐랙을 조리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규제하고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provided with a steel groove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regulate the oven rack to protrude out of the cooking chamber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member, and maintain the cooking chamber in an open state. It was configured to allow drying of the cooking chamber.

따라서, 오븐랙의 삽입위치에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 및 조리실의 건조가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ok food and dry the coo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oven rack,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조리실을 건조시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지부재의 분실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oss and damage of the support member frequently generated when the cooking chamber is dried by using a separate support member is advantageously prevented.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가 분실 및 파손되면 조리실의 건조가 불가능해지므로 지지부재의 재구입으로 인한 비용부담이 발생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if the support member is lost or damaged, it becomes impossible to dry the cooking chamber, and thus a cost burden due to the repurchase of the support member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economics.

Claims (4)

일면이 개구된 사각관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있어서,In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with one side open to accommodate food in the inside, 상기 조리실에는,In the cooking chamber, 전원 인가시에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컨벡션히터와,Convection heater to dissipate heat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cook food,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컨벡션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대류되도록 하는 컨벡션팬과,A convection fan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o convection heat generated from the convection heater; 상기 조리실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면에 음식물이 지지되도록 하는 오븐랙과,An oven rack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chamber and allowing food to b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상기 조리실의 좌/우측 벽면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성형되고, 상면에 상기 오븐랙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안착용그루브와,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rotruding from the left / right wall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an inn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supporting the oven rack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안착용그루브의 상측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오븐랙의 전반부에 상방 돌출된 걸림돌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오븐랙의 선단부가 조리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강제용그루브가 구비되며,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forcing groove for forcing the front end of the oven rack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by contacting the locking projection projecting upward in the first half of the oven rack, 상기 강제용그루브의 전반부 일측에는,On one 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steel groove,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함으로써 오븐랙의 조리실 인입량을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jected in a rounded downward direc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cooking chamber intake of the oven r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안착용그루브의 일측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그루브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The cooking chamber of claim 1, wherein the restricting protrus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roove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to selectively contact the locking protru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용그루브는 다수개의 안착용그루브 중에서 최상측의 안착용그루브로부터 상측에 이격 형성되며, 상기 강제용그루브는 다수개 안착용그루브가 서로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cing groov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uppermost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the forcing groove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oking chamber of the electric oven,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돌기는 조리실 내부에서 그루브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조리실. The cooking chamber of claim 3, wherein the regul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groove protrusion in the cooking chamber.
KR1020050002751A 2005-01-12 2005-01-12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KR100693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51A KR100693527B1 (en) 2005-01-12 2005-01-12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51A KR100693527B1 (en) 2005-01-12 2005-01-12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51A KR20060082251A (en) 2006-07-18
KR100693527B1 true KR100693527B1 (en) 2007-03-14

Family

ID=3717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751A KR100693527B1 (en) 2005-01-12 2005-01-12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52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51A (en)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KR102556755B1 (en) Oven
US20060027560A1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KR100672475B1 (en) Convection Oven Range having Multi-duct
US20120285437A1 (en) Door of electric oven
WO2017033457A1 (en) Heat cooking device
KR101060419B1 (en) Electric oven
KR100693527B1 (en)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KR200380805Y1 (en) Oven Rack for Electric oven
KR200383252Y1 (en)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JP5293446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0380808Y1 (en)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KR200383251Y1 (en) Oven rack for Electric oven
KR102521505B1 (en) Oven
KR200383683Y1 (en) Pan Assembly for Electric oven
KR100700770B1 (en) Electric oven
JP6105435B2 (en) Household appliances
KR100697462B1 (en) Oven rack for Electric oven
EP4343210A2 (en) Household appliance
KR200380806Y1 (en) Pan Assembly for Electric oven
WO2009012526A1 (en) An oven
US20240044506A1 (en) Cooking appliance
JP5600475B2 (en) Cooker
KR200383250Y1 (en) Pan Assembly for Electric oven
KR20060082249A (en) A structure of oven part for electric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