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31B1 -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331B1
KR100693331B1 KR1020060030394A KR20060030394A KR100693331B1 KR 100693331 B1 KR100693331 B1 KR 100693331B1 KR 1020060030394 A KR1020060030394 A KR 1020060030394A KR 20060030394 A KR20060030394 A KR 20060030394A KR 100693331 B1 KR100693331 B1 KR 10069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door lock
input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6003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키패드의 특수키 동작에 따라서 특정키가 선택되지 않도록 키패드의 입력 신호를 임의로 변경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입력부(108)와 표시부(110)를 구비하는 외측 조작부(102), 인증 제어부(112)와 도어록 제어부(114)와 메모리부(116)와 록 구동부(118)와 전원부(120)와 수동 조작 잠금부(122)를 구비하는 내측 조작부(104), 및 모티스부(106)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108)의 일부 숫자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상기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키고,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 키배치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도어록, 키패드, 특수키, 해정

Description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Digital Door Lock Having Device with a Variable Arrangement of Keypad,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키입력부의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에 의하여 가변 키배치부가 인식하는 숫자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102 : 외측 조작부
104 : 내측 조작부 106 : 모티스부
108 : 키입력부 110 : 표시부
112 : 인증 제어부 114 : 도어록 제어부
116 : 메모리부 118 : 록 구동부
120 : 전원부 122 : 수동 조작 잠금부
200 :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210 : 가변 키배치부
220 : 특수키 기능 전환부 230 :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
400 : 특수키 대행부
본 발명은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의 특수키 동작에 따라서 상기 특정키가 선택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의 입력 신호를 임의로 변경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DL; Digital Door Lock)은 사용자가 키패드(Key-pad), 전자 정보 키, 생체 정보 키 등을 이용하여 키 인증을 위해 입력한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또는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 도어록에 연결된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오늘날 록킹(Locking)의 해정 및 잠금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 리모콘을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복제가 불가능하고 각 개인별로 그 정보가 상이한 지문, 홍채, DNA 패턴, 음성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체 측정(Biometrics) 시스템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록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102)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104), 및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잠금 및 해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외측 조작부(102) 및 내측 조작부(104)와 연결되는 모티스부(106)로 구성된다.
외측 조작부(102)는 키입력부(108) 및 표시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108)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록(100)을 해정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RF(Radio Frequency) 카드, IC(Integrated Circuit) 카드, 홍채 인식이나 지문 인식 등의 장치가 구비된다.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인증 여부, 디지털 도어록(100)이 잠금 상태인지 해정 상태인지의 여부, 각종 경보 메시지 등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음성이나 음향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내측 조작부(104)는 인증 제어부(112), 도어록 제어부(114), 메모리부(116), 록 구동부(118), 전원부(120), 및 수동 조작 잠금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인증 제어부(112)는 인증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Unit)로 구현되며, 키입력부(108)에서 센싱 검출한 인증 정보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어록 제어부(114)는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며, 전체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도어록 제어부(114)는 인증 제어부(112)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10) 및 록 구동부(118)로 전달하며, 인증 실패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1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116)는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와 비교 판단되는 인증 정보 및 비밀 번호를 저장한다.
록 구동부(118)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모티스부(106)를 괘정 또는 해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록 구동부(118)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티스부(106)를 괘정 위치 또는 해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키입력부(108)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도어록 제어부(110)는 록 구동부(118)를 구동시켜 모티스부(106)를 해정시키게 된다.
전원부(120)는 디지털 도어록(100)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건전지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
수동 조작 잠금부(122)는 수동으로 디지털 도어록(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설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잠금 및 해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외측 조작부(102) 및 내측 조작부(104)와 연결되는 모티스부(106)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티스부(106)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데드 볼트(Dead Bolt)와 래치 볼트(Latch Bol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는 모티스부(106)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고, 이와 상응하는 위치인 도어 틀에 결합 홈이 상하로 형성된다.
데드 볼트는 돌출된 부분이 직사각형 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도어의 개방 및 폐쇄 동작시에 구동 모터에 의해 인위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래치 볼트는 도어 틀에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지는 부분이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거나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래치 볼트는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손잡이를 돌려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도어를 닫을 때에는 래치 볼트의 경사면이 도어 틀에 닿으면서 내부로 밀려들어가 도어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보조키의 경우에는 래치 볼트는 구비되지 않고 데드 볼트만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키입력부(108)에는 비밀번호와 같은 도어록 해정 요청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인증 제어부(112)가 상기 신호가 정당한지를 판단하고, 정당하다면 록 구동부(118)는 도어록 제어부(114)에 의해 구동 모터를 구동시킨다. 구동 모터는 모터 축에 연결된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하여 데드 볼트의 구동 레버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데드 볼트는 구동 레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그러면, 데드 볼트는 해정되고, 외측 조작부(102)에 구비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 볼트를 해제하면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데드 볼트를 돌출시켜 도어를 잠금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내측 조작부(104)에 구비되는 수동 조작 잠금부를 이용하거나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도어록 잠금 요청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록 구동부(118)는 도어록 제어부(114)에 의해 데드 볼트를 해정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서 데드 볼트를 돌출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100)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을 해정하는 경우 외측 조작부(102)에 구비된 키패드의 특정 숫자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디지털 도어록(100)의 해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디지털 도어록(100)의 비밀번호가 1234인 경우 숫자키 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을 해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1,031호에서는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를 평판형으로 구성하였다. 즉, 키패드를 숫자와 특수문자가 인쇄 또는 양각 배열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설치되며, 금속편들이 상기 숫자와 특수문자에 대응되게 형성된 전극판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판으로부터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 또는 특수문자에 대응되는 금속편의 정전용량이 변화되고 그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그러면, 상기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값이 입력되도록 하여 키패드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종래 키패드 사용시에 발생되는 마모나 먼지, 물, 습기 등의 침투에 따른 작동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는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처가 불가능하다.
한편, 종래에도 키패드의 숫자키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미국특허 제4,857,914호에서는 행 스크롤 쉬프트(Row Scroll Shift) 배치 방법과 같은 키패드 배치 방법을 이용하여 키패드의 숫자키가 변동되도록 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07,712호에서는 난수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숫자키가 변동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때 손동작을 염탐자가 엿보아 해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키패드 위에 있는 손자국이나 지문, 키패드 마모 등의 입력 흔적을 염탐자가 채취하여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해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처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록의 해정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이외의 특수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키 배치가 변동되도록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 키패드의 불량키 발생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해정이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애프터 서비스 요원의 출동 없이도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입력부(108)와 표시부(110)를 구비하는 외측 조작부(102), 인증 제어부(112)와 도어록 제어부(114)와 메모리부(116)와 록 구동부(118)와 전원부(120)와 수동 조작 잠금부(122)를 구비하는 내측 조작부(104), 및 모티스부(106)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108)의 일부 숫자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상기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키고,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 키배치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특수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키가 선택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의 입력 신호를 임의로 변경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상기 디지털 도어록 가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가동시키거나 상기 디지털 도어록 가동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특수키 대행부(400)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가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가변 키배치부(210)가 상기 록킹 해정 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을 해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가변 키배치부(210)가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증 제어부(112)가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하고 인증 사실을 도어록 제어부(114)로 전송하면, 상기 도어록 제어부(114)가 록 구동부(118)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을 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200)은 외측 조작부(102), 내측 조작부(104), 및 모티스부(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200)에 있어서, 외측 조작부(102)는 키입력부(108), 및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200)에 있어서, 내측 조작부(104)는 인증 제어부(112), 도어록 제어부(114), 메모리부(116), 록 구동부(118), 전원부(120), 수동 조작 잠금부(122), 및 가변 키배치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200)에 있어서, 내측 조작부(104)는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 및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08)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키패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200)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디지털 도어록(200)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록(200)이 해정된다.
가변 키배치부(210)는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는 크로스해치 키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에는 0 내지 9의 숫자키와 아스테리스크(Asterisk; *) 키, 크로스해치(Crosshatch; #) 키 등이 구비된다. 그런데, 아스테리스크 키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稼動)시키는데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를 크로스해치 키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키가 크로스해치 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지털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는 키로 크로스해치 키를 사용하고,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키로 아스테리스크 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변 키배치부(210)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가 입력된 후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변 키배치부(210)는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도어록 제어부(114)를 통하여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이러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키를 이용하여 특정 숫자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켜 디지털 도어록의 잠김 상태를 해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100)은 비밀번호가 1234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숫자키 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가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시 234라는 데이터만 전송된다. 그러면, 인증 제어부(112) 는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 1234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디지털 도어록(100)의 해정을 불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록킹(Locking)을 해정하지 못해 도어를 통한 출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200)은 구비된 특수키를 이용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 횟수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키입력부의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에 의하여 가변 키배치부가 인식하는 숫자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는 입력 횟수에 따라서 그 입력 횟수를 액면(額面)에 표시된 숫자키의 숫자에 가(加)하여 작동되는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1회 입력되면 액면에 표시된 2번 숫자키는 숫자 1로 인식되고, 3번 숫자키는 숫자 2로 인식된다. 따라서, 디지털 도어록(200)의 비밀번호가 1234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숫자키 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회 입력한 후 숫자키 2345를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면 이것이 숫자키 1234를 입력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2345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1234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횟수는 1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변동되는 숫자키의 위치가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의 위치와 일치하게 하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횟수(10회, 20회 등과 같이 10의 배수회)를 제외하면 몇번이라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 상기의 예를 빌려 설명하면,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3회 입력한 후 숫자키 4567을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면 즉, ###4567과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1234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0회 입력한 후에는 숫자키 1234를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므로 즉, ##########1234와 같이 입력하게 되므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숫자키 1을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제외시킨다.
한편,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상기 입력키의 입력 후 그 다음에 입력되는 숫자키만 그 위치를 변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는 입력한 횟수만큼 가하여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킨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록(200)의 비밀번호가 1234로 설정되어 있고 숫자키 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숫자키 4 앞에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회 입력한다. 그러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에 의해서 액면에 표시된 5번 숫자키가 숫자 4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123을 차례대로 입력한 후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회 입력하고 다음으로 숫자키 5를 입력하게 되면 즉, 123#5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1234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일정 횟수만큼 입력되면 그 횟수에 해당하는 자리의 숫자키는 그 입력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록(200)의 비밀번호가 1590으로 설정되어 있고 숫자키 5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2회 입력한다. 그러면, 가변 키배치부(210)는 2번째 자리에 위치한 상기 숫자키 5의 입력을 무시한다.
따라서,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2회 입력한 후 190을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면 즉, ##190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1590으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가변 키배치부(210)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인 ##190으로부터 원래 데이터인 1590으로 즉시 변동되지 않고 상기 입력 정보 ##190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데이터인 1090 내지 1990을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가변 키배치부(210)는 표시부(110)를 통하여 "①1090 ②1190 ③1290 ④1390 ⑤1490 ⑥1590 ⑦1690 ⑧1790 ⑨1890 ⑩1990"와 같은 형태로 표시하여 이중 하나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된 정보로부터 하나를 선택할시 1번은 #, 2번은 ##, 3번은 ### 등과 같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표시부(110)에 표시된 정보로부터 하나를 선택할시 입력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선택된 하나가 입력되면 이 정보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이때,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고, 입력된 정보가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불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변 키배치부(210)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로부터 원래 데이터로 즉시 변동시킨 다음,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방법보다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입력된 후 그 다음에 입력되는 숫자 키의 입력을 생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록(200)의 비밀번호가 1256으로 설정되어 있고 숫자키 6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숫자키 6 앞에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회 입력한다. 그러면, 가변 키배치부(210)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입력된 후 그 다음에 입력되는 숫자키 6의 입력을 무시한다.
따라서,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125를 순서대로 입력한 후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즉, 125#과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1256으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도 가변 키배치부(210)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인 125#으로부터 원래 데이터인 1256으로 즉시 변동되지 않고 상기 입력 정보 125#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데이터인 1250 내지 1259를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기술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일정 횟수만큼 입력되면 그 횟수에 해당하는 자리의 숫자키는 그 입력을 생략하는 경우"에서 기술한 부분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일정 횟수만큼 입력되면 그 횟수에 해당하는 숫자키는 그 입력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일정 횟수만큼 입력되면 그 횟수에 해당하는 숫자키 는 모두 그 입력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도어록(200)의 비밀번호가 2370으로 설정되어 있고 숫자키 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2회 입력한다. 그러면, 가변 키배치부(210)는 입력횟수 2회에 해당하는 숫자키 2의 입력을 무시한다.
따라서,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2회 입력한 후 370을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면 즉, ##370과 같이 입력하게 되면, 가변 키배치부(210)에 의하여 이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인 2370으로 변동되고,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어 록 구동부(118)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가변 키배치부(210)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인 ##370으로부터 원래 데이터인 2370으로 즉시 변동되지 않고 상기 입력 정보 ##370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데이터인 2370, 3270, 3720, 3702 등을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설정된 특수키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사용되는 크로스해치 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크로스해치 키가 수행하던 기능을 아스테리스크 키가 수행하도록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아스테리스크 키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를 크로스해치 키로 전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가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설정된 특수키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키로 아스테리스크 키를,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크로스해치 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할 때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에 키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러한 키버튼을 누르는데 걸리는 시간은 통상 1초 내지 2초이다. 따라서, 크로스해치 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먼저 아스테리스크 키를 입력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킨다. 그런 다음, 아스테리스크 키를 3초 이상 길게 다시 입력한다. 그러면,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는 상기 입력에 의하여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크로스해치 키에서 아스테리스크 키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아스테리스크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아스테리스크 키를 재입력하는 최단 시간은 3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아스테리스크 키를 10초 이상 길게 다시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에 의해서 표시부(110)가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가 크로스해치 키에서 아스테리스크 키로 전환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음성이나 문자로 제공할 때까지 아스테리스크 키를 계속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는 일정 시간 이상 아스테리스크 키의 입력이 지속되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특정 특수키에서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아스테리스크 키를 11번 이상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가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크로스해치 키에서 아스테리스크 키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는 일정 횟수 이상 아스테리스크 키의 입력이 지속되면 숫자키 변동 요청 입력키를 특정 특수키에서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키입력부(108)의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가능하게 하려면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를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비밀번호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표시부(110)를 통하여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위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인증 제어부(112)는 상기 비밀번호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록 제어부(114)는 표시부(110)에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아 디지털 도어록(200)의 해정을 불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는 아스테리스크 키와 크로스해치 키를 동시에 일정 시간동안 또는 일정 횟수만큼 입력하여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사용자에게 일정 시간 간격으로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키를 하나씩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즉,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가 표시부(110)를 통하여 "1번 키를 입력하세요."라고 표시하면, 사용자는 일정 시간 이내에 표시부(110)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1번 키를 입력한다. 이때, 일정 시간 이내에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1번 키의 입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1번 키를 작동 불량 상태인 키로 판별한다.
마찬가지로,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1번 키 이외의 다른 숫자키와 특수키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작동 불량 상태인 키를 판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가 작동 불량 상태인 키를 판별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상기에서 획득한 정보를 취합(聚合)하여 표시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제공한다.
한편,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가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기 전이라도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언제라도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록(200)의 키패드 고장에 대해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키입력부(108)의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한 후 상기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위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비밀번호 변경 방법은 키입력부(108)의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이 해정된 후에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신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도어록 제어부(114)가 상기 비밀번호를 메모리부(116)에 저장하는 단계, 및 도어록 제어부(114)가 표시부(110)를 통하여 신규 비밀번호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크로스해치 키와 아스테리스크 키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록(200)의 외측 조작부(102)에 상기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고,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활용될 수 있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200)은 외측 조작부(102), 내측 조작부(104), 및 모티스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조작부(102)는 키입력부(108), 표시 부(110), 및 특수키 대행부(400)를 포함한다.
특수키 대행부(代行部; 400)는 외측 조작부(102) 케이스의 일측에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특수키 대행부(400)는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특수키의 대행으로 사용되므로 키입력부(108) 부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수키 대행부(40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상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는데 아스테리스크 키의 입력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아스테리스크 키가 작동 불량 상태이면 디지털 도어록(200)을 해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특수키 대행부(400)를 입력하면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특수키 대행부(400)는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는 기능 외에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도 활용된다.
따라서, 특수키 대행부(400)를 입력하면 표시부(110)에 "①디지털 도어록의 가동 ②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와 같이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특수키 대행부(400)를 홀수번 입력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록을 가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짝수번 입력하게 되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사용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 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입력부(108)의 아스테리스크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킨다(S500).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록(200)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키로 아스테리스크 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는 키입력부(108)의 아스테리스크 키가 작동 불량 상태여서 디지털 도어록(200)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킬 수 없을 때에는 특수키 대행부(400)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을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도어록(200)이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되면, 사용자는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502). 그러면, 인증 제어부(112)는 상기 비밀번호가 메모리부(116)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S504). 이때, 비밀번호가 불일치하게 되면 도어록 제어부(114)는 표시부(110)에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을 불가한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506).
그러면, 사용자는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를 인지하고 있으면 디지털 도어록(200)의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 정보를 입력한다(S508). 이때, 사용자는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를 알지 못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510). 그러면,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는 상기 정보를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한다(S512). 한 편,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록(200)이 가동된 직후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를 통하여 작동 불량 상태인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요청은 디지털 도어록(200)의 가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200)의 가동을 시킨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은 상기에서 작동 불량 상태인 숫자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 함께 요청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작동 불량 상태인 특수키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면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전환을 요청한다. 그러면,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는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설정된 특수키에서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록(200)을 가동시키는 특수키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도록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특수키 즉, 아스테리스크 키와 크로스해치 키가 모두 작동 불량 상태이면, 특수키 대행부(400)를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 정보가 입력되면, 가변 키배치부(210)는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 해정 정보로부터 비밀번호를 유추 생성한다(S514). 그런 다음, 가변 키배치부(210)는 생성된 비밀번호를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한다(S516). 인증 제어부(112)는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하면, 도어록 제어부(114)는 록 구동부(118)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을 해정한 다(S518).
한편, 디지털 도어록(200)의 록킹이 해정되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에 구비된 크로스해치 키나 아스테리스크 키와 같은 특수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키 배치가 변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 키패드의 불량키 발생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해정이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애프터 서비스 요원의 출동 없이도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주 사용되지 않는 크로스해치 키와 같은 특수키를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에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키입력부(108)와 표시부(110)를 구비하는 외측 조작부(102), 인증 제어부(112)와 도어록 제어부(114)와 메모리부(116)와 록 구동부(118)와 전원부(120)와 수동 조작 잠금부(122)를 구비하는 내측 조작부(104), 및 모티스부(106)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108)의 일부 숫자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상기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숫자키의 위치를 변동시키고,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 키배치부(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 또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상기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는 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이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 및
    사용자의 요청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기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하는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조작부(102) 케이스의 일측에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상기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가동시키거나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사용되는 특수키 대행부(40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4. 디지털 도어록에 구비된 키패드의 특정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특수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키가 선택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의 입력 신호를 임의로 변경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상기 디지털 도어록 가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비밀번호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가동시키거나 상기 디지털 도어록 가동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시 특수키 대행부(400)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가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08)에 구비된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해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가변 키배치부(210)가 상기 록킹 해정 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을 해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가변 키배치부(210)가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 제어부(112)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증 제어부(112)가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하고 인증 사실을 도어록 제어부(114)로 전송하면, 상기 도어록 제어부(114)가 록 구동부(118)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을 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 가동키를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를 통하여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숫자키 또는 특수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1) 키입력장치 상태점검부(230)가 상기 정보를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단계;
    (c1)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거나, 특수키 대행부(400)를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d1) 특수키 기능 전환부(220)가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다른 특수키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특수키 대행부(400)가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로 설정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a2) 상기 가변 키배치부(210)가 상기 록킹 해정 정보로부터 유추 가능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밀번호를 선택하여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하여 상기 가변 키배치부(210)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정 정보는,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과,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숫자 각각에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횟수를 가한 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정 정보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숫자키의 입력 전후에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를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10.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정 정보는, 상기 숫자키 변동 요청 신호 입력키의 입력횟수에 해당하는 비밀번호 숫자를 생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방법.
KR1020060030394A 2006-04-04 2006-04-04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KR10069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394A KR100693331B1 (ko) 2006-04-04 2006-04-04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394A KR100693331B1 (ko) 2006-04-04 2006-04-04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331B1 true KR10069333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394A KR100693331B1 (ko) 2006-04-04 2006-04-04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92B1 (ko) 2007-04-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531A (ja) * 1996-04-03 1997-10-21 Takuya Kishimoto 番号や記号等の配列が変化する暗証入力方式
KR19990019326A (ko) * 1997-08-29 1999-03-15 김종원 전자키 장치의 키입력 구조 및 방법
KR20030044172A (ko) * 2001-11-29 2003-06-09 (주)아랑존디 키패드를 간소화한 전자키 장치
KR20050032918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아이레보 키버튼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의 비밀 번호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531A (ja) * 1996-04-03 1997-10-21 Takuya Kishimoto 番号や記号等の配列が変化する暗証入力方式
KR19990019326A (ko) * 1997-08-29 1999-03-15 김종원 전자키 장치의 키입력 구조 및 방법
KR20030044172A (ko) * 2001-11-29 2003-06-09 (주)아랑존디 키패드를 간소화한 전자키 장치
KR20050032918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아이레보 키버튼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의 비밀 번호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92B1 (ko) 2007-04-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892B1 (ko) 보안 강화를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해정방법
CN108460862A (zh) 用掌纹认证和手机控制锁具的方法及电子锁具、锁具系统
US9691203B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permitt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US20220100830A1 (en) Lock system using fido authentication
CN104831998B (zh) 一种智能化防盗开机械锁的安防设备
KR20180127167A (ko) 지문 인식 자물쇠
CN113971849A (zh) 一种带管理系统的动态密码锁
CN110111464A (zh) 一种单按键控制器门禁安全系统
KR100693331B1 (ko) 가변 키배치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방법
KR20180016765A (ko)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KR20080005303U (ko)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CN206584428U (zh) 用手机和掌纹控制的电子锁具、锁具设备和保险柜
CN107091019B (zh) 一种多锁体智能锁的方法、装置
KR20090013618A (ko) 일회용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시스템
KR200409225Y1 (ko) 키패드의 상하 변환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록
KR20110018093A (ko) 대여금고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40043550A (ko) 도어락 장치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CN208899994U (zh) 组合控制门锁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JP2004206516A (ja) 部屋管理システム及び装置
KR100692390B1 (ko) 승인 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모터 제어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JP2007308943A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JP5679685B2 (ja) 電気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