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226B1 -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26B1
KR100693226B1 KR1020030081710A KR20030081710A KR100693226B1 KR 100693226 B1 KR100693226 B1 KR 100693226B1 KR 1020030081710 A KR1020030081710 A KR 1020030081710A KR 20030081710 A KR20030081710 A KR 20030081710A KR 100693226 B1 KR100693226 B1 KR 10069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mpartment
rear engine
polyurethane foam
square pip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908A (ko
Inventor
황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2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필라에 각형파이프을 직접 용접 결합하고, 각형파이프의 상하측에 합판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층하되, 각형파이프의 사이에 열 및 소음을 2차로 막아주는 스폰지 발포체를 형성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에 단열시트을 형성함으로써,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연결강성을 증대하고,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주며, 스폰지 발포체를 2차 단열 및 소음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작업자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게하며,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하면을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폴리우레탄폼으로 처리하여 흡음효과와 함께 엔진룸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각형파이프, 폴리우레탄폼, 스폰지 발포체

Description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for rear engine compartment of bus}
도 1 은 종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가 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가 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폴리우레탄폼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이드필라, 11: 튜브 구조물,
12: 합판, 13: 스폰지 발포체,
14: 승객용시트, 15: 판넬,
16: 폴리우레탄폼 17: 양면테이프,
18: 부직포, 19: 단열시트,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연결강성을 증대하고,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주며, 스폰지 발포체를 2차 단열 및 소음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작업자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게 하며,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하면을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폴리우레탄폼으로 처리하여 엔진룸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는 엔진룸과 실내를 격리하고 엔진의 열기와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과 도 2 는 종래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이드 필라(1)에 브라켓(2)을 붙이고, 그 브라켓(2)에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구조물을 장착하게되는데, 상기 리어엔진 콤파트먼트는 브라켓(2)에 중간합판(6), 격판(7), 하판(8)을 리벳팅하여 결합하고, 그 구조물의 사이 사이에 흡음 및 단열기능을 갖는 유리섬유(9)를 충진하며, 유리섬유(9) 충진 후 방음도포재(4)를 브라켓(2)의 상하부에 도포하고, 그 위에 최종적으로 합판(5)을 얹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는 브라켓(2)과 격판(7)및 하판(8)을 리벳팅해야만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리어엔진 콤파트먼트를 얹은 후 방음도포재를 도포할 때 상측은 작업이 용이하나 하측은 방음도포재 도포시 하부로 떨어지며, 굳을때까지 리어엔진 콤파트먼트가 박리될 우려가 매우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내부에 유리섬유(9)를 충진할 때 유리섬유가 비산되어 작업자의 호흡기측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중간합판(6)과 브라켓(2)의 상측에 빈공간이 형성됨으로 최종적으로 상측에 얹혀지는 합판(5)이 빈공간측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승객의 무게가 사이드 필라 측으로 치우칠 경우 합판(5)이 집중하중을 받으면서 깨지는 문제점이 있고,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구성부품수가 많아서 제작 및 조립, 용접등의 비용이 증가하며, 엔진룸을 열었을때 용접면과 리벳팅면이 노출됨으로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 필라에 각형파이프을 직접 용접 결합하고, 각형파이프의 상하측에 합판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층하되, 각형파이프의 사이에 열 및 소음을 2차로 막아주는 스폰지 발포체를 형성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에 단열시트을 형성함으로써,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연결강성을 증대하고,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주며, 상기 스폰지 발포체를 2차 단열 및 소음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작업자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게 하며,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하면을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폴리우레탄폼으로 처리하여 흡음효과와 함께 엔진룸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이드필라의 일측에 각형파이프을 직접 용접결합하고, 상기 각형파이프의 하측에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열을 차단하기 위한 폴리우레탄폼을 형성하고, 상기 각형파이프의 상측에 합판을 얹은 후 합판의 상면에 승객용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각형파이프의 사이에 엔진룸으로부터 전달되는 열 및 소음을 2차로 차단하는 스폰지 발포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그 상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폴리우레탄폼을 각형파이프의 저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폴리우레탄폼의 저면에는 부직포를 결합하여 흡음효과와 함께 엔진룸의 내부가 미려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폼의 내부에는 단열성의 향상을 위해 단열시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는 각형파이프(11)로서 중간층을 형성하고, 측면부를 이루는 각형파이프(11)를 사이드필라(10)와의 사이에 직접 용접 결합하여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작업공수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형파이프(11)의 하측에는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소음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폴리우레탄폼(16)을 부착 결합하고, 각형파이프(11)의 상측에는 합판(12)과 승객용시트(14)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폼(16)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16)의 상측에 양면테이프(17)를 부착하여 폴리우레탄폼(16)을 각형파이프(11)의 저면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16)의 저면에는 부직포(18)를 부착하여 흡음효과와 함께 엔진룸의 내부면이 미려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폼(16)과 부직포(18)의 사이에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시트(19)을 코팅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소음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수단으로 스폰지 발포체(13)를 각형파이프(11)의 사이에 형성한다.
상기 스폰지 발포체(13)는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탄성강도가 좋아 매트용으로 적합한 마블스폰지(일종의 재생용품으로, 일반의 스폰지를 분쇄하여 접착제를 넣어 재가공한 것을 나타냄)를 2차 단열 및 소음 차단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한층 청결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15는 폴리우레탄폼(16)과 각형파이프(11)의 사이에 개재되는 판넬(15)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발명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에 의하면, 각형파이프(11)을 사이드필라(10)에 직접 용접 결합함으로써, 결합강성이 증대되면서 작업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합판(12)의 하측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합판(12)이 깨질 위험이 없게 된다.
또한, 2차 단열 및 소음 차단소재로서 인체에 무해한 스폰지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엔진에서 올라오는 열과 소음을 2차로 차단함으로 실내의 정숙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부직포(18)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우레탄폼(16)을 적용함으로써, 엔진룸을 열었을때 전체적으로 부직포가 엔진룸을 감싸고 있는 듯이 보여지게 됨으로 엔진룸 내부가 미려해지는 효과와 함께 흡음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무타공과 타공면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우레탄폼(16)의 적용으로 탁월한 소음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 필라에 각형파이프을 직접 용접 결합하고, 각형파이프의 상하측에 합판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층하되, 각형파이프의 사이에 열 및 소음을 2차로 막아주는 스폰지 발포체를 형성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에 단열시트을 형성함으로써,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연결강성을 증대시키고,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주며, 상기의 스폰지 발포체를 통한 2차 단열 및 소음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작업자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게 하며, 리어엔진 콤파트먼트의 하면을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폴리우레탄폼으로 처리하여 엔진룸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한편 흡음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사이드필라(10)의 일측에 각형파이프(11)을 직접 용접결합하고, 상기 각형파이프(11)의 하측에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열을 차단하기 위한 폴리우레탄폼(16)을 형성하고, 상기 각형파이프(11)의 상측에 합판(12)을 얹은 후 합판(12)의 상면에 승객용시트(14)를 적층하되,
    상기 각형파이프(11)의 사이에 엔진룸으로부터 전달되는 열 및 소음을 2차로 차단하는 스폰지(13) 발포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16)은 그 상면에 양면테이프(17)를 부착하여 폴리우레탄폼(16)을 각형파이프(11)의 저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폴리우레탄폼(16)의 저면에는 부직포(18)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16)의 내부에는 단열성의 향상을 위해 단열시트(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KR1020030081710A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KR10069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10A KR100693226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10A KR100693226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908A KR20050047908A (ko) 2005-05-23
KR100693226B1 true KR100693226B1 (ko) 2007-03-13

Family

ID=3724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710A KR100693226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43Y1 (ko) * 2009-11-30 2012-04-20 대우버스(주) 버스의 리어 컴파트먼트부와 해치부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908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833B2 (ja) 広帯域吸音体
ES2313957T3 (es) Estructura ligera de suelo para vehiculos.
JP5000837B2 (ja) 騒音低減効果の大きいフロアカバー
KR100832099B1 (ko) 강도 보강용 패널
KR100561801B1 (ko) 흡음 보호 매트
US20110139542A1 (en) Acoustic shield
JP2007284058A (ja) 音および衝撃吸収性を有する取付け組立体、超軽量型構造体セットおよび取付組立体の使用
JP2004294619A (ja) 超軽量な防音材
RU2481976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акустическая структура обивки кузов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WO2014080734A1 (ja) 吸音パネル
JP2010234991A (ja) 車両用防音材
KR100693226B1 (ko) 버스의 리어엔진 콤파트먼트 결합구조
KR20060120273A (ko) 자체 지지형 차량 본체부
JP3530522B1 (ja) 超軽量な防音材
CN101177131B (zh) 一种隔声吸能的前仓结构及其制造方法
CN208280388U (zh) 一种多功能装饰隔墙
RU2576220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удно кочетова на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е
CN216562447U (zh) 一种隔音板
KR101793084B1 (ko) 차량용 방음방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5024034B2 (ja) 自動車用ボディ構造体
CN215904616U (zh) 一种基于公交车辆的高寒保温车厢
Chopra et al. Integrated Approach and Ideas for Designing Lightweight NVH Parts in Passenger Vehicle
CN216969552U (zh) 一种汽车前围隔音隔热垫
CN117107936B (zh) 应用于大型空间建筑的消音复合建筑材料板
CN220314906U (zh) 一种隔音隔热效果好的吸音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