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216B1 -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16B1
KR100693216B1 KR1020060009232A KR20060009232A KR100693216B1 KR 100693216 B1 KR100693216 B1 KR 100693216B1 KR 1020060009232 A KR1020060009232 A KR 1020060009232A KR 20060009232 A KR20060009232 A KR 20060009232A KR 100693216 B1 KR100693216 B1 KR 10069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errous metal
metal dust
incineration
as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홍기
Original Assignee
채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홍기 filed Critical 채홍기
Priority to KR102006000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05Inorganic fillers with a shape other than granular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부산물인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함과 동시에 아스콘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구리, 아연, 니켈, 스테인리스와 같은 비철금속관련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비철금속 더스트를 재활용하여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주철 더스트와는 달리 자기장으로 인하여 응집되거나 또는 가공 탱크의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 등을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채움재의 제조가 편리하고, 우수한 물성의 아스콘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철금속, 소각, 더스트, 아스콘, 채움재

Description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Asphalt concrete packing material using Nonferrous metal dust and Fly ash}
본 발명은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부산물인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함과 동시에 아스콘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즉, 아스콘은 아스팔트와 자갈과 같은 굵은 골재와 모래 등의 잔골재 및 포장용 채움재를 혼합하여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아스콘의 제조시 사용되는 채움재로는 석회석분, 포틀랜트 시멘트, 소석회 등의 광물성 물질의 분말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와서는 고철을 원료로 하여 철강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제강 더스트를 집진기로 포집하여 이를 아스콘의 채움재로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기술로 호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강 더스트는 주성분이 주철이기 때문에 제철 또는 제강 더스트만을 사용하여 채움재를 제조할 경우 산화철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응집되거나 또는 가공 탱크의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아스콘 채움재의 효율적인 제조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비철금속 더스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철금속 더스트인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주철 더스트와는 달리 자기장으로 인하여 응집되거나 또는 가공 탱크의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 등을 발생되지 않아 채움재의 제조가 편리하고, 그리고 우수한 물성의 아스콘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 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철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업부 산물을 이용하여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ⅰ)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혼합하는 공정과,
ⅱ) 혼합된 더스트를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소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ⅲ) 변형되거나 또는 분말도가 좋지 않은 혼합 더스트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하는 공정과;
ⅳ) 드럼타입 스크린으로 선별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ⅰ)공정은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혼합하는 공정으로 그 혼합량은 비철금속 더스트 40~60중량%와 소각 더스트 40~6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철금속 더스트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제강 더스트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각 더스트의 함량이 많아 아스콘 채움 재를 제조시 더스트 혼합물이 비산되어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 효율이 떨어지거나 또는 아스콘 채움재에 의해 제조되어진 아스콘의 안정도 및 밀도 등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비철금속 더스트의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각 더스트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철금속 더스트의 함량이 많아지지만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의 혼합성이 떨어져 아스콘 채움재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철금속 더스트는 구리, 아연과 같은 관련 금속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더스트 부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상기의 비철금속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다른 비철금속 부산물을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소각 더스트는 폐비닐, 폐합성수지, 신발부자재 등과 같은 각종 산업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소각시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소각 더스트를 집진기에 의해 포집 회수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ⅱ)공정은 혼합 더스트에 함유된 탄소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선별공정에서 회수된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혼합하여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혼합 더스트 중에 포함된 소량의 탄소분은 모두 제거되므로 보다 우수한 품질의 아스콘 채움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각시스템은 로 타리 킬른식 소각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소는 700~900℃에서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가 되므로, 본 발명의 800~1200℃의 고온에서 혼합 더스트를 재연소시키면 잔존하고 있던 탄소의 이산화탄소로 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하여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소각 더스트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철금속 더스트가 응집되고 탱크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조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ⅲ)공정은 상기 ⅱ)공정에서 연소시킨 혼합 더스트 중에서 변형되거나 또는 분말도가 좋지 않은 혼합 더스트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쇄기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스크류 타입 분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ⅳ)공정에서는 드럼타입 스크린을 이용하여 75~600㎛크기의 입자로 선별한 후 아스콘 채움재로 사용되어진다.
이하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아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스콘 충진재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이 혼합한 후 이 혼합된 더스트를 900℃의 온도로 가열하고, 분쇄한 후 드럼타입 스크린을 이용하여 75~600㎛크기의 입자를 선별하여 제조하였다.
[표 1] (중량 %)
구성성분 실시예
1 2 3 4
구리 더스트 40 60 - -
아연 더스트 - - 40 60
소각 더스트 60 40 60 40
2. 아스콘 충진재 물성 시험
KS F 3501(역청 포장용 채움재)의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품질 항목 KS기준 실시예
1 2 3 4
소성 지수 6 이하 3 2 3 2
흐름 시험 50% 이하 36.8 37.5 36.5 37.8
침수 팽창 3% 이하 1 1 1 1
박리 저항성 1/4 이하 1/4 이하 1/4 이하 1/4 이하 1/4 이하
상기 [표 2]의 내용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리 더스트(실시예 1 및 2)와 아연 더스트(실시예 3 및 4)를 이용하여 제조한 아스콘 채움재는 모두 KS 규격에서 정한 품질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그리고 구리와 아연의 비철금속 종류의 구분에 따른 품 질 변화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시료를 이용한 채움재(실시예 5)와 석회석분을 이용한 채움재(비교예 1)를 이용하여 다음 [표 3]의 배합비에 따라 아스콘을 제조한 다음 물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 [표 4]의 내용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3] (중량%)
골재의 종류 실시예 5 비교예 1
13 mm 골재 40 40
8 mm 골재 45 45
잔골재 11 11
아스콘 충진재 4 4
[표 4]
시험 항목 KS 기준 실시예 5 비교예 1
안정도(kgf) 500 이상 1098 942
흐름값(1/100 cm) 20~40 32 26
공극률(%) 3~5 4 4.7
포화도(%) 75~85 77 74
밀도(g/cm3) 2.3이상 2.331 2.31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리 더스트 채움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아스콘(실시예 5)의 품질이 KS규격에서 정한 품질 기준치를 초과할 뿐만 아니라 석회분 채움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아스콘(비교예 1)의 품질에 비해서도 안정도, 흐름값 등의 물성치가 일반적으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구리, 아연, 니켈, 스테인리스와 같은 비철금속관련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비철금속 더스트를 재활용하여 아스콘 채움재를 제조함으로써, 주철 더스트와는 달리 자기장으로 인하여 응집되거나 또는 가공 탱크의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 등을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채움재의 제조가 편리하고, 우수한 물성의 아스콘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ⅰ)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혼합하는 공정과,
    ⅱ) 혼합된 더스트를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혼합 더스트에 함유된 탄소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ⅲ) 변형되거나 또는 분말도가 좋지 않은 혼합 더스트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하는 공정과;
    ⅳ) 드럼타입 스크린으로 선별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공정에서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의 혼합량은 비철금속 더스트 40~60중량%와 소각 더스트 40~6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ⅲ)공정에서 사용하는 분쇄기는 스크류타입 분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ⅳ)공정에서 선별은 75~600㎛크기의 입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KR1020060009232A 2006-01-31 2006-01-31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KR10069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32A KR100693216B1 (ko) 2006-01-31 2006-01-31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32A KR100693216B1 (ko) 2006-01-31 2006-01-31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216B1 true KR100693216B1 (ko) 2007-03-13

Family

ID=3810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32A KR100693216B1 (ko) 2006-01-31 2006-01-31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657A (ko) * 2007-11-19 2009-05-22 이종규 스테인리스 분진과 소각 비산재 및 고철 제강 분진을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15A (ko) * 2000-05-08 2001-11-16 전원재 시멘트 혼화재, 자기응력 시멘트 및 자기응력 부여방법
JP2004299912A (ja) 2003-03-28 2004-10-28 Wakachiku Construction Co Ltd 港湾用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0699A (ko) * 2004-02-10 200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생활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바닥재의 전처리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15A (ko) * 2000-05-08 2001-11-16 전원재 시멘트 혼화재, 자기응력 시멘트 및 자기응력 부여방법
JP2004299912A (ja) 2003-03-28 2004-10-28 Wakachiku Construction Co Ltd 港湾用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0699A (ko) * 2004-02-10 2005-08-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생활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바닥재의 전처리 방법 및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657A (ko) * 2007-11-19 2009-05-22 이종규 스테인리스 분진과 소각 비산재 및 고철 제강 분진을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5380A1 (en) Concrete compositions
CN101715473B (zh) 复合配重体及其制造方法
JP2014094877A (ja) 土工資材組成物及び該組成物におけるフッ素溶出量を低減する方法
EP0188371A2 (e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WO2004020555A1 (en) Coal briquettes for smelting reduction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4148A (zh) 把垃圾转变成一种颗粒形状材料的方法
KR100693216B1 (ko) 비철금속 더스트와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제조방법
KR100718581B1 (ko) 선철대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1277B1 (ko) 전기로·제강더스트와 소각재를 이용한 역청포장용 채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JP2008126185A (ja) 焼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80391B1 (ko) 플라이 애시와 폐주물사를 이용한 역청 포장용 채움재의 제조방법
CN1148576A (zh) 硫固化的成型材料的制造方法和在该方法中使用的装置
JPS63500237A (ja) 有機および無機廃棄物の固形状不活性水不溶性物質への変換法
KR100990192B1 (ko)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 방법
KR100597706B1 (ko) 석재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40011063A (ko) 폐자재슬러지를 이용한 아스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6474B1 (ko) 암석미분 슬러지를 이용한 역청 포장용 채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시멘트몰탈의 조성물
JP5303855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高炉用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3735439B2 (ja) コンクリート
KR100440212B1 (ko)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KR101366836B1 (ko) 슬래그 더스트를 이용한 무기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0049B1 (ko)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와 폐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및 그 아스콘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72190B1 (ko) 폐crt유리 분말과 황토를 사용한 펠렛 및 그 제조방법
KR100237557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JP4192042B2 (ja) コークス炉でのシュレッダーダス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